KR101558837B1 -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37B1
KR101558837B1 KR1020150009668A KR20150009668A KR101558837B1 KR 101558837 B1 KR101558837 B1 KR 101558837B1 KR 1020150009668 A KR1020150009668 A KR 1020150009668A KR 20150009668 A KR20150009668 A KR 20150009668A KR 101558837 B1 KR101558837 B1 KR 10155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wearer
impact
multimedi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186A (ko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5000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3Force feedback applied to a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 내피;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 유닛;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를 향하는 일면에 하우징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상기 내피 방향으로 이동되는 충격부를 구비하는 체감 유닛;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충격부를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타격하도록 상기 체감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과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BODILY SENSATION CLOTHE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단 IT기기의 발달에 따라 기존 2차원 그래픽 기술을 넘어 3차원 기술이 구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상용화되어 3차원 그래픽 기술이 접목된 전자기기들을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좀 더 현실감 있는 미디어를 갈망하는 수요자들에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갈망은 시각적인 3차원 기술을 넘어 사람에게 직접적인 신체적 효과를 부여하는 일명 "4D" 기술의 상용화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4D 기술은 현재 주로 영화관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신체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영되고 있는 영화의 영상 정보에 따라 관람객이 착석한 의자를 움직임으로써 관람객에게 영화속 장면 즉, 가상현실을 직접적으로 체감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4D 기술은 영화관의 관람좌석과 같이 고정적인 물체를 통해 다수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감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다른 개인들의 상대적인 차이를 고려할 수 없으며, 집과 같은 개인적인 공간에서 4D 기술을 체감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개인차를 고려한 4D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 및 이용 가능하며, 다양한 외부 단말기와의 호환성이 높은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은,
여기서, 외피; 내피;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 유닛;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를 향하는 일면에 하우징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상기 내피 방향으로 이동되는 충격부를 구비하는 체감 유닛;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충격부를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타격하도록 상기 체감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피는, 복수의 내피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부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일단에 착탈 가능한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내피 관통홀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복수의 내피 구획부로 각각 구획되며,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복수의 내피 구획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충격부가 각각 구분되도록 복수의 하우징 구획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하우징 구획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획부와 구획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발열되도록 형성되는 발열 유닛;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냉매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내피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감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착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세기 조절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체감 유닛의 충격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감 유닛의 동작 정보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액체 및 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은,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체감 의복의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강도 조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도 조절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충격부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체감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자체 충격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 충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련된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의하면, 개별 의복을 통해 4D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여 4D 효과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설정에 따라 맞춤형 설정이 가능하여 개인차에 따른 4D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설정된 정보에 의해 4D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단말기와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열 유닛, 송풍 유닛, 스피커, 및 분사 유닛 등을 통해 다양한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의복 내에 체감 유닛이 플렉시블하게 설치됨으로써 의복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설정에 따라 임의적으로 체감 유닛을 구동하여 신체를 충격함으로써 개별적인 이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의 정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분사 유닛의 정면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련된 흐름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감 의복(100)은 내피(110), 외피(130), 카라부(131), 통신 유닛(150), 체감 유닛(170), 발열 유닛(210), 냉각 유닛(210), 송풍 유닛(230), 분사 유닛(250), 스피커(270), 전원 공급부(280), 디스플레이부(290), 사용자 입력부(310), 구동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감 의복(100)은 일반적인 의복과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착용 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인 외피(130)와, 착용자의 신체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인 내피(1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목 둘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카라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피(130)와 내피(110)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솜과 같은 보온재나 쿠션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부는 외피(130) 또는 내피(110)에 형성되는 개폐식 개구부를 통해 보온재 외의 타 물질이나 장치가 출입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감 의복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들을 수용함으로써 외피(130) 및 내피(110)의 재질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수 재질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향후 세척이 용이하도록
통신 유닛(150)은, 외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이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상기한 공간부나, 도시하지 않은 외피(130) 또는 내피(110)에 형성되는 포켓부에 수용되어 외부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외부 단말기에서 외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영상 정보, 음향 정보나 또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향 정보를 참조하여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설정 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외부 단말기에서 영화나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가 동작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 및 음향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 및 음향 정보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체감 의복(100)에 설치되는 통신 유닛(150)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향 정보를 참조하여 편집한 설정 정보를 통신 유닛(150)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체감 유닛(170)은, 내피(110)를 따라 배치되며 통신 유닛(150)이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충격운동할 수 있다. 체감 유닛(170)이 내피(110)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충격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감 의복(100)을 착용자가 착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체감 유닛(170)을 통해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전달됨으로써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멀티미디어를 착용자가 현실감 있도록 체감할 수 있다. 체감 유닛(170)에 관한 구조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2, 도3, 도4에서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발열 유닛(210)은, 내피(110)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배치되어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발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열 유닛(210)은 전자 코일 방식 또는 온수 순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코일 방식일 경우, 내피(110)를 따라 복수의 발열 코일이 서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코일 외면에는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순환 방식일 경우, 본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수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 호수가 내피(110)의 내측이나 외측을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순환 호스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위한 온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온수 탱크는 외피(130) 및 내피(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나 포켓과 같은 추가적인 공간부에 수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온수 탱크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성에 의해, 외부 단말기에서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가 실행되고 있고, 화재와 같은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이에 따라 발열 유닛(210)이 발열하게 되어 체감 의복(100)의 착용자는 영상 속의 화재 장면을 보다 현실감있게 체감할 수 있다.
냉각 유닛(210)은, 본 도면에서 발열 유닛(210)과 중복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통신 유닛(150)이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냉각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발열 유닛(210)과 반대되는 기능을 가지지만, 발열 유닛(210)과 동일한 구조인 냉매 탱크에서 냉매를 공급받는 순환 호스가 내피(110)를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유닛(210)의 순환 호스 및 온수 탱크는 냉각 유닛(21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매를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가 냉매 탱크에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발열 유닛(210) 및 냉각 유닛(210)은 너무 높거나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온도 알람 장치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송풍 유닛(230)은, 통신 유닛(150)에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풍 유닛(230)은 선풍기와 같은 프로펠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압력 방식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는 공압 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압 장치로 형성될 경우,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할 수 있는 공압 탱크가 체감 의복(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비행 영상 정보와 같은 바람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송풍 유닛(230)을 동작하여 착용자의 신체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해당 영상의 현실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체감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생성되는 바람이 착용자의 안면부위로 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송풍 유닛(2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송풍 유닛(230)이 내피(110)를 따라 배치되어 다방향에서 착용자의 신체방향으로 바람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 유닛(230)은 외부 송풍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내피(110)를 따라 송풍홀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송풍 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각각의 송풍홀로 공기가 주입되어 착용자의 신체방향으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다.
분사 유닛(250)은, 통신 유닛(150)에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분사되는 액체 또는 기체는 특정 향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고,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용액 저장 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되는 액체 또는 기체가 착용자에게 인지되기 위해서는 체감 의복(100)외 수용되지 않은 착용자의 신체, 즉 착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분사되어야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므로, 분사 유닛(250)은 착용자의 안면부를 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내피(110) 또는 외피(1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사 유닛(250)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스피커(27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되는 음향은 착용자의 귀에 전달됨으로써 착용자의 귀와 가까운 내피(110) 또는 외피(1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라부(131)에서 착용자의 귀와 근접하는 영역에 각각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카라부(131)에 복수로, 즉 대칭적으로 스피커(270)가 배치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멀티미디어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해당 스피커(2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므로 마치 멀티미디어 속의 상황이나 음향이 귓가에서 전달되는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280)는, 체감 의복(100)에 설치되어 전기 공급을 필요로하는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피(11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80)는 충전식 배터리 및 외부 전원장치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자기 공명 방식, 전자기파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의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90)는, 체감 의복(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체감 유닛(170)의 동작 정보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9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90)를 통해 체감 유닛(170), 통신 유닛(150), 및 구동부(330) 등의 체감 의복(100) 전체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기설정된 다양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표시되는 정보들을 착용자가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 체감 의복(100)의 팔 부위에 대응되는 외피(1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체감 의복(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29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90)와 사용자 입력부(310)가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체감 의복(100)의 팔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 착용자는 해당 터치 스크린을 통해 체감 의복(1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거,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다양한 모드로 체감 의복(1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감 유닛(170)을 구동하여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감 유닛(170)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350)는, 체감 의복(100)에 포함되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31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해 체감 의복(100)의 강도 조절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따라 구동부(330)의 구동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체감 유닛(170)의 충격운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부(310)의 입력 신호를 통해 구동부(33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됨으로써 체감 의복(10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상태(나이, 성별, 건강 등)에 따라 적합한 세기의 충격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개별적인 이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50)는, 상술한 통신 유닛(150), 전원 공급부(280), 사용자 입력부(310), 디스플레이부(290) 등과 각각 또는 전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체감 의복(100)의 내피(110)와 외피(130) 사이의 공간부, 또는 내피(110)나 외피(130)에 추가되는 포켓부 등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1에서는 체감 유닛(170)이 상의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하의, 신발, 모자 등과 같이 착용자에게 착용 가능한 의복 전체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은, 체감 의복(100)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체감 유닛(17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감 유닛(170)은 내피(110)와 외피(130)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신체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하우징 관통홀(171a)이 형성되는 하우징(171) 및 상기 하우징(171)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 관통홀(171a)을 따라 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충격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71)은, 내피(110)에 형성되는 내피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우징 관통홀(171a)이 형성되고, 하우징 관통홀(171a)을 따라 충격부(173)가 내피(110) 외부로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내피(110)와 접촉하는 착용자의 신체부위를 충격부(173)로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71)은 충격부(173)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충격부(173)가 수용되고, 충격운동 요청 신호의 발생 시 하우징(171)의 하우징 관통홀(171a) 및 내피(110)의 내피 관통홀(11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내피(110)의 외부로 출입하는 충격운동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충격부(173)가 충격운동하기 위해서는 구동부(330)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동부(330)는 충격부(173)의 후면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71)의 일측과 연결되어 충격부(173)를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내피(110)에 내피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내피(110)에 내피 관통홀(111)이 형성되지 않고 충격부(173)가 내피(110)를 타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내피(11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정 부분의 여유 공간을 가질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30)는 충격부(173)를 운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모터 회전 방식 및 피스톤 공압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세기 조절 수단이 구동부(330), 충격부(173), 및 하우징(171) 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추가되어 충격부(173)의 세기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충격부(173)가 내피(110)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고, 또는 충격부(173)의 운동 속도를 제어하여 충격운동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충격부(173)는 착용자의 신체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방향을 향하는 일측의 모서리가 완만한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충격운동 시, 착용자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체적으로 충격부(173)가 내구성 등의 이유로 인해 금속재 또는 수지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와의 접촉 시, 딱딱한 이물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자의 신체방향을 향하는 충격부(173)의 일측에는 착탈 가능한 탄성부재(17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3a)는 골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충격부(173)에 탄성부재(173a)가 구비된 상태에서 충격운동이 실행되면, 상기 탄성부재(173a)의 쿠션감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탄성감을 가짐과 동시에 충격부(173)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73a)의 형상은 제 1, 2 관통홀을 통과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고 교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탄성부재(173a)의 교체에 따라 착용자는 서로 다른 타격효과를 체감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감 유닛(170)은 대게 착용자가 의자와 같은 고정체에 앉아서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를 감상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와 고정체 간에 중력 또는 체중에 의한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을 하우징(171)이 견디질 못할 경우, 하우징(171)의 형태가 변형되어 그 내부의 충격부(173)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71)은 상기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격부(173)는 충격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제 1 하우징(171) 내부에 충격부(173) 전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평상 시에 체감 의복(100)의 착용 시 돌출감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체감 유닛(170)은 내피(110)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내피(110) 전체에 배치되며, 동시/개별 충격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충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의 체감 유닛(170)은 구동부(330)에 의해 왕복방식의 충격운동이 이루어짐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착용자의 신체에 충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충격운동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감 유닛(170)은 착용자의 신체방향을 향하는 내피(110)의 일면을 따라 부착되어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진동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충격부(175)를 포함할수 있다.
도 2에서의 체감 유닛(170)은 내피(110)와 외부 내부에 수용되어 구동부(330)에 의해 내피(110) 외부로 왕복방식의 충격운동을 하는 반면, 도 3의 체감 유닛(170)은 내피(110)의 외면, 즉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내피(110)면에 제 2 충격부(175)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충격부(175)는 내피(110)면에 수용부(175a)가 부착되고 그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는, 제 2 충격부(175)가 진동해야하기 때문에 잦은 진동 시, 내피(110)와의 접촉력이 약하되어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내피(110)에 수용부(175a)가 부착되고 그 내부에 제 2 충격부(175)가 수용되어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자의 신체방향을 향하는 수용부(175a)의 일측이 개구부로 형성되고 제 2 충격부(175)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충격부(175)의 진동이 착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체감 유닛(170)과 마찬가지로, 제 2 충격부(175)는 내피(110)와 외파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3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력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구동부(330)의 구동 방식은 상술한 도 2 체감 유닛(170)의 구동부(330)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2 충격부(175)가 진동할 수 있음에 따라, 도 2에서의 충격부(173)와 제 2 충격부(175)가 체감 의복(100)에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충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체감 유닛(170)의 충격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3을 통해 체감 유닛(170)의 하우징(171)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체감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감 유닛(170)이 복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체감 유닛(170)은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하우징 구획부(17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피(110) 및 외피(130) 사이에서 각각의 공간이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내피 구획부가 형성됨으로써, 내피 구획부에는 구획된 체감 유닛(17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체감 유닛(170)은 하우징(171)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하우징(171)은 근접하는 하우징(171)과 탄성 연결부(171c)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 연결부(171c)로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체감 유닛(170)은 탄성 연결부(171c)가 허용하는 일정 치 내에서 연결부위가 자연스럽게 변화할 수 있어, 체감 의복(10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구획되는 각각의 내피(110) 및 외피(130)는 내피(110)의 일면을 따라 내부 공간을 출입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특정 체감 유닛(17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위의 내피(110)를 개폐하여 이상이 발생한 체감 유닛(17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체감 유닛(170), 즉 하우징(171)들이 탄성 연결부(171c)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분리 될 수 있는 착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171)과 연결되는 구동부(330) 역시도 하우징(171)과 착탈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체감 유닛(17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도 5를 통해 분사 유닛(2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감 의복에 설치되는 분사 유닛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250)은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 유닛(250)은, 분사 하우징(251)과 상기 분사 하우징(251)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어 분리되며 서로 다른 향의 액체 또는 기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 탱크(253), 및 상기 복수의 분사 탱크(253)와 각각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구(25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하우징(251)은 체감 의복(100)의 내피(110) 또는 외피(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분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사구(255)가 착용자의 안면을 향하도록 분사 하우징(251)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탱크(253)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 또는 기체를 각각 보유할 수 있도록 서로 격리되어 있으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사 하우징(251)의 분리 시, 각각 착탈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체를 기체로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수단이 각각의 분사 탱크(253)와 연결될 수 있도 있다. 각각의 분사 탱크(253)는 복수의 호스를 통해 분사구(255)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구(255)는 공압 또는 모터 구동 방식의 분사 선택 수단(257)에 의해 분사 탱크(253)의 수용물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 선택 수단(257)은, 복수의 분사 탱크(253)와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 입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분사 탱크(253)를 선택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액체를 분사구(255)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정보에 참조하여 그 정보에 대응되는 향을 함유한 액체 또는 기체를 선택적으로 착용자의 안면부를 향해 분사할 수 있으므로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멀티미디어의 현실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사 탱크(253)는 교체 가능한 구조 구성되어,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액체와 기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은 체감 의복(100)의 분사 유닛(25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체감 의복(100)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 수신 여부(S11) 및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한 자체 충격 정보의 수신 여부(S12)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멀티미디어에 관한 영상정보 및 음향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체감 의복(100)의 통신 유닛(150)에 수신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자체 충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대응되는 체감 유닛(170), 발열 유닛(210), 냉각 유닛(210), 스피커(270), 분사 유닛(250), 및 송풍 유닛(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S13). 이렇게 구동되는 장치들의 동작 상태 및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90)에 출력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S14). 특히, 체감 유닛(170)의 구동 세기에 대한 강도 조절 정보가 사용자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되는 경우(S15), 체감 유닛(170)의 강도를 재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다(S16).
여기서, 강도 조절 정보는 체감 유닛(170)뿐 아니라, 발열 유닛(210), 냉각 유닛(210), 스피커(270), 분사 유닛(250), 및 송풍 유닛(230)의 강도를 조절 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50)는 각각의 장치들에 대한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정에 따라, 체감 의복(100)을 통해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체감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멀티미디어를 현실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체감 장치들을 자체적으로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신체 타격 효과 및 발열, 냉각, 송풍, 분사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설명한 각 장치들의 동작순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것이며, 상황 및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재설정 및 변환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은,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마직막으로 도 7a 내지 7c를 통해 체감 의복(100)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감 의복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감 의복(100)은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액션 게임과 같은 타격 현상이 발생하는 게임이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체감 의복(100)은 착용자의 케릭터(C)와 연계하여 해당 케릭터가 타 케릭터에 의해 타격을 받는 경우, 해당 타격에 대응하는 체감 유닛(170)이 충격운동을 할 수 있어, 게임 상의 가상현실을 신체를 통해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몰입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는, 영화관의 스크린이나 집안의 텔레비전, 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에서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멀티미디어가 상영되는 경우, 해당 영상 정보나 음향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유·무선으로 전송되어 착용자의 체감 의복(100)에 전달되어, 해당 멀티미디어 상의 환경에 따라 체감 유닛(170), 발열 유닛(210), 냉각 유닛(210), 송풍 유닛(230), 분사 유닛(250), 및 스피커(270) 등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데, 영화관에서 공포영화가 상영되고 있고, 귀신이 영화속 주인공의 어깨를 뒤에서 슬며시 잡는 장면이 나오는 경우, 착용자가 착용한 체감 의복(100)의 어깨 부위에 배치된 체감 유닛(170)을 천천히 구동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마치 자신이 영화속 주인공이 된 것과 같은 체감 효과를 부가하여 공포감을 배가할 수 있다. 또한, 영화속에서 상대방이 주인공 귓가에 속삭이는 장면이 상영되는 경우, 체감 의복(100)의 스피커(270)를 통해 해당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누군가가 자신의 옆에서 속삭이는 듯한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다를 항해 하는 다큐멘터리가 상영되는 경우, 배 위로 파도가 칠때 분사 유닛(250)으로 착용자의 안면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장면에서는 송풍 유닛(230)으로 바람을 생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화재 상황에서는 발열 유닛(210)을 구동하여 체감 의복(100)의 온도를 상승 시킬 수 있고, 반대로 겨울 장면에서는 냉각 유닛(210)을 구동하여 체감 의복(100)의 온도를 낮출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가상 체험이 신체적 효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체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7c에서 처럼 상기한 방법뿐만 아니라, MP3나 휴대폰같은 휴대 단말기와 체감 의복(100)을 연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악에 따라 체감 유닛(170)이 구동되도록 할 수 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사지와 같은 신체 충격이 필요할 경우, 마사지 메뉴 선택 또는 체감 유닛(170)의 동작을 스스로 설정하여 구동할 수 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환경과 조건을 통해 체감 의복(100)의 이용성을 극대화 될 수 있으며, 특히 생활과 밀접한 멀티미디어와의 조합은 3D 시장에 머물고 있는 전자산업의 성장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체감 의복(100)은 의복의 특성상 패션 및 트랜드와 연계될 가능성이 높아, 한 사람이 하나의 의복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트랜드, 계절 등에 따라 여러벌의 체감 의복(100)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충분히 조성될 수 있기에 사업적으로도 큰 비전이 예상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체감 의복 210: 발열 유닛, 냉각 유닛
110: 내피 230: 송풍 유닛
111: 내피 관통홀 250: 분사 유닛
130: 외피 251: 분사 하우징
131: 카라부 253: 분사 탱크
150: 통신 유닛 255: 분사구
170: 체감 유닛 257: 분사 선택 수단
171: 하우징 270: 스피커
171a: 하우징 관통홀 280: 전원 공급부
171b: 하우징 구획부 290: 디스플레이부
171c: 탄성 연결부 310: 사용자 입력부
173: 충격부 330: 구동부
173a: 탄성부재 350: 제어부
175: 제 2 충격부

Claims (16)

  1. 외피;
    내피;
    외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 유닛;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를 향하는 일면에 하우징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상기 내피 방향으로 이동되는 충격부를 구비하는 체감 유닛;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충격부를 상기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타격하도록 상기 체감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복수의 내피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부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일단에 착탈 가능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체감 의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내피 관통홀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복수의 내피 구획부로 각각 구획되며, 상기 체감 유닛은 상기 복수의 내피 구획부에 각각 배치되는, 체감 의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충격부가 각각 구분되도록 복수의 하우징 구획부로 형성되는, 체감 의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하우징 구획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획부와 구획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발열되도록 형성되는 발열 유닛;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냉매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하는, 체감 의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하는, 체감 의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체감 의복.
  9.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내피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체감 의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감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착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체감 의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세기 조절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체감 유닛의 충격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체감 의복.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감 유닛의 동작 정보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체감 의복.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액체 및 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체감 의복.
  14.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체감 의복의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강도 조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도 조절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충격부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체감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체감 의복의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참조하여, 내피와 외부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위치하는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상기 내피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관통홀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용자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자체 충격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 충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체감 유닛의 충격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50009668A 2015-01-21 2015-01-21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55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68A KR101558837B1 (ko) 2015-01-21 2015-01-21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68A KR101558837B1 (ko) 2015-01-21 2015-01-21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602A Division KR20130109074A (ko) 2013-09-02 2013-09-02 체감 의복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체감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186A KR20150027186A (ko) 2015-03-11
KR101558837B1 true KR101558837B1 (ko) 2015-10-12

Family

ID=5302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68A KR101558837B1 (ko) 2015-01-21 2015-01-21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8022B2 (en) 2017-11-07 2022-10-25 Dotbliss Llc Electronic garment with haptic feedb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056A (ja) 2007-12-21 2009-07-09 Yamaha Corp ワイヤレススピーカ装置
KR100984504B1 (ko) 2010-06-23 2010-09-30 (주)한동알앤씨 냉각팬이 부착된 시원한 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056A (ja) 2007-12-21 2009-07-09 Yamaha Corp ワイヤレススピーカ装置
KR100984504B1 (ko) 2010-06-23 2010-09-30 (주)한동알앤씨 냉각팬이 부착된 시원한 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8022B2 (en) 2017-11-07 2022-10-25 Dotbliss Llc Electronic garment with haptic feedback
US11700891B2 (en) 2017-11-07 2023-07-18 Dotbliss Llc Electronic garment with haptic feedback
US11986027B2 (en) 2017-11-07 2024-05-21 Dotbliss Llc Electronic garment with haptic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18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91636A1 (en) Generating and providing immersive experiences to users isolated from external stimuli
CN104914578B (zh) 夹持型显示模块和具有该夹持型显示模块的眼镜型终端
JP6298561B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
US11369203B2 (en) Chair assemblies, systems, and apparatuses having integrated technologies, and related methods
CN106997238A (zh) 用于修改触觉效果以补偿音频‑触觉干扰的可编程触觉装置和方法
CN108700741B (zh) 头戴设备及具有该头戴设备的视频眼镜
CN104808341A (zh) 一种头戴式虚拟现实设备
TWI530860B (zh) 用以擴增實境及虛擬實境之目鏡系統及使用該系統之方法
US11135507B2 (en) Head-mountable apparatus and systems
JP2020526065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114253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out-of-body experience
KR102424787B1 (ko) 가상, 증강 및 혼합 현실 환경 속 인공 바람 및 온도와 공기 저항 전달 방법
KR101558837B1 (ko) 체감 의복 및 체감 의복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 방법
JP201820067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
KR20130109074A (ko) 체감 의복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체감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CN206074914U (zh) 可移动式虚拟现实成像眼镜
KR101922677B1 (ko) 체험장치
CN208493205U (zh) 一种体感衣
CN221149049U (zh) 一种单人穿戴vr设备
KR102676456B1 (ko) 터치 자극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KR102423905B1 (ko) Hmd 환경의 골전도 청각 전달 방법
KR102620345B1 (ko) 실감형 영상 체험 장치
KR102385835B1 (ko) 오감 소프트웨어 전달 방법
CN214808380U (zh) 一种新型沉浸式体验减压舱
CN217309648U (zh) 振动装置和抱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