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40B1 -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40B1
KR102620340B1 KR1020210182636A KR20210182636A KR102620340B1 KR 102620340 B1 KR102620340 B1 KR 102620340B1 KR 1020210182636 A KR1020210182636 A KR 1020210182636A KR 20210182636 A KR20210182636 A KR 20210182636A KR 102620340 B1 KR102620340 B1 KR 10262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airbag
frame
coupled
s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758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와,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프레임부와, 부두에 설치되고 승강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승강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와, 승강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에어백 및 부두에 설치되고 에어백을 연결하여 에어백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SAFE DOCKING APPARATUS FOR MARINE ACCIDENT PREVENTION OF SHIPS}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해 부두 안벽에 설치된 펜더의 하부에 소형 선박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고로 작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 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 설비를 통해 제철소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이 접안되는 부두에는 항만시설 중에 하나인 펜더(fender)가 고정 설치된다. 선박이 부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선박과 부두의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는 복수의 펜더가 위치하여 선박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7586호(2010.09.13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 접안 시스템, 선박 접안 장치 및 선박 접안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형 선박의 부두 접안시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부두 안벽에 설치된 펜더의 하부에 선박이 끼이면서 발생하는 선박 파손 및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로서,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프레임부, 상기 부두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 상기 승강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에어백 및 상기 부두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을 연결하여 상기 에어백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부두 안벽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면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이격하여 맞대응하고, 상기 부두 안벽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면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면에 레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주행하는 이동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고정프레임부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 일면을 따라 구름회전되는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 타면을 따라 구름회전되는 제2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에어백이 인입되는 중앙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 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중앙 개구부 내측에 위치하는 팽창부 및 상기 결합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팽창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체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프레서는 상기 에어백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이 장착되고,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프레임부의 구성을 통해 부두에 접안된 소형 선박이 조수 간만의 차이로 낮아진 해수면에 의해 펜더 하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해 소형 선박을 펜더 하부에서 탈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는 고정프레임부(100), 승강프레임부(200), 전동윈치(300), 에어백(400), 컴프레서(500) 및 이동롤러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두(W)에는 선박(S)의 접안 및 계류시 충격을 완화하고, 선박(S)의 파손 및 안전한 접안을 위해 부두(W)의 안벽(Q)에는 방현재인 펜더(F)가 설치된다. 펜더(F)는 부두(W)의 안벽(Q)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하여 설치된다.
고정프레임부(100)는 펜더(F) 사이에 위치하며, 부두(W)의 안벽(Q)에 설치된다. 고정프레임부(100)는 외부 충격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부(100)는 바닷물이나 해풍에 의해 녹이 슬지 않도록 내부식성 페인트를 도포하여 표면을 코팅 처리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부(100)는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110)은 부두(W) 안벽(Q)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1 고정프레임(110)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부두(W)의 안벽(Q)에 고정된다. 제1 고정프레임(110)의 외측면에는 제1 고정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11)이 형성된다.
레일홈(111)은 제1 고정프레임(11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프레임(110)은 H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고정프레임(120)은 제1 고정프레임(110)과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2 고정프레임(120)은 제1 고정프레임(110)과 이격하여 상호 맞대응한다. 제2 고정프레임(120)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부두(W) 안벽(Q)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2 고정프레임(120)의 외측면에는 제2 고정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21)이 형성된다.
레일홈(121)은 제2 고정프레임(12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프레임(120)은 H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두(W)의 안벽(Q)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제1 고정프레임(110)의 좌측 외측면과 제2 고정프레임(120)의 우측 외측면은 서로 마주하게 된다.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승강프레임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결합되어 고정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된다. 승강프레임부(200)는 편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프레임부(200)는 외부 충격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프레임부(200)는 바닷물이나 해풍에 의해 녹이 슬지 않도록 내부식성 페인트를 도포하여 표면을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부(200)는 프레임 몸체부(210)와 결합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몸체부(210)는 중앙부위가 전후로 개방된 중앙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몸체부(210)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211)에 에어백(400)이 인입된다.
결합홀부(220)는 프레임 몸체부(210)와 에어백(400)의 테두리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프레임 몸체부(210)의 좌우측 양쪽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다. 결합홀부(220)는 프레임 몸체부(210)의 테두리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결합홀부(220)는 프레임 몸체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동윈치(300)는 부두(W)의 바닥에 설치된다. 전동윈치(300)는 승강프레임부(200)를 연결하여 승강프레임부(200)를 승강시킨다. 전동윈치(300)는 드럼(310), 모터(320), 체인(330) 및 후크 고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속이 빈 중공의 드럼(310)에 체인(330)이 권취되고 체인(330)의 단부에는 후크 고리(340)가 결합된다. 모터(320)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드럼(310)은 모터(320)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면서 체인(330)을 권출하거나 권취한다.
이때, 승강프레임부(200)의 프레임 몸체부(210) 상단 테두리에는 전동윈치(300)의 후크 고리(340)가 걸리는 걸림부재(212)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에어백(400)은 승강프레임부(200)에 장착되며, 공기가 내부에 주입되면 팽창되도록 탄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백(400)은 팽창부(410) 및 체결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팽창부(410)는 공기가 내부에 주입되면 팽창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부(200)의 프레임 몸체부(210)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211)의 내측에 위치한다. 팽창부(410)의 외측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주입구(4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홀부(420)는 프레임 몸체부(210)의 테두리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팽창부(41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때, 팽창부(410)의 외측 테두리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열융착 성형된다. 체결홀부(420)는 프레임 몸체부(210)에 형성된 결합홀부(220)에 대응하도록 팽창부(410)의 좌우측 양쪽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홀부(420)는 팽창부(410)의 외측 테두리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체결홀부(420)는 팽창부(4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몸체부(210)의 테두리와 팽창부(410)의 외측 테두리는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B)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컴프레서(500)는 에어백(400)을 연결하여 에어백(40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부두(W)의 바닥에 설치된다.
컴프레서(500)는 전동모터(501), 챔버(502), 호스(503) 및 압력게이지(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동모터(501)의 구동에 의해 챔버(502)에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챔버(502)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전동윈치(300)의 드럼(310)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310)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팽창부(410)의 주입구(411)에 타단이 연결되는 호스(503)를 통해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에어백(400)이 팽창한다.
이때, 호스(503)는 전동윈치(300)의 드럼(310)에 권취될 수 있다. 컴프레서(500)에 구비된 압력게이지(510)를 통해 에어백(400)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에어백(400)이 지나치게 팽창하면서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롤러부(600)는 승강프레임부(2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고정프레임부(100)의 외측면에 레일 결합되어 고정프레임부(10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주행한다. 부연하면, 한 쌍의 이동롤러부(600)는 프레임 몸체부의 좌우 양쪽 외측면에 각각 볼트결합되고,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된 레일홈(111, 121)에 레일 결합된다.
이동롤러부(600)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동롤러부(600)는 연결프레임(610), 제1 이동롤러(620) 및 제2 이동롤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610)은 'ㄷ'자 모양의 절곡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이 수직으로 통과하는 공간부(611)가 형성된다.
제1 이동롤러(620)는 연결프레임(610)의 일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고,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된 레일홈(111, 121)을 따라 구름회전된다.
제2 이동롤러(630)는 연결프레임(610)의 타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고, 제1 고정프레임(110)과 제2 고정프레임(120)의 외측 타면에 형성된 레일홈(111, 121)을 따라 구름회전된다.
상술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형 선박(S))이 부두(W)에 접안된 상태에서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출렁이는 파도에 따라 상하로 출렁이는 소형 선박(S)은 부두(W)의 안벽(Q)에 설치된 펜더(F)의 하부에 끼이게 된다.
이때, 전동윈치(300)의 모터(320)가 작동되어 드럼(310)이 일방향 회전되면, 드럼(310)에 권취된 체인(330)이 권출된다. 체인(330)에 연결되고 이동롤러부(600)를 통해 고정프레임부(100)에 레일 결합된 승강프레임부(200)는 소형 선박(S)이 위치한 펜더(F)의 하부측 까지 하강하게 된다.
승강프레임부(200)에 장착된 에어백(400)이 부두(W)의 안벽(Q)과 소형 선박(S) 사이에 위치하면, 컴프레서(500)가 작동되고 호스(503)를 통해 압축공기가 에어백(400) 내부로 주입되면서 에어백(400)이 팽창된다.
에어백(400)의 팽창 가압에 의해 소형 선박(S)이 부두(W)의 안벽(Q)에서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펜더(F)의 하부에서 소형 선박(S)은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는, 압축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400)이 장착되고, 부두(W)의 안벽(Q)에 설치된 고정프레임부(10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프레임부(200)의 구성을 통해 부두(W)에 접안된 소형 선박(S)이 조수 간만의 차이로 낮아진 해수면에 의해 펜더(F) 하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팽창되는 에어백(400)의 가압에 의해 소형 선박(S)을 펜더(F) 하부에서 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프레임부 101: 이탈방지부재
110: 제1 고정프레임 111, 121: 레일홈
120: 제2 고정프레임 200: 승강프레임부
210: 프레임 몸체부 211: 중앙 개구부
220: 결합홀부 300: 전동윈치
400: 에어백 410: 팽창부
420: 체결홀부 500: 컴프레서
510: 압력게이지 600: 이동롤러부
610: 연결프레임 611: 공간부
620: 제1 이동롤러 630: 제2 이동롤러

Claims (8)

  1.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프레임부;
    상기 부두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상기 승강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
    상기 승강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에어백;
    상기 부두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을 연결하여 상기 에어백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컴프레서; 및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면에 레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주행하는 이동롤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윈치는,
    중공의 드럼;
    상기 드럼에 권취되는 체인;
    상기 체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부와 연결되는 후크 고리; 및
    상기 드럼이 축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컴프레서는,
    상기 에어백에 주입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챔버;
    상기 드럼의 외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는 호스; 및
    상기 에어백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 저장되는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호스는 상기 드럼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부두 안벽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면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이격하여 맞대응하고, 상기 부두 안벽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면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고정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고정프레임부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 일면을 따라 구름회전되는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측 타면을 따라 구름회전되는 제2 이동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에어백이 인입되는 중앙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 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결합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중앙 개구부 내측에 위치하는 팽창부; 및
    상기 결합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팽창부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체결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KR1020210182636A 2021-12-20 2021-12-20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KR10262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36A KR102620340B1 (ko) 2021-12-20 2021-12-20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36A KR102620340B1 (ko) 2021-12-20 2021-12-20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58A KR20230093758A (ko) 2023-06-27
KR102620340B1 true KR102620340B1 (ko) 2024-01-02

Family

ID=8694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36A KR102620340B1 (ko) 2021-12-20 2021-12-20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782A (ja) * 2008-03-27 2009-10-15 Taisei Corp 防舷材及び防舷材の補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48A (ja) * 1995-07-03 1997-01-14 Masaki Yamamoto 岸壁用干満型浮力式防舷材
KR20190130320A (ko) * 2018-05-14 2019-1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접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782A (ja) * 2008-03-27 2009-10-15 Taisei Corp 防舷材及び防舷材の補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58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4794A (en) Vacuum actuated ship mooring devices
US4683832A (en) Device and method to set and salvage structures
US6010295A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CN107985525A (zh) 一种带有气垫提升船体浮力的防撞装置
CN111017131A (zh) 船用靠球系统
US3449917A (en) Portable boat dock fenders
CN109795643A (zh) 一种lng加注船的气囊释放与回收装置和方法
KR102620340B1 (ko) 선박의 해양 사고 방지용 안전 접안 장치
CN100374351C (zh) 一种货物支撑装置
CN216809771U (zh) 一种装配式海上靠船装置
KR102280114B1 (ko) 선박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 및 픽업 방법
KR101086057B1 (ko)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
KR200458035Y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용 팬더
CN110205987B (zh) 柔性停船栏
CN211810127U (zh) 过闸船用靠球
JP3754985B2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US8047150B2 (en) Swingable spacing dock
CN105857544A (zh) 气囊式船舶的防翻船装置
CN211543828U (zh) 提高船闸通航能力的装置
CN217601355U (zh) 码头护舷改良装置
JPH0674621U (ja) フェンダー
CN217496471U (zh) 一种用于滚装船跳板搭接的主被动适配装置
CN107985522A (zh) 一种提升船体浮力的防撞装置
KR102610702B1 (ko) 선박 수리선
CN215105095U (zh) 一种防碰撞的船用靠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