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33B1 -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33B1
KR102620333B1 KR1020230079115A KR20230079115A KR102620333B1 KR 102620333 B1 KR102620333 B1 KR 102620333B1 KR 1020230079115 A KR1020230079115 A KR 1020230079115A KR 20230079115 A KR20230079115 A KR 20230079115A KR 102620333 B1 KR102620333 B1 KR 10262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data
content
viewing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김정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밀
Priority to KR102023007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숲/공원이나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 운용할 때 컨텐츠와 디바이스의 안정적인 관리와 시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관람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Media Art Content by using Viewin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미디어아트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실감 콘텐츠 기술에 대한 시장 관심 고조되고 있으며 지속으로 성장 중이다. 국내 실감형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은 2019년 약 2조 8,000억 원에서 연평균 51%의 평균 증가율로 2025년 약 33조 1,91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실감형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은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락다운으로 인한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전년 대비 73.1% 고성장한 273억 9,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 뉴노멀 정착, XR 기술 발전 및 확산, 글로벌 IT 기업들의 HW 출시 및 투자 확대 등으로 2025년까지 연평균 35.2%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1,237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광 시설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방안으로 대규모 공간 기반 미디어 아트 콘텐츠 도입이 활발하다. 몰입형 공간 다중 투사 환경 기반의 체험형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수요 증가하고 있다. 엔데믹 상황에서 소비자의 새로운 유형의 여가,문화 소비 아이템의 다양화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Moment Factory, TeamLab, 빛의 벙커, 디스트릭트의 아르떼 뮤지엄(강릉, 여수, 제주) 등 국내외적으로 대형 몰입형 공간 체험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유사한 콘텐츠를 구축하고자 하는 수요 증가하고 있다.
미디어아트 콘텐츠 운용을 위한 대표적인 콘텐츠 운용 소프트웨어로서 Watchout, Disguise, Medialon Manager, Alcorn McBride Show Control 등이 있으며, 신속하고 직관적인 Task 관리, 다양한 콘텐츠 및 무대장치, 무대조명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하드웨어 시스템이나 운영체제에 의존적이며 원격 관리 기능이 제한적이다.
국내 사례로는 ㈜카이의 ‘KaiCast’ 가 있으며, 웹을 통한 콘텐츠의 스케줄링 등 원격 관리가 가능하지만, 미디어아트 콘텐츠 구현을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관리 기능은 미비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규모 숲/공원 야외공간의 미디어아트 콘텐츠 운용에 적합한 콘텐츠 및 디바이스 관리 제어 웹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숲/공원이나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 운용할 때 컨텐츠와 디바이스의 안정적인 관리와 시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람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관람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으로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 상기 전시 공간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로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원격으로 제어하는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 상기 전시 공간 각각에 설치된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수집하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 상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상기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시물을 재랜더링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보정한 후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상기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가 제어하는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통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숲/공원이나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 운용할 때 컨텐츠와 디바이스의 안정적인 관리와 시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관람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시 공간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전시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 관람객 예측 및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와 디바이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와 디바이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 객체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의 매칭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한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은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 통합 관리 장치(140)를 포함한다.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으로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원격에서 처리 가능한 상태로 변환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으로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공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조명 데이터, 레이저 데이터, 포그 데이터, 컨텐츠 시퀀스 타임라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으로 현장 관람객과 상호작용하는 미디어파사드(media facade)를 제공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영상 투사 방식으로 미디어파사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으로 제공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에 위치한 현장 관람객의 시점에 기초하여 렌더링한 투사 영상을 미디어 아트 컨텐츠로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되는 전시 객체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서 전시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객체를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에서 촬영 객체가 촬영하는 장면이 출력되는 가상 투사면을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에 가상 투사면을 바라보는 관람 시점을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 시점에 기초하여 전시 객체를 리모델링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촬영 객체가 촬영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전시 공간(200)의 프로젝터로 전송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 시점에서 가상 투사면을 바라보았을 때 현장 관람객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기준 투사 영상에 나타나는 전시 객체와 동질감을 갖는 전시 객체가 출력되도록 전시 객체를 리모델링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현장 관람객이 제공되는 미디어파사드에 접근하거나 또는 미디어파사드 상에 위치하는 경우, 현장 관람객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파사드를 구성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킨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에 출력할 가상 모델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 내의 전시 공간(200)을 통해 관람객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전 시각화를 수행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별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시나리오 및 가상 모델에 기초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시 공간(200)에 위치한 현장 관람객의 시점에 기초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로 구현시키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전 시각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투사 영상을 획득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 내의 전시 공간(2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투사면 및 영상 투사 장치에 대한 가상 모델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사전 시각화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시나리오 진행에 따라 관람객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투사 영상이 투사되는 전시 공간(200)의 영상 투사면이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특정 질감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투사면의 질감과 대응되는 질감이 구현된 가상 투사면을 결정하여 영상 투사면의 질감과 대응되는 질감이 구현된 장면을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를 경유하여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에 설치된 전시 공간(200)의 프로젝터로 전송하도록 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에 위치하는 관람객의 위치와 대응되는 가상 공간 좌표에 관람 시점을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에 생성된 관람 시점을 전시 공간(200)에 위치하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이동시킨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에 복수의 관람객이 위치하는 경우, 군집된 관람객에 대해서 산출된 평균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관람 시점을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과 대응되도록 좌표계가 구성된 별도의 가상 공간에 가상 투사면 및 관람 시점을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비축상(off-axis) 투영법을 이용해 전시 객체에 대한 위치, 형태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리모델링을 수행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렌더링이 수행된 투사 영상을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로 제공하여,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에서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각자의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시 공간(200)에 위치한 현장 관람객의 시점에 기초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로 구현시키기 위한 투사 영상을 제공받아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객에게 제공되는 미디어파사드를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특성을 나타내는 디지털 컨텐츠로서 출력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숲/공원이나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현실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되는 전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로 직접 입력되는 전시 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시 객체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전시 공간(200)에 투사되는 투사 영상을 구성하는 가상 객체로서, 특정한 사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 공간 상에 모델링되는 모든 가상 객체를 전시 객체로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암석 구조물, 구현된 날씨 및 지면 등으로 구성된 전시 객체를 나타낸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서 전시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에 투사할 투사 영상 자체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촬영 객체의 위치에 따라 특정 투사 영상을 전시 공간(200)에 투사할 것인지를 포함하는 촬영 객체를 결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에서 촬영 객체가 촬영하는 장면이 출력되는 가상 투사면을 결정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투사면에 대한 전시 공간(200)에 위치한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왜곡되어 보일 수 있는 투사 영상의 왜곡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전시 객체를 리모델링하여 왜곡을 보정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투사면에 대하 전시 공간(200)과 대응되도록 좌표계가 구성된 별도의 가상 공간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투사면에 대한 질감을 구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투사 영상이 투사되는 전시 공간(200)의 영상 투사면은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특정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질감을 가상 공간 상에서 적용하여 투사 영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투사면의 질감을 거친 질감으로 구현하여 적용한 상태에서, 촬영 객체가 모래 또는 자갈로 구성된 지면을 포함하는 전시 객체를 촬영하게 되면, 실감있는 투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에 가상 투사면을 바라보는 관람 시점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 시점에 대해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서 가상 투사면을 바라보았을 경우 전시되어야 하는 투사 영상 대비 어떠한 왜곡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에 위치하는 관람객의 위치와 대응되는 가상 공간 좌표에 관람 시점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가상 공간 상에 생성된 관람 시점을 전시 공간(200)에 위치하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이동시킨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객이 전시 공간(200) 내에서 이동하여도 이동 위치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보정된 투사 영상을 전시 공간(2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공간(200)에 복수의 관람객이 위치하는 경우, 군집된 관람객에 대해서 산출된 평균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관람 시점을 생성할 수 있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동일한 전시 공간(200)에 여러 관람객이 각각의 위치에서 투사 영상을 관람하게 되는 경우, 군집된 관람객에 대한 평균 위치를 산출하여 관람 시점을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설정된 관람 시점에 기초하여 전시 객체를 리모델링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객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기준 투사 영상을 획득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관람 시점에서 가상 투사면을 바라보았을 때 기준 투사 영상에 나타나는 전시 객체와 동질감을 갖는 전시 객체가 출력되도록 전시 객체를 리모델링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기준 투사 영상에 나타나는 전시 객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관람 시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투사면에서의 왜곡이 확인되는 전시 객체에 대한 리모델링을 수행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객체의 명암, 색상, 위치 및 형태 정보를 포함한 전시 객체 정보를 생성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비축상(off-axis) 투영법을 이용해 전시 객체에 대한 위치, 형태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리모델링을 수행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투사 영상의 원근감을 보정하여 관람객의 투사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제거한다.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는 전시 객체 리모델링이 수행된 후, 촬영 객체가 촬영하는 장면 또는 가상 투사면에는 왜곡된 전시 객체가 나타나게 되며, 관람 시점에 따라 왜곡된 전시 객체를 포함하는 투사 영상이 전시 공간(200)에 제공되어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프로젝터, 오디오, 조명 등)로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원격으로 제어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특성을 갖는 디지털 컨텐츠를 현장 관람객에게 제공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렌더링이 수행된 투사 영상을 출력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로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숲, 공원, 자연이 인접한 전시 공간(200)에 설치된 프로젝터, 오디오 인터페이스, 조명제어콘솔, 컨텐츠 관련 센서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제어하여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한다.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는 가상 모델로서 생성된 영상 투사면 및 영상 투사 장치를 이용해 프로젝션 맵핑을 수행 가능하고, 프로젝션 맵핑 수행 과정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컨텐츠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수집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각각에 설치된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300), IoT 티켓,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수집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전시 공간(200)이 실내인 경우, 실내에 설치된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300)와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Tag), IoT 티켓 간에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전시 공간(200)이 실외인 경우, 실외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 IoT 티켓 간에 GPS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생성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전시 공간(200)을 복수의 구역(티켓 발급 구역(210),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티켓 회수 구역(230))을 구분한다. 티켓 발급 구역(210) 내에서 관람객에게 IoT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티켓 회수 구역(230) 내에서 관람객에게 발급한 IoT 티켓을 회수할 수 있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티켓 발급 구역(210)을 거쳐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으로 진입한 관람객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관람객을 관람객 입장 데이터로 생성한다.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는 복수의 구역 중 티켓 발급 구역(210)부터 티켓 회수 구역(230)까지 관람객의 움직임을 누적 저장하여 동선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 하드웨어, 관람객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와 하드웨어의 원격 관리 및 제어로 안정적인 컨텐츠 관리 및 시연 환경을 제공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관리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물을 재랜더링하여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보정한 후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프로젝터로 전송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상에 존재하는 전시물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전시물을 재랜더링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 공간(200) 내의 관람객이 지나가는 동선 방향으로 전시물을 재랜더링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시물의 동선 방향 투사면을 결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를 제어하여 전시물의 동선 방향 투사면으로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투사 영상 형태로 출력되도록 조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110)를 제어하여 전시 공간(200) 내에 설치된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된 전시 객체를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내는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시 공간(200) 내에 전시된 복수의 전시물별로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별로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기반으로 전시물로 출력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별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을 복수의 구역인 티켓 발급 구역(210),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티켓 회수 구역(230)으로 구분한 후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중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해당 전시물에 대한 몰입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게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중 관람객이 가장 먼저 방문하는 전시물에 대한 몰입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게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을 복수의 구역인 티켓 발급 구역(210),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티켓 회수 구역(230)으로 구분한 후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마다 존재하는 관람객 수를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수를 해당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으로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별 인구 밀도를 산출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기 설정된 기준값과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별 인구 밀도를 비교하여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별 혼잡도를 결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시 공간(200) 내에 전시된 복수의 전시물별로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확인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별로 기 할당된 영역에 존재하는 인원이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을 복수의 구역인 티켓 발급 구역(210),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티켓 회수 구역(230)으로 구분한 후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별 혼잡도를 확인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혼잡도가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을 선별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1차적으로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IoT 티켓,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300)로 대피 알람을 발생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2차적으로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으로 접근하는 관람객을 선별한 후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으로 접근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접근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접근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IoT 티켓,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인근에 존재하는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300)로 우회 접근 알람을 발생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렌더링 작업의 결과물인 투사 영상을 전시 공간(200)에 설치되어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프로젝터로 제공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에게 제공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복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투사 영상으로 출력되는 경우,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각각에 적합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투사 영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에 위치하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객체가 촬영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전시 공간(200)의 프로젝터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관람 시점의 생성 및 이동, 렌더링 및 촬영 장면을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프로젝터로 전송하여 전시 공간(200)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전시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120)가 제어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각각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전송한다.
추적 장치(300)는 전시 공간(200)(미디어 아트 체험 전시장) 내에 설치된다. 추적 장치(300)는 전시 공간(200) 내에서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 IoT 티켓과 UWB 통신을 수행하여 관람객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추적 장치(300)는 관람객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다양한 센서 기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다양한 센서 기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추적 장치(300)는 관람객 및 전시 컨텐츠 운영을 위해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추적 장치(300)는 전시 공간(200)에 전시된 자연환경 구조물 또는 인공 구조물에 탑재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출력되는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 공간(200)에 방문하는 관람객에게 발급되는 IoT 티켓으로부터 티켓 위치 정보 및 티켓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IoT 티켓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IoT 티켓의 전시 공간(200) 내 상호작용 기능을 활성화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시 공간(200)에 전시된 전시물로 출력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어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데이터 및 미디어 아트 컨텐츠 제어 내역을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위치 정보 및 티켓 행동 정보에 의해 만족되는 상태 전이 조건에 따라서 IoT 티켓의 상태를 전이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IoT 티켓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IoT 티켓에게 전시 공간(200) 내의 상호작용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IoT 티켓의 대기 상태, 입장 상태, 관람 상태 및 퇴장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이의 발생을 감지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대기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의 발급 기능을 활성화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으로부터 수신되는 티켓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티켓의 미디어 아트 컨텐츠에 대한 상호작용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이 티켓 회수 구역(230)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의 회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발급 구역(210) 내에서 관람객에게 발급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IoT 티켓의 티켓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을 대기 상태로 정의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발급 구역(210) 내에서 대기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의 관람객 발급 정보 및 입장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행동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을 입장 상태로 전이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물 별 관람 구역(220) 내에서 입장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의 티켓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을 관람 상태로 전이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회수 구역(230) 내에서 관람 상태로 정의된 IoT 티켓의 티켓 위치 정보 및 퇴장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을 퇴장 상태로 전이시킨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티켓 발급 구역(210) 내에서 퇴장 상태로 정의되고, 이동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IoT 티켓의 티켓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IoT 티켓을 대기 상태로 전이시킨다.
IoT 티켓은 관람객의 컨텐츠 선호도 및 상호작용 횟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실시간 측위 회로 및 관성측정 모듈을 포함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IoT 티켓의 실시간 측위 회로 및 관성측정 모듈로부터 티켓 위치 정보 및 티켓 행동 정보를 수신하여, 관람객과 미디어 아트 컨텐츠 간의 거리를 산출한 결과에 따라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어하거나 관람객의 손 동작을 감지하여 관람객이 미디어 아트 컨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 관람객 예측 및 분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관람 데이터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 서버(130)로부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관람객 동선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관람객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을 관리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관람객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람 구역별 컨텐츠 평가를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의 딥러닝 기반의 관람객 데이터 분석 모델은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관람객 동선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람객 동선 추천 및 혼잡도 예측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수집한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관람객 동선 데이터를 누적하여 딥러닝 기반 관람객 데이터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이용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측위 장치(300)를 이용하여 관람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위하며, 전시 공간(200)이 실내인 경우, UWB 기반 측위, 전시 공간(200)이 실외인 경우 GPS 기반 측위를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이 기 설정된 전시 공간(200)에 입장부터 퇴장까지의 동선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을 복수의 구역을 구분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복수의 구역별 혼잡도를 측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단위 구역 내 관람객 밀집도를 측정한 후 구역별 혼잡도 측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위험 지역 접근에 대한 알림을 발생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공간(200) 내 위험지역을 설정하여, 위험지역으로 관람객의 접근을 모니터링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와 디바이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통합 관리 장치(140)가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와 컨텐츠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와 디바이스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와 컨텐츠 재생 데이터를 매칭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500)는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510)와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510)는 디바이스의 ON/OFF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520)는 디바이스의 구동 이후 디바이스의 동작 속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속성 데이터(해상도, 키스톤, 밝기 등에 대한 데이터), 조명 속성 데이터(위치, 각도, 색상, 밝기 등에 대한 데이터), 컨텐츠 관련 센서 데이터(사람 위치 센싱 데이터 등), 구동 환경 데이터(온도, 습도 등에 대한 데이터), 현장 환경 데이터(날씨, 대기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상태 데이터(550)는 컨텐츠 재생 데이터(560)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데이터(560)는 컨텐츠의 재생/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데이터(570)는 컨텐츠의 출력 이후, 컨텐츠의 출력 속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데이터(570)는 컨텐츠 출력 위치 데이터, 컨텐츠 출력 해상도 데이터, 컨텐츠 휘도 데이터, 컨텐츠와 컨텐츠가 출력되는 대상 간의 매칭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상태와 컨텐츠 상태의 동기화를 위하여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510)와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520) 및 컨텐츠 재생 데이터(560)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570)를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시켜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우선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510)와 컨텐츠 재생 데이터(560) 간의 매칭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타입 전원 매칭(580)을 이용하여 조건 매칭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조건 매칭을 기반으로 시간을 제외한 특정 조건(예를 들어, 사람이 감지된 경우)와 같이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을 기반으로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와 컨텐츠 재생 데이터가 ON 상태 또는 OFF 상태로 동기화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2 타입 전원 매칭(590)을 이용하여 무조건 매칭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무조건 매칭을 기반으로 시간만을 고려하여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와 컨텐츠 재생 데이터가 ON 상태 또는 OFF 상태로 동기화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타입 전원 매칭(580) 및 제2 타입 전원 매칭(590)이 수행되는 경우, 디바이스의 전원이 컨텐츠의 전원보다 선행할지 여부 및 선행되는 시점을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전원 특성이 상대적으로 빠른 전원 ON/OFF가 가능할수록 디바이스 ON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력 절감 필요 여부 등을 고려하여 디바이스가 먼저 선행하여 ON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2 타입 전원 매칭(590)과 다르게 제1 타입 전원 매칭(580)에서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에 대한 반응 민감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을 컨텐츠 재생 상태 전환보다 얼마나 시간적으로 미리 빠르게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의 만족시 빠르게 반응을 해야 하는 반응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전시 환경인 경우,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시점을 기준이 되는 컨텐츠 재생 상태 전환 시점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설정하거나,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 중 일부 조건만을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으로 설정하여 디바이스만 미리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장치(140)는 반응 민감도에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바이스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ON/OFF 상태 전환시 필요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 반응 민감도, 매칭 타입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ON 상태 전환 전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 ON 상태 전환 전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간의 전환 시간 차이가 디바이스 ON/OFF 상태 전환시 필요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 반응 민감도, 매칭 타입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가 ON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시의 시간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1 타입 전원 매칭(580)에서 설정된 조건 중 일부 조건이 분할되어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으로 설정하여 디바이스만 미리 ON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은 제1 타입 전원 매칭(580)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이 한가지로 설정되어 있거나,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으로서 설정된 복수의 조건 간에 설정된 시간 차이인 조건 시간 차이가 전환 시간 차이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이 별도로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별도로 설정된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은 전환 시간 차이보다 미리 디바이스를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해당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동작되는 경우, 다른 디바이스의 ON 상태 전환시 함께 ON 상태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해당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추가적인 센싱 동작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와 디바이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통합 관리 장치(140)가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전원 데이터와 컨텐츠 재생 데이터 간의 매칭 이후에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600)는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와 간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610)는 디바이스 자체(예를 들어, 프로젝터, 조명, 디스플레이 등)의 디바이스 속성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간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620)는 디바이스가 출력되는 환경(날씨, 온도, 조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데이터(630)는 컨텐츠의 출력 속성으로서 해상도, 휘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600)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630)를 매칭하기 위해 1차적으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관련 디바이스를 결정한다(S600).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 관련 디바이스의 결정 이후, 간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610).
통합 관리 장치(140)는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만족하기 위해 결정된 값으로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6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출력 확인 장치는 컨텐츠 출력 데이터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S620). 컨텐츠 출력 데이터에 대한 확인은 별도로 구현된 컨텐츠 출력 확인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 출력 데이터(630)가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와 매칭되는 경우,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에 대한 변화 없이 디바이스를 구동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컨텐츠 출력 데이터가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출력 데이터가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장치(140)는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에서 설정된 해상도 매칭 범위가 A 내지 B이고, 휘도 매칭 범위가 C 내지 D인 경우, 해상도 매칭 범위 및 휘도 매칭 범위를 기준으로 컨텐츠 출력 데이터가 타겟 컨텐츠 출력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직접 디바이스 구동 데이터를 제어하여 해상도를 조정하고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합 관리 장치(140)는 타겟 출력 데이터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시키기 위해 2가지 타입의 출력 매칭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타입 출력 매칭 구간(650)에서 타겟 출력 데이터의 매칭 범위가 동일하게 설정하고, 동일하게 설정된 매칭 범위의 타겟 출력 데이터에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2 타입 출력 매칭 구간(660)에서 타겟 출력 데이터의 매칭 범위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고, 변화되는 매칭 범위의 타겟 출력 데이터에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타입 출력 매칭 구간(650)에서 타겟 출력 데이터에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하기 위한 제1 매칭 범위(예를 들어, 해상도 매칭 범위, 휘도 매칭 범위)가 설정되고, 제2 타입 출력 매칭 구간(660)에서 타겟 출력 데이터에 컨텐츠 출력 데이터를 매칭하기 위한 제2 매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매칭 범위를 제2 매칭 범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제1 매칭 범위와 제2 매칭 범위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응적으로 변화되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가 질 무렵과 해가 진 이후에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해가 진 이후에 컨텐츠의 출력에 대한 민감도를 더 높아지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해가 질 무렵의 시간보다 해가 진 이후의 시간에 상대적으로 제1 매칭 범위와 제2 매칭 범위가 좁게 설정하여 사람들이 외부 환경에 따라 컨텐츠를 보는 민감도를 적응적으로 반영한 매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에 따라 매칭 범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크기, 전시 객체 형상, 전시 객체 곡률, 전시 객체의 컨텐츠 왜곡도를 고려하여 매칭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크기가 클수록 전시 객체 형상의 복잡도가 높을수록 전시 객체 곡률이 클수록 전시 객체의 컨텐츠 왜곡도가 클수록 매칭 범위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컨텐츠 출력이 필요할 경우,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형상 및 전시 객체 곡률을 기준으로 전시 객체가 복수의 하위 전시 객체 영역으로 분할하고, 하위 전시 객체 영역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매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 객체와 컨텐츠 출력 데이터의 매칭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통합 관리 장치(140)가 전시 객체 상에서 컨텐츠 출력시 전시 객체의 영역 상에 컨텐츠가 매칭되어 출력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형상 데이터(700)를 기준으로 전시 객체 상에 출력되는 컨텐츠 매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매칭점(740)을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곡률을 고려하여 전시 객체 형상 상에서 매칭점(740)을 결정할 수 있다. 전시 객체의 형상이 입체적일수록 컨텐츠가 출력될 경우, 컨텐츠의 왜곡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전시 객체 곡률을 기준으로 전시 객체가 복수의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으로 분할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으로 분할한 후 컨텐츠 상에서 출력되는 객체 특성(720)을 고려하여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이 합쳐져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을 결정하고,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 상에서 매칭점을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출력되는 전체 면적 상에서 객체 평균 크기를 기준으로 객체 특성(720)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통합 관리 장치(140)는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의 크기보다 객체 평균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이 그대로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통합 관리 장치(140)는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의 크기보다 객체 평균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객체 평균 크기보다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이 더 커지도록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을 합쳐져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의 설정을 통해 통합 관리 장치(140)는 객체가 전시 객체 상에서 왜곡없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보다 정확한 전시 객체 상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매칭 정확도가 필요한 경우, 객체 평균 크기가 아닌 객체 최소 크기를 기준으로 하위 전시 객체 영역(710)과의 비교를 통해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을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의 결정 후 매칭점(740)을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 상의 중심점으로 결정되거나 객체 평균 크기를 고려한 복수 개의 지점으로 매칭점(740)을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출력되는 객체 형상 복잡도를 기준으로 객체 형상 복잡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매칭점(740)을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 상의 중심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반대로 출력되는 객체 형상 복잡도를 기준으로 객체 형상 복잡도가 임계값 초과인 경우, 매칭점(740)을 매칭 판단 전시 객체 영역(730) 상에서 출력되는 객체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복수의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관리 장치(140)는 매칭점(740)으로서 결정되는 복수의 지점을 객체 형상 단순화 절차를 통해 출력되는 다각형의 꼭지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객체의 엣지를 기준으로 객체 형상 단순화 절차를 통해 출력되는 다각형에서 다각형을 이루는 각의 개수를 기준으로 객체 형상 복잡도를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임계 곡률 이하의 엣지의 경우 직선화를 시키는 절차를 통해 형상 단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한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통합 관리 장치(140)에서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한 영상 투사면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 투사면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서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관람객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관람객이 복수명일 경우, 통합 관리 장치(140)는 복수의 관람객 위치를 고려하여 관람 시점을 결정하고, 관람 시점에 따라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출력되는 출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먼저, 통합 관리 장치(14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복수개의 관람 시점이 가능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다중)(810)와 복수개의 관람 시점이 불가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단독)(820),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반응이 가능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적응)(830)로 분류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관람객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관람객에 대한 클러스터링이 수행되어 다중 시점에 매칭되는 관람객 클러스터의 개수로 관람객 클러스터를 분할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클러스터의 중심 위치를 미디어 아트 컨텐츠에 설정된 복수의 관람 시점 간의 최소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장치(140)는 특정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관람 시점이 적어도 x미터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경우, 복수의 관람 시점 간의 차이가 x미터가 되도록 관람객 클러스터를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클러스터의 중심 위치에 따라 미디어 아트 컨텐츠(다중)(810)가 제1 시점, 제n 시점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단독)(820)의 경우, 1개의 관람객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관람객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결정된 1개의 관람객 클러스터의 중심 위치에 따라 미디어 아트 컨텐츠(단독)(820)를 출력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적응)(830)의 경우, 관람객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관람객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관람객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다중 시점에 매칭되는 관람객 클러스터의 개수로 관람객 클러스터를 분할하되, 관람객 클러스터의 중심 위치가 조정되지 않도독 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적응)(830)를 관람객 클러스터의 중심 위치를 고려하여 미디어 아트 컨텐츠가 조절되어 다중 시점 상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클러스터를 생성시 대상이 되는 관람객을 이동하지 않은 상태의 관람객을 기준으로 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계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는 관람객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되고, 해당 관람객을 기준으로 한 관람객 클러스터를 결정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클러스터링을 재수행하는 클러스터링 재수행의 기준을 관람객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는 관람객의 이동 및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객 클러스터 내에 포함된 복수의 관람객 중 임계 퍼센트 이상의 관람객이 이동되는 경우, 클러스터링 재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클러스터링의 재수행의 시점을 미디어 아트 컨텐츠에서 복수개의 관람 시점의 변화가 가능한 구간이 관람 시점 변화 가능 구간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관람 시점 변화 가능 구간이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시작 시점 이후 임계 시간 동안에 판단된 관람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기존의 관람객의 관람 위치를 고려하여 관람객 클러스터를 결정할 클러스터 수행 영역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클러스터 수행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재생 시간 동안 제1 임계 거리 이하로 움직이고,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재생 시간 이후 제2 임계 거리 이상 이동한 관람객이 클러스터 수행 영역 기준 관람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40)는 결정된 클러스터 수행 영역 기준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하여 클러스터 수행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 관리 장치(140)는 출력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출력 위치와 다른 미디어 아트 컨텐츠의 출력 위치 간에 클러스터 수행 영역이 겹치는 경우, 미디어 아트 컨텐츠들의 재생 시간을 분리하여 클러스터 수행 영역이 그래도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클러스터 수행 영역을 추가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
120: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
130: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
140: 통합 관리 장치

Claims (5)

  1. 기 설정된 전시 공간으로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
    상기 전시 공간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로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원격으로 제어하는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
    상기 전시 공간 각각에 설치된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동선 데이터를 수집하는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
    상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상기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시물을 재랜더링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보정한 후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상기 로컬 디바이스 원격 제어 서버가 제어하는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통합 관리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는 상기 전시 공간을 복수의 구역인 티켓 발급 구역, 전시물 별 관람 구역, 티켓 회수 구역으로 구분한 후 상기 티켓 발급 구역을 거쳐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으로 진입한 관람객을 기반으로 관람객 입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티켓 발급 구역부터 상기 티켓 회수 구역까지 상기 관람객의 움직임을 누적 저장하여 동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 중 상기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해당 전시물에 대한 몰입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게 산출하거나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 중 상기 관람객이 가장 먼저 방문하는 전시물에 대한 몰입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게 산출하며, 상기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마다 존재하는 관람객 수를 산출하고, 상기 관람객 수를 해당 전시물 별 관람 구역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으로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별 인구 밀도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별 인구 밀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별 혼잡도를 결정하며,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별 상기 혼잡도를 확인하고, 상기 혼잡도가 상기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시물 별 관람 구역 중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을 선별하고, 1차적으로 상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태그(Tag), IoT 티켓, 상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존재하는 전시물에 탑재된 상기 추적 장치로 대피 알람을 발생하고, 2차적으로 상기 동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으로 접근하는 관람객을 선별한 후 상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으로 접근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태그, IoT 티켓, 상기 전시물 별 관람 위험 구역에 인근에 존재하는 전시물에 탑재된 상기 추적 장치로 우회 접근 알람을 발생하며,
    디바이스 전원 특성이 상대적으로 빠른 전원 ON/OFF가 가능할수록 디바이스 ON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하고, 전력 절감 필요 여부를 고려하여 디바이스가 먼저 선행하여 ON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결정하며, 기 설정된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의 만족시 빠르게 반응을 해야 하는 반응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전시 환경인 경우,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시점을 기준이 되는 컨텐츠 재생 상태 전환 시점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설정하거나, 상기 제1 타입 전원 매칭 조건 중 일부 조건만을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조건으로 설정하여 디바이스만 미리 ON 상태로 전환하며, 컨텐츠 ON 상태 전환 전 디바이스 ON 상태 전환 간의 전환 시간 차이가 디바이스 ON/OFF 상태 전환시 필요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 반응 민감도, 매칭 타입을 고려하여 설정하거나, 디바이스가 ON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로컬 컨텐츠 원격 제어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전시 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전시물에 탑재된 추적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된 전시 객체를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내는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는
    상기 전시 공간이 실내인 경우, 실내에 설치된 상기 전시물에 탑재된 상기 추적 장치와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Tag), IoT 티켓 간에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시 공간이 실외인 경우, 실외에 존재하는 관람객이 소지한 단말기, 관람객이 소지한 태그(Tag), IoT 티켓 간에 GPS 기반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상기 동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상기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시 공간 내에 전시된 복수의 전시물별로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시물별로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전시물로 출력되는 상기 미디어 아트 컨텐츠별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데이터 원격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람객 입장 데이터 및 상기 동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시 공간 내에 전시된 복수의 전시물별로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확인하고, 상기 전시물별로 기 할당된 영역에 존재하는 인원이 상기 관람객 허용 인원수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230079115A 2023-06-20 2023-06-20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62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115A KR102620333B1 (ko) 2023-06-20 2023-06-20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115A KR102620333B1 (ko) 2023-06-20 2023-06-20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33B1 true KR102620333B1 (ko) 2024-01-03

Family

ID=8953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115A KR102620333B1 (ko) 2023-06-20 2023-06-20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4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102505666B1 (ko) * 2021-12-30 2023-03-03 주식회사 닷밀 초실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위치의 관람객 시점에 최적화된 렌더링을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45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KR102505666B1 (ko) * 2021-12-30 2023-03-03 주식회사 닷밀 초실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위치의 관람객 시점에 최적화된 렌더링을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3470B2 (ja) ネットワークの拡張現実表現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0534158C (zh) 产生虚拟图像和真实图像的合成图像
EP2553924B1 (en) Effortless navigation across cameras and cooperative control of cameras
CN102647449B (zh) 基于云服务的智能摄影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583286B1 (ko)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linker et al. Augmented reality for exterior construction applications
KR102441454B1 (ko) 실제 및 가상 사물인터넷 기기를 연동한 3차원 디지털 트윈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649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설공간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00456B1 (ko)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JP2006503379A (ja) 拡張仮想環境
US1140382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ndering of virtual objects for display
US10140754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lighting of areas captured by location scouts
US20210038975A1 (en) Calibration to be used in a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CN115346026A (zh) 基于数字孪生技术的应急处理系统
KR20210004862A (ko) 사용자 간의 경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0024909A1 (zh) 定位跟踪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WO2019016820A1 (en) METHOD FOR PLACING, MONITORING AND PRESENTING AN ENVIRONMENT BASED ON REALITY-VIRTUALITY IMMERSIVE CONTINUUM WITH IDO AND / OR OTHER SENSORS INSTEAD OF A CAMERA OR VISUAL PROCESSING, AND ASSOCIATED METHODS
JP2938845B1 (ja) 3次元cg実写映像融合装置
KR20220073684A (ko) 사용자 간의 경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20333B1 (ko) 관람 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통합 제어 시스템
Ssin et al. GeoVCM: virtual urban digital twin system augmenting virtual and real geo-spacial data
KR20200102722A (ko) 모델링 기반 vr을 이용한 건축물 종합정보제공시스템
KR102637820B1 (ko)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디바이스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7228268A (ja) 複合現実環境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等
CN113093915A (zh) 多人互动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