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267B1 -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 Google Patents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67B1
KR102620267B1 KR1020230153342A KR20230153342A KR102620267B1 KR 102620267 B1 KR102620267 B1 KR 102620267B1 KR 1020230153342 A KR1020230153342 A KR 1020230153342A KR 20230153342 A KR20230153342 A KR 20230153342A KR 102620267 B1 KR102620267 B1 KR 10262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storage
storage device
sens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알렉산더명준
남규봉
손은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Priority to KR102023015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89Refuse receptacles adapted or modified for gathering compostable domestic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저장 장치는, 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보관부와 상기 개폐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보관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관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보관부에 저장된 대상물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안착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삽입부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러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바디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리 정해진 길이를 통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 상기 센서전극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센서전극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disclosed.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objects are store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a fastening part that fastens the storage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and a mov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cove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part and a sensor part that acquire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includes the A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an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ortion penetrates when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having elastic force and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ortion. It includes a rubber part, wherein the sensor part includes a sensor body part, a display pa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body part to display the sensing information, a lighting part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ensor body par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part. A sensor electrode unit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sensor body It is provid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unit and may include a blocking film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Description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 부산물에 관련한 대상물을 수거/운반 시, 환경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대상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대상물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objects, and more specifically, when collecting/transporting objects related to food by-products, preventing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objects that occur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tinuously monitoring and managing the objects. It is about a storage device for

오늘날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를 줄이기 위한 재활용이 화두가 되면서, 업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 업사이클링이란, 업그레이드(upgrade)와 리사이클링(recycling)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말로, 쓸모가 없어진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을 가미하는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Today, as recycling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waste has become a hot topic, upcycling is attracting attention. Upcycling is a word cre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upgrading and recycling. It means going beyond simply recycling useless products and creating new added value, such as adding design, to create new products.

이러한 업사이클링은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가 되고 있다. 업사이클링의 예로써, 재활용 의류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옷이나 가방을 생산하거나, 버려진 현수막을 재활용하여 장바구니로 만들거나, 음식물쓰레기를 지렁이 먹이로 활용하여 얻은 지렁이 배설물 비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Such upcycling has recently been attempted in various fields thanks to eco-friendly policies. Examples of upcycling include producing new clothes or bags using recycled clothing, recycling discarded banners to make shopping carts, or using food waste as food for earthworms and using earthworm excrement as fertilizer.

또한, 최근 첨단기술에 업사이클링이 더해지면서 단순히 물리적으로 가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화학적 변화를 이용한 업사이클링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버려진 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을 활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이용되는 등에 활용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로 생산하는 업사이클링에 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도 줄임과 동시에, 리튬 이온 배터리에 꼭 필요한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upcycling has recently been added to cutting-edge technology, upcycling products that go beyond simple physical processing and use chemical changes are being produced. For exampl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on upcycling, which uses discarded vinyl or waste plastic to produce carbon nanotubes, which are highly useful for manufacturing lithium-ion batterie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discarded plastic waste and at the same time produce carbon nanotubes, which are essential for lithium-ion batteries.

한편, 국내에서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악으로 발생되는 식품부산물은 연간 3천만 톤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70%는 "쓰레기"로 분류 또는 처리되어, 기업 활동뿐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식품 가공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제품 생산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Meanwhile, the amount of food by-products generated as a necessary evil for food processing in Korea amounts to 30 million tons annually, and 70% of these are classified or disposed of as “garbage,” placing a significant burden not only on business activities but also on the environment. This is the situation, and accordingly, the production of upcycling products using food processing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05132호는 음식물찌꺼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가공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987호는 농가부산물, 식품부산물, 산업폐기물 등을 고부가가치의 신재생 자원으로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다양한 식품 부산물을 고부부가가치 자원으로 업사이클링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지속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7-0005132 discloses a processing system for recycling food waste.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74987 discloses a method of drying and fermenting waste resources such as farm by-products, food by-products, and industrial wastes as high value-added new and renewable resources. In other words, various attempts are continuing to upcycle various food by-products into high value-added resources.

다만, 업사이클링의 대상이 되는 부산물들은, 폐기 자원(예컨대, 쓰레기, 술 지게미, 빵가루 등)임에 따라 다양한 세균 증식과 부패에 취약할 수 있다. 부산물의 경우, 쉽게 상할 수 있어 이송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관리 미흡으로 인해 부산물의 일부가 부패하는 경우, 해당 부산물의 가공을 통해 생성되는 업사이클링 제품 또한 의도한 건강 기능과 맛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부산물에 균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부산물을 통해 생산되는 업사이클링 제품은, 사용자의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상품으로써 가치를 잃을 수 있어, 인적 또는 물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by-products subject to upcycling may be vulnerable to various bacterial growth and decay as they are waste resources (e.g., trash, sake lees, bread crumbs, etc.). In the case of by-products, transport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as they can spoil easily. If some of the by-products spoil due to poor management, the upcycled products creat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ose by-products may also not provide the intended health functions and taste. In particular, if the by-product contains bacteria, the upcycling product produced from the by-product may be fatal to the user's health and may lose its value as a product, causing enormous human or material damage.

따라서, 부산물을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업사이클링 하는 과정에서, 부산물의 이송 과정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부산물의 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부산물의 부패 및 균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upcycling by-products into high value-added products, there is a deman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devices to prevent spoilage and bacterial growth of by-products while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by-product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It can exis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경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대상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대상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of objects that occur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to provide a storage device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nd managing objec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저장 장치는, 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보관부와 상기 개폐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보관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관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보관부에 저장된 대상물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안착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삽입부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러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바디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리 정해진 길이를 통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 상기 센서전극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센서전극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isclosed.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objects are store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a fastening part that fastens the storage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and a mov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cove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part and a sensor part that acquire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part, and the cover part includes the A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an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ortion penetrates when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having elastic force and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ortion. It includes a rubber part, wherein the sensor part includes a sensor body part, a display pa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body part to display the sensing information, a lighting part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ensor body par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part. A sensor electrode unit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sensor body It is provid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unit and may include a blocking film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 마운트되며, 미리 정해진 직경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ver part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provided with a guide ho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guide part includes a sensor part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sertion part. It can be characterized as supporting at least some of i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을 통해 상기 보관부의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nser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hrough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and the gas inside the storage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pressure appli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art is inserted. You can do this.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 및 상기 센서부가 삽입되는 일 방향과 대향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면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nsertion part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art passes, a plurality of cut groove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part into which the sensor part is inserted. It may include a rear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보관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보관부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관부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first handl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a second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O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extendable from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부산물에 관련한 대상물을 수거/운반 시, 환경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대상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object that occur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when collecting/transporting objects related to food by-products.

또한, 이송되는 대상물(즉, 장치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대상물의 폐기 및 입고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대상물의 이송 및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convenience can be provided in the transfer and management of the object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object being transported (i.e., the object stored inside the device) an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osal and receipt of the obj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예시적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상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하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센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개폐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
Various aspect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ollowing examples,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clear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Figure 1 shows an exemplary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fer process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an objec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exploded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upper surface of a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lower surface of a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form of the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related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related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are not to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Maybe not.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components, these elements or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device or component from another device o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and not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utilize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either X uses A; X uses B; Or, if X uses both A and B, “X uses A or B” can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Additionally,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lated lis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doing so.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the context is clear to indicate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terms herein and in the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nd of themselves.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means that it is not only directly on top of, but also intervening with, the 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other component or laye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as a single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i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ould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You can.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대상물은, 음식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잔여 생성물 즉, 식품 부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물은, 발효과정을 통하여 음식물을 생산함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잔여 생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산물은 맥주 생성 과정 또는 식혜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맥아'(또는 맥아찌꺼기, 맥주박)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맥주와 식혜는 전처리까지 동일한 원료와 공정으로 진행됨에 따라 부산물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푸드 업사이클링이 가능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residual products incidental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food, that is, food by-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sidual product incidentally generated as food is produced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by-product may be 'malt' (or malt residue, beer spent) generated during the beer production process or sikhye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er and sikhye are processed using the same raw materials and processes up to pretreatment, so the by-products are the same, so food upcycling may be possible through the same process.

이러한 대상물(또는 부산물)은, 발효과정을 거쳐 생성됨에 따라, 부산물 내에 미생물(또는 균)이 잔존할 수 있다. 잔존한 미생물에 의해 부산물은 지속적으로 반응(예컨대, 부패)을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맥주 또는 식혜 생산에 활용되는 맥아는 잔여물이 지속적으로 반응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보관하거나 가공 처리하는 경우,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하고 유해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섭취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부산물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원료를 생성하고자 하는 업사이클링 공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맥아는 겉껍질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부산물의 세척, 건조, 분쇄, 이물 검사 등 다양한 전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As these objects (or by-products) are produced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microorganisms (or bacteria) may remain in the by-products. By-products may continue to react (e.g., decay) due to remaining microorganisms. For example, malt used in the production of beer or sikhye may continuously react with residues, so if it is stored or processed as is, it may rot, generate bad odors, and multiply harmful microorganisms, making it unsuitable for consumption. there is. This can act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upcycling process that seeks to create high value-added raw materials through by-products. In addition, malt contains foreign substances such as outer skin, so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m. To this end, various pretreatment processes such as washing, drying, grinding, and foreign matter inspection of by-products can be performed.

하지만, 이러한 부산물의 경우, 균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이 수행될지라도, 업사이클링을 위한 수거/운반 시 공기 중에 노출되어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온도 변화에 취약할 수 있다. 예컨대, 맥주박의 경우,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미생물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저장 수명 또한 길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these by-products, even if a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remove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microorganisms may be generated due to exposure to the air during collection/transportation for upcycling, and may be particularly vulnerable to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brewer's spent water,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so the possibility of microbial growth is high, and the storage life is also not long.

즉, 부산물의 수거와 운반 과정에서 식품으로써 활용하기 위한 품질 이슈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품질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세균과 바이러스의 관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식중독이 예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many quality issues arise during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by-products for use as food,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are important to resolve these quality issues. If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properly managed, food poisoning can be prevented as bacteria and viruses can be managed.

실시예에서, 부산물의 종류 별로, 저장온도별 미생물의 증식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정한 유통온도, 저장온도, 유통기한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산물을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에서, 부산물의 이송 및 저장에 활용 가능한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growth conditions of microorganisms may be different for each type of by-product and storage temperature, and accordingly,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temperature, storage temperature, expiration date, etc.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device that can be used to transport and store by-products in the process of upcycling them.

즉, 본 발명의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1000)(이하 '저장 장치')는 대상물을 저장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 장치(1000)는, 내측에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대상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용이한 이동을 위한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device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transport the objects. For this purpose, the storage device 100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inside which an object can be stor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part for easy movement while the object is stored.

특히,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내부 저장 공간에 저장된 대상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또는 관리자)에게 대상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장치 내 저장된 대상물의 온도, 습도, 용량 및 보관 기간 등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시점(예컨대, 수거 시점, 이송 시점, 보관 시점 및 투입 시점 등) 별로 트래킹되어 획득되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status of object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in real time and provide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objects to the user (or administrator).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mperature, humidity, capacity, and storage period of objects stored in the device. Thi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tracking at each point in time (eg, collection point, transfer point, storage point, input point, etc.).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장치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입고 또는 폐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대상물의 보관 상태 정보 중 이상상황이나 장애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대상물에 대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물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garding the receipt or disposal of objects stored inside the device. For anothe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user with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at an abnormal situation or failure situation has occurred among the object storage status inform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device 1000 can provide various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objects stored therein,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in managing objects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대상물의 보관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적정성은, 현재 대상물의 보관 상태가 적정한지 또는 적정하지 않은지에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관 적정성은, 미생물 증식 판단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evaluate the storage suitability of the object by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object stored therein in real time. Here, storage adequacy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the current storage state of the object is appropriate or not. In an embodiment, storage suitability may be related to determining microbial growth.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맥주의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맥아(또는 맥주박)의 경우, 일정 임계 온도(예컨대, 6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맥아의 경우, 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진다. 이에 따라, 저장 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온도 및 습도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환경 정보를 통해 대상물의 보관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alt (or beer spent), a by-product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beer, if the temperature falls below a certain critical temperature (eg, 60°C), the proliferation of microorganisms may become acti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l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ecomes active even when the humidity is too high. Accordingly, the storage device 1000 can acquire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object stored therein, and evaluate the storage suitability of the object through the obtained environment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저장 장치(1000)는 미리 정해진 미생물 증식 임계 온도와 현재 대상물의 온도를 비교하여 미생물 증식의 위험도를 산출하고, 미생물 증식의 위험도가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calculates the risk of microbial growth by comparing the predetermined critical temperature for microbial growth with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object, and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 risk of microbial growth is greater than a set standard value. .

또한,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실시간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의 저장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범위 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저장 공간을 가열하여 대상물의 보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대상물의 저장 환경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change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object based on real-tim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object stored therein. For a specific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measured in real time does not fall within a predetermined critical range, the storage space may be heated to increas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objec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hanges in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저장 환경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1000)는 저장 공간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 공간의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습수단 및 제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means for adjusting the storage environment of objects stored therein.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may include a cooling means and a hea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humidifying means and a dehumidifying means for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storage space. .

즉,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부산물에 관련한 대상물을 내부에 저장하여 이송 및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대상물의 저장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대상물의 보관 상태가 적정한지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 장치(1000)는 대상물의 보관 상태가 적정하지 못하다고 판별되는 경우, 대상물의 저장 환경을 적정환경(예컨대,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는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용이한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해지며, 업사이클링에 활용하기 위한 대상물을 최적의 보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store, transport, and store objects related to by-products internally, and monitors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objects in real time to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 storage condition of the objects is appropriat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device 1000 determines that the storage condition of the object is not appropriate, it can change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object to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example, an environment in which microorganisms do not proliferate). Accordingly,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objects becomes possible, and objects for use in upcycling can be maintained in optimal storage conditions.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저장 장치(1000)의 구체적인 구조적 특징 및 이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structural features of the storage device 1000 and effects generated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예시적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상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하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덮개부의 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센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개폐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한 저장 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n exemplary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fer process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an objec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exploded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upper surface of a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lower surface of a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form of the cover por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related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related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objects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 개폐부재(100), 체결부(300), 손잡이부(400) 및 이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전술한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현 양태에 따라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포함되거나 또는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orage device 1000 includes a storage unit 200,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a fastening unit 300, a handle unit 400, and a moving unit. It may include part 500.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exemplary, and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at i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sp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or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omitted.

저장 장치(10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이끌 수 있는 캐리어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맥주 또는 식혜 생성의 부산물에 해당하는 대상물은 저장 장치(100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어 보관 및 이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orage device 100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arrier that a user can guide by holding a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bjects corresponding to by-products of beer or sikhye production may be stored and transpor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device 10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와 개폐부재(10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보관부(200)에 개폐부재(100)를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탈착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0)는 보관부(200)에 개폐부재(100)를 고정 및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탈착 메커니즘은, 클립 탈착 방식, 자석 탁찰 방식, 밴드 탁찰 방식 또는 흡착 탈착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00 that fastens the storage part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The fastening part 300 may have a detachment mechanism for fixing and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from the storage part 200. As shown in FIG. 2, the fastening part 300 may serve to secure and sepa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from the storage unit 200. In various embodiments, the detachment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lip detachment method, a magnetic attachment method, a band attachment and detachment method, or an adsorption and detachment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00)는 저장 장치(1000)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4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저장 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부(4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의 세기와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저장 장치(1000)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00)를 활용하여 저장 장치(1000)를 들어올려 저장 장치(1000)의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을 다른 영역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저장 장치(1000)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include a handle 400 that a user can hold. The handle portion 400 may refer to an area that the user holds to move the storage device 1000. The user may move the storage device 100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while holding the handle 400 with his or her hand. As an example, the handle portion 400 may be provided in a handle shape that a user can grip, and the user may manipulat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force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400 to control the storage device 1000. You can control the movement speed and direction of movement.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user lifts the storage device 1000 using the handle portion 400 to discharge an object stored inside the storage device 1000 to another area, or to move the object stored inside the storage device 1000 to another area. Washing may also be performed.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400)는 보관부(2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410) 및 보관부(200)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제1영역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410) 및 제2영역에 구비된 제2손잡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400 may include a first handle portion 4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00 and a second handle portion 4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00. You can. As shown in FIG. 2, the handle portion 400 may include a first handle portion 410 provided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handle portion 420 provided in the second area.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손잡이부(410) 및 제2손잡이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보관부(200)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손잡이부(420)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보관부(2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420)가 보관부(200)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은, 저장 장치(100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2손잡이부(420)를 보관부(200)로부터 연장시킨 상태로 저장 장치(1000)를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끌어 저장 장치(10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보관한 상태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제2손잡이부(420)를 다시 원위치(예컨대, 제1손잡이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410)와 제2손잡이부(420)를 파지하여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2손잡이부(4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관부(200)로부터 연장 가능한 것을 설명하나, 제1손잡이부(410) 또한, 제2손잡이부(420)와 동일하게 보관부(200)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first handle portion 410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may be extended from the storage portion 200. For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a) and (b) of FIGS. 2,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may extend from the storage portion 200 through a sliding method. The second handle 420 may be provided to be extendable from the storage unit 200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the storage device 1000. For example,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torage device 1000 by dragging the storage device 1000 while tilting the storage device 1000 at a certain angle while extending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from the storage unit 200 . 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rrived with the object stored, the second handle 42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e.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ndle), and the user can move the first handle 410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are gripped to discharge the object stored inside to the outsid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is provided to be slidable and can be extended from the storage portion 200. However, the first handle portion 410 also has a storage por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handle portion 420. It may also be provided to be extendable from (200).

즉, 본 발명은 저장된 내용물(즉, 대상물)의 용이한 분출을 위해 두 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두 개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보관부(200)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400)의 구성을 통해, 대상물의 배출 및 이동 상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include two handle parts for easy ejection of stored contents (i.e., objects), and at least one of the two handle parts can be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from the storage part 200 for convenience of movement.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provid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of the handle portion 400, convenience in discharging and moving objects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이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저장 장치(100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부(500)를 통해 저장 장치(1000)를 이동시켜 대상물을 일 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세척, 건조, 분쇄, 이물 검사 등 다양한 전처리 공정이 수행된 부산물을 대상물로써 내부에 저장하게 되며, 해당 대상물에 대한 업사이클링을 위해, 해당 대상물을 보관 및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include a moving unit 5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200. The moving unit 500 may allow the storage device 1000 to move. For example, the user can move the storage device 1000 through the moving unit 500 to transfer an object to one area.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internally stores by-products that have undergone various pretreatment processes such as washing, drying, grinding, and foreign matter inspection as objects, and stores and transports the objects for upcycling. You can do it.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이동을 위한 힘, 즉 사용자의 노동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전동에 의해 보조되어 이동될 수 있는 전동 장치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저장 장치(1000)는 이동부(50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400)에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예컨대, 로드셀, 다축 힘센서 및 피에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device 1000 may be a motorized device that can be moved assisted by electricity to reduce the force for movement, that is, the user's labor. In detail, the storag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applies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500. In this case, the handle portion 400 may be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pressure caused by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sensor module is a sensor for measuring pressur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oad cell, a multi-axis force sensor, and a piezo sensor.

저장 장치(1000)는 센서모듈을 통해 인가된 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부(500)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400)에 구비된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큰 압력이 인가됨을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는 이동부(500)에 큰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압력이 인가됨을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는 이동부(500)에 비교적 작은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동부(500)에 큰 구동력이 인가될수록 저장 장치(1000)의 이송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물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는 부산물일 수 있으므로, 해당 부산물을 저장 장치(1000)에 저장한 상태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힘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저장 장치(1000)의 이동 경로 상에 오르막길, 내리막길, 또는 방지턱 등이 있는 경우, 저장 장치(10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많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에 구비되 센서모듈 및 구동부의 구성을 통해 저장 장치(1000)의 전동화가 가능함에 따라 대상물의 이송 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1000 may apply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50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sensor module.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a larg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user through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andle unit 400, the drive unit can apply a large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500, and when detecting that a relatively small pressure is applied , the driving unit may apply a relatively small driving force to the moving unit 500. The greater the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moving unit 500, the faster the transfer speed of the storage device 1000 can 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y-product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so when the by-product is to be transported whil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00, the user may apply a lot of force. . In particular, when the movement path of the storage device 1000 includes an uphill road, a downhill road, or a bump, a lot of force from the user may be requi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torage device 1000.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device 1000 can be motoriz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handl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when transporting an object.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이동부(500)는 보관부(200)의 좌측 및 우측 영역 각각에 관련한 이동을 위한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 각각에 상이한 구동력 또는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저장 장치(1000)의 이동 방향에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이동부 보다 제2이동부에 많은 구동력이 인가되어 제2이동부가 제1이동부 보다 많이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측 보다 우측 영역의 이동거리가 더 많아져 저장 장치(100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이동부에 인가되는 구동력 및 회전 수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축 방향의 회전은, 특정 손잡이부(예컨대, 보관부로부투 연장 가능한 제2손잡이부)의 좌측 및 우축 각각에 구비된 센서 모듈 각각에 인가되는 힘에 차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moving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moving unit and a second moving unit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storage unit 200,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orage device 1000 may be controlled as different driving forces or rotational forces ar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For a specific example, mor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moving part than to the first moving part, so that the second moving part can rotate more than the first moving part, and as a result, the moving distance in the right area is greater than the left, so that the storage device (1000) can be moved to rotate to the lef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iving force and rotation speed applied to each moving part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 embodiment,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axes directions may be caused by a difference in the force applied to each of the sensor modul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axes, respectively, of a specific handle portion (e.g., a second handle portion extendable from a storage portion).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형성된 내부 공간 상에 대상물이 저장되는 보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200)는 내부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내부 공간 상에 대상물을 저장시킬 수 있다. 보관부(200)는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부면에 개폐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보관부(200)의 상부면에 개폐부재(100)가 결합된 경우, 해당 개폐부재(100)를 통해 보관부(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재(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관부(200)의 내부에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대상물의 투입 후 폐쇄됨에 따라, 대상물이 내부 공간 상에 보관되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forms an internal space and may include a storage unit 200 in which objects are stored in the formed internal space. The storage unit 200 may form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store objects in the internal space. The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00,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unit 200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For example, an object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00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open, and as the object is closed after being introduced, the object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실시예에서, 보관부(200)는 위생을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보관부(200)는 스테인리스의 이중구조를 통해 구비됨에 따라, 향상된 열 차단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200)가 스테인리스 스틸의 소재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세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0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for hygiene purposes. As the storage unit 200 is provided through a dual structure of stainless steel, it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n improved heat rejection rate. Additionally, when the storage unit 200 is made of stainless stee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lean.

일 실시예에서, 보관부(200)의 내벽의 외측면에는 금속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관부(200)의 내벽과 외벽 사이 영역(즉, 내벽을 감싸도록)에는 금속박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금속박을 통해 내부 공간의 열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다.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려고 해도 외부를 덮고 있는(즉, 내벽을 감싸고 있는) 금속박을 통해 내부로 반사되어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보관부(200)는 내벽과 외벽을 갖는 이중구조로 구비되되, 내벽을 감싸도록 금속박이 구비됨에 따라, 복사에 의한 방열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켜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예컨대, 식품 부산물)에 균이 증식하거나 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장기간 보관 및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metal foil. Specifically, metal foil may be provided in the area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storage unit 200 (i.e., to surround the inner wall), and heat in the internal space can be preserv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metal foil. Even if the internal heat tries to escape, the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by being reflected inward through the metal foil covering the outside (i.e., surrounding the inner wall). That is, the storage unit 200 has a double structure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metal foil is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wall, so that heat dissipation due to radiation can be blocked. This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long-term storage and storage, such as minimizing temperature changes and preventing bacteria from multiplying or spoiling objects stored inside (e.g., food by-product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부(200)는 외벽(200b)과 내벽(200a)으로 형성된 2중 구조를 가지며, 외벽(200b)과 내벽(200a) 사이 공간에 단열층(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unit 200 has a double structure formed of an outer wall 200b and an inner wall 200a, and an insulating layer 21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200b and the inner wall 200a. can do.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보관부(200)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200a) 및 해당 내벽(200a)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200b)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2중 구조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벽(200a)과 외벽(200b) 사이 공간에는 단열층(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 4, the storage unit 2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wall 200a forming a storage space and the inner wall 200a,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wall 200b forming the exterior. It can be provided through a middle structure. Additionally, an insulating layer 210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200a and the outer wall 200b.

실시예에서, 단열층(210)은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층(210)이 진공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충격(예컨대, 낙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단열층(210)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착부(220)를 통해 압착됨에 따라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압착부(220)는 압착홀(221) 및 밀봉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sulation layer 210 may be made of vacuum. When the insulation layer 210 is provided in a vacuum state,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even if an impact (eg, falling, etc.) occurs, it can be minimized. The air present in the insulation layer 210 may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as it is compressed through the compression portion 220. The compression portion 220 may include a compression hole 221 and a sealing portion 222.

자세히 설명하면, 보관부(200)는 외벽(200b)과 내벽(200a) 사이에 형성된 일 공간(즉, 단열층) 상에 기체의 유입 및 배출을 허용하는 압착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홀(221)을 통해 단열층 상에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detail, the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compression hole 221 that allows the inflow and outflow of gas in a space (i.e.,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200b and the inner wall 200a. Air can be sucked into the insulation layer through the compression hole 221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또한, 보관부(200)는 압착홀(221)에 결합되어 압착홀(221)을 통한 기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밀봉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밀봉재는, Sn이나, Sn과 Ag, Cu, Ni, Bi, 혹은 Zn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납재 혹은 유리 납재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222 that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hole 221 and blocks the movement of gas through the compression hole 221. In an embodiment, the seal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metal brazing material made of Sn, an alloy of Sn and Ag, Cu, Ni, Bi, or Zn, or a glass brazing material.

즉, 보관부(200)의 외벽(200b)과 내벽(200a) 사이의 공극을 진공 배기하고, 압착홀(221)을 밀봉부(222)를 통해 밀봉하여 진공 단열층(2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밀봉부(222)는 공기의 입자가 단열층(210)으로 진입하는 방지하기 위한 재료나 처리(예컨대, 코팅 처리 등)가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 200b and the inner wall 200a of the storage unit 200 is evacuated, and the compression hole 221 is sealed through the sealing part 222 to form the vacuum insulation layer 210. .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222 may be treated with a material or treated (eg, coated, etc.) to prevent air particles from entering the insulating layer 210 .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단열층(210)에는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습기 또는 기타 기체 입자를 흡수할 수 있는 흡기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열층(210) 내부의 진공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어, 단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insulation layer 210 may be provided with an absorbent that can absorb moisture or other gas particles to maintain the interior in a vacuum state.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vacuum state inside the insulation layer 210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the insul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bject can be minimized and rot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예에서, 단열층(210)에는 단열재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법단열재(EPS), 압출법보온판(아이소핑크), E보드, 열반사 단열재, 글라스울, 진공단열판(VIP), 셀룰로오스 단열재, 또는 폴리우레탄폼 중 하나의 소재를 통해 단열재가 단열층에 구비될 수 있다. 비드법단열재(EPS)란 폴리스틸렌 알갱이를 압축, 성형해서 만드는 단열재를 의미할 수 있다. 압출법보온판(아이소핑크)은 폴리스틸렌을 압축해서 판재 모양으로 만드는 단열재로 미세한 독립 구조 내에 기체 중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불상탄소를 충진하여 단열할 수 있다. E보드는 아이소핑크와 PP보드가 결합된 제품으로 결로 현상을 막아주는 단열재일 수 있다. 이때, PP보드는 폴리프로필렌에 무기질 충진재, 난연재 등의 혼화제가 최적의 조건으로 배합된 원료를 압출 성형의 과정을 통해 제조한 플라스틱 중공판재로서 양면에 부직포가 함침될 수 있다. 열반사 단열재는 내외장재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표면이 알루미늄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 내열성, 내진성 및 방음성이 강하며 복사열을 차단하는 단열재일 수 있다. 글라스울은 유리를 고온에서 녹인 후 고속 회전력을 이용해 섬유처럼 만든 다음 일정한 크기로 성형한 무기질의 광물 섬유 단열재일 수 있다. 진공단열판(VIP)은 단열 판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을 차단하고 단열 판재 표면을 열반사 단열재로 감싸서 복사열을 차단하는 원리로 구성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단열재는 신문지 등 종이를 재활용하여 생산하는 흡음 단열재일 수 있다. 전술한 단열층의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insulation layer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on material inserted therein. For example, insulation through one of the following materials: bead insulation (EPS), extruded insulation board (isopink), E-board, heat reflective insulation, glass wool, vacuum insulation board (VIP), cellulose insulation, or polyurethane foam.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ion layer. Bead insulation (EPS) can refer to an insulation material made by compressing and molding polystyrene granules. Extruded thermal insulation board (isopink) is an insulating material made by compressing polystyrene into a plate shape. It can be insulated by filling fluorescent carbon, which has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among gases, into a fine independent structure. E-board is a product that combines isopink and PP board and can be an insulating material that prevents condensation. At this time, PP board is a plastic hollow plate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molding of raw materials mixed with polypropylene and admixtures such as inorganic fillers and flame retardants under optimal conditions, and can be impregnated with non-woven fabric on both sides. Heat reflective insulation is a product that can be used as both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e surface is made of an aluminum layer, so it has strong durability, heat resistance, earthquake resistance, and sound insulation, and can be an insulation material that blocks radiant heat. Glass wool can be an inorganic mineral fiber insulation material made by melting glass at high temperature, forming it into fibers using high-speed rotation force, and then molding it to a certain size. A vacuum insulating plate (VIP) can be constructed on the principle of blocking the movement of heat by conduction and convection by creating a vacuum inside the insulating plate and blocking radiant heat by wrapping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with a heat-reflecting insulating material. Cellulose insulation may be a sound-absorbing insulation material produced by recycling paper such as newspaper.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heat insulating layer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00)는 보관부(200)의 상부측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보관부(200)의 내부 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재(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관부(200) 내부로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대상물의 투입 이후 개폐부재(100)를 통해 개방된 상부면이 폐쇄됨에 따라, 대상물이 저장 장치에 보관되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20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200 and may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unit 200. For example, an object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00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open, and as the upper surface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closed after the object is inserted, the object may be placed in the storage device. It will be stored in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 및 센서부(110)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보관부(2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이며, 센서부(110)는 덮개부(120)를 매개로 하여 보관부(2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상측 방향에 센서부(110)가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over part 120 and the sensor part 110, as shown in FIG. 3. The cover unit 1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200, and the sensor unit 110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00 through the cover unit 120.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sensor unit 110 may be coupl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unit 120.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120)는 보관부(200)의 상부면을 개폐시킬 수 있다. 보관부(200)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부(120)는 보관부(200)의 개방된 상부면에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20)가 보관부(200)의 상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 보관부(200)의 상부면이 폐쇄되며, 덮개부(120)가 보관부(200)의 상부면에서 이탈되는 경우, 보관부(200)의 상부면이 개방되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art 120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200. The storage unit 200 may be provid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cover unit 12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00. When the cover part 12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200 is closed, and the cover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200. ,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00 is opened.

실시예에서, 덮개부(120)는 센서부(110)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센서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홈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착부(121)는 센서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부(110)가 해당 안착부(12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10)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안착부(121)는 해당 센서부(11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홈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부(110)가 안착부(12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일정 깊이의 홈을 형상을 구비됨에 따라, 센서부(110)가 안착부(121)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part 120 may include a seating part 121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sensor unit 110 is seated.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seating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and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sensor portion 110 can be seated. You can. In an embodiment, the seating unit 12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110, and thus the sensor unit 110 can be easily seated on the seating unit 121.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sensor unit 110 is square, the seating unit 121 may be provided through a square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110, and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10 It can be easily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21. By providing a groove shape of a certain depth, the sensor unit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seating unit 121.

또한, 덮개부(120)는 센서부(110)가 안착부(121)에 안착되는 경우,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삽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22)는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113)를 포함하며, 센서부(110)가 안착부(121)에 안착되는 경우, 센서전극부(113)는 삽입부(122)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sensor unit 110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121, the cover unit 120 may include an insertion unit 122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penetrates. The insertion unit 122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s inserted.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sensor electrode unit 113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sensor unit 110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121,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I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ortion 122.

실시예에서, 삽입부(122)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즉, 센서전극부)는 삽입부(122)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센서전극부(113)는 비교적 얇은 두께와 긴 길이를 통해 구비됨에 따라, 장치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파손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얇은 두께의 센서부(110)가 삽입되는 삽입부(122)가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어, 장치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센서전극부(113)에 인가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센서부(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ity.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e., sensor electrode unit)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unit 122. However, since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long length, it may be vulnerable to damage when an impact occurs on the device. Accordingly, the insertion part 122 into which the thin sensor part 110 is inserted is provided to have elastic force,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ensor electrode part 113 when an impact occurs in the device, and the sensor part ( 110) can prevent damage.

또한, 실시예에서, 삽입부(122)는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을 통해 보관부(200)의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2)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센서부(110)가 끼워지는 압력을 통해 보관부(200) 내부에 위치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insertion unit 122 may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storage unit 200 to the outside through pressure appli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s inserted. Specifically, since the insertion part 122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the gas located inside the storage part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essure with which the sensor part 110 is inser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22)는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122b), 관통홀(122b)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관통홀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122a) 및 센서부(110)가 삽입되는 일 방향과 대향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면돌출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a through hole 122b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passes,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2b,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It may include two incision grooves 122a and a rear protruding portion 122c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110 is inserted.

도 5을 참조하면, 관통홀(122b)은 삽입부(122)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관통홀(122b)에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즉, 센서전극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122b)의 주변부에는 절개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관통홀(122b)이 폐쇄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구조는, 복수 개의 절개홈(122a)을 의미하며, 복수 개의 절개홈(122a)을 통해 일정 압력 인가 시, 관통홀(122b)이 노출되는 구조이다.Referring to FIG. 5, the through hole 122b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insertion portion 12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ortion 110 (i.e., the sensor electro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b. It can be. In this case, a cut structure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122b, and through this, the through hole 122b can be kept in a closed state under normal circumstances. Here, the cut structure refers to a plurality of cut grooves 122a, and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 hole 122b is exposed whe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122a.

복수 개의 절개홈(122a)은 도 5와 같이, 관통홀(122b)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즉, 센서전극부)가 관통홀(122b)을 관통하고자 하는 압력에 의해 각 절개부분에 압착되어 관통홀(122b)이 형성되고, 해당 관통홀(122b)을 통해 센서전극부(113)가 관통될 수 있다. 센서전극부(113)가 관통홀(122b)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경우, 각 절개홈(122a)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센서전극부(113)를 다방향에서 밀착시킬 수 있다. 관통홀(122b)에 센서전극부(113)가 삽입되는 경우, 관통홀(122b)의 주변부에 형성된 절개구조를 통해 내, 외부 간 공기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내, 외부란, 보관부(200) 내부 공간 및 삽입부(122)의 외측 공간(즉, 개폐 부재의 외측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개 구조를 통해 평상 시에 관통홀(122b)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관통홀(122b)을 통해 센서전극부(113)가 삽입되더라도, 각 절개홈(122a)의 압착력(즉, 탄성복원력)을 통해 외부의 기체가 차단되는 구성이다. 외부 기체의 전달이 차단됨에 따라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cut grooves 122a may be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22b,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e., sensor electrode unit) may be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 Each incision is compressed by pressure to penetrate 122b, forming a through hole 122b, and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can be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provid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in multiple directions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each cut groove 122a.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b, the movement of ai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may be blocked through the cut structu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22b. Here, the inside and outside may mean the inside space of the storage unit 200 and the outside space of the insertion unit 122 (i.e., the outside sp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other words, the through hole 122b may not be exposed in normal times through the incision structure, and even i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the pressing force of each incision groove 122a (i.e.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external gas is blocked through elastic restoring force. As the transmission of external gases is blocked, the ability to mainta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internal space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서, 후면돌출부(122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돌출부(122c)는 센서부(11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돌출부(122c)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전극부(113)를 관통홀(122b)에 삽입하고자 하는 압력이 절개구조에 인가되는 경우, 후면돌출부(122c) 영역이 하부 방향으로 내려앉을 수 있다. 즉, 센서전극부(113)를 관통홀(122b)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 두께를 가진 후면돌출부(122c) 영역에 압력이 인가되어, 탄성력을 가진 삽입부(122)가 전체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다. 삽입부(122)가 하부 방향(즉 대상물 보관 방향)으로 압착됨에 따라, 보관부(200)와 개폐부재(100) 사이에 존재하던 기체가 관통홀(12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부(200) 내부 공간은 진공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밀폐력 상승과 외부의 공기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관부(200) 내에 저장된 대상물과 개폐부재(100) 사이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미생물 증식 및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r protrusion 122c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as shown in FIG. 6. The rear protrusion 122c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110 is inserted. The rear protrusion 122c may be provid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Accordingly, when pressure to insert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nto the through hole 122b is applied to the incision structure, the area of the rear protrusion 122c is It can sink downward. That is,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b, pressure is applied to the area of the rear protrusion 122c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the insertion unit 122, which has elastic force, is compressed overall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can be. As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com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e., in the object storage direction), gas existing between the storage portion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unit 200 can be maintained as a vacuum. In other words, a vacuum layer can be formed that can increase the sealing force and minimize contact with external air. In other words, the space between the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can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so the insula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bject is minimized to prevent microbial growth and decay. can be prevented.

정리하면, 삽입부(122)가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며, 관통홀(122b) 및 후면돌출부(122c)의 구성을 통해 보관부(200) 내에 저장된 대상물과 개폐부재(100) 사이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summary,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provided to have elastic force, and the space between the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through hole 122b and the rear protruding portion 122c. It can be maintained.

또한, 덮개부(120)는 탄성력을 가지며 덮개부(1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러버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러버부(123)는 보관부(200)와 개폐부재(10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러버부(123)는 패킹 소재,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러버부(1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하면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보관부(200)에 개폐부재(100)가 끼워지는 경우, 러버부(123)는 보관부(2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러버부(123)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비됨에 따라, 보관부(200)와 개폐부재(100)의 결합 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단열 성능의 향상을 통해 대상물의 유지력 즉, 보관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part 120 has elasticity and may include a rubber part 123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art 120. The rubber portion 123 may be configured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storage portion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For example, the rubber portion 123 may be provided using a packing material, rubber, or urethane material. As shown in FIG. 6, the rubber portion 123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00, the rubber unit 123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200. The rubber portion 123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 force, so that sealing force can be improved when the storage portion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are combined.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holding power of the object, that is, the storage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20)의 일면에는 일정 크기의 홈의 형상을 갖는 내측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홈(1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groove 124 having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siz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The inner groove 12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as shown in FIG. 6.

일 실시예에서, 내측홈(124)은 손잡이부(400)에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내측홈(124)은 손잡이부(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손잡이부(4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의 크기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00)가 보관부(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내측홈(124)을 통해 손잡이부(400)에 걸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식품 부산물을 대상물로써 저장함에 따라, 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을 확인하거나 또는, 대상물 중 일부를 꺼내기 위해서는, 개폐부재(100)가 보관부(200)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 경우, 분리된 개폐부재(100)를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 균이나, 이물질에 오염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내측홈(124)을 통해 분리된 개폐부재(100)를 손잡이부(400)에 거치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ner groove 124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portion 400.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inner groove 124 may be form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andle portion 400 so that the handle portion 400 can be insert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unit 200, it may be hung over the handle unit 400 through the inner groove 124. As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food by-products as objects, it may be important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For example, in order to check objects stored therein or take out some of the objec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must be separated from the storage unit 200. In this case, when the separated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is placed on the floor,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with bacteria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such contamin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separated through the inner groove 124 can be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400.

다양한 실시예에서, 덮개부(120)는 덮개부(120)의 하부면에 마운트되며, 미리 정해진 직경의 가이드홀(13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삽입부(122)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cover part 120 may include a guide part 130 that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and includes a guide hole 133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guide unit 130 may be characterized as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sertion unit 122.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30)는 덮개부(120)의 하부면에 마운트되어 구비되며, 일정 직경의 가이드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덮개부(120)와 연결되는 가이드바디(131), 가이드바디(131)에 연결되는 측면가이드부(132) 및 측면가이드부(13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the guide part 13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and may include a guide hole 133 of a certain diameter. The guide part 130 includes a guide body 131 connected to the cover part 120, a side guide part 132 connected to the guide body 131, and a guide hole 13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ide guide part 132. ) may include.

이 경우, 가이드홀(133)은 개폐부(즉,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122b)과 중심축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33)과 관통홀(122b)은 서로 정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hole 133 may share a central axis with the through hole 122b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e., the insertion portion). That is, the guide hole 133 and the through hole 122b may be provid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관통홀(122b)을 통해 삽입된 센서부(110)의 적어도 일부(즉, 센서전극부)가 가이드홀(133)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부(110)의 센서전극부(113)는 대상물에 접촉되어, 대상물에 관련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30)는 덮개부(120)를 관통한 센서전극부(113)가 대상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이동부(500)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저장 장치(1000)를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손잡이부(400)에 압력을 인가하여 저장 장치(10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저장 장치(1000)는 이동 시에도 대상물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해야하므로, 센서전극부(113)가 대상물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전극부(113)의 적어도 일부는 대상물에 삽입될 수 있다. 저장 장치(1000)의 이동 과정에서 다양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홀(122b)을 관통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통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113)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전극부(113)의 적어도 일부분은 대상물에 삽입되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충격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교적 얇은 두께와 긴 길이를 통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113)는 관통홀(122b)과 대상물을 통해 양 끝부분이 지지됨에 따라, 중간 영역이 충격이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관통홀(122b)과 대상물의 사이 영역에 가이드부(130)를 구비하여 센서전극부(11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30)는 관통홀(122b)을 관통한 센서전극부(113)가 일방향(즉, 대상물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또한, 센서전극부(113)의 중간 영역을 지지하여 이동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센서전극부(11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110 (i.e., sensor electrode unit)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may be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133. In an embodiment,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sensor unit 110 may be in contact with an object to obtain various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That is, the guide unit 130 serves to guide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penetrating the cover unit 120 so that it can contact the object. In particular,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a moving unit 500. 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he storage device 1000 in one direction by applying pressure to the handle portion 400 while tilting the storage device 1000 at a certain angle. Since the storage device 1000 must monito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in real time even when moving,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be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object. In an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be inserted into an object. Various impacts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orage device 1000,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sensor electrode portion 113, which is provided with a thin thickness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22b.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into an object, it may be more vulnerable to impact. In other word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which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long length, is supported at both ends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and the object, so the middle area may be vulnerable to impac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by providing a guide unit 130 in the area between the through hole 122b and the object. That is, the guide unit 130 guide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that has penetrated the through hole 122b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 one direction (i.e., toward the object), and also guides the middle area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t supports and protect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from impacts that occur when moving.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대상물은 습기를 머금고 있는 식품 부산물에 관련한 것임에 따라, 센서전극부(113)가 해당 대상물에 삽입되었다가 분리되는 경우, 센서전극부(113)의 외면에 대상물이 흡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관 과정에서 대상물이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대상물의 일부가 녹아 센서전극부(113)에 잔여물로써 잔존하게 된다. 센서전극부(113)의 표면에 이러한 잔여물이 쌓이는 경우, 지속적인 저장 장치(1000)의 활용과정에서 대상물에 관련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획득에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전극부(113)의 표면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표면에 붙은 대상물이 제거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가이드부(130)는 센서전극부(113)가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센서전극부(113)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가이드부(130)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전극부(113)가 꺼내지는 경우, 관통홀(122b) 주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센서전극부(113)와 삽입부(122) 간의 흡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내부 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열차단 특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상물과 관통홀(122b) 사이 영역에 가이드부(130)를 구비함으로써, 관통홀(122b)로 딸려올라가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의 고장과 관통홀(122b)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장치의 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food by-products containing moisture,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into the object and then separated, the object is adsorb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There may be. Additionally, as the object is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during the storage process, part of the object melts and remains as residue i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f such residue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errors may occur in obtaining real-time moni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during use of the continuous storage device 1000.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ust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In particular,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on from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hat the object adhering to the surface is removed. The guide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separated from the object. I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taken out without the guide unit 130 present, foreign matter may accumulate around the through hole (122b), through whic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the insertion unit ( 122)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liver may decrease. This may maintain the internal space as a vacuum or deteriorate the heat-insulating properties. Accordingly, by providing the guide portion 130 in the area between the object and the through hole 122b, foreign substances flowing up into the through hole 122b can be filtered. Accordingly, failure of the sensor and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through hole 122b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보관부(200)에 저장된 대상물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대상물에 관련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10)는 대상물의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온도 센서 모듈 및 습도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물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모듈(예컨대, 이물 균 감지를 위한 열 화상 모듈, 압력 센서, 가스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The sensor unit 11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 modules to obtain various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be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to obtain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n obj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 modules for detecting the environment of the object (eg, a thermal imaging module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pressure sensors, gas sensors, etc.).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10)는 센서바디부(111), 디스플레이부(112), 조명부(114), 센서전극부(113)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sensor body unit 111, a display unit 112, a lighting unit 114, a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a control unit.

센서바디부(111)는, 센서부(110)의 전체적인 외관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바디부(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2), 조명부(114), 센서전극부(113) 및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body unit 111 can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ensor unit 110. This sensor body unit 11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12, a lighting unit 114, a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a control unit.

디스플레이부(112)는 센서바디부(111)의 일면에 구비되어 센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표시된 정보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센서부(11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2)는 센서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2)가 센서부(110)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된 정보를 센서부(110)의 위치와 관계없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2)에는 대상물에 관련한 다양한 환경 정보(예컨대, 보관 개시 시점, 현재 보관 온도, 현재 보관 습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된 기간에 관한 정보, 대상물의 각 영역 별 현재 온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isplay unit 11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ody unit 111 and can display sensing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displayed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2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nsor unit 110. That is, the display unit 112 can be separated from and combined with the sensor unit 110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2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ensor unit 110. The display unit 112 may display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eg, storage start time, current storage temperature, current storage humidity, etc.). For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display unit 112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period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emperature for each area of the objec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부(1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2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부(112)는 센서부(1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12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ype of the sensor unit 110. In this case, in the sensor unit 11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arranged integrally on one side, or may be arranged on different sides.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2)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2)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2)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터치센서는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다양한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unit 112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12 so that control commands can be input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12, the touch sensor can detect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can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is.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instructions in various modes, or designable menu items.

조명부(114)는 센서바디부(111)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바디부(111)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114)는 센서바디부(111)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센서부(110)가 덮개부(1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경우, 센서바디부(111)의 하부에서 덮개부(120)의 상부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것이 아닌, 덮개부 상부면을 통해 은은한 광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간접적인 조명 표시 방법을 통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lighting unit 114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ensor body unit 111 to provide light. Specifically, the lighting unit 1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unit 111, as shown in FIG. 8. The lighting unit 11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unit 111, and accordingly, when the sensor unit 1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20,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unit 111. Light is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120. In other words, rather than emitting light directly to the user, soft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aesthetics through an indirect lighting display method.

조명부(114)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어서, LED의 점멸을 통하여 저장 장치(1000) 동작 상태 또는 대상물의 저장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ghting unit 114 may include, for example, an LED (Light Emission Diode), all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rage device 1000 or the storage state of an object to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blinking of the LED.

실시예에서, 조명부(114)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인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획득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조명부(114)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대상물에 대응하여 획득한 온도 센싱 정보가 해당 대상물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조명부(114)를 통해 붉은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대상물에 대응하여 획득한 온도 센싱 정보가 해당 대상물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명부(114)를 통해 초록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대상물의 온도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임계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조명부(114)를 통해 주황색 조명이 1초 간격으로 반복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조명부의 점등 색상 및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114 may be characterized as providing visual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may turn on the lighting unit 114 in different ways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For a specific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in response to an object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reshol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he sensor unit 110 displays a red light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The light can be turned on.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in response to an object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hreshol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he sensor unit 110 emits a green color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The light can be turned on.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object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threshold change rate, the sensor unit 110 turns on the orange light repeatedly at 1 second intervals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You ma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ghting color and method of the lighting unit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센서부(110)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획득되어지는 센싱 정보들과 각 센싱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임계값에 따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패턴의 점등 방식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대상물의 보관 환경에 관련한 시각적인 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명부(114)를 통해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통해 대상물에 관련한 다양한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저장 장치(1000)에 저장된 대상물을 입고 처리할지 또는 폐기 처리할지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명부(114)에 붉은색 색상이 점등된 것을 확인하여, 저장 장치(1000)에 저장된 대상물을 폐기시킬 수 있다. 즉, 조명부(114)를 통해 표시된 시각적 정보를 통해 대상물의 보관 온도가 설정된 임계 보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을 식별하여 해당 대상물을 업사이클링에 활용하지 않고 폐기시킬 수 있다. 전술한 조명부의 색상 및 대상물의 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at is, the sensor unit 110 provides lighting methods of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the reference threshold corresponding to each sensing information, allowing the user to store the object. It can provide visual cognit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vironment. For example, the user can receive a variety of objects related to the object through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and accordingly, decide whether to receive and process or dispose of the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00. You can. For a specific example, the user can discard the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00 by confirming that the red color is turned on in the lighting unit 114. That is, through visual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storage temperature of an object has fallen below a set critical storage temperature and discard the object without using it for upcycl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object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전극부(113)는 센서바디부(11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리 정해진 길이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센서전극부(113)는 대상물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대상물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탐침형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전극부(113)는 온도 센서 모듈 및 습도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물의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 정보는, 대상물의 영역 별로 세분화되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unit 111 and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include a probe-type sensor module that acquires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by being inserted into the object. In an embodiment,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and thus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object. In one embodiment, sensin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subdividing each area of the object.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센서전극부(113)는 멀티 센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센싱이란, 일 시점에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센서전극부(113)는 대상물의 중심부 영역, 측면 영역 및 표면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as capable of multi-sensing. Here, multi-sensing may mean acquiring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t one point in time. For example,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areas such as the center area, side area, and surface area of the object.

구체적으로, 센서전극부(113)는 길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인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습도 및 온도에 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acquir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about humidity and temperature based on a plurality of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length region.

자세히 설명하면, 센서전극부(113)는 복수 개의 포인트 별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센서전극부(113)가 대상물에 삽입되는 경우, 대상물의 다양한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센싱 정보가 획득되어진다. 본 발명의 센서전극부(113)가 대상물의 다양한 영역에 대응하는 멀티 센싱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은, 대상물의 보관이 적정한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대상물은 맥주 또는 식혜 생성 과정에서 획득되어지는 식품 부산물(예컨대, 맥아)일 수 있다. 이러한 맥아의 경우, 수분함량이 높으며, 발효과정에서 획득되어지는 잔여물임에 따라, 미생물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저장 수명이 길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부산물로 획득되어지는 맥아의 초기 온도는 약 75℃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대상물의 온도가 보관 및 이송 과정에서 기준 임계값(예컨대, 60℃)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질 수 있으므로, 해당 기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해당 대상물을 폐기처리하여야 한다.In detail,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provided to obtain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so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inserted into an object,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various areas of the object. is obtained. The reason why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to perform multi-sensing corresponding to various areas of the object is to more accurately evaluate whether the storage of the object is appropriat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by-product (eg, malt) obtained during the production of beer or sikhye. In the case of such malt,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and as it is a residue obtain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icrobial growth and the storage life may not be long. For a specific example, the initial temperature of malt obtained as a by-product may be about 75°C. However, if the temperature of such an object falls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e.g., 60°C)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microbial growth may become active, so if it falls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the object must be disposed of. do.

한편, 이러한 대상물은 영역 별로 온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된 대상물은 표면부터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으며, 바깥 표면 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의 측정 온도는 70℃로 적정한 보관 온도일 수 있으나, 표면은 59℃로 적정한 보관 온도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 시점에 대응하여 각 영역의 온도를 세분화하여 센싱하고, 센싱된 복수 개의 센싱 정보를 활용하여 대상물의 보관 적정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se objects may have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area. For example, because the temperature of a stored object drops from the surface, the temperature may be higher toward the center area and lower toward the outer surface. For example,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center may be 70°C, which is an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but the surface may be 59°C, which is not an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each area in detail at the same time and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storage suitability of the object by utilizing a plurality of sensed information.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획득된 복수 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각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0 may specify each area based on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복수 개의 센싱 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 가장 높은 온도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부 영역으로 특정하고, 그리고 가장 낮은 온도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면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ensor unit 110 may perform a comparison between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temperature is specified as the central area,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st temperature is designated as the surface area. It can be specified as: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표면 영역의 온도와 기준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보관 적정성을 판별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표면 영역의 온도가 기준 임계값 미만인 경우, 해당 시점에서 대상물의 보관이 적정하지 않은것으로 판단하고, 그리고 표면 영역의 온도가 기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시점에서 대상물의 보관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0 may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storage of an object based on comparison of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area and a reference threshold. If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area is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the sensor unit 110 determines that storage of the object at that point is not appropriate,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area is above the standard threshold, storage of the object is not appropriate at that point in time. It can be judged to be appropriate.

즉,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포인트 별로 센싱을 수행하는 멀티 센싱 기능을 가진 센서전극부(113)를 구비함으로써, 대상물의 각 영역 별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각 영역 별 측정된 온도에 기반하여 현재 대상물의 보관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공간 내의 평균 온도, 또는 특정 영역의 온도를 단순히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보관 적정성을 판별하는 경우, 판별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평균 온도나, 중심부 영역의 온도는 기준 임계값 이상일 수 있으나, 표면 영역의 온도가 기준 임계값 미만으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미생물 증식 환경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대상물을 보다 정확하게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대상물 중 일부라도 균이 증식하는 경우, 해당 대상물을 통해 생성되는 업사이클링의 제품(예컨대, 대체밀가루)은 사용자의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상품으로써 가치를 잃기 때문에, 인적 또는 물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센싱을 수행하는 센서전극부를 활용하여, 다양한 영역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미생물 증식 또는 균 발생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each area of the object by providing a sensor electrode unit 113 with a multi-sensing function that performs sens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and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for each area, the curr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age of the object is appropriate. For example, if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or the temperature of a specific area is simply measured and storage suitability is determined based on this,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may be reduced. The average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area may be above the standard threshold, but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area may be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which may be an environment in which microorganisms can proliferate. In other words,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manage objects more accurately by more clearly understanding the microbial growth environment. For example, if even part of the object grows bacteria, the upcycled product (e.g., alternative flour) produced through the object may be fatal to the user's health and loses its value as a product, causing enormous human or material damage. can occu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various areas by utilizing a sensor electrode unit that performs multi-sensing, and by using this, the possibility of microbial growth or fungus development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10)는 센서부(11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센서부(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들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적정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sensor unit 110. The control unit can typically proces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110. The control unit can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or user terminal by processing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센서전극부(113)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2) 및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lighting unit 114 based on the gene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포인트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표면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표면 센싱 정보가 기준 임계치 미만이 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폐기에 관련한 폐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acquires surface sensing information of an object based on comparison between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and obtains disposal information related to disposal of the object based on the point in time when the surface sensing information becomes less than a reference threshold. It can be characterized as generating.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대상물의 복수 개의 영역에 관련한 복수 개의 센싱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표면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센싱 정보 간의 비교 결과 가장 높은 온도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부 영역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가장 낮은 온도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표면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즉, 표면 센싱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폐기에 관련한 폐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대상물은 맥아일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준 임계치는 60℃일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표면 센싱 정보가 60℃ 미만인 경우, 대상물의 보관에 적정한 온도가 아니므로, 대상물을 폐기하라는 폐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14)는 해당 폐기 정보에 기초하여 붉은색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obtain surface sensing informat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areas of the object. For a specific example,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a plurality of pieces of sensing informatio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as the central area,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st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as the surface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disposal information related to disposal of the object based on whether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area (i.e., surface sensing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reshold. In an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lt,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hreshold may be 60°C. That is, if the surface sensing information is less than 60°C,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disposal information to discard the object because the temperature is not appropriate for storage of the object. 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114 may turn on a red light based on the corresponding disposal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임계값은, 대상물의 종류, 대상물의 용량 및 습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보관된 대상물에 대응하는 대상물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대상물의 용량 정보 및 습도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초기 임계값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서 기준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threshold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capacity and humidity of the objec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an set the initial threshold based on object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object, and determine the reference threshold by assigning weight to the initial threshold based on the object's capacity information and humidity sensing information. there is.

예를 들어, 제어부는 대상물이 맥아임을 식별하여 초기 임계값을 6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용량이 커질수록 초기 임계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준 임계값을 62℃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는 대상물이 맥아임을 식별하여 초기 임계값을 6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습도가 기준 습도(예컨대, 50%) 미만인 것을 식별하여 초기 임계값에 역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준 임계값을 58℃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초기 임계값을 설정하고, 대상물의 용량별 및 습도별로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기준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보관 적정성 판정에 기준이 되는 기준 임계값을 여러 변수들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산정함으로써, 보관 적정성의 판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대상물의 용량, 습도 및 그에 따른 기준 임계값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dentify the object as malt and set the initial threshold to 60°C. Her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to be 62°C by assigning weight to the initial threshold value as the capacity increase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dentify the object as malt and set the initial threshold to 60°C. Here, the control unit may identify that the humidity is less than the reference humidity (eg, 50%) and determine the reference threshold as 58°C by assigning an inverse weight to the initial threshol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reference threshold by setting different initial thresholds 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and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each volume and humidity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accuracy of determining storage adequacy can be improved by more accurately calculating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storage adequacy using various variables. The specific numerical description of the capacity, humidity, and corresponding reference threshold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센싱 정보 각각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표면 영역 및 중심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순히 일 시점에 측정된 각 영역의 센싱 정보를 통해 중심부 및 표면 영역을 특정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대상물이 보관부(200)에 투입된 직후에는 중심부와 표면의 온도 차이가 얼마 나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표면의 온도가 높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영역 별 온도는 일정 시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중심부와 표면 영역의 특정에 오류가 발생하며, 획득되어지는 표면 센싱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표면 센싱 정보가 정확하게 획득되지 않는 경우, 결과적으로 보관 적정성 판단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urface area and the central area based on the change r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center and surface areas are simply specified through sensing information of each area measured at one point in time, there is a risk of errors occurring. For a specific example, immediately after an object is put into the storage unit 200,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face may be small,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may actually be high.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for each region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is situation, errors may occu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center and surface areas, and the obtained surface sensing information may be inaccurate. If surface sensing information is not accurately obtained, accuracy in the storage suitability judgment process will eventually decrease.

본 발명은, 각 영역 별 온도 변화율에 기초하여 표면 영역과 중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온도 변화율이 클수록 표면 영역에 가까운 것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온도 변화율이 작을수록 중심부 영역에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가장 큰 온도 변화율을 보이는 영역을 표면 영역으로 결정하고, 가장 작은 온도 변화율을 보이는 영역을 중심부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면 및 중심부 영역을 결정하는 경우, 대상물을 보관부(200)에 투입 후 일정 시간동안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방지됨에 따라 보관 적정성 판별에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surface area and center area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rate for each area. Specifically,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greater the temperature change rate, the closer to the surface area, and the smaller the temperature change rate, the closer to the center area. That is, the area showing the largest temperature change rate can be determined as the surface area, and the area showing the smallest temperature change rate can be determined as the central area. When the surface and central areas are determined in this way, errors that may occu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00 are prevented, and thus accuracy in determining storage sui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각 포인트 별 습도 및 온도에 관한 센싱 정보 및 시점 별 각 센싱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폐기 시점에 관련한 폐기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폐기 예측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osal point of the objec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about humidity and temperature for each point and the amount of change in each sensing information at each point, and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You can.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점 별 표면 센싱 정보와 기준 임계값에 기초하여 예측 기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예측 기준 정보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폐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prediction 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surface sensing information and a reference threshold for each predetermined time point.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discard predi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hange rate of prediction reference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대상물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대상물의 표면 센싱 정보와 기준 임계값은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즉, 표면 센싱 정보와 임계값의 차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시점에는 표면 온도가 68℃였으나, 제1시점 이후 제2시점에는 표면 온도가 65℃로, 기준 임계값(예컨대, 60℃)과 점점 가까워질 수 있다. 표면 센싱 정보와 기준 임계값의 차이 값(즉, 예측 기준 정보)에 대한 변화율이 크다는 것은 식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decreases over time, the surface sensing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reference threshold may become closer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between surfa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threshold may gradually become smaller. For example, the surface temperature was 68°C at the first time point, but at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first time point, the surface temperature may be 65°C, gradually getting closer to the reference threshold (eg, 60°C). A large rate of change in the difference between surfa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hreshold (i.e., prediction reference information) may mean that the cooling speed is fast.

제어부는 예측 기준 정보의 변화율 통해 대상물의 표면 온도가 기준 임계값에 도달하는 시간(즉, 표면 센싱 정보가 기준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시점)을 예측하여 폐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현재 시점까지의 온도가 떨어지는 변화율을 고려하여 24시간 후에는 대상물에 대한 폐기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폐기 예측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폐기 예측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rol unit can generate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by predicting the time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object reaches the reference threshold (i.e., the time when the surface sensing information falls below the reference threshold) through the change rate of the prediction reference informa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isposal of the object must be performed after 24 hours may be generated considering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up to the current point. The detailed numerical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disposal prediction tim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는 생성된 폐기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대상물의 이송 및 보관에 적정한 시간을 확인하여 입고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각 저장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폐기 예측 정보를 통해 각 저장 장치에 저장된 대상물의 입고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대상물을 관리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display the generated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user can check this to confirm the appropriate time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the object and determine the time of receipt. In other words, the arrival time of objects stored in each storage devic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isposal predic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each storage devi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managing multiple objects.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부(110)는 센서바디부(11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센서전극부(11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센서부(110)와 덮개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덮개부(120)의 일면에 지지되어 압축되는 차단막(113a)을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ensor unit 110 is provid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unit 111, and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the sensor unit 110 and the cover unit 120 ) When combined, it may include a blocking film 113a that is supported and compres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차단막(113a)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전극부(113)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13a)은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평상 시에 센서전극부(11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센서전극부(113)는 멀티 센싱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일정 길이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서전극부(113)는 저장 장치(1000)의 내, 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통해 구비되어 관통홀(122b)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센서전극부(113)는 얇고 긴 길이를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파손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110)가 덮개부(120)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전극부(11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작은 충격에도 파손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탄성 소재의 차단막(113a)을 센서전극부(1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하여 평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단막(113a)을 보호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113a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s shown in (a) of FIG. 10. In one embodiment, the blocking film 113a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ity and serves to protect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n normal times. A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erform multi-sensing, it can be provided over a certain length. In additio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provided with a thin thickness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b 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ai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device 1000. That is,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in and long, and may be vulnerable to damage due to impact. In particular, when the sensor unit 110 is not coupled to the cover unit 120,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 risk that it may be damaged even by a small impact. Accordingly, the blocking film 113a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so that the blocking film 113a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s that may occur in normal times.

또한, 이러한 차단막(113a)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가 덮개부(120)에 안착되는 경우(즉, 센서전극부가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 덮개부(120)의 일면 즉, 관통홀(122b)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압축될 수 있다. 차단막(113a)이 압축된 형태로 센서바디부(111)와 덮개부(120)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관통홀(122b)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기체를 차단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차단막(113a)의 기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0, the blocking film 113a is formed when the sensor unit 110 is seated on the cover unit 120 (i.e.,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t may be supported and compres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2b. When the blocking film 113a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nsor body 111 and the cover 120 in a compressed form, gas that may flow in through the through hole 122b can be blocked. In other words, it serves to block the movement of gas in the blocking film 113a so that the interior can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즉, 차단막(113a)은 평소에는 센서전극부(113)의 외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센서전극부(113)가 관통홀(122b)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압축된 형태로 통공된 부분(즉, 관통홀)을 감싸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단막(113a)을 활용한 밀폐력 향상을 통해 외부의 공기접촉이 최소화되며, 이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미생물 증식 및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blocking film 113a normally serves to protect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and when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22b, the through hole 122b is formed in a compressed form. The sealing force can be improved by wrapping the part (i.e., through hole). By improving the sealing ability using the barrier film 113a, contact with external air is minimized, and through this,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ly, microbial growth and decay can be prevented by minimizing temperature changes in objects stored therein.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범위 내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저장 공간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임계 범위가 62℃~65℃이나, 대상물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센싱된 표면 온도가 60℃인 경우, 저장 공간을 가열하여 대상물의 보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대상물의 저장 환경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device 1000 may perform an environmental control oper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1000 may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based on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measured in real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critical range is 62°C to 65°C, but the surface temperature sensed in r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s 60°C, the storage space can be heated to increas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objec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hanges in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1000)가 대상물의 저장 환경에 대응하여 환경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조명부(114)를 통해 이를 인지시키기 위한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1000)를 통해 보관 환경에 대응하여 가열(즉, 온도 상승)이 수행된 경우, 조명부(114)에 붉은색 조명(예컨대, 가열에 관련한 색상)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저장 장치(1000)를 통해 보관 환경에 대응하여 냉각(즉, 온도 저하)이 수행된 경우, 조명부(114)에 파란색 조명(예컨대 냉각에 관련한 색상)이 점등될 수 있다. 전술한 조명 색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when the storage device 1000 performs an environment control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storage environment of an object, visual information for recogni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For example, when heating (i.e., temperature rise) is perform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1000 in response to the storage environment, a red light (e.g., a color related to heating) may be turned on in the lighting unit 114. Additionally, for example, when cooling (i.e., temperature redu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1000 in response to the storage environment, blue lighting (e.g., a color related to cooling) may be turned on in the lighting unit 114.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ghting colors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대상물을 최적의 보관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환경 제어 동작들이 저장 장치(1000)를 통해 자동화될 수 있으며, 이를 조명부(1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인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at is, environmental control operations for storing objects in optimal storage conditions can be automa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1000, and visual recogni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lighting unit 114,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t can b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1000)는 보관부(2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 및 냉각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장치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energy to the storage unit 200. Additionally, the storag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that cools the storage unit 200. The he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serve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device as described above.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저장 장치(1000)는 온도 뿐만 아니라, 대상물의 저장 환경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1000)는 저장 공간의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습수단 및 제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al embodiments, the storag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means for adjusting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object as well as th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humidifying means and a dehumidifying means for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2)는 덮개부(120)의 상부면이 아닌 사선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부(110a)는 덮개부(120)의 사선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센서전극부(113)는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에 대하여 비스듬한 사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전극부(113)의 길이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포인트 중 가장 끝단(즉, 센서바디부에서 가장 먼 끝단)은 중심부 영역에 관련한 온도를 센싱하며, 센서바디부(111)로 가까워질수록 표면 영역에 가까운 온도를 센싱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insertion portion 122 may be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and accordingly, the sensor portion 110a Can be coupl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120. The sensor electrode unit 113 may be inserted in a diagonal direction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bject stored therein. In this case, the end of the plurality of poin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rea of the sensor electrode part 113 (i.e., the end furthest from the sensor body part) senses the temperature related to the central area and is close to the sensor body part 111.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temperature closer to the surface area is sensed.

즉, 센서부(110a)는 덮개부(120)의 사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포인트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부는 보관부(200)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센서부는 보관부(200)의 수평 방향으로도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센서부의 다양한 결합 방향에 따라 대상물의 다양한 영역에 관련한 센싱 정보들의 획득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sensor unit 110a may be inser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over unit 120 to measure parameters for a plurality of point areas. In other words, the sensor unit may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200 not only in a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a diagonal direction.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be coupl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areas of the object according to various coupling directions of the sensor uni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Can be represent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presented is an example of illustrative approach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design priorities.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0: 저장 장치
100: 개폐 부재
110: 센서부
111: 센서바디부
112: 디스플레이부
113: 센서전극부
113a: 차단막
114: 조명부
120: 덮개부
121: 안착부
122: 삽입부
122a: 절개홈
122b: 관통홀
122c: 후면돌출부
123: 러버부
124: 내측홈
130: 가이드부
131: 가이드바디
132: 측면가이드부
133: 가이드홀
200: 보관부
200a: 내벽
200b: 외벽
210: 단열층
220: 압착부
221: 압착홀
222: 밀봉부
300: 체결부
400: 손잡이부
410: 제1손잡이부
420: 제2손잡이부
500: 이동부
1000: storage device
10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0: sensor unit
111: Sensor body part
112: display unit
113: Sensor electrode unit
113a: barrier
114: lighting unit
120: cover part
121: Seating part
122: Insertion part
122a: Cut groove
122b: Through hole
122c: rear protrusion
123: Rubber part
124: inner groove
130: Guide unit
131: Guide body
132: Side guide part
133: Guide hole
200: storage unit
200a: inner wall
200b: exterior wall
210: insulation layer
220: Compression part
221: Compression hole
222: sealing part
300: fastening part
400: handle part
410: First handle part
420: Second handle part
500: moving part

Claims (5)

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보관부와 상기 개폐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보관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관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보관부에 저장된 대상물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안착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삽입부;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러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센서바디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리 정해진 길이를 통해 구비되는 센서전극부;
상기 센서전극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센서전극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단막; 을 포함하는,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
a storage unit forming an internal space where objects are store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A fastening part that fastens the storage pa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and
A mov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cover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portion; and
A sensor unit that acquire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cover part,
A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an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ortion penetrates when the sensor portion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 rubber portion having elastic force and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ortion; Includes,
The sensor unit,
Sensor body part;
A displa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ody unit to display the sensing information;
a lighting unit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ensor body unit;
A sensor electrode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unit and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length;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electrode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 blocking film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and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nsor electrode; Including,
A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reten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 마운트되며, 미리 정해진 직경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ver part,
a guide portion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including a guide ho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It further includes,
The guide part,
Characterized in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sertion unit,
A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reten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을 통해 상기 보관부의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ser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hrough a material with elastic force, and the gas inside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pressure appli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is inserted.
A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reten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 및
상기 센서부가 삽입되는 일 방향과 대향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면돌출부;
를 포함하는,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insertion par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unit passes;
a plurality of cut groove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rear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is inserted;
Including,
A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reten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보관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보관부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관부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온도유지력을 갖는 대상물 저장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dle part,
A first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 second hand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is provided to be extendable from the storage portion,
A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retention.

KR1020230153342A 2023-01-31 2023-11-08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KR102620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342A KR102620267B1 (en) 2023-01-31 2023-11-08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255A KR102602098B1 (en) 2023-01-31 2023-01-31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KR1020230153342A KR102620267B1 (en) 2023-01-31 2023-11-08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255A Division KR102602098B1 (en) 2023-01-31 2023-01-31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67B1 true KR102620267B1 (en) 2024-01-04

Family

ID=889645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255A KR102602098B1 (en) 2023-01-31 2023-01-31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KR1020230153342A KR102620267B1 (en) 2023-01-31 2023-11-08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255A KR102602098B1 (en) 2023-01-31 2023-01-31 Storage devi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obj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209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48A (en)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KR20170027945A (en) * 2015-09-03 2017-03-13 김수 A Storing Cover for a Cooking Container
KR101733069B1 (en) * 2016-04-20 2017-05-08 (주)한일오닉스 Airtight container assembly
KR102164737B1 (en) * 2020-05-13 2020-10-13 이춘화 Delivery product monitoring system using delivery box for delivery product monitoring
KR102336265B1 (en) * 2020-06-22 2021-12-06 김병수 Contaminant intrusion prevention type mobile carrier
KR102336992B1 (en) * 2021-05-11 2021-12-09 주식회사 테넷 Cold chain cooling box fand cold chai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72B1 (en) * 2012-02-08 2013-12-04 (주)씨에스이 Check valve for vacuum packing envelope
JP2014178106A (en) * 2013-02-18 2014-09-25 Cbc Est Co Ltd Temperature-controlled conveyance box
KR101804542B1 (en) * 2017-09-29 2017-12-05 주식회사 바이오힐 Transport Storage Case for Medicine and Transpor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48A (en)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KR20170027945A (en) * 2015-09-03 2017-03-13 김수 A Storing Cover for a Cooking Container
KR101733069B1 (en) * 2016-04-20 2017-05-08 (주)한일오닉스 Airtight container assembly
KR102164737B1 (en) * 2020-05-13 2020-10-13 이춘화 Delivery product monitoring system using delivery box for delivery product monitoring
KR102336265B1 (en) * 2020-06-22 2021-12-06 김병수 Contaminant intrusion prevention type mobile carrier
KR102336992B1 (en) * 2021-05-11 2021-12-09 주식회사 테넷 Cold chain cooling box fand cold chai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098B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0223B (en) Temperature management transport case
KR102620267B1 (en) Object storage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maintenance
KR102602097B1 (en)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 object
US20130011905A1 (en) Incubato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it
CN109850384B (en) Cold chain conveyer with real-time measurement control
CN107067211A (en) A kind of Cold Chain Logistics system
JP4190898B2 (en) Transport container for cell tissue medical devices
US11092509B1 (en) Container content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EP3445410B1 (en) Sterilization indicator
CN205274206U (en) Agricultural product logistics distribution insulation can
CN205686870U (en) A kind of food inspection test tube box
Corbo et al. Estimating packaging atmosphere–temperature effects on the shelf life of cod fillets
JP2021164480A (en) Prepared plated media product
CN204236986U (en) Blood of human body sample low temperature transport box
CN110030792A (en) A kind of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206748382U (en) A kind of material storing unit
GB256362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rmally insulated packaging
CN201709303U (en) Portable preservation device
CN208395192U (en) A kind of refrigerating box for bioengineering
CN205708098U (en) A kind of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holding vessel
CN215555095U (en) Lactobacillus sample storage box capable of keeping activity
CN206940859U (en) It is easy to the cdna sample stocking system of management
FR2605016A1 (en) Modular assembly for the handling of cell cultures in sterile medium
CN112141536A (en) Insulation can that possesses temperature regulation and control
CN220865970U (en) Infant complementary food sample reserving and s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