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20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01B1
KR102620201B1 KR1020230106248A KR20230106248A KR102620201B1 KR 102620201 B1 KR102620201 B1 KR 102620201B1 KR 1020230106248 A KR1020230106248 A KR 1020230106248A KR 20230106248 A KR20230106248 A KR 20230106248A KR 102620201 B1 KR102620201 B1 KR 10262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eams
module
dispos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523A (ko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빔, 및 복수의 빔 중 일부에 배치되고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유기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표시 장치 중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두루마리처럼 감을 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하우징 모듈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은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음향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빔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후면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복수의 빔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빔, 및 복수의 빔 중 일부에 배치되고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구조물에 배치되고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음향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빔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후면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빔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우징 모듈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 영역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널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 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 및 제1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d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 및 제2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2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2 빔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2 빔, 진동 발생 장치 및 제2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 영역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절단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절단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표시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전계 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우징 모듈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 영역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널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하우징 모듈(300), 복수의 빔(400), 롤링 모듈(500), 진동 발생 장치(600), 및 중량 부재(7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조물(530)이 접히면 와인딩(winding)되고, 구조물(530)이 펼쳐지면 언와인딩(unwind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물(530)은 롤러(350)가 정회전하면 접히고, 롤러(350)가 역회전하면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롤링 모듈(500)은 롤러(350)와 연결되어, 롤러(35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평평하거나 플랫(flat)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링 모듈(500)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 모듈(300)의 내부로 와인딩(또는 인입)되거나 하우징 모듈(300)로부터 언와인딩(또는 인출)되어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표시 영역(AA)의 전체가 평면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2차원 형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평면 형태로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 발생 장치(60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 발생 장치(6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SW)을 출력하는 패널 스피커(또는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은 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진동 발생 장치(6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 장치(6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 영역은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 진동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음역대의 음향(SW)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110)은 표시 영역(AA), 비표시 영역(NA) 및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영역(AA)은 픽셀 어레이층 및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층은 어레이 기판(1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 각각은 픽셀 구동 회로 및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구동 회로는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반으로 자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픽셀 구동 회로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류를 자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발광 소자는 픽셀 구동 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에 비례하는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유기 발광 소자층, 양자점 발광 소자층, 또는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픽셀 각각은 어레이 기판(110)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 발광(Top Emission)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보호층은 픽셀 어레이층을 둘러싸도록 어레이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층은 자발광 소자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무기막을 뚫고 자발광 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봉지층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어레이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패드부는 비표시 영역(NA)의 제1 비표시 영역에 마련되고,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표시 영역은 비표시 영역(NA)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어레이 기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봉지 기판(130)은 화소 어레이 기판(110)의 제1 비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어레이 기판(110)의 전면(前面)을 덮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봉지 기판(130)은 접착제 또는 충진제를 매개로 어레이 기판(11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 기판(130)은 산소 또는 수분이 자발광 소자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 기판(130)은 산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휘어질 수 있도록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 연결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 연결부(13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또는 제4 비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롤러 연결부(135)는 하우징 모듈(300)의 롤러(3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은 롤러 연결부(135)를 통해 롤러(350)의 롤링부(3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연결부(13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가 평면 형태로 펼쳐질 때, 표시 영역(DA)의 하측이 하우징 모듈(3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 연결부(135)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에 연결되고, 롤러 연결부(135)의 타측은 롤러(3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가 평면 형태로 펼쳐진 경우, 롤러 연결부(135)의 일측은 하우징 모듈(300)의 패널 출입구(371) 내에 위치하거나 패널 출입구(37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롤러 연결부(13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에 부착된 일측과 롤러(350)에 부착된 타측을 갖는 플렉서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의 길이는 하우징 모듈(300)의 패널 출입구(371)와 롤링부(351) 사이의 길이와 같거나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롤러 연결부(135)는 롤러(350)에 부착되도록 봉지 기판(13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는 패널 출입구(371)와 롤링부(351) 사이의 길이와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도록 봉지 기판(13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구동부(20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인쇄 회로 기판(230), 제어 보드(240), 신호 케이블(250), 및 타이밍 컨트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어레이 기판(110)의 패드부와 인쇄 회로 기판(230) 사이에 부착될 수 있으며,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에 실장되어 연성 회로 필름(210)을 통해 패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는 제어 보드(240)로부터 공급되는 픽셀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픽셀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패드부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30)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30)은 각 픽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 보드(24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와 구동 전원을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및 게이트 구동 회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전송 배선과 각종 전원 배선이 인쇄 회로 기판(2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230)은 연성 회로 필름(210)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보드(240)는 신호 케이블(250)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2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보드(240)는 타이밍 제어 회로(260),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 등을 실장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6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호스트 시스템(또는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26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게이트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및 게이트 구동 회로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 회로(260)는 집적 회로 또는 반도체 칩으로 구현되어 제어 보드(240) 또는 인쇄 회로 기판(230)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패널 구동부(200)는 어레이 기판(110) 상에 마련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 회로는 어레이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A)에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 회로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어레이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 회로는 어레이 기판(110)의 제2 비표시 영역 및 제3 비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표시 영역은 제1 비표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어레이 기판(110)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할 수 있고, 제3 비표시 영역은 제2 비표시 영역과 나란한 어레이 기판(110)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모듈(300)은 표시 장치의 본체 케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모듈(300)은 롤링 모듈(500)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 모듈(300)은 하우징 플레이트(310),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롤러(350), 및 하우징 커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10)는 하우징 모듈(300)의 바닥에 배치되어 롤링 모듈(5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하우징 플레이트(310)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롤러(3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X)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로 길이 방향(또는 장변 길이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롤러(350)는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롤링 모듈(500)의 구동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롤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에 연결된 롤링부(351), 및 롤링부(351)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축(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링부(351)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 축(353) 각각은 베어링(355), 예를 들면,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을 통해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350)는 롤링부(351)의 내부 또는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에 배치된 나선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의 일단은 롤러 축(353)에 고정되고, 나선형 스프링의 타단은 롤링부(35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언와인딩될 때 압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압축 복원력에 따른 회전력을 롤링부(351)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될 때 롤링 모듈(500)의 로드(load)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나선형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롤링부(351)의 외주면을 따라 와인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70)는 하우징 플레이트(310)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및 롤러(350)를 덮음으로써 하우징 플레이트(310),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및 롤러(35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7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출입하는 패널 출입구(37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과 수직한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X)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로 길이 방향(또는 장변 길이 방향)에 해당하고, 제2 방향(Y)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세로 길이 방향(또는 단변 길이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빔(400)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되기 때문에, 복수의 빔(400)이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400)은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인접한 복수의 빔(40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도록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복수의 빔(400)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빔(40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어 인접한 복수의 빔(400)이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빔(400)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별도의 후면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만일, 표시 장치가 강성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후면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후면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와인딩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빔(400)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빔(400)이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400)은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강성이 높으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빔(400)은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빔(400)은 마그네슘(Mg) 합금 물질,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물질, 및 알루미늄(Al) 합금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마그네슘 합금 물질은 알루미늄, 아연(Zn), 및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빔(400)은 금속 재료 중 최경량 재료에 해당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강성(강도/비중)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빔(400)은 복수의 제1 빔(410) 및 제2 빔(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빔(410)은 제1 방향(X)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빔(410)은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빔(410)은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인접한 복수의 제1 빔(41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도록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빔(410)은 제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계속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빔(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방향(X)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빔(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빔(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 및 패널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는 제1 방향(X)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는 제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계속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방향(X)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빔(420)의 수용부는 패널 지지부로부터 표시 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빔(420)의 수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빔(420)의 수용부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간의 거리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의 수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롤링 모듈(500)은 롤러(3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구조물(530)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킬 수 있다. 롤링 모듈(500)은 지지 프레임(510), 구조물(530), 및 구동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구동부(200)를 가릴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구조물(530)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하우징 모듈(3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 모듈(3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53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510)과 구동부(550)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530a)은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구조물(530a)은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L1~Ln), 및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복수의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바(LB1~LB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링크는 제1 내지 제n 링크(L1~Ln)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링크 바는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L1)는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링크(L1)는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과 연결된 제1 측, 제2 링크(L2)와 연결된 제2 측, 및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중공부를 갖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링크(L1)의 중간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고, 제1 링크(L1)는 중간부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1 링크 바(LB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L1)는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과 제2 링크(L2) 간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 또는 비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비직선 형태의 제1 링크(L1)는 중간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바(LB1)는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제1 링크(L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링크 바(LB1)는 제1 링크(L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링크 힌지(LH)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측, 및 제2 링크 바(LB2)에 연결된 제2 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링크 바(LB1)의 제2 측은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링크 바(LB1)의 제2 측의 중공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 바(LB1)는 제1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1 링크(L1)와 연결되고, 제2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2 링크 바(LB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L2)는 제1 링크(L1)의 제2 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링크(L2)는 제1 링크(L1)와 연결된 제1 측, 제3 링크(L3)와 연결된 제2 측, 및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중공부를 갖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링크(L2)의 중간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링크(L2)는 중간부의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2 링크 바(LB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L2)의 제2 측은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링크(L2)의 제2 측의 중공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크(L2)는 제2 측의 중공부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3 링크(L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링크(L2)는 제1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1 링크(L1)와 연결되고, 제2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3 링크(L3)와 연결되며, 중간부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2 링크 바(LB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L2)는 제1 링크(L1)의 제2 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링크(L2)는 제1 링크(L1)와 연결된 제1 측, 제3 링크(L3)와 연결된 제2 측, 및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중공부를 갖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링크(L2)의 중간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링크(L2)는 중간부의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2 링크 바(LB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L2)의 제2 측은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링크(L2)의 제2 측의 중공부는 링크 힌지(LH)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크(L2)는 제2 측의 중공부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3 링크(L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링크(L2)는 제1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1 링크(L1)와 연결되고, 제2 측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3 링크(L3)와 연결되며, 중간부에 배치된 링크 힌지(LH)를 통해 제2 링크 바(LB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조물(530a)은 제1 내지 제n 링크(L1~Ln), 및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제1 내지 제n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를 포함함으로써, 롤러(3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 구조물(530b)은 제1 구조물(530a)과 나란하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타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구조물(530b)은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L1~Ln), 및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복수의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바(LB1~LB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조물(530b)의 복수의 링크(L1~Ln), 및 복수의 링크 바(LB1~LBn)는 지지 프레임(510)의 타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구조물(530a)의 복수의 링크(L1~Ln), 및 복수의 링크 바(LB1~LBn)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550)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을 동시에 접거나 펼침으로써,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510)을 하우징 모듈(300)의 내부로 인입하거나 하우징 모듈(300)로부터 인출시켜,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동부(550)는 복수의 고정 부재(551), 지지 플레이트(552), 제1 구동 유닛(553), 제2 구동 유닛(554), 동력 전달 유닛(555), 및 구동 모터(55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551)는 하우징 모듈(300)의 하우징 플레이트(3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551) 각각은 하우징 모듈(300)의 롤링부(35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고정 부재(551) 각각의 내측은 롤링부(351)의 일부를 감싸는 곡선 형태(551a)를 가질 수 있으며, 롤링부(35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551) 각각의 내측과 롤링부(351)의 외주면은 롤링부(351)에 와인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 두께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52)는 복수의 고정 부재(551) 상에 배치되어 롤링부(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52)는 제1 구동 유닛(553), 제2 구동 유닛(554), 및 동력 전달 유닛(555)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553)은 동력 전달 유닛(555)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1 구조물(530a)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유닛(553)은 제1 볼 스크류(553a), 제1 볼 캐치(553b), 및 제1 링크 브라켓(55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 스크류(553a)는 지지 플레이트(552) 상에 배치되고 동력 전달 유닛(555)과 제1 링크 브라켓(553c)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볼 스크류(553a)의 일단은 동력 전달 유닛(5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볼 스크류(553a)의 타단은 제1 링크 브라켓(553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볼 캐치(553b)는 제1 볼 스크류(553a)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 구조물(530a)에 포함된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볼 캐치(553b)는 제1 볼 스크류(553a)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볼 스크류(553a)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제n 링크 바(LBn)를 제1 방향(X)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제1 링크 브라켓(553c)은 지지 플레이트(552)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1 볼 스크류(553a)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 구조물(530a)에 포함된 제n 링크(Ln)의 제2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구동 유닛(553)은 제1 볼 스크류(553a)의 제1 방향의 회전에 따른 제1 볼 캐치(553b)의 제1 직선 방향(X1)의 직선 운동을 통해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을 제1 직선 방향(X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구조물(530a)을 접을 수 있다. 이때, 제1 구조물(530a)의 제1 내지 제n 링크(L1~Ln)와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는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이 제1 직선 방향(X1)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링크 힌지(LH) 각각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반대로, 제1 구동 유닛(553)은 제1 볼 스크류(553a)의 제2 방향의 회전에 따른 제1 볼 캐치(553b)의 제2 직선 방향(X2)의 직선 운동을 통해,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을 제2 직선 방향(X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구조물(530a)을 펼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볼 스크류(553a)의 제2 방향의 회전은 제1 방향의 회전과 반대되고, 제2 직선 방향(X2)은 제1 직선 방향(X1)과 반대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조물(530a)의 제1 내지 제n 링크(L1~Ln)와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는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이 제2 직선 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링크 힌지(LH) 각각을 기준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554)은 동력 전달 유닛(555)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2 구조물(530b)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유닛(554)은 제2 볼 스크류(554a), 제2 볼 캐치(554b), 및 제2 링크 브라켓(554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구동 유닛(554)의 제2 볼 스크류(554a), 제2 볼 캐치(554b), 및 제2 링크 브라켓(554c) 각각의 구성은 제1 구동 유닛(553)의 제1 볼 스크류(553a), 제1 볼 캐치(553b), 및 제1 링크 브라켓(553c) 각각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동력 전달 유닛(555)은 지지 플레이트(552)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볼 스크류(553a, 554a) 각각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구동 모터(556)의 회전 동력을 제1 및 제2 볼 스크류(553a, 554a) 각각의 일단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 유닛(555)은 회전 기어와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기어와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유닛(555)은 기어와 피니언을 포함하는 베벨 기어 박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구동 모터(556)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력 전달 유닛(555) 상에 배치되어 동력 전달 유닛(555)의 회전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600)는 복수의 빔(400) 중 일부에 배치되고, 롤러(35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은 제2 빔(420)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음향(SW)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W)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SW)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은 제2 빔(420)을 통해 고정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좌측 영역(LA) 및 우측 영역(R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에 중첩되고,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에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600)는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PA)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빔(4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400)이 복수의 제1 빔(410), 및 패널 지지부와 수용부를 갖는 제2 빔(420)을 포함하는 경우,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제1 빔(410), 및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700)는 진동에 따른 관성에 의해 수차 진동하는 질량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진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이 파티션 영역(PA)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파티션 영역(P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파티션 영역(PA1) 및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연결되고,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 영역(PA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로 길이 방향(또는 장변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파티션 영역(P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세로 길이 방향(또는 단변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량 부재(700)는 제1 및 제2 중량 부재(710,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410) 중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량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1 파티션 영역(PA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파티션 영역(PA2)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41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방향(Y)으로 나열된 복수의 빔(400)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중앙 수직축, 및 우측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중앙 수직축, 및 우측 가장자리 각각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빔(400) 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부재(700)는 금속 재질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철(Fe), 구리(Cu), 니켈(Ni), 금(Au), 은(Ag), 티타늄(Ti), 백금(Pt)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 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 및 제1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d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빔 및 제2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복수의 빔(400)은 복수의 제1 빔(410) 및 제2 빔(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빔(410)은 제1 방향(X)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빔(410)은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빔(410)은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인접한 복수의 제1 빔(41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도록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빔(410)은 제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계속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빔(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방향(X)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빔(410)은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와 연결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15)는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빔(4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 연결부(4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둘러싸이는 에어 갭(AG)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빔(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통해 발생된 음향을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빔(410)의 단면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빔(410)의 단면은 'U'자 또는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1 빔(410)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으며, 중량 부재(700)를 수용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중량 부재(700)는 제1 및 제2 중량 부재(710,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410) 중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량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1 파티션 영역(PA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41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중량 부재(710)는 복수의 제1 빔(4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중량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빔(410)의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와, 연결부(415)를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량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1 파티션 영역(PA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파티션 영역(PA2)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410)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중량 부재(720)는 복수의 제1 빔(4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제2 중량 부재(720)는 하나의 제1 빔(410) 내에서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방향(Y)으로 나열된 복수의 빔(400) 내에서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빔(41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2 중량 부재(720)를 수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부(411, 413), 연결부(415),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제2 중량 부재(720)로 둘러싸이는 에어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빔(4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통해 발생된 음향을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도 10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2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2 빔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2 빔, 진동 발생 장치 및 제2 중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제2 빔(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빔(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421) 및 패널 지지부(421)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하는 수용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제1 방향(X)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제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계속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1 방향(X)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제1 및 제2 지지부(421a, 421b)와 연결부(4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421a, 421b)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21c)는 제1 및 제2 지지부(421a, 421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부(421a, 421b), 연결부(421c),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둘러싸이는 에어 갭(AG)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통해 발생된 음향을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의 단면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의 단면은 'U'자 또는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으며, 중량 부재(700)를 수용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파티션 영역(PA2)과 중첩되도록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빔(420)의 수용부(423)는 패널 지지부(421)로부터 표시 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빔(420)의 수용부(4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빔(420)의 수용부(423)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간의 거리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의 수용부(4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빔(420)의 패널 지지부(4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제2 중량 부재(720)를 수용하고, 수용부(423)는 음향 발생 모듈(610)을 수용함으로써, 제2 빔(420)은 제1 및 제2 지지부(421a, 421b), 연결부(421c), 디스플레이 패널(100), 제2 중량 부재(720), 및 음향 발생 모듈(610)로 둘러싸이는 에어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빔(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을 통해 발생된 음향을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모듈(610)은 제2 빔(420)의 수용부(423)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610)은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610)은 모듈 프레임(611), 측면 프레임(613), 및 진동 유닛(615)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611)은 제2 빔(420)의 수용부(423)에 의해 지지되고,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프레임(611)은 측면 프레임(613) 및 자석 부재(615a)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610)은 별도의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상하에 배치되어, 자석 부재(615a)를 통해 형성되는 자속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측면 프레임(613)은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되어 진동 유닛(615)의 하부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613)은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자석 부재(615a)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진동 유닛(615) 내로 집중시켜 누설 자속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615b)는 자석 부재(615a)의 상단에 배치되고,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하단에 배치되며, 측면 프레임(613)은 자석 부재(615a)의 측면을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자석 부재(615a)에서 생성되는 누설 자속을 억제하여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고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 유닛(615)은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유닛(615)은 모듈 프레임(611)을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유닛(615)은 자석 부재(615a), 상부 플레이트(615b), 보빈(615c), 코일(615d), 외부 프레임(615e), 댐퍼(615f), 및 보빈 링(615g)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부재(615a)는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석 부재(615a)는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의 사이에 개재되고, 측면 프레임(613)을 통해 이격되게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615b)는 자석 부재(615a)의 일단에 배치되고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에 배치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에서 생성되는 자속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석 부재(615a)는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자석 부재(615a)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진동 유닛(615) 내로 집중되어 누설 자속이 억제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615b)는 자석 부재(615a)의 상단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는 원통 형태를 갖는 보빈(615c)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의 외주면은 보빈(615c)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는 보빈(615c)이 직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보빈(615c)은 상부 플레이트(615b)를 둘러싸고 보빈 링(615g)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615c)은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를 둘러쌀 수 있고, 측면 프레임(613)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일 수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615c)은 보빈(615c)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615d)에 음향 발생용 전류가 인가되어 진동 유닛(615) 내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자기장에 의해 보빈 링(615g)을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빈(615c)의 전면(Front Surface)은 보빈 링(615g)에 접촉되어 보빈(615c)은 전류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보빈 링(615g)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코일(615d)은 보빈(615c)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615d)은 보빈(615c)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싸서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코일(615d)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코일(615d)에 음향 발생용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615c)은 코일(615d)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자석 부재(615a)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댐퍼(615f)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코일(615d), 측면 프레임(613), 모듈 프레임(611), 자석 부재(615a), 상부 플레이트(615b), 그리고 다시 코일(615d)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보빈(615c)은 댐퍼(615f)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615e)은 측면 프레임(6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프레임(615e)은 측면 프레임(613)의 상단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615e)은 보빈(615c)과 나란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615e)의 상부는 댐퍼(615f)와 연결되어, 댐퍼(615f)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615f)의 타단이 보빈(615c)과 연결되어 보빈(615c)의 진동을 가이드하는 동안, 외부 프레임(615e)은 측면 프레임(613)의 상단에 고정되어 댐퍼(615f)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댐퍼(615f)는 외부 프레임(615e)과 보빈(615c) 간에 배치되어 보빈(615c)의 진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615f)의 일단은 외부 프레임(615e)의 상단과 연결되고, 댐퍼(615f)의 타단은 보빈(615c)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615f)는 댐퍼(615f)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615c)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615c)의 진동을 조절 및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615f)는 외부 프레임(615e)과 보빈(615c)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을 통해 보빈(615c)의 진동 거리를 제한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615c)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615f)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615c)은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보빈 링(615g)은 보빈(615c)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빈(615c)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보빈 링(615g)은 보빈(615c)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 링(615g)은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빈 링(615g)은 보빈(615c)에서 발생되는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보빈(615c)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 영역을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롤링 모듈의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기재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복수의 빔(400)을 포함하지 않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복수의 빔(40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변경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하우징 모듈(300), 롤링 모듈(500), 진동 발생 장치(600), 및 중량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조물(530)이 접히면 와인딩(winding)되고, 구조물(530)이 펼쳐지면 언와인딩(unwind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물(530)은 롤러(350)가 정회전하면 접히고, 롤러(350)가 역회전하면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롤링 모듈(500)은 롤러(350)와 연결되어, 롤러(35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평평하거나 플랫(flat)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 발생 장치(6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SW)을 출력하는 패널 스피커(또는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0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인쇄 회로 기판(230), 제어 보드(240), 신호 케이블(250), 및 타이밍 컨트롤러(260)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의 픽셀 구동 회로를 구동시켜 자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하우징 모듈(300)은 표시 장치의 본체 케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모듈(300)은 롤링 모듈(500)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 모듈(300)은 하우징 플레이트(310),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롤러(350), 및 하우징 커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10)는 하우징 모듈(300)의 바닥에 배치되어 롤링 모듈(5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하우징 플레이트(310)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롤러(3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롤러(350)는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롤링 모듈(500)의 구동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롤러(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에 연결된 롤링부(351), 및 롤링부(351)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축(3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 축(353) 각각은 베어링(355)을 통해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70)는 하우징 플레이트(310)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및 롤러(350)를 덮음으로써 하우징 플레이트(310), 한 쌍의 롤러 브라켓(330a, 330b), 및 롤러(35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커버(37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출입하는 패널 출입구(37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 모듈(500)은 롤러(3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구조물(530)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킬 수 있다. 롤링 모듈(500)은 지지 프레임(510), 구조물(530), 및 구동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구동부(200)를 가릴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구조물(530)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하우징 모듈(3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 모듈(3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53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510)과 구동부(550)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530a)은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켜,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구조물(530a)은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L1~Ln),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복수의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바(LB1~LBn), 및 복수의 링크(L1~Ln)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과 연결되어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하는 모듈 연결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링크는 제1 내지 제n 링크(L1~Ln)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링크 바는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조물(530a)은 제1 내지 제n 링크(L1~Ln), 및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제1 내지 제n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내지 제n 링크 바(LB1~LBn)를 포함함으로써, 롤러(3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듈 연결부(535)는 제1 링크(L1) 및 제2 링크(L2)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 부재(535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535a)는 제1 링크 핀(LP1)을 매개로 제1 링크(L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링크 핀(LP1)은 조인트 부재(535a)의 일측을 통과하여 제3 링크(L3)의 제2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535a)는 제2 링크 핀(LP2)을 매개로 제2 링크(L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크 핀(LP2)은 조인트 부재(535a)의 타측을 통과하여 제2 링크(L2)의 제1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인트 부재(535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L1)의 제2 측과 제2 링크(L2)의 제1 측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L1)의 제2 측과 제2 링크(L2)의 제1 측 각각은 기어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링크(L1)의 제2 측과 제2 링크(L2)의 제1 측은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L1)의 회전은 보다 안정적으로 제2 링크(L2)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구조물(530b)은 제1 구조물(530a)과 나란하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타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며,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구조물(530b)은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L1~Ln), 링크 힌지(LH)를 매개로 복수의 링크(L1~Ln)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바(LB1~LBn), 및 복수의 링크(L1~Ln)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과 연결되어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을 지지하는 모듈 연결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조물(530b)의 복수의 링크(L1~Ln), 및 복수의 링크 바(LB1~LBn)는 지지 프레임(510)의 타측과 구동부(500) 사이에 연결되고, 제2 구조물(530b)의 모듈 연결부(535)는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을 지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구조물(530b)의 복수의 링크(L1~Ln), 복수의 링크 바(LB1~LBn), 및 모듈 연결부(535)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550)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을 동시에 접거나 펼침으로써,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510)을 하우징 모듈(300)의 내부로 인입하거나 하우징 모듈(300)로부터 인출시켜, 지지 프레임(5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킨다. 일 예에 따르면, 구동부(550)는 복수의 고정 부재(551), 지지 플레이트(552), 제1 구동 유닛(553), 제2 구동 유닛(554), 동력 전달 유닛(555), 및 구동 모터(55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551)는 하우징 모듈(300)의 하우징 플레이트(3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재(551) 각각은 하우징 모듈(300)의 롤링부(35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52)는 복수의 고정 부재(551) 상에 배치되어 롤링부(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552)는 제1 구동 유닛(553), 제2 구동 유닛(554), 및 동력 전달 유닛(555)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553)은 동력 전달 유닛(555)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1 구조물(530a)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유닛(553)은 제1 볼 스크류(553a), 제1 볼 캐치(553b), 및 제1 링크 브라켓(55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 스크류(553a)는 지지 플레이트(552) 상에 배치되고 동력 전달 유닛(555)과 제1 링크 브라켓(553c)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볼 스크류(553a)의 일단은 동력 전달 유닛(5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볼 스크류(553a)의 타단은 제1 링크 브라켓(553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볼 캐치(553b)는 제1 볼 스크류(553a)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1 구조물(530a)에 포함된 제n 링크 바(LBn)의 제2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볼 캐치(553b)는 제1 볼 스크류(553a)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볼 스크류(553a)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제n 링크 바(LBn)를 제1 방향(X)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제1 링크 브라켓(553c)은 지지 플레이트(552)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1 볼 스크류(553a)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1 구조물(530a)에 포함된 제n 링크(Ln)의 제2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554)은 동력 전달 유닛(555)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2 구조물(530b)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유닛(554)은 제2 볼 스크류(554a), 제2 볼 캐치(554b), 및 제2 링크 브라켓(554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구동 유닛(554)의 제2 볼 스크류(554a), 제2 볼 캐치(554b), 및 제2 링크 브라켓(554c) 각각의 구성은 제1 구동 유닛(553)의 제1 볼 스크류(553a), 제1 볼 캐치(553b), 및 제1 링크 브라켓(553c) 각각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동력 전달 유닛(555)은 지지 플레이트(552)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볼 스크류(553a, 554a) 각각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구동 모터(556)의 회전 동력을 제1 및 제2 볼 스크류(553a, 554a) 각각의 일단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터(556)는 사용자(또는 시청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력 전달 유닛(555) 상에 배치되어 동력 전달 유닛(555)의 회전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600)는 롤링 모듈(500)의 구조물(530)에 배치되고, 롤러(350)의 롤링부(351)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진동 발생 장치(6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SW)을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600)는 구조물(530)을 구성하는 모듈 연결부(53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600)는 구조물(530)에 배치되므로, 구조물(530)의 접힘 또는 펼침과 함께 승강(또는 이동)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6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접촉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 길이(또는 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6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접촉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균일한 진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 길이(또는 인출 길이)의 중간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은 제1 및 제2 구조물(530a, 530b) 각각을 통해 고정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좌측 영역(LA) 및 우측 영역(R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에 중첩되고,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에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모듈(6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영역(LA)을 진동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6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 영역(RA)을 진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PA)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700)는 진동에 따른 관성에 의해 수차 진동하는 질량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 부재(700)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진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이 파티션 영역(PA)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610, 620) 각각에 의한 음향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파티션 영역(P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제1 파티션 영역(PA1) 및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연결되고,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 영역(PA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로 길이 방향(또는 장변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파티션 영역(P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세로 길이 방향(또는 단변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량 부재(700)는 제1 및 제2 중량 부재(710,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파티션 영역(PA1)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량 부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1 파티션 영역(PA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중량 부재(7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파티션 영역(PA2)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되기 위하여,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중앙 수직축, 및 우측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중앙 수직축, 및 우측 가장자리 각각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중량 부재(720)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되기 때문에, 제2 중량 부재(720)가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중량 부재(720)는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인접한 제2 중량 부재(72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도록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제2 중량 부재(720)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중량 부재(720) 간의 거리가 제로(0)가 되어 인접한 제2 중량 부재(720)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만일, 표시 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중량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중량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와인딩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방향(Y)을 따라 나열된 제2 중량 부재(720)를 포함함으로써, 제2 중량 부재(720)가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더라도, 제2 중량 부재(7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함께 와인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2 파티션 영역(PA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중량 부재(72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610, 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가장자리를 통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부재(700)는 금속 재질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철(Fe), 구리(Cu), 니켈(Ni), 금(Au), 은(Ag), 티타늄(Ti), 백금(Pt)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은 도 16의 절단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모듈(610)은 롤링 모듈(500)의 구조물(530a, 530b)에 배치되며,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610)은 진동 발생 소자(612), 자력 부재(614), 및 모듈 지지 부재(617)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소자(612)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모듈 지지 부재(617)의 지지 브라켓(617c)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발생 소자(6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음향 구동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소자(612)는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갖는 압전 물질층, 압전 물질층의 전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압전 물질층의 후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소자(612)는 압전 물질층을 포함하므로, 압전 소자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소자(6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고 음향 구동 회로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압전 물질의 역압전 효과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자력 부재(614)는 제1 및 제2 회전 링크(617a, 617b)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 부재(6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언와인딩되어 펼쳐질 때, 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소자(612)는 자력 부재(614)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접촉하고 사운드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자력 부재(614)를 통해 진동 발생 소자(612)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고, 음향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 링크(617a, 617b)는 자력 부재(614)가 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끌려가는 힘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고, 자력 부재(6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610)은 코팅층(6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61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직접 접촉하는 자력 부재(614)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펼쳐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자력 부재(614)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자력 부재(6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일정한 길이로 언와인딩되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자력 부재(614)가 부착된 상태로 더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자력 부재(614) 간의 마찰력이 높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거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층(616)은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자력 부재(614)의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펼쳐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자력 부재(614)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듈 지지 부재(617)는 롤링 모듈(500)의 제1 구조물(530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진동 발생 소자(6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진동 발생 소자(612)를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듈 지지 부재(617)가 회전 불가능하도록 제1 구조물(530a)에 고정 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음향 발생 모듈(610)이 물리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또는 음향 발생 모듈(61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지지 부재(617)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구조물(530a)에 배치될 경우, 음향 발생 모듈(610)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평탄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듈 지지 부재(617)는 제1 회전 링크(617a), 제2 회전 링크(617b), 및 지지 브라켓(617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617a)는 제1 피벗 핀(PP1)을 매개로 제3 방향(Z)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제1 구조물(530a)의 조인트 부재(535a)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방향(Z)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617a)는 제1 측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돌출된 한 쌍의 제1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벗 핀(PP1)은 제1 회전 링크(617a)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측벽 중 어느 한 측벽에 삽입되고 제1 구조물(530a)의 조인트 부재(535a)를 관통하여 한 쌍의 제1 측벽 중 나머지 한 측벽에 삽입됨으로써 제1 회전 링크(617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 링크(617a)는 제1 피벗 핀(PP1)에 의해 제1 구조물(530a)의 조인트 부재(535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구조물(530a)의 조인트 부재(535a)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1 회전 링크(617a)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측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회전 링크(617b)는 제2 피벗 핀(PP2)을 매개로 제2 방향(Y)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회전 링크(617a)의 제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회전 링크(617a, 617b)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으로 유동성 있는 2절 링크 구조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평탄도(flatness)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소자(61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브라켓(617c)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2 회전 링크(617b)의 배면에 결합되고 진동 발생 소자(612)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브라켓(617c)은 제2 회전 링크(617b)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진동 발생 소자(612)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도 16의 절단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 모듈(610)은 모듈 프레임(611), 측면 프레임(613), 및 진동 유닛(615)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611)은 모듈 지지 부재(617)에 의해 지지되고, 음향 발생 모듈(6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프레임(611)은 측면 프레임(613) 및 자석 부재(615a)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610)은 별도의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은 자석 부재(615a)의 상하에 배치되어, 자석 부재(615a)를 통해 형성되는 자속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측면 프레임(613)은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되어 진동 유닛(615)의 하부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613)은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쌈으로써, 자석 부재(615a)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진동 유닛(615) 내로 집중시켜 누설 자속을 억제할 수 있다.
진동 유닛(615)은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유닛(615)은 자석 부재(615a), 상부 플레이트(615b), 보빈(615c), 코일(615d), 외부 프레임(615e), 댐퍼(615f), 및 보빈 링(615g)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부재(615a)는 모듈 프레임(6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석 부재(615a)는 상부 플레이트(615b) 및 모듈 프레임(611)의 사이에 개재되고, 측면 프레임(613)을 통해 이격되게 둘러싸일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615b)는 자석 부재(615a)의 상단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는 원통 형태를 갖는 보빈(615c)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의 외주면은 보빈(615c)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빈(615c)은 상부 플레이트(615b)를 둘러싸고 보빈 링(615g)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615c)은 자석 부재(615a) 및 상부 플레이트(615b)를 둘러쌀 수 있고, 측면 프레임(613)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일 수 수 있다.
코일(615d)은 보빈(615c)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615d)은 보빈(615c)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자석 부재(615a)를 이격되게 둘러싸서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프레임(615e)은 측면 프레임(6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프레임(615e)은 측면 프레임(613)의 상단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댐퍼(615f)는 외부 프레임(615e)과 보빈(615c) 사이에 배치되어 보빈(615c)의 진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615f)의 일단은 외부 프레임(615e)의 상단과 연결되고, 댐퍼(615f)의 타단은 보빈(615c)과 연결될 수 있다.
보빈 링(615g)은 보빈(615c)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빈(615c)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보빈 링(615g)은 보빈(615c)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610)은 체결 부재(619)에 의해 지지 브라켓(617c)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619)는 모듈 프레임(611)을 통과하여 지지 브라켓(617c)에 체결됨으로써, 모듈 프레임(611)을 지지 브라켓(617c)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한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빔, 및 복수의 빔 중 일부에 배치되고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은 제1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빔,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와, 패널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지지하는 수용부를 갖는 제2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빔과 패널 지지부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지지부, 및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며, 복수의 빔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는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 및 패널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파티션 영역, 및 제1 파티션 영역과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파티션 영역을 포함하고, 중량 부재는 제1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 중 일부에 수용된 제1 중량 부재, 및 제2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빔 중 적어도 일부와 패널 지지부에 수용되고,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중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제2 빔의 수용부에 고정되는 모듈 프레임, 모듈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 및 모듈 프레임 상에서 진동 유닛의 하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유닛은 모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측면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자석 부재, 자석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보빈,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자석 부재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코일, 및 보빈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보빈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보빈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롤링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하우징 모듈에 배치되며, 롤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구조물은 지지 프레임과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서로 나란하도록 지지 프레임과 구동부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구조물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구조물 각각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링크, 및 링크 힌지를 매개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구조물에 배치되고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파티션 영역, 및 제1 파티션 영역과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파티션 영역을 포함하고, 중량 부재는 제1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중량 부재, 및 제2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중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롤링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하우징 모듈에 배치되어 롤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구조물은 지지 프레임과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서로 나란하도록 지지 프레임과 구동부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구조물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구조물 각각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링크, 링크 힌지를 매개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바, 및 링크와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연결시키는 모듈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모듈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모듈 지지 부재, 모듈 지지 부재에 배치된 모듈 프레임, 모듈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 및 모듈 프레임 상에서 진동 유닛의 하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유닛은 모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측면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자석 부재, 자석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보빈,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자석 부재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코일, 및 보빈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보빈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보빈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모듈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모듈 지지 부재, 및 압전 물질층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와인딩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패널 구동부
210: 연성 회로 필름 22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230: 인쇄 회로 기판 240: 제어 보드
250: 신호 케이블 260: 타이밍 컨트롤러
300: 하우징 모듈 310: 하우징 플레이트
330: 롤러 브라켓 350: 롤러
370: 하우징 커버 400: 빔
410, 420: 제1 및 제2 빔 500: 롤링 모듈
510: 지지 프레임 530: 구조물
550: 구동부 600: 진동 발생 장치
610, 62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
700: 중량 부재 710, 720: 제1 및 제2 중량 부재

Claims (15)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되도록 구현되는 롤러를 갖는 하우징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구조물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키는 롤링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빔;
    상기 복수의 빔 중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빔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빔;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패널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지지하는 수용부를 갖는 제2 빔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빔과 상기 패널 지지부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빔 및 상기 패널 지지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파티션 영역; 및
    상기 제1 파티션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파티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제1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빔 중 일부에 수용된 제1 중량 부재; 및
    상기 제2 파티션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빔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패널 지지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중량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상기 제2 빔의 수용부에 고정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유닛; 및
    상기 모듈 프레임 상에서 상기 진동 유닛의 하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모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자석 부재;
    상기 자석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상기 자석 부재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코일;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의 진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보빈 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 모듈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조물 각각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링크; 및
    링크 힌지를 매개로 상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롤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각각과 이격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중,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중량 부재가 구비된 빔에서는, 상기 빔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중량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둘러싸이는 에어 갭이 구비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 중 상기 빔에 인접되어 있는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영상이 표시되는 전방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표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량 부재가 구비되는, 표시장치.
KR1020230106248A 2018-08-29 2023-08-14 표시 장치 KR10262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248A KR102620201B1 (ko) 2018-08-29 2023-08-14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79A KR102568284B1 (ko) 2018-08-29 2018-08-29 표시 장치
KR1020230106248A KR102620201B1 (ko) 2018-08-29 2023-08-14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79A Division KR102568284B1 (ko) 2018-08-29 2018-08-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523A KR20230124523A (ko) 2023-08-25
KR102620201B1 true KR102620201B1 (ko) 2023-12-29

Family

ID=69640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79A KR102568284B1 (ko) 2018-08-29 2018-08-29 표시 장치
KR1020230106248A KR102620201B1 (ko) 2018-08-29 2023-08-14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79A KR102568284B1 (ko) 2018-08-29 2018-08-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57707B2 (ko)
KR (2) KR102568284B1 (ko)
CN (1) CN110874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318B1 (ko) * 2017-08-30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D938951S1 (en) * 2018-06-20 2021-12-21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display
WO2020065827A1 (ja) * 2018-09-27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3821A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010009B (zh) * 2019-04-28 2021-04-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KR20200141773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33696A (ko) * 2019-09-19 2021-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51907B (zh) * 2019-10-21 2022-03-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卷曲式显示装置
CN110782798B (zh) * 2019-11-19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WO2021137456A1 (en) * 2019-12-30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1510532B (zh) * 2020-04-27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833748B (zh) * 2020-07-13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20019140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002226B (zh) * 2020-08-17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220091857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17374A (ko) * 2021-02-15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34854A (ko) * 2021-03-26 2022-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099007A (zh) * 2021-04-13 2021-07-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20161827A (ko) * 2021-05-31 202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340277B2 (ja) 2021-06-18 2023-09-07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KR20230020595A (ko) * 2021-08-03 202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70712B (zh) * 2021-09-29 2023-09-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766A (en) 1995-09-02 1999-12-21 New Transducers Limited Vending machine
KR100327357B1 (ko) 1999-04-16 2002-03-06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용 스피커 시스템
JP2011128338A (ja) 2009-12-17 2011-06-30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CN201623850U (zh) * 2010-03-31 2010-11-03 精拓丽音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带有配重结构及阻尼结构的矩阵式压电平板扬声器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601419B1 (ko) * 2014-05-20 201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02837B1 (ko) 2015-12-07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142738B2 (en) *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KR102546842B1 (ko) * 2016-05-31 2023-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EP3229063B1 (en) * 2016-04-04 2018-11-07 LG Display Co., Ltd. Double faced display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KR102259805B1 (ko) *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2053B1 (ko) * 2017-11-30 2022-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06412B (zh) * 2017-12-01 2019-11-0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发声屏幕悬挂系统
EP3723389A4 (en) * 2017-12-07 2021-01-06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556205B1 (ko) * 2018-11-19 2023-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852928B2 (en) * 2018-12-14 2020-12-01 Sony Corporation Surface curvature control of display screen based on motion of support portions
KR20200114915A (ko) * 2019-03-29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53278B2 (en) 2023-01-10
KR20200025152A (ko) 2020-03-10
KR102568284B1 (ko) 2023-08-17
US11057707B2 (en) 2021-07-06
US20200077194A1 (en) 2020-03-05
CN110874984A (zh) 2020-03-10
US20210306753A1 (en) 2021-09-30
CN110874984B (zh) 2022-08-09
KR20230124523A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201B1 (ko) 표시 장치
EP3654135B1 (en) Display apparatus
US11924609B2 (en) Display apparatus
US11199877B2 (en) Display apparatus
GB2589699A (en) Display device
TW202225904A (zh) 顯示裝置
US11589486B2 (en) Display device
US20230213140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