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29B1 - 휴대용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펌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029B1 KR102620029B1 KR1020210114689A KR20210114689A KR102620029B1 KR 102620029 B1 KR102620029 B1 KR 102620029B1 KR 1020210114689 A KR1020210114689 A KR 1020210114689A KR 20210114689 A KR20210114689 A KR 20210114689A KR 102620029 B1 KR102620029 B1 KR 102620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easuring tube
- pump device
- peripheral surface
- external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는,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장치로서, 몸체유닛, 중공관 형태의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외부공기가 측정튜브를 통해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유입유닛,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감지장치로 배출하도록, 몸체유닛의 타측에 마련되는 배출유닛 및 유입유닛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배출유닛으로 이동시키는 펌프유닛을 포함하며, 유입유닛은, 연결된 측정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측정튜브의 외주면을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펌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감지장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탱크나 좁은 통로 등의 간극 측정을 위해 착탈되는 측정튜브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 및 유로 연결부품을 구비하지 않는 간편한 구조로 유량 막힘을 감지할 수 있는 휴대용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산업 현장의 폭발위험구역에 적용하여 O2, H2S, CO, 가연성 등의 다종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는, 산업용 플랜트를 방폭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본질안전 방폭설계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국제 본질안전 규격인 IECEX규격(IEC60079-0,IEC60079-11)을 만족해야 하고, 안전장치로서의 성능 보장을 위해 가연성 가스, H2S, CO, O2 등의 측정가스는 Global 수준의 성능 인증이 필요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국제 규격의 성능 인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고기능 고가형 감지장치와 최소 기능만을 국제 규격수준으로 설계하되, 가격을 낮춘 저가형 감지장치들이 다양한 환경 및 목적에 맞게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산업 현장의 폭발위험구역에서 가스를 측정하는 영역이 저장탱크 또는 좁은 통로일 경우에는 휴대용 감지장치에 측정튜브를 연결하여 폭발위험이 있는 다양한 가스를 감지하고 있으며, 이때 측정튜브에서 인입된 외부 공기가 감지장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측정튜브와 감지장치 사이에 휴대용 펌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측정영역을 이동하는 과정이나, 가스측정을 위한 협소한 공간 내에서 측정튜브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튜브의 움직임으로 인해 측정튜브와 펌프 장치 사이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측정튜브가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이탈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측정이 지연되거나 측정오류가 발생하여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펌프 장치는, 유량센서, 압력 센서 등을 통해 센서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측정값이 기준치 보다 높게 측정될 경우 유량의 막힘을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 편의성을 가지도록 소형화된 휴대용 펌프 장치에 부가기능을 위해 별도의 센서를 추가할 경우, 장치의 내부 연결 구조가 복잡해져 부품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감지장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탱크나 좁은 통로 등의 간극 측정을 위해 착탈되는 측정튜브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 및 유로 연결부품을 구비하지 않는 간편한 구조로 유량 막힘을 감지할 수 있는 휴대용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는,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장치로서, 몸체유닛; 중공관 형태의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측정튜브를 통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유입유닛; 상기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감지장치로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타측에 마련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유입유닛으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배출유닛으로 이동시키는 펌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은, 연결된 상기 측정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을 상기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펌프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을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측정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경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에서 상기 내경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내경지지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경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외경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경가압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측정튜브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이 상기 측정튜브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영역;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전달받는 외력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고정영역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의 절곡에 따라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는 밀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영역은, 상기 측정튜브에 대한 밀착력은 강화하되 상기 측정튜브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측정튜브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만곡점이 상기 측정튜브에 접촉되는 복수의 만곡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위는, 상기 측정튜브와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만곡점 사이에 연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관통홀이 마련되며,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영역에 상기 밀착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외력을 상기 밀착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는 상기 펌프유닛의 구동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구동 전류값과 기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여 유로폐쇄 상태를 판별하는 유로폐쇄감지유닛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는 감지장치를 상기 몸체유닛에 고정하는 장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펌프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정영역을 이동하는 과정이나, 가스측정을 위한 협소한 공간 내에서 측정튜브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튜브와 휴대용 펌프 장치의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휴대용 펌프 장치로부터 측정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측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휴대 편의성을 가지도록 소형화된 휴대용 펌프 장치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유량폐쇄를 판단할 수 있어 부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감지장치에 연결된 모습 및 장치 내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몸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USB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내부에 유로폐쇄감지유닛이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필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감지장치에 연결된 모습 및 장치 내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몸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USB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내부에 유로폐쇄감지유닛이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필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감지장치에 연결된 모습 및 장치 내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의 몸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USB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몸체유닛의 내부에 유로폐쇄감지유닛이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유입유닛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필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10)는 크게 몸체유닛(100), 유입유닛(200), 펌프유닛(300), 배출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10)의 일측에는 감지장치(S)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측정튜브(T)가 연결됨으로써, 측정자가 산업 현장의 폭발위험구역에서 간편하게 다종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감지장치(S)는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해 산업 현장의 폭발위험구역에 적용하여 O2, H2S, CO, 가연성 등의 다종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산업용 플랜트를 방폭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본질안전 방폭설계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국제 본질안전 규격인 IECEX규격(IEC60079-0, IEC60079-11)을 만족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상, 재질,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펌프 장치(10)와 일측에 연결되는 감지장치(S)는, 가연성 가스, H2S, CO, 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용 펌프 장치(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측정튜브(T)는, 저장탱크 또는 시설 사이의 협소한 틈새공간 유입되어 가스를 측정할 수 있다면, 재질, 두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측정튜브(T)는 연질의 중공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독성가스에 대한 흡착성을 약화시켜 흡입손실을 최소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재질 또는 석영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정튜브(T)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최소 측정지연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지장치(S) 및 측정튜브(T)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10)에서, 몸체유닛(100)은 후술할 유입 및 배출유닛(200,4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유입 및 배출유닛(200,400)은 후술할 펌프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유닛(10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감지장치(S)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유닛(100)에는 상술한 유로의 폐쇄를 감지하거나 펌프유닛(30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관 형태의 측정튜브(T)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유닛(200)은, 가스측정을 위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측정튜브(T)를 통해 몸체유닛(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400)은 몸체유닛(100)의 타측에 마련되어 몸체유닛(1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술한 감지장치(S)로 배출함으로써, 감지장치(S)가 외부공기에 포함된 가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유닛(100)의 일측과 타측에 상술한 유입유닛(200)과 배출유닛(400)이 형성됨으로써,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배출유닛(400)을 통해 감지장치(S)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유입유닛(200)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측정튜브(T)로 협소 또는 특수한 측정공간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외부공기가 문제없이 유입될 수 있도록, 측정튜브(T)는 소정의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지연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몸체유닛(100)의 내부에는 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배출유닛(400)으로 이동시키는 펌프유닛(30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유닛(100)의 상부에 유입유닛(200)이 배치되고, 몸체유닛(100)의 하부에 배출유닛(400)이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몸체유닛(100)의 내부에는 펌프유닛(3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유입유닛(200)과 펌프유닛(300)의 일측이 하나의 튜브로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펌프유닛(300)의 타측과 배출유닛(400)이 다른 하나의 튜브 연결됨으로써, 펌프유닛(300)의 구동에 의해 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배출 유닛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몸체유닛(100), 유입유닛(200), 배출유닛(400)의 구조를 도면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유닛(100)은,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유닛(100)은 내부에 장착되는 펌프유닛(300) 및 펌프유닛(300)과 유입유닛(200) 및 배출유닛(400)의 연결구조, 후술할 유로폐쇄감지유닛(500), 전원유닛(600)에 대한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제1,2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몸체유닛(100)은 상술한 충격 및 파손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재질은 경질 및 연질의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몸체유닛(100)은 내부에 장착되는 각 유닛들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질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유닛(100)이 제1,2 케이스로 분할될 경우 제1 케이스(101)의 외면에는 LED램프(140)가 배치되어 온-오프 여부, 구동 상태 등을 측정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 케이스(101)의 외면에는 버튼(120)이 구비되어 측정자가 선택적으로 펌프 장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1)의 상부에는 유입유닛(200)이 고정되고, 제1 케이스(101)의 하부에는 배출유닛(400)이 고정 배치되며, 이때 유입유닛(200)과 배출유닛(400)이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케이스(101)에는 스트렙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홀더(1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01)의 상단, 다시 말해 유입유닛(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랩홀더(160)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자의 목에 걸었을 경우 유입유닛(200)이 상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유닛(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제1 케이스(101) 내에서 위치가 슬라이딩되어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스트랩홀더(160)는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2 케이스(102)는 전술한 제1 케이스(101)에 결합된 경우 제2 케이스(102)와 제1 케이스(101) 내부에 구비된 유닛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면에서 외부면을 향해 일부 돌출됨으로써, 제1 케이스(101)와 결합 시 추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2)에는 USB포트(180)가 마련되어 외부전력을 후술할 유로폐쇄감지유닛(5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2)는 부저(190)가 형성되어 후술할 유로폐쇄감지유닛(500)에 연결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작동 정지시나, 전원을 온-오프할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따른 유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음이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는 몸체유닛(100)이 복수개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케이스(102)에 앞서 말한 제1 케이스(101)의 구성이 적용되거나 제1 케이스(101)에 앞서 말한 제2 케이스(102)의 구성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측정튜브(T)가 연결되는 유입유닛(200)은 연결된 측정튜브(T)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측정튜브(T)의 외주면을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정튜브(T)가 유입유닛(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유닛(200)은, 크게 고정부(220), 내경지지부(240), 외경가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20)는 몸체유닛(100)에 고정되며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과 펌프유닛(300)을 연결하는 유로, 다시 말해, 하나의 튜브를 통해 외부 공기가 펌프유닛(3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내경지지부(240)는 고정부(220)에 관통홀과 연결되는 측정튜브(T)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경지지부(240)는 고정부(220)의 관통홀을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튜브(T)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20)의 관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경지지부(240)의 외주면이 측정튜브(T)의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7에서는 내경지지부(240)와 측정튜브(T)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내경지지부(240)의 외경은 측정튜브(T)의 내경과 크기가 같거나, 내경보다 더 크도록 마련됨으로써, 측정튜브(T)를 내경지지부(240)에 인입시킬 경우 내경지지부(240)와 측정튜브(T)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외경가압부(260)는 내경지지부(240)에 의해 지지된 측정튜브(T)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측정튜브(T)가 유압유닛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경가압부(260)는 고정부(220)의 관통홀에서 내경지지부(240)를 향한 방향으로, 내경지지부(240)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220)의 상부면에는 고정부(220)의 중앙측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내경지지부(240)가 형성되고, 내경지지부(24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내경지지부(240)를 감싸도록 외경가압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내경지지부(240)의 외주면과 측정튜브(T)의 내주면이 대향하고, 외경가압부(260)의 내측 둘레에 측정튜브(T)의 외주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경가압부(260)는, 밀착부재(262), 가압부재(264)를 포함함으로써, 내경지지부(240)에 지지된 측정튜브(T)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부재(262)는 일측이 고정부(22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타측은 측정튜브(T)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262)는 고정부(220)의 외측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밀착부재(262)의 고정영역(262a)은 밀착부재(262)와 고정부(220) 사이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정부(2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밀착부재(262)의 고정영역(262a)은 다양한 측정튜브(T)의 두께에 대응하여 측정튜브(T)의 외주면에 효율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220)의 상부면 관통홀에서 고정부(220)의 외측 둘레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262)는, 고정부(220)에 고정되는 고정영역(262a)을 기준으로, 연결영역(262b)이 연장되고, 연결영역(262b)에는 밀착영역(262c)이 연장되어 하나의 밀착부재(262)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영역(262b)은 후술할 가압부재(264)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경우에 외력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된 밀착영역(262c)의 위치가 측정튜브(T)의 외주면에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연결영역(262b)은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초기 위치 및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허용응력 이상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연결영역(262b)이 영구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는다면 밀착부재(262)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연결영역(262b)은 탄성변형을 통해 밀착영역(262c)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기설정된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때 밀착영역(262c)은 상술한 연결영역(262b)의 절곡 또는 휘어짐, 다시 말해 탄성변형에 따라 측정튜브(T)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밀착영역(262c)은, 측정튜브(T)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위(262c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영역(262b)의 탄성변형을 통해 복수의 만곡부위(262c1)의 만곡점이 측정튜브(T)의 외주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측정튜브(T)에 대한 밀착력은 강화하되 측정튜브(T)가 가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한다.
또한 밀착부재(262)는, 고정부(220)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재(262)는 후술할 가압부재(264)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서로의 간섭없이 측정튜브(T)의 외주면을 고르게 가압할 수 있다.
나아가 만곡부위(262c1)는, 상술한 만곡점 사이에 연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됨으로써, 측정튜브(T)와 만곡점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264)는 상술한 밀착부재(262)의 타측이 측정튜브(T)에 밀착되거나 측정튜브(T)에서 이결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262)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압부재(264)는, 상술한 밀착부재(262)가 측정튜브(T)를 향해 탄성변형되어 측정튜브(T)에 밀착되게 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64)는, 밀착을 유지하는 밀착부재(262)를 향한 외력 전달을 해제함으로써, 밀착부재(262)가 측정튜브(T)에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264)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64)의 관통홀 상단에서 하측으로 A거리만큼 직경을 A1이라 하면, 상술한 A거리에서 하측으로 B거리만큼은 관통홀의 직경이 A1보다 급격하게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거리 영역에 단차영역, 즉, 다시 말해 가압영역(26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264)는 가압영역(264a)에 밀착부재(262)를 접촉시킴으로써 외력을 밀착부재(26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재(264)는, 밀착부재(262)를 가압영역(264a)에 접촉시킴으로써 외력을 밀착부재(262)로 전달할 수만 있다면, 가압영역(264a)을 밀착부재(262)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압부재(264)는, 상술한 관통홀 내주면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264)는 고정부(2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가압부재(264)는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방향으로 고정부(220)의 둘레를 타고 회전하며 승하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자는 측정튜브(T)에 1차적으로 가압부재(264)를 걸어둔 상태에서 측정튜브(T)를 내경지지부(240)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측정튜브(T)에 걸려있던 가압부재(264)를 고정부(220)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하게 되면, 가압부재(264)가 본체부를 향해 하방향으로 내려오면서 가압영역(264a)이 밀착영역(262c)을 누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측정튜브(T)가 유입유닛(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유닛(200)은 필터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80)은 크게 고정부(220)의 하단에 배치되어 몸체유닛(100)에 삽입되는 끼움부재(282), 끼움부재(282)에 배치되어 유로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필터(2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필터부(280)는 제2 필터(286)를 더 포함하여 이물질에 대한 차단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펌프 장치(10)는 유로폐쇄감지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폐쇄감지유닛(500)은 펌프유닛(300)의 구동 전류값을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정한 구동 전류값과 기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로폐쇄감지유닛(500)은 상술한 비교를 통해 유로의 폐쇄 유무를 판별하고, 유로가 폐쇄된 경우 상술한 부저(190) 또는 LED 램프를 통해 측정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유로폐쇄감지유닛(500)은 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 경우에 무선통신을 통해 관제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저(190)나 LED램프(140)의 고장으로 측정자가 유로폐쇄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관제서버가 측정자의 외부단말기로 폐쇄상황을 통보함으로써, 측정자는 상술한 부저(190), LED램프(140) 파손되더라도 유로폐쇄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20,30)는 몸체유닛(100), 유입유닛(200), 펌프유닛(300), 배출유닛(400)을 포함하며, 장착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폐쇄감지유닛(500), 전원유닛(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유닛(100), 유입유닛(200), 펌프유닛(300), 배출유닛(400), 유로폐쇄감지유닛(500) 및 전원유닛(6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휴대용 펌프 장치(10)에서 설명한 몸체유닛(100), 유입유닛(200), 펌프유닛(300), 배출유닛(400), 유로폐쇄감지유닛(500) 및 전원유닛(600)과 동일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며, 그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
장착유닛(700)은 감지장치(S)를 몸체유닛(100)에 고정하도록 몸체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감지장치(S)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유닛(700)은 몸체유닛(100)의 하단둘레를 감싸도록 연결되어 감지장치(S)가 연결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장착유닛(700)은 감지장치(S)의 양측면과, 배출유닛(400)과 연결되는 감지장치(S)의 상측면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장착유닛(700)은 상술한 감지장치(S)의 양측면 및 상측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동되며 감지장치(S)의 하측을 고정하는 회동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장착유닛(700) 및 감지장치(S)간 고정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장착유닛(700)은 중앙측에 장착되는 감지장치(S)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어 감지장치(S)를 향해 슬라이딩 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감지장치(S)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휴대용 펌프 장치는 측정영역을 이동하는 과정이나, 가스측정을 위한 협소한 공간 내에서 측정튜브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측정튜브의 움직임으로 인해 측정튜브와 펌프 장치 사이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측정튜브가 휴대용 펌프 장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 편의성을 가지도록 소형화된 구조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유량폐쇄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어 부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S: 감지장치
T: 측정튜브
10: 휴대용 펌프 장치
100: 몸체유닛
101: 제1 케이스
102: 제2 케이스
120: 버튼
140: LED램프
160: 스트랩홀더
180: USB포트
190: 부저
200: 유입유닛
220: 고정부
240: 내경지지부
260: 외경가압부
262: 밀착부재
262a: 고정영역
262b: 연결영역
262c: 밀착영역
262c1: 만곡부위
264: 가압부재
264a: 가압영역
280: 필터부
282: 끼움부재
284: 제1 필터
286: 제2 필터
300: 펌프유닛
400: 배출유닛
500: 유로폐쇄감지유닛
600: 전원유닛
700: 장착유닛
T: 측정튜브
10: 휴대용 펌프 장치
100: 몸체유닛
101: 제1 케이스
102: 제2 케이스
120: 버튼
140: LED램프
160: 스트랩홀더
180: USB포트
190: 부저
200: 유입유닛
220: 고정부
240: 내경지지부
260: 외경가압부
262: 밀착부재
262a: 고정영역
262b: 연결영역
262c: 밀착영역
262c1: 만곡부위
264: 가압부재
264a: 가압영역
280: 필터부
282: 끼움부재
284: 제1 필터
286: 제2 필터
300: 펌프유닛
400: 배출유닛
500: 유로폐쇄감지유닛
600: 전원유닛
700: 장착유닛
Claims (10)
- 가스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장치로서,
몸체유닛;
중공관 형태의 측정튜브가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측정튜브를 통해 상기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유입유닛;
상기 몸체유닛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감지장치로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타측에 마련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유입유닛으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배출유닛으로 이동시키는 펌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은,
연결된 상기 측정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을 상기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고,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펌프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측정튜브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경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에서 상기 내경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내경지지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경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외경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경가압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측정튜브를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측정튜브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의 타측이 상기 측정튜브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영역;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전달받는 외력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고정영역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의 절곡에 따라 상기 측정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는 밀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영역은,
상기 측정튜브에 대한 밀착력은 강화하되 상기 측정튜브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측정튜브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만곡점이 상기 측정튜브에 접촉되는 복수의 만곡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위는,
상기 측정튜브와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인접하는 상기 만곡점 사이에 연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관통홀이 마련되며,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영역에 상기 밀착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외력을 상기 밀착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구동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구동 전류값과 기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여 유로폐쇄 상태를 판별하는 유로폐쇄감지유닛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펌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689A KR102620029B1 (ko) | 2021-08-30 | 2021-08-30 | 휴대용 펌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689A KR102620029B1 (ko) | 2021-08-30 | 2021-08-30 | 휴대용 펌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183A KR20230033183A (ko) | 2023-03-08 |
KR102620029B1 true KR102620029B1 (ko) | 2024-01-04 |
Family
ID=8550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4689A KR102620029B1 (ko) | 2021-08-30 | 2021-08-30 | 휴대용 펌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002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0917B1 (ko) * | 2013-04-25 | 2016-06-15 | 부에노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 튜브와 파이프 조인트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39325B2 (ja) * | 2002-01-24 | 2006-11-01 | 理研計器株式会社 | ガス供給アダプタおよびガス警報ユニット |
KR20170083390A (ko) * | 2016-01-08 | 2017-07-18 | 중소기업은행 | 약액 주입 장치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4689A patent/KR1026200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0917B1 (ko) * | 2013-04-25 | 2016-06-15 | 부에노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 튜브와 파이프 조인트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183A (ko) | 2023-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K1077633A1 (en) | Pressure detector and pressure detecting method | |
US10030789B2 (en) | Diaphragm valve | |
EP2998583B1 (en) | Pressure indicator for air compressor | |
US20180292289A1 (en) | Sensing pressure variations in pipelines | |
US20070137304A1 (en) | Pressure sensor over-pressure protection | |
KR102620029B1 (ko) | 휴대용 펌프 장치 | |
US20210140842A1 (en) | Pressure sensor for a pipe | |
US8836520B1 (en) | Hydrogen sulfide sensor with water detection | |
KR20160032626A (ko) | 배관 수압 테스트용 블라인드 플랜지 | |
CN110631446A (zh) | 一种用于螺纹通止检测的浮动机构 | |
KR102106823B1 (ko) | 밴드형 배관 누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누설 검출 시스템 | |
KR100786328B1 (ko) | 방폭형 진공펌프 구조를 갖는 가스 검출기 | |
KR20190133518A (ko) | 누출 감지장치 | |
CN104729805B (zh) |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 |
KR101256753B1 (ko) | 지속적인 과압에 의한 유체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반도체 압력센서 보호를 위한 구조를 가진 반도체 압력센서 모듈 | |
KR200240324Y1 (ko) |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 |
JP2010503858A (ja) | 渦センサ交換のための漏れ点検装置 | |
CN211029749U (zh) | 一种o型圈自动检测装置 | |
CN102012531B (zh) | 一种弹簧垫片的缺陷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 |
JPH06330937A (ja) | 多段式サブマージドポンプの軸受損耗監視装置 | |
CN220893201U (zh) | 一种带式输送机松紧程度检测装置 | |
JP4092945B2 (ja) | 漏れ防止部材 | |
KR930009917B1 (ko) | 공기압 필터 | |
KR200416864Y1 (ko) | 휴대용 가스검출기 | |
JPH11281654A (ja) | ノズ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