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38B1 -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 Google Patents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38B1
KR102619938B1 KR1020230088793A KR20230088793A KR102619938B1 KR 102619938 B1 KR102619938 B1 KR 102619938B1 KR 1020230088793 A KR1020230088793 A KR 1020230088793A KR 20230088793 A KR20230088793 A KR 20230088793A KR 102619938 B1 KR102619938 B1 KR 10261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circuit breaker
coupled
bimetal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명일
서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to KR102023008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점부;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점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점부; 상기 가동접점부를 움직이게 하는 핸들부; 상기 가동접점부에 결합되어 횔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핸들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코일부; 핸들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자; 및 상기 바이메탈의 일측에 바이메탈을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Circuit breaker for residential use utilizing actuator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산업용, 주택용) 중 소형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정격전류{(주택용차단기)의 32AF(16~32A), 산업용차단기 30AF(15~30A)}를 이루는 소형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며, 상가, 사무실, 백화점 등의 스위치로 분전반 내에 내장되어 한 곳에서 다수의 부하를 편리하게 개폐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공작기계, 공장 설비 등에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소형 차단기는 회로내 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On 위치를 유지하고, 회로내 과전류 등 비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를 Off 위치에 놓음으로써 회로를 차단하고, 사고전류로부터 차단기를 선로로부터 신속히 분리하여 선로와 부하 설비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사고전류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전류) 등 그 범위가 다양하다. 과전류영역에서는 통상 바이메탈 소자를 이용하여 한시 특성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정격전류의 3배 이상의 전류는 과전류 차단 장치이자 순시차단 장치인 전자식 유닛을 이용한다. 전자식 유닛의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의 원리를 활용한 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소용량 즉, 단락용량이 5kA 미만의 차단기의 경우 전자식 트립 유닛을 적용하지 않은 차단기도 있으며, 이 경우 바이메탈의 특성에만 의존하여 과전류 영역에서부터 단락전류 영역까지 모두 바이메탈이 감당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기 계통의 복잡화,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부하의 증가, 그리고 용량성 유도성 부하증가에 따른 부하기동 돌입 전류(lush current)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 경우에도 사고전류인 경우 빠르게 선로로부터 부하를 신속히 분리해야 되는 필요성이 있다.
특히, 단락용량 2.5kA 이하의 저용량 차단기도 위와 같은 사고전류에서도 빠른 동작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대부분 소형 차단기는 바이메탈 구조이거나, 순시장치가 있으나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신속히 차단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도 8에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다른 방향에서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핸들(1)은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11)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핸들(1)에는 U-핀(U-pin, 10)이 조립되고, U-핀(10)의 타단에는 레버(9)가 축 결합된다.
핸들(1)을 투입하게 되면 그 회전 운동에 의해 U-핀(1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레버(9)의 일단은 크로스바(7)의 상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레버(9)의 타단은 트립바(12)의 걸림부에 걸리게 된다. 계속 핸들(1)이 회전하게 되면, 레버(9)는 타단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일단이 크로스바(7)의 상단부를 계속 누르게 되어 크로스바(7)은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동시에 크로스바(7)에 걸려있는 가동접촉자(4)도 동시에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서, 가동접점(5)과 고정접점(6)이 서로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만일, 과전류 등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바이메탈(3)이 휘어지게 되면서 트립바(12)에 결합된 갭 스크류(13)를 밀게 되는데, 이 때 트립바(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되고, 이 트립바(12)의 걸림부에 걸쳐 있는 레버(9)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레버(9)가 면접촉으로 누르고 있던 크로스바(7)는 아래쪽에 있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진다. 동시에 크로스바(7)에 의해 눌려진 가동접촉자(4)도 동시에 들어 올려지면서 고정접점(6)과 가동접점(5)이 서로 떨어지게 되어 전류는 차단된다.
도 10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과도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메탈(3)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량에 상응하는 열이 바이메탈(3)에 발생되고 이때 바이메탈(3)의 금속 계수에 따른 팽창율만큼 바이메탈(3)이 갭 스크류(13)가 있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바이메탈(3)의 단부가 갭 스크류(13)를 밀어내면 차단기가 트립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대부분 강자성체인 철을 고정자와 가동자로 사용하여 바이메탈 주변에 배치하고 Moving-Bimetal-shunt로 이동하는 전류의 움직임에 따라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바이메탈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정자와 가동자 간에 전자기력에 따른 인력으로 트립바를 강제로 밀어 트립시키는 구조이다. 위와 같은 구조는 전류의 크기가 매우 커야지만 전자기력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작은 과전류에서 빠르게 전력을 차단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동자에 영구자석을 내장하여 최소한의 전자기력으로 전력을 차단하거나 구동코일부의 별도의 보빈에 전원선을 감아 고정코어를 당겨서 최소한의 전자기력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는,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점부;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점부; 상기 가동접점부를 움직이게 하는 핸들부; 상기 가동접점부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핸들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코일부; 상기 핸들부의 핸들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자; 및 상기 바이메탈의 일측에 바이메탈을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는, 강자성체인 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동자는, 3면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코일부는 내부에 고정코어를 포함하고, 자기력의 상승을 위해 상기 고정코어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코일부의 별도의 보빈에 전원선이 권선되어 과전류가 흘러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코어를 당겨서 트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의 하부로는 단자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차단기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상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상부지지판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흡수모듈이 삽입 결합될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모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는 바디부; 하단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빈봉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바디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빈봉부의 상단과 연결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동자에 영구자석을 내장하여 최소한의 전자기력으로 전력을 차단하거나 구동코일부의 별도의 보빈에 전원선을 감아 고정코어를 당겨서 최소한의 전자기력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윗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윗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10)는, 고정접점부(110), 가동접점부(120), 핸들부(130), 바이메탈(140), 트립바(150), 구동코일부(160), 레버(170), 가동자(180) 및 고정자(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접점부(110)는, 일측 단자부(10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접점부(120)는, 타측 단자부(102)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점부(110)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30)는, 상기 가동접점부(12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메탈(140)은, 상기 가동접점부(120)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립바(150)는, 상기 핸들부(130)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코일부(160)는, 상기 트립바(150)를 구동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170)는, 상기 핸들부(130)의 핸들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자(180)는, 상기 레버(170)의 일면에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자(190)는, 상기 바이메탈(140)의 일측에 바이메탈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130), 레버(170), 가동자(180), 구동코일부(160)에 의하여 가동접점부(12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서, 가동접점부(120)와 고정접점부(110)가 서로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과전류 등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가동접점부(12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서, 가동접점부(120)와 고정접점부(110)가 서로 떨어지게 되어 전류가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190)는, 강자성체인 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자(180)는, 3면에 영구자석(20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존 차단기의 경우 대부분 강자성체인 철을 고정자와 가동자로 사용하여 바이메탈 주변에 배치하고 Moving-Bimetal-shunt로 이동하는 전류의 움직임에 따라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바이메탈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정자와 가동자 간에 전자기력에 따른 인력으로 트립바를 강제로 밀어 트립시키는 구조이다. 위와 같은 구조는 전류의 크기가 매우 커야지만 전자기력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작은 과전류에서 빠르게 전력을 차단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영구자석(200)이 가동자(180)에 내장되어 있음으로 인해, 전류의 양이 적어도 기본적인 자력의 발생으로 가동자가 고정자쪽으로 움직이려는 성질을 갖고 이를 이용하여 작은 과전류에서 신속하게 최소의 전자기력으로 트립바를 밀어 트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코일부(160)는, 내부에 고정코어(162)를 포함하고, 전자기력의 상승을 위해 상기 고정코어(162)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코일부(160)의 별도의 보빈에 전원선이 권선되어 과전류가 흘러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코어(162)를 당겨서 트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연동전선(Shunt) 대신에 AWG 16(32A용)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10)의 상기 단자부(101, 102) 하부로는 단자부를 감싸는 하우징(H)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내구성 향상, 정상 작동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차단기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3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흡수부(3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지지판(310), 상기 상부지지판(310)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홈부(320) 및 상기 홈부(320)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H)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모듈(330)은, 바디부(331), 빈봉부(332) 및 탄성체(33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3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간부(3311)는 빈봉부(332) 및 탄성체(33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비어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31)는 비어 있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돌기부(3312), 제1 돌기부(3312)와 대응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돌기부(3314) 및 개구되어 있는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제1 고정부(3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3312)는 바디부(3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되 관통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3315)의 하단은 탄성체(333)의 상단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은 바디부(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바디부(331)의 내부로 관통되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하단과 상단 사이의 중앙단은 바디부(331)의 내측에 끼움 고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빈봉부(332) 하단은 바디부(331)의 내측에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일부분과 상단은 바디부(331)의 내측 하단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빈봉부(332)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원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빈봉부(332)는 끼움부(3321), 제2 고정부(3323) 및 삽입결합부(3324)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3321)는 제1 돌기부(331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돌기부가 끼움되도록 제1 돌기부(3312)의 두께와 돌출되어 있는 길이에 맞추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고정부(3323)는 바디부(331)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빈봉부(33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각각 홈부의 내측 하단에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3323)는 상단에 원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빈봉부(332)에 형성된 원형홈(미도시)에 끼움 고정되어 관통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삽입결합부(3324)는 상단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부분에 끼워지도록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결합부(3324)는 하단 외부 직경이 빈봉부(33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33)는 바디부(331)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바디부(331)의 내측에 위치한 빈봉부(33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333)는 삽입결합부(3324)의 직경이 작아지는 상단에 끼워지며 제1 고정부(3315)의 하단에 내부에 관통되어 삽입결합부(3324)와 제1 고정부(331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333)는 하단이 삽입결합부(3324)에 끼워지고, 상단이 제1 고정부(3315)에 끼워져 빈봉부(332)와 제1 고정부(3315)의 사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333)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하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33)는 빈봉부(332)가 바디부(331)의 내측에 위치하고 남은 공간에 위치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빈봉부(332) 및 탄성체(333)가 결합되어 있는 길이는 바디부(3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모듈(330)의 바디부(331)는 상단에 위치한 무대판이 상단으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한 빈봉부(332)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탄성체(333)는 바디부(331)가 빈봉부(332)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할 수 있다.
흡수모듈(330)은 상단에 위치한 탄성체(333)를 통해 무대판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1차적으로 흡수되고 남은 잔여 진동은 빈봉부(332)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고정부(3323)를 통해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흡수모듈(330)은 탄성체(333)를 통해 가벼운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탄성체(333)를 통해 충격 또는 진동이 흡수된 후에도 남아있는 충격 또는 진동은 빈봉부(332)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고정부(3323)가 수축함에 의해 충격 또는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모듈(330)은 충격 또는 진동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

Claims (4)

  1.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점부;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점부;
    상기 가동접점부를 움직이게 하는 핸들부;
    상기 가동접점부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핸들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코일부;
    상기 핸들부의 핸들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자; 및
    상기 바이메탈의 일측에 바이메탈을 감싸며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하부로는 단자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차단기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상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상부지지판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흡수모듈이 삽입 결합될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모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는 바디부;
    하단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은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빈봉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바디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빈봉부의 상단과 연결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강자성체인 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동자는,
    3면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부는 내부에 고정코어를 포함하고, 전자기력의 상승을 위해 상기 고정코어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코일부의 별도의 보빈에 전원선이 권선되어 과전류가 흘러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코어를 당겨서 트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 차단기.
  4. 삭제
KR1020230088793A 2023-07-10 2023-07-10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KR10261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793A KR102619938B1 (ko) 2023-07-10 2023-07-10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793A KR102619938B1 (ko) 2023-07-10 2023-07-10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38B1 true KR102619938B1 (ko) 2024-01-03

Family

ID=8953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793A KR102619938B1 (ko) 2023-07-10 2023-07-10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86Y1 (ko) * 2000-11-20 2001-04-16 엘지산전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부족전압 트립장치
KR20150029165A (ko) * 2013-09-09 2015-03-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KR102423488B1 (ko) * 2021-08-05 2022-07-21 (주)태강테크원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86Y1 (ko) * 2000-11-20 2001-04-16 엘지산전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부족전압 트립장치
KR20150029165A (ko) * 2013-09-09 2015-03-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KR102423488B1 (ko) * 2021-08-05 2022-07-21 (주)태강테크원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1039T3 (es) Mecanismo de disparo para disyuntor
KR100823528B1 (ko) 과부하 및 단락보호 겸용 소형 누전 차단기
US6154115A (en) Overcurrent release device
KR20090045789A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US6414575B1 (en) Circuit breaker having an encapsulated auxiliary coil assembly
CN209859890U (zh) 断路器的跳闸机构
US9355803B2 (en) Actuator with thermomagnetic shunt, especially for triggering a circuit breaker
KR102619938B1 (ko) 영구자석이 내장된 가동자를 이용한 순시트립 주택용차단기
EP0377479A1 (en) Trip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 and an electrical switch with this trip device
EP0364950B1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KR100848562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50029165A (ko) 차단기
KR100994066B1 (ko) 조정 가능한 단락 릴리스 및 회로 차단기
KR102159006B1 (ko) 공용 순시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200456055Y1 (ko) 과전류 차단기의 순시 코일 병렬 설치 구조
KR200266485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KR200481613Y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트립 장치
KR101071920B1 (ko) 슬림형 과부하 및 누전 겸용 차단기
KR20170052367A (ko)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021285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식 트립코일 기구
KR1004874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구조
CN212783339U (zh) 一种断路器的脱扣机构
JP7293509B2 (ja) クロスバ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トリップ装置
KR102358819B1 (ko)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CN216353830U (zh) 驱动机构和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