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37B1 - 휴대용 산소공급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산소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37B1
KR102619937B1 KR1020210087141A KR20210087141A KR102619937B1 KR 102619937 B1 KR102619937 B1 KR 102619937B1 KR 1020210087141 A KR1020210087141 A KR 1020210087141A KR 20210087141 A KR20210087141 A KR 20210087141A KR 102619937 B1 KR102619937 B1 KR 10261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face
air shield
face air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231A (ko
Inventor
이다호
Original Assignee
이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호 filed Critical 이다호
Priority to KR102021008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5/00Composition of materials for coverings or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Gyroscop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페이스에어쉴드를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연결호스를 통해 산소통 내의 산소를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하여, 페이스에어쉴드가 정해진 형상으로 팽창되도록 한 후, 팽창된 페이스에어쉴드를 얼굴에 착용하여, 얼굴 주변이 페이스에어쉴드에 감싸지도록 하면,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산소가 토출되어 호흡을 가능하게 하되, 페이스에어쉴드가 얼굴 주변을 커버하여, 주변 부산물 또는 낙하물이 얼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본체를 착용하여, 산소공급기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본체의 수납공간에 부피가 변화되도록 페이스에어쉴드를 접어서 수납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위급상황 발생 또는 위험지역 내에서 페이스에어쉴드가 팽창되도록 산소를 주입하여, 페이스에어쉴드를 얼굴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고, 페이스에어쉴드가 낙하물 또는 주변 부산물에 의해 얼굴 또는 두상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 얼굴 또는 두상의 충격 방지로 상해를 입을 우려가 없고,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되는 산소가 페이스에어쉴드를 팽창시키면서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공급되어, 착용자가 페이스에어쉴드 내에서 호흡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코와 입을 통해 자유로운 호흡이 가능하여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산소공급기{Portable oxygenator}
본 발명은 산소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능한 본체에서 페이스에어쉴드를 분리하고, 본체의 산소통과 연결된 연결호스를 통해 페이스에어쉴드가 팽창되도록 산소를 주입하여, 페이스에어쉴드로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되, 얼굴 안면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페이스에어쉴드 내에서 얼굴이 보호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호흡을 진행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공급기는 치료의 목적을 위하여 의료용 또는 잠수용, 소방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병인에 의한 호흡곤란 또는 수중에서의 호흡곤란, 화재발생시 질식에 의한 호흡곤란 등으로 인한 소생조치에 있어 필수적인 장비이다.
특히, 현재 활용되는 산소공급기는 의료용 산소탱크 또는 중앙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받아 산소마스크에 연결되는 고정식, 이동식으로는 해저탐사나 스쿠버다이빙등 레져용으로 산소탱크를 짊어지고 다니는 산소공급기로 구분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산소를 수용한 산소탱크와, 산소탱크과 연결되고, 착용자의 입에 물림되어 산소탱크 내의 산소가 착용자의 입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산소흡입 마우스부와, 산소흡입 마우스부에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코를 덮어 커버하는 코덮개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산소흡입 마우스부를 물어 고정한 상태에서 코덮개부로 코를 덮어 커버하게 되면, 코를 통한 산소 흡입이 차단되고, 이때, 산소흡입 마우스부를 통해 호흡을 진행하여, 산소탱크 내의 산소가 산소흡입 마우스부를 통해 인체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산소탱크의 상단에는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안내등이 설치되어 있어, 이 안내등에서 조사되는 빛으로 어두운 공간을 밝힐 수 있다.
그리고, 산소탱크 하단에는 산소탱크 내로 산소를 주입하는 리필밸브를 설치하여, 이 리필밸브를 통해 산소탱크 내로 산소를 충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산소탱크, 산소흡입 마우스부 및 코덮개부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그 부피가 결정되어 휴대성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산소탱크, 산소흡입 마우스부 및 코덮개부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착용시 산소탱크에 의해 착용자의 시야가 가려져 보행에 큰 불편함이 있고, 유독가스 또는 화재 발생 지역내에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된 얼굴의 눈 또는 피부에 유독가스 및 열기가 접촉되어 열화상 또는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얼굴 주변으로 낙하되는 낙하물 또는 주변 부산물로 인해 얼굴에 충격이 가해져 위험지역내에서 착용자가 기절하거나 혹은 상해를 입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18438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산소통을 구비하고, 이 산소통과 구획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착용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본체의 수납공간에 산소통과 연결된 페이스에어쉴드를 수용하며, 산소통과 페이스에어쉴드 사이를 연결호스로 연결하여, 페이스에어쉴드를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이탈시키고, 그 상태에서 연결호스를 통해 산소통 내의 산소를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하여, 페이스에어쉴드가 정해진 형상으로 팽창되도록 한 후, 팽창된 페이스에어쉴드를 얼굴에 착용하여, 얼굴 주변이 페이스에어쉴드에 감싸지도록 하면,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산소가 토출되어 호흡을 가능하게 하되, 페이스에어쉴드가 얼굴 주변을 커버하여, 주변 부산물 또는 낙하물이 얼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매달리도록 착용되고, 내부에 산소통을 구비하며, 상기 산소통 일측에 상기 산소통과 구획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한 본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산소통과 연결되고, 상기 산소통으로 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팽창되어, 얼굴의 안면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페이스에어쉴드; 상기 산소통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산소통 내의 산소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하는 연결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외면에 신체의 정해진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그 양 말단이 서로 체결되어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상기 본체가 매달리도록 고정하는 착용밸트를 더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산소통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산소확인창; 및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연결호스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작동레버;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산소통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 내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충전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는, 이중막 구조로 그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산소공급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산소공급유로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펼쳐지면서 팽창되어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되, 내주면에 상기 산소공급유로와 연통되어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토출홀을 형성한 보호막과;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 하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 내부 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보호막 내의 공기를 상기 보호막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보호막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그 상단이 착용자의 두상에 대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는, 고온의 열기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코팅재를 도포하여,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 외면에 상기 보호막 내에서 외부를 확인하는 투시창을 형성하고, 그 하단 테두리 내측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 하단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목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는, 상기 보호막 내측 상단에 상기 산소공급유로와 연통되고, 산소를 공급받아 팽창되면서 착용자의 두상 테두리에 밀착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를 착용자의 두상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튜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본체를 착용하여, 산소공급기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이 본체의 수납공간에 부피가 변화되도록 페이스에어쉴드를 접어서 수납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위급상황 발생 또는 위험지역 내에서 페이스에어쉴드가 팽창되도록 산소를 주입하여, 이 페이스에어쉴드를 얼굴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고, 페이스에어쉴드가 낙하물 또는 주변 부산물에 의해 얼굴 또는 두상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 얼굴 또는 두상의 충격 방지로 상해를 입을 우려가 없고,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되는 산소가 페이스에어쉴드를 팽창시키면서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공급되어, 착용자가 페이스에어쉴드 내에서 호흡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코와 입을 통해 자유로운 호흡이 가능하여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페이스에어쉴드 내에 형성되는 양압에 의해 주변의 유해가스 또는 독가스가 페이스에어쉴드 내로 침투될 우려가 없고, 이에따라, 위험지역에서 신속한 탈출을 감행할 수 있도록 얼굴을 보호함과 동시에 호흡 진행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페이스에어쉴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매달리도록 착용되고, 내부에 산소통(101)을 구비하며, 상기 산소통(101) 일측에 상기 산소통(101)과 구획되는 수납공간(102)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산소통(101) 및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수용된 페이스에어쉴드(200)를 휴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접힘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수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그 상부가 덮개(미도시)에 의해 덮혀져,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수용한다.
상기 본체(100)는 그 외면에 신체의 정해진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그 양 말단이 서로 체결되어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상기 본체(100)가 매달리도록 고정하는 착용밸트(1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착용밸트(100a)는 신체의 허리 또는 어깨에 매달리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수납한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상기 산소통(101)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수납한다.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페이스에어쉴드(2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착용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다른 사용자(예컨대,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산소통(101)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101)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산소확인창(101a) 및 상기 연결호스(300)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연결호스(30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작동레버(101b)를 더 형성한다.
상기 산소확인창(101a)은 상기 산소통(101) 내의 압력을 표시하여,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량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101b)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되어, 상기 연결호스(30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호스(300)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작동레버(101b)는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납되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갯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연결된 연결호스(30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개폐 작동된다.
상기 본체(100)의 산소통(101)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충전밸브(101c)를 더 형성한다.
상기 충전밸브(101c)는 외부의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충전밸브(101c)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납되어 상기 산소통(101)과 연결되고, 상기 산소통(101)으로 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팽창되어, 얼굴의 안면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정해진 형태로 접힘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02)에 삽입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착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이탈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펼쳐지면서 부풀어 오르도록 팽창되어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함으로써, 낙하물 또는 부산물이 얼굴 방향으로 날아 오르다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에 차단되어, 얼굴에 낙하물 또는 부산물이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상기 산소통(101)으로 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그 내부로 산소를 경유시키면서 팽창된 후, 이 경유되는 산소를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공급하여,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내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상기 연결호스(300)에 의해 상기 산소통(101)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호스(300)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이중막 구조로 그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300)와 연결되는 산소공급유로(211)를 형성하고, 상기 산소공급유로(211)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펼쳐지면서 팽창되어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되, 내주면에 상기 산소공급유로(211)와 연통되어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토출홀(212)을 형성한 보호막(210)과,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210) 하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210) 내부 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보호막(210) 내의 산소를 상기 보호막(210)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보호막(210)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밸브(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막(210)은 착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팽창 형성되어,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되, 그 하단부가 조임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하단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막(210)은 그 상단이 착용자의 두상에 대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상 주변을 감싸 커버한다.
상기 보호막(210)의 산소공급유로(211)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보호막(210) 테두리 주변에 형성되고, 산소를 공급받아 상기 토출홀(21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면서, 산소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보호막(210)이 팽창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홀(212)은 안면부의 코 또는 입 주변 높이에 대응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산소공급유로(211)를 경유한 산소가 코 또는 입 주변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홀(212)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보호막(210) 내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밸브(220)는 일 방향으로 개폐되어, 외기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내의 공기 및 이산화탄소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배기밸브(220)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보호막(2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산소 및 착용자가 내뱉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개방 작동되어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기밸브(220)는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고온의 열기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코팅재를 도포하여,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210) 외면에 상기 보호막(210) 내에서 외부를 확인하는 투시창(230)을 형성하고, 그 하단 테두리 내측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하단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목끈(240)을 더 형성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주변의 열기 또는 화염에 의해 착용자의 얼굴 표면이 열화상 입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투시창(230)은 착용자의 눈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보호막(210) 외면에 설치되어, 착용자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통해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창(23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끈(240)은 착용자에 의해 조여지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하단이 착용자의 목 두께에 비례하도록 조여지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착용자의 목에 밀착되도록 유지시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하단을 통해 위험 지역내의 독가스 또는 유해가스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상기 보호막(210) 내측 상단에 상기 산소공급유로(211)와 연통되고, 산소를 공급받아 팽창되면서 착용자의 두상 테두리에 밀착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착용자의 두상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튜브(250)를 더 형성한다.
상기 고정튜브(250)는 착용자 두상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튜브(25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 두상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호스(300)는 상기 산소통(101)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로 공급한다.
상기 연결호스(300)는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산소공급유로(211)로 공급되도록, 산소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연결호스(300)는 복수개의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각각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상기 산소통(101)의 작동레버(101b)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로 산소를 공급한다.
상기 연결호스(300)는 복수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상기 산소통(101)의 작동레버(101b) 사이를 서로 다른 길이 또는 동일한 길이로 연결하여,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이탈되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상기 산소통(10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이격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02)은 상기 산소통(101)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102)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수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신체의 정해진 부위(예컨대, 어깨 또는 허리)에 본체를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본체(100)의 착용밸트(100a)가 신체에 둘러지도록 한 상태로, 상기 착용밸트(100a)의 양단을 서로 체결하여, 착용밸트(100a)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를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고정한 상태로, 보행을 진행함으로써,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휴대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착용밸트(100a)는 그 길이가 조절되어,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거나 혹은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위급상황(예컨대, 유독가스 유출 또는 화재) 발생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수납공간(102)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페이스에어쉴드(200)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이탈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102)은 그 상부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상기 수납공간(102)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미도시)에 의해 덮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이탈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접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호스(30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그 유동 반경이 결정되고, 이때, 상기 산소통(101)의 작동레버(101b)를 개폐하여, 상기 연결호스(300)로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연결호스(300)를 통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보호막(210) 내로 산소가 연속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호스(300)와 연결된 상기 보호막(210)의 산소공급유로(211)로 산소가 공급되고, 이 산소는 상기 산소공급유로(211)를 따라 경유하면서, 상기 보호막(210)을 정해진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팽창시킨 후, 상기 토출홀(212)을 통해 상기 보호막(210)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보호막(210) 내측 상단에 상기 산소공급유로(211)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기 고정튜브(250)는 상기 산소공급유로(211)를 통해 경유하는 산소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착용자는 팽창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얼굴을 진입시켜, 착용자의 얼굴이 상기 보호막(210)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튜브(250)가 착용자의 두상에 끼워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착용자의 눈은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의 투시창(230) 눈높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토출홀(212)은 착용자의 코 또는 입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보호막(210) 내로 배출되는 산소가 착용자의 눈 주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력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목끈(24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목끈(240)을 조여 고정하게 되면, 상기 목끈(240)에 의해 상기 보호막(210) 하단이 조여지면서 착용자의 목에 상기 보호막(210) 하단이 밀착되고, 이에따라, 상기 보호막(210) 하단을 통해 주변의 유해가스가 상기 보호막(210) 내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착용자의 얼굴 주변을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로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막(210)에 형성된 투시창(230)을 통해 주변 상황을 살피고, 또한, 상기 보호막(210) 내로 공급되는 산소를 호흡하면서 안전장소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210) 내에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막(210) 내에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공기 압력이 상승되면, 상기 배기밸브(220)가 개방되어,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를 상기 보호막(21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보호막(210) 내부 공간은 산소 및 이산화탄소에 의해 정해진 압력을 유지하면서 양압을 형성하여, 외부의 유독가스가 상기 보호막(2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산소통(101)의 산소확인창(101a)을 통해 상기 산소통(101) 내의 잔여 산소량을 확인하여, 산소 부족 여부를 착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산소확인창(101a)은 상기 산소통(101) 상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량를 확인시키는 것이다.
반면, 위급상황(예컨대, 유독가스 유출 또는 화재)시 착용자 이외에 다른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용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중 어느 하나를 착용자가 직접 착용하고, 다른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용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이탈시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것이다.
즉, 연결호스(300)로 연결된 각각의 상기 작동레버(101b)를 개방시켜, 각각의 연결호스(300)를 통해 복수의 페이스에어쉴드(20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가 펼쳐지도록 팽창되고, 이 펼쳐진 상태의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착용자가 착용하되, 다른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환자에게 착용시켜, 얼굴 주변이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각각의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통해 상기 보호막(210) 내로 산소가 공급되어, 착용자와 환자가 동시에 호흡을 진행하면서, 안전장소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상기 산소통(101)을 연결하는 연결호스(300)의 길이는 환자에게 착용되는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와 상기 산소통(101)을 연결하는 연결호스(3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사용한 직후 또는 평상시에 상기 산소통(101)의 산소확인창(101a)을 확인하여,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량이 정해진 량 이하이면, 상기 충전밸브(101c)로 외부호스(미도시)를 연결하여,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가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휴대가능한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페이스에어쉴드를 이탈시켜, 이 페이스에어쉴드가 펼쳐지도록 산소를 공급하여, 얼굴을 보호함과 동시에 산소 공급을 가능하는 하는 페이스에어쉴드를 착용하는 구조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본체를 착용하여, 산소공급기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위급상황 발생 또는 위험지역 내에서 페이스에어쉴드가 팽창되도록 산소를 주입하여, 이 페이스에어쉴드를 얼굴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페이스에어쉴드가 낙하물 또는 주변 부산물에 의해 얼굴 또는 두상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페이스에어쉴드로 공급되는 산소가 페이스에어쉴드를 팽창시키면서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공급되어, 착용자가 페이스에어쉴드 내에서 호흡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산소공급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본체 100a : 착용밸트
101 : 산소통 101a : 산소확인창
101b : 작동레버 101c : 충전밸브
102 : 수납공간 200 : 페이스에어쉴드
210 : 보호막 211 : 산소공급유로
212 : 토출홀 220 : 배기밸브
230 : 투시창 240 : 목끈
250 : 고정튜브 300 : 연결호스

Claims (8)

  1.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매달리도록 착용되고, 내부에 산소통(101)을 구비하며, 상기 산소통(101) 일측에 상기 산소통(101)과 구획되는 수납공간(102)을 형성한 본체(100);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납되어 상기 산소통(101)과 연결되고, 상기 산소통(101)으로 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도록 팽창되어, 얼굴의 안면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페이스에어쉴드(200);
    상기 산소통(101)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산소통(101) 내의 산소를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로 공급하는 연결호스(300);
    로 구성되고,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이중막 구조로 그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300)와 연결되는 산소공급유로(211)를 형성하고, 상기 산소공급유로(211)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펼쳐지면서 팽창되어 얼굴 주변을 감싸 커버하되, 내주면에 상기 산소공급유로(211)와 연통되어 얼굴의 안면부 방향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토출홀(212)을 형성한 보호막(210)과;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210) 하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210) 내부 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보호막(210) 내의 공기를 상기 보호막(210)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보호막(210) 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밸브(2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그 외면에 신체의 정해진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그 양 말단이 서로 체결되어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상기 본체(100)가 매달리도록 고정하는 착용밸트(100a)를 더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102)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산소통(101)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101)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산소확인창(101a); 및
    상기 연결호스(300)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연결호스(30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작동레버(101b);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산소통(101)은,
    상면에 상기 산소통(101) 내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충전밸브(101c)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210)은,
    그 상단이 착용자의 두상에 대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고온의 열기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방염 및 방열이 가능한 코팅재를 도포하여, 얼굴의 안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호막(210) 외면에 상기 보호막(210) 내에서 외부를 확인하는 투시창(230)을 형성하고, 그 하단 테두리 내측에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 하단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목끈(24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는,
    상기 보호막(210) 내측 상단에 상기 산소공급유로(211)와 연통되고, 산소를 공급받아 팽창되면서 착용자의 두상 테두리에 밀착되어, 상기 페이스에어쉴드(200)를 착용자의 두상에 밀착 고정하는 고정튜브(25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공급기.
KR1020210087141A 2021-07-02 2021-07-02 휴대용 산소공급기 KR10261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41A KR102619937B1 (ko) 2021-07-02 2021-07-02 휴대용 산소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141A KR102619937B1 (ko) 2021-07-02 2021-07-02 휴대용 산소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31A KR20230006231A (ko) 2023-01-10
KR102619937B1 true KR102619937B1 (ko) 2024-01-02

Family

ID=8489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141A KR102619937B1 (ko) 2021-07-02 2021-07-02 휴대용 산소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894Y1 (ko) * 2007-10-17 2008-03-10 정경아 휴대용 산소 용접기
KR101832817B1 (ko) * 2016-11-21 2018-02-27 박대수 비상탈출용 호흡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438Y1 (ko) 2003-03-26 2003-06-28 이길진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152722B1 (ko) * 2010-04-26 2012-07-03 백종태 비상시 공기를 공급하는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및 접이식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KR101823060B1 (ko) * 2015-09-18 2018-03-15 (주)케이엘코퍼레이션 비상 호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894Y1 (ko) * 2007-10-17 2008-03-10 정경아 휴대용 산소 용접기
KR101832817B1 (ko) * 2016-11-21 2018-02-27 박대수 비상탈출용 호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31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69B1 (ko) 일회용 구명건
US5003973A (en) Rescue helmet apparatus
US5687713A (en) Breathing mask
US3491752A (en) Breathing apparatus
US20140261406A1 (en) Safety vest floatation system with oxygen supply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KR100767009B1 (ko) 산소발생 마스크
KR101832817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KR101064653B1 (ko) 일회용 구명의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102619937B1 (ko) 휴대용 산소공급기
JP2021511190A (ja) 呼吸用空気注入式フード
KR101152675B1 (ko) 조끼식 자가순환형 산소 마스크 장치
US3068865A (en) Air supply and fire extinguishing helmet
US932880A (en) Fireman's equipment.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KR200346391Y1 (ko) 방독면
KR102251406B1 (ko) 자급식 호흡 장치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GB2454491A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RU2072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и головы
RU2335313C2 (ru) Изолирующи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