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46B1 -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46B1
KR102619846B1 KR1020230054184A KR20230054184A KR102619846B1 KR 102619846 B1 KR102619846 B1 KR 102619846B1 KR 1020230054184 A KR1020230054184 A KR 1020230054184A KR 20230054184 A KR20230054184 A KR 20230054184A KR 102619846 B1 KR102619846 B1 KR 10261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3005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를 제안하기 위한 기술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출력하며, 상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suggesting a shooting composition, method for suggesting a shooting composition of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및 디스플레이 처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와 관련이 있다.
스마트폰, 태플릿 기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가 보급되고, 휴대용 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의 사양이 높아지면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전문적인 촬영이 가능해졌다. 또한,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사용자의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보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자동 초점, 자동 화이트 밸런스, 사후적 편집 기능과 같은 편의 기능을 지원하며, 촬영 구도 설정은 사용자의 개별 능력에 의존한다. 현 상황에서 사용자의 개별 능력에 따라 촬영 결과물에 편차가 있을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계층의 경우 원하는 결과물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2928호 (2013년01월17일 등록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대상자와 촬영 주체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정보 제공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대상자와 촬영 주체의 위치 정보를 배경과 함께 맵핑 처리하여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정보 제공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대상자와 촬영 주체의 맵핑 처리된 결과와 주변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정보 제공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주체가 소지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대상자가 식별되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에는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 프레임 가이드 정보, 센터 가이드 정보 및 포즈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는 밝기량이 기설정 임계범위 이상인 주변사물을 표시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가이드 정보는 상기 배경이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포함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가이드 정보는 상기 배경의 중심 또는 화면의 사분면상 촬영대상의 구도가 정해진 곳에 프레임이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즈 가이드 정보는 상기 촬영 대상자가 밝기량이 최대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주체가 소지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촬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촬영 주체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촬영 모드에서 맵핑 처리하고, 상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 및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구도정보에 따른 촬영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대상자가 식별되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타이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촬영 구도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이밍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대상자, 촬영 주체 및 배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맵핑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주체의 위치를 변경한 후 해당 지점에서의 맵핑 처리된 결과를 제공하며, 촬영 모드에서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촬영 주체의 위치 및 환경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1)에서 처리부(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맵핑부(110)의 맵핑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프레이밍부(130)의 촬영 구도정보 제공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대상자, 촬영 주체 및 배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맵핑 및 프레이밍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주체의 위치를 변경한 후 해당 지점에서의 맵핑 처리된 결과를 제공하며, 촬영 모드에서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촬영 주체의 위치 및 환경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안경, HMD(head-mounted-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스마트 미러 등)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휴대용 의료기기(예를 들어,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를 들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및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진 촬영과 디스플레이 처리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도록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 중 어느 하나의 기기에 한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구도 제안을 전자 장치(1)는 위치 검출부(10), 입력부(20), 출력부(30) 및 처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전자 장치(1)는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부와 실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핵심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인 바, 도면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 장치(1)는 무선통신 환경의 모바일(mobile)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단말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전자 장치(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애플리케이션, 셋톱박스(STB) 애플리케이션, 웹(web) 애플리케이션, 인스턴트(instant)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먼저, 위치 검출부(10)는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를 처리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검출부(10)는,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전자 장치(1)의 촬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촬영 주체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전자 장치(1)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도시 생략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주체라 함은 전자 장치(1)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촬영 대상자는 촬영 주체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장치(1)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입력부(10)는 전자 장치(1)에 구비된 별도의 통신부를 통해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대상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상술한 GPS를 기초로 제공될 수 있다.
처리부(100)는 입력부(20)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를 촬영 모드에서의 배경과 함께 맵핑 처리하고,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100)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30)는 처리부(100)의 맵핑 처리한 결과와 촬영 구도정보에 따른 촬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처리부(100)는,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전자 장치(1)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출력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1)에서 처리부(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부(100)는 맵핑부(110), 타이밍부(120) 및 프레이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맵핑부(110)는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1)의 촬영 모드에서 맵핑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맵핑부(110)는 촬영 주체인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 촬영 대상자인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그리고 전자 장치(1)가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수행할 때 프레임에 표시되는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를 소지하는 촬영 주체는 대상 전자 장치를 소지하는 촬영 대상자를 중심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맵핑부(110)는 이와 같이 변경된 촬영 주체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의 맵핑은 상술한 GPS를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타이밍부(120)는 전자 장치(1)의 촬영 모드에서 촬영 대상자가 식별되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레이밍부(130)는 전자 장치(1)의 촬영 모드에서 전자 장치(1)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를 배경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촬영 구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레이밍은 사진을 촬영할 때 피사체를 파인더의 테두리 내에 적절히 배치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즉, 프레이밍은 전자 장치(1)의 화면의 구도와 구성을 설정하는 작업이며, 프레이밍부(130)는 이러한 프레이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구도 제안 방법을 첨부하는 도 3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의 UI(user interface) 화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의 처리부(100)는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와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의 위치 정보는 촬영 주체에 대한 위치이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1)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00)는 촬영 주체의 위치가 설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이와 같이 설정되는 촬영 주체의 위치는 전자 장치(1)를 소지한 촬영 주체가 촬영 모드에서 촬영 대상자를 중심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행위를 반영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주체(b)가 강변을 배경으로 촬영 대상자(a)에 대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주체(b)가 녹지를 배경으로 촬영 대상자(a)에 대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데, 어느 방향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하던지 촬영 대상자(a)가 항상 중심 또는 적절한 구도를 갖는 지점에 위치한 상태로 촬영 주체(b)가 자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촬영 주체(b)의 위치 설정은 이와 같은 촬영 주체(b)가 촬영 대상자(a)를 중심으로 이동한 이후의 위치 설정을 의미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 부호 c는 지형지물 및 배경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실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 주체(b)가 촬영을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전자 장치(100)의 실제 애플리케이션 상에는 반영될 필요는 없다.
촬영 주체의 위치가 설정되면, 처리부(100)는 배경(c)과 함께 촬영 대상자(a)의 위치 정보와 촬영 주체(b)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4).
한편, 처리부(100)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 대상자(a)가 식별되는 경우에(S106),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8). 여기서, 촬영 환경정보는, 예를 들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환경정보가 획득되면, 처리부(100)는 맵핑 처리한 결과와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도록 출력부(30)를 제어할 수 있다(S110).
도 6은 이와 같은 촬영 구도정보 제공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처리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촬영 구도정보는 전자 장치(1)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로 디스플레이 처리될 수 있으며, 촬영 가이드 정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200), 프레임 가이드 정보(202), 센터 가이드 정보(204) 및 포즈 가이드 정보(206)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200)는 밝기량이 기설정 임계범위 이상인 주변사물을 표시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200)는 촬영 프레임에서 포인트가 되는 주변 사물을 촬영 주체(b)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프레임 가이드 정보(202)는 배경(c)이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포함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가이드 정보(202)는 사진의 가장자리에 맞춰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포인트일 수 있다.
센터 가이드 정보(204)는 배경(c)의 중심에 프레임이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포즈 가이드 정보(206)는 촬영 대상자(a)가 밝기량이 최대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포즈 가이드 정보(206)는 촬영 대상자(a)의 신체 부위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가이드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0)는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 모델은 추천 상황 판단(예컨대, 촬영 구도 추천, 촬영 영역 추천, 포즈 추천, 최적의 얼굴 각도 추천)을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 모델은 추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 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을 어떻게 판단할 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 모델은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예컨대,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인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추천 상황 판단을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모델은 특정 환경(예컨대, 실내 또는 실외, 일반 조도 또는 저조도, 낮 또는 밤, 일몰 시간 또는 일출 시간, 겨울 또는 여름, 특정 건물 주변, 특정 자연물 주변 등)에서 피사체(사람, 동물, 자연, 자연 현상 등)를 촬영하는 구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학습 모델은 피사체의 정보(예컨대, 피사체의 종류, 피사체의 수, 성별, 나이 등) 또는 피사체의 주변 환경 정보(예컨대, 빛의 양, 빛의 방향, 빛의 세기,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 특정 건축물 주변인지 여부 등)에 따른 촬영 구도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 모델은 사람을 촬영하는 구도, 동물을 촬영하는 구도, 산을 촬영하는 구도, 바다를 촬영하는 구도, 실내에서 사람을 촬영하는 구도, 실외에서 사람을 촬영하는 구도, 실외에서 특정 건축물을 촬영하는 구도, 실내에서 음식을 촬영하는 구도, 여러 사람을 촬영 하는 구도, 한 명을 촬영하는 구도, 밤에 촬영 하는 구도, 낮에 촬영 하는 구도 등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모델은 개인화 데이터를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 모델은 삭제된 사진의 촬영 구도에 관한 데이터, SNS 서버에 업로드된 사진의 촬영 구도에 관한 데이터, 친구의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사진의 촬영 구도에 관한 데이터, 프로필 이미지로 지정된 사진의 촬영 구도에 관한 데이터 등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모델은 촬영 영역을 추천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학습 모델은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포즈를 추천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 모델은 얼굴 구도를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모델은 촬영 설정 값을 추천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 모델은 전문가들의 사진에서 획득되는 촬영 설정 값들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데이터에 기초한 추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추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학습에 의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예컨대, 프리뷰 이미지 획득),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추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데이터 인식 모델에 의해 출력된 결과 값은, 데이터 인식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1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은 하나의 전자 장치(100)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 중 하나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모델 및 데이터 인식 모델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 모델이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 모델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 모델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 모델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대상자, 촬영 주체 및 배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맵핑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촬영 주체의 위치를 변경한 후 해당 지점에서의 맵핑 처리된 결과를 제공하며, 촬영 모드에서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촬영 주체의 위치 및 환경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촬영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 전자 장치
10: 위치 검출부
20: 입력부
30: 출력부
100: 전자 장치
110: 맵핑부
120: 타이밍부
130: 프레이밍부

Claims (6)

  1. 촬영 주체가 소지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배경과 함께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고, 상기 맵핑 처리된 결과와 상기 획득된 촬영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구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를 프레이밍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밝기량이 기설정 임계범위 이상인 촬영 프레임에서 포인트가 되는 주변 사물을 표시하도록 가이드하는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와, 상기 배경이 상기 촬영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포함되도록 가이드하는 프레임 가이드 정보와, 상기 배경의 중심에 상기 촬영 프레임이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센터 가이드 정보와, 상기 촬영 대상자의 밝기량이 최대인 방향으로 상기 촬영 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가이드하는 포즈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대상자가 식별되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3. 삭제
  4. 촬영 주체가 소지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촬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촬영 주체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자의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촬영 모드에서 맵핑 처리하고, 상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 환경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환경정보를 기초로 배경과 함께 촬영 구도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 및
    상기 맵핑 처리한 결과와 상기 촬영 구도정보에 따른 촬영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대상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변경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상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경의 위치 정보를 맵핑 처리하고, 상기 맵핑 처리된 결과와 상기 획득된 촬영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구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촬영 가이드 정보를 프레이밍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레이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밝기량이 기설정 임계범위 이상인 촬영 프레임에서 포인트가 되는 주변 사물을 표시하도록 가이드하는 주변사물 가이드 정보와, 상기 배경이 상기 촬영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포함되도록 가이드하는 프레임 가이드 정보와, 상기 배경의 중심에 상기 촬영 프레임이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센터 가이드 정보와, 상기 촬영 대상자의 밝기량이 최대인 방향으로 상기 촬영 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가이드하는 포즈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대상자가 식별되면 촬영 시간, 계절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타이밍부를 포함하는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6. 삭제
KR1020230054184A 2023-04-25 2023-04-25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KR10261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184A KR102619846B1 (ko) 2023-04-25 2023-04-25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184A KR102619846B1 (ko) 2023-04-25 2023-04-25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46B1 true KR102619846B1 (ko) 2024-01-02

Family

ID=8951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184A KR102619846B1 (ko) 2023-04-25 2023-04-25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28B1 (ko) 2012-05-04 2013-01-17 (주)비즈텍 구도 설정 촬영장치
KR20220112952A (ko) * 2021-02-05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구도 유지 방법
KR20230006424A (ko) * 2017-12-01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촬영과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28B1 (ko) 2012-05-04 2013-01-17 (주)비즈텍 구도 설정 촬영장치
KR20230006424A (ko) * 2017-12-01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촬영과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2952A (ko) * 2021-02-05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구도 유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0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hotography
US856471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ject
CN107925720B (zh) 用于控制图像的捕获的系统和方法
US10110868B2 (en) Image processing to determine center of balance in a digital image
US20130342713A1 (en) Cloud service based intelligent photographic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180962B1 (ko) 표시 시스템, 표시 단말,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8600632B (zh) 拍照提示方法、智能眼镜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88334B2 (en) Automatic camera guidance and settings adjustment
KR20090087670A (ko) 촬영 정보 자동 추출 시스템 및 방법
CN106488120B (zh) 一种基于云技术的可穿戴智能拍摄装置及智能拍摄系统
US20220101596A1 (en) Object relighting using neural networks
KR102619846B1 (ko) 촬영 구도 제안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촬영 구도 제안 방법
CN111670464B (zh) 利用深度数据的增强现实影像提供方法以及程序
CN114827445B (zh) 图像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20240073923A (ko) 맞춤화된 이미지 재처리 시스템
KR20220056068A (ko)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4449210A (zh) 图像获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8044217A (zh) 定制图像再处理系统
CN116420158A (zh) 用于生成其中被摄体已经被捕获的图像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