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02B1 -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02B1
KR102619802B1 KR1020210125803A KR20210125803A KR102619802B1 KR 102619802 B1 KR102619802 B1 KR 102619802B1 KR 1020210125803 A KR1020210125803 A KR 1020210125803A KR 20210125803 A KR20210125803 A KR 20210125803A KR 102619802 B1 KR102619802 B1 KR 10261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steel pipe
sound
inform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289A (ko
Inventor
이용관
김수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02B1/ko
Priority to PCT/KR2021/095139 priority patent/WO2023048345A1/ko
Publication of KR2023004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8Marking the faulty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2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6Detecting the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09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81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4Metals, e.g. st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강관 제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고, 강관을 통해 유출되는 음향을 추출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강관의 주된 불량 내용은 용접 불량에 따른 기공 또는 크랙(crack) 및 조관불량 임을 감안하여, 종래의 강관 검사는 일부 샘플에 대한 육안 검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상은 육안 식별은 어려우며, 특히나 제조물량을 모두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비파괴 검사 방법을 적용한 전수검사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강관에 대하여 정해진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을 발생시키고 강관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강관의 불량에 따른 학습된 음향분석정보와 대비하여 강관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STEEL PIPE TEST SYSTEM USING ACOUSTIC SIGNALS}
본 발명은 지반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강관 제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고, 강관을 통해 유출되는 음향을 추출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보는, 지하 암반이나 탄중에 갱도를 굴착하면 지압에 의해 변형이 생기고 파괴되어 함몰하는데 이를 방지하고 파괴의 원인이 되는 만곡(彎曲)과 침강을 방지하여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지물로 목재나 철재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터널 굴착 시 암반 붕괴를 막기 위해 상기와 같이 지보를 설치하게 되는 바, 종래에는 철근을 삽입, 몰탈 또는 레진으로 정착시키는 기보가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강관(록볼트) 내부에 유체(물)를 고압(250bar 이상)으로 주입해 강관을 팽창, 암반에 강하게 밀착해 정착시키는 지보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튜브형 강관은 고압 팽창을 견딜 수 있는 기밀성의 유지 여부가 중요 품질 특성이며, 불량품의 강관이 사용될 경우 고압으로 투입된 물이 누설되면서, 강관이 팽창이 불가하게 됨으로써, 강관의 그 역할을 다 하지 못하게 된다.
강관 제품 생산 시는 크게 조관 공정과 정착부 및 선단부 용접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중 조관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으로 클레임이 발생하고 있으나 적절한 검사방법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사 현장에서 시공 중단 및 공기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고객의 클레임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용 조건에 사용되는 강관에 대한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강관의 검사방법은 조관 공정에서 30분당 1개의 제품을 선택하여 100 bar의 압력으로 물을 투입시켜 팽창 검사한다. 이는 파괴시험에 해당하며, 시험 샘플은 고객 납품 불가로 전수 폐기해야 한다.
따라서 샘플 검사로서는 불량품을 100% 선별할 수 없으며, 고객 클레임 가능성이 항상 상존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샘플 검사 환경의 제약으로 100bar의 제한적인 압력만을 가할 수 밖에 없어서, 검사 규격에도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관의 주된 불량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 불량에 따른 기공 또는 크랙(crack),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관불량 임을 감안하여, 용접부 등을 육안으로 불량검사하게 되는 데, 실상은 육안 식별은 어렵다.
또한 제조물량을 모두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비파괴 검사 방법을 적용한 전수검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화상 촬영의 경우 제품 외관을 촬영한 후 불량 이미지와 비교하여 판정하게 되며, 제품의 불량 중 외부의 크랙(crack) 외에 용접부의 두께 미달 불량은 외관상 검출이 불가하며, 밀폐도 검사에 사용되는 Leak Detector도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적용이 불가하다.
그리고 X-Ray는 제품 전체를 연속 단층 촬영하게 되는데, 제품의 길이가 4m 이상으로 데이터 취득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게 됨으로써, 이의 방법 또한 적용이 어렵다.
본 발명은 강관에 대하여 정해진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을 발생시키고 강관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강관의 불량에 따른 학습된 음향분석정보와 대비하여 강관의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은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강관에 대한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검사 진행 및 검사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검사과정에서의 검사학습정보 생성하고, 이후 진행되는 강관의 검사과정에서 생성된 검사학습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현장 상황에서의 오디오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을 고려하여 강관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은, 음향 신호를 강관에 제공하고,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고, 강관의 정상, 불량 유형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시스템은, 검사대상 강관을 검사위치에 지지해주기 위한 강관받침수단과, 강관받침수단에 위치한 강관에 음향을 공급하기 위한 음향발생수단과, 강관의 일 측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되어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과, 음향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음향데이터를 등록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검사제어장치와, 강관의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수단과, 강관검사결과 및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입력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의 정상 및 불량 유형에 따른 강관의 유출 음향데이터 수집하고, 그 불량 여부에 대하여 분석하여 불량판단 모델을 생성하고, 불량판단모델에 대하여 학습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의 정상, 불량 유형에 따라 검출된 음향 데이터 파일을 라인 단위로 분리 저장하는 파일 전처리과정 (File pre-processing)과, 검출된 음향데이터 파일들을 리드(read) 후 절대치, 평균치 연산(ABS, Avergae operation)을 수행하는 데이터 경량화 과정과, 트레이닝 대상 데이터 파일을 스케일링(Scaling)하고, 이 값을 오토엔코더(Autoencoder)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불량판단모델(AI 모델)을 생성하는 불량판단모델 생성과정과, 불량판단모델을 트레이닝하는 트레이닝 과정과, Test Data와 Faulty Data를 통해 검증하는 검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시스템은,
검사장치 본체의 그 상부로 검사대상인 강관을 검사위치에 지지해주기 위한 강관받침수단, 강관받침수단에 지지되는 강관의 일 측 끝단에 음향발생수단이 위치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 강관받침수단에 놓인 강관의 일 측으로 음향검출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을 포함하며,
검사장치 본체의 외부 일 측에는 강관의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수단과, 강관검사결과 및 검사설정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에 설치되어 강관받침수단에 놓인 강관 내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에 설치되어 강관을 통해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장치 본체 그 내부로는 상기 음향발생수단을 통해 정해진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의 발생 제어 및 음향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된 음향데이터를 강관의 불량 유형에 따른 강관의 수집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검사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검사제어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강관 검사정보 설정, 강관 검사 진행 및 강관 검사 내역 확인 조회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시스템은,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을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부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섹터인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상기 검사장치 본체를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하단으로는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가 구성되며,
상기 섹터인식수단은 가이드레일에는 강관의 음향검출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섹터인식단자로 구성되고,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이동가이드 내에는 상기 섹터인식단자에 접촉하는 가이드섹터인식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섹터인식단자는 가이드섹턱인식단자와 접촉되면 검사제어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적인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제어장치는 설정된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을 음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시키는 음향제어수단과, 음향검출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과, 음향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고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에 저장된 검사정보 및 음향분석정보, 검사학습정보를 참조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검사결과정보를 생성 및 검사히스토리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에 저장하는 검사제어수단과, 상기 검사제어수단에서 생성된 검사결과정보 및 검사제어정보를 강관의 검사학습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에 등록 저장 관리하는 학습관리수단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검사에 필요한 검사정보 항목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에 설정하기 위한 검사정보설정수단과, 유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단말수단의 접속관리 및 사용자단말수단의 강관 검사정보 설정, 사용자단말수단의 요청에 따라서 강관검사 진행 및 검사 결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제어수단과, 사용자단말수단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수단과, 정보저장관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저장관리수단은 강관의 불량 유형에 따라 학습된 음향분석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분석정보저장부,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음향정보 및 검사결과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히스토리저장부, 상기 학습관리수단에서 생성된 검사학습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학습정보저장부와, 검사정보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검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정보부를 포함하는 정보저장관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정보부의 검사정보는 강관의 길이, 두께에 대한 검사대상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제어수단은 강관의 길이, 두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진폭을 갖는 음향제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정보에 설정된 검사정보를 참조하여 음향발생수단으로 제공할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은,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음향검출수단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검출수단의 위치에 대한 자동이동수단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음향검출위치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의 위치를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위치를 검사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자동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 자동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검사제어장치는 검사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위치를 각 섹터별 검사위치로 이동 제어하는 고정부이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검사제어장치는 검사진행을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드설정수단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이동 없이 정해진 위치에서 음향을 검출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사용자입력수단 또는 사용자단말수단을 통해 설정된 위치지정모드를 검사정보부에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검사제어수단의 강관 검사제어과정은,
사용자로 부터 검사 진행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에서는 검사정보부에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을 위치지정모드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음향검출수단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을 첫 번째 섹터 위치로 이동시키고, 첫 번째 섹터 위치로부터 각 섹터 단위로 이동가이드를 이동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의 위치가 마지막 섹터의 위치까지 음향검출수단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량판단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에 따르면, 음향을 이용하여 강관의 크랙 등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강관 제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에 따르면, 강관 외부의 크랙(crack) 외에도 용접부의 두께 미달 불량와 같은 불량 부분에 대해서도 검출이 가능하며, 강관의 누출(Leak) 까지도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강관을 검사위치에 공급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음향검출장치의 위치 자동이동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강관의 전체 섹터에 대한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보다 세밀한 강관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은,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신호의 검출을 통해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서 제품의 전수 검사에 유리하다.
도 1 강관(록볼트)을 지보로 사용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2, 도 3은 강관의 불량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음향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의 본체 구성을 보인 정면 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음향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의 본체 구성을 보인 배면 방향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음향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
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불량판단모델(AI 모델링) 및 학습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학습 과정에서의 오토엔코더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이닝 및 테스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음향 수집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6은 본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검사제어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 음향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은,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고,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정보를 이용하여 크랙 등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은,
검사장치 본체(100)의 그 상부로 검사대상인 강관을 검사위치에 지지해주기 위한 강관받침수단(110), 강관받침수단(110)에 지지되는 강관의 일 측 끝단에 음향발생수단(200)이 위치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 강관받침수단(110)에 놓인 강관의 상부 및 하부에 음향검출수단(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포함하며,
검사장치 본체(100)의 외부 일 측에는 강관의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수단(140)과, 강관검사결과 및 검사설정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수단(150)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에 설치 고정되어 강관받침수단(110)에 놓인 강관 내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200)과,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20)의 상부, 하부에 설치되어 강관을 통해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장치 본체(100) 그 내부로는 상기 음향발생수단(200)을 통해 정해진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의 발생 제어 및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검출된 음향데이터에 따라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시수단(150) 및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단말수단(500)으로 제공하는 검사제어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사제어장치(40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강관 검사정보 설정, 강관 검사 진행 및 강관 검사 내역 확인 조회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시스템은,
검사장치 본체(100)의 상부로 검사대상인 강관의 위치 지정을 위한 강관받침수단(110)이 구성되며, 이의 일 측으로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 강관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이 구성된다.
상기 강관받침수단(110)은 상부가 열린 상태로 하부가 강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강관을 얹어둘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강관의 길이에 맞춰 양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은 강관받침수단(110)의 일 측부로 음향발생수단(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음향발생수단(200)을 고정하기 위한 발생수단고정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발생수단고정부(121)는 음향발생수단(200)을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은 강관받침수단(120)에 놓인 강관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에 음향검출수단(3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 ㄷ " 형태로 구성되고 그 끝단에 검출수단고정부(131)가 구성되며, 상기 검출수단고정부(131)는 음향발생수단(200)을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부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섹터인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상기 검사장치 본체(100)를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60)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하단으로는 가이드레일(160)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13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60)에는 강관의 음향검출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섹터인식단자(161)가 구성되고,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 내에는 상기 섹터인식단자(161)에 접촉하는 가이드섹터인식단자(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섹터인식단자(161)는 가이드섹턱인식단자(133)와 접촉되면 검사제어장치(4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적인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섹터인식단자(161)는 강관의 길이에 따라 음향검출위치를 구간별로 나누고, 이러한 각 섹터별 해당 위치에서 음향이 검출될 수 있도록 음향검출수단(13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음향검출을 이용한 강관 검사 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음향발생수단(200)은 음향을 발생시켜 강관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검출수단(300)은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이크(microphon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설정된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을 음향발생수단(200)을 통해 발생시키는 음향제어수단(410)과, 음향검출장치(300)를 통해 검출된 음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420)과, 음향제어수단(410)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고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50)에 저장된 검사정보 및 음향분석정보, 검사학습정보를 참조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검사결과정보를 생성 및 검사히스토리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450)에 저장하는 검사제어수단(430)과,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에서 생성된 검사결과정보 및 검사제어정보를 강관의 검사학습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등록 저장 관리하는 학습관리수단(440)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검사에 필요한 검사정보 항목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60)에 설정하기 위한 검사정보설정수단(450)과, 유무선통신수단(470)을 통해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접속관리 및 사용자단말수단(500)의 강관 검사정보 설정,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요청에 따라서 강관검사 진행 및 검사 결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제어수단(460)과, 사용자단말수단(500)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수단(470)과, 강관의 불량유형에 따라 학습된 음향분석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분석정보저장부(481),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음향정보, 사용자검증정보 및 검사결과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히스토리저장부(482), 상기 학습관리수단(440)에서 생성된 검사학습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학습정보저장부(483)와, 검사정보설정수단(450)에 의해 설정된 검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정보부(484)를 포함하는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사제어장치는(400)는 음향발생수단(200)을 통해 강관에 음향을 발생시키고,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여 미리 학습되어 생성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음향제어수단(410)은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 설정된 주파수 및 진폭에 따라서 음향 제어신호를 음향발생수단(20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음향제어수단(410)은 강관의 길이, 두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진폭을 갖는 음향제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정보부(454)에 설정된 검사정보를 참조하여 음향발생수단(200)으로 제공할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강관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서 내부 설정된 주파수 및 진폭에 따른 음향 발생제어신호를 음향발생수단(200)으로 제공하여 강관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진폭을 갖는 음향을 이용하여 강관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집수단(420)은 음향검출수단(300)에 의해 검출된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신호를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저장하는 수단으로, 상기 음향검출수단(300)으로부터 검출된 음향신호를 전처리하여 음향검출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저장 및 강관검사제어수단(430)으로 제공한다.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은 검사를 진행 제어하며,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의 검사정보부(484)에 설정된 검사정보에 따라 분석정보저장부(481)의 음향분석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수집수단(420)의 음향검출 데이터를 대비하여 강관의 불량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학습관리수단(440)은 강관의 검사를 진행하면서 생성된 정보를 누적(업데이트) 관리하여 현장 조건에서 검사결과에 따른 학습정보를 생성,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에 의해 생성된 검사결과정보 및 검사정보, 검사제어정보, 음향검출 데이터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검증정보로부터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검사정보설정수단(450)은 검사에 필요한 설정 항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검사에 필요한 설정 항목을 제공하며, 설정 항목에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입력된 검사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단말제어수단(460)은, 유무선통신수단(470)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접속관리,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정보 및 요청된 정보의 제공 관리를 수행하는 수단으로, 사용자단말수단(500)의 강관 검사정보 설정, 사용자검증정보 입력,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요청에 따라서 강관검사 진행 및 검사 결과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유무선통신수단(470)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수단(500)과 통신하기 통신수단이다.
상기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은 강관의 검사를 위해 설정되는 검사정보, 다양한 강관의 불량유형에 따라 학습된 음향분석정보, 검사결과에 따라 생성된 학습정보, 검사 내역을 포함하는 검사히스토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수단이다.
상기 분석정보저장부(481)의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여 강관으로부터 수집된 음향정보에 대한 분석, 학습된 정보로서, 강관의 불량 유형에 따라 수집된 음향정보, 그리고 그 불량 여부를 판단, 확인하여 불량판단모델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학습된 정보이다.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의 불량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로서, 강관 내에 음향을 제공하고,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정상적인 강관에서 유출되는 음향과는 다른 음향정보가 검출됨을 감안하여, 불량유형, 정상 강관에 대하여 강관의 길이, 두께 별 음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강관들의 정보에 대한 불량판단모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학습된 정보를 나타낸다.
도 9는 불량판단모델(AI 모델링) 및 학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파일의 전처리 과정]
(a). 파일을 라인 단위로 분리 저장 한다.(File pre-processing)
이와 같이 라인 단위의 파일로 분리하는 이유는 각 라인을 다른 샘플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한 번 측정한 데이터를 1개의 샘플로 사용하지 않고 분리하여 여러 번 샘플링한 것 같은 효과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경량화 과정]
(b). 파일들을 리드(read) 후 절대치, 평균치 연산(ABS, Avergae operation)
을 수행한다. 이는 데이터를 경량화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트레이닝 및 테스트 과정]
(c). 트레이닝 대상 데이터 파일을 스케일링(Scaling)하고, 이 값을 오토엔코더(Autoencoder)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d). 모델을 트레이닝하며 트레이닝 정도는 Training / Validation Plot을 통해 인지한다.
(e). Test Data와 Faulty Data(가능한 경우)를 통해 검증한다.
(Anomaly non detection test on test data, Anomaly detection test on faulty data)
상기 오토엔코더는 비지도 학습에서 인코딩 및 디코딩 계층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표현을 학습하는 인공 신경망(ANN)의 일종이다. 역전파를 통해, 네트워크는 차원 감소를 통해 입력을 재구성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원래 입력과 동일한 출력 값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10은 엔코더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트레이닝 및 테스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X축: epoch, Y축: loss를 나타낸다.
각 에포크(epoch) 마다 퍼포먼스(performance)의 기준 중 하나인 로스(loss)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모델 트레이닝의 목적이 loss의 최저값 (global minimum)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로스가 많은 epoch 동안 변하지 않으면 최소값에 수렴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global이 아닌 로컬 최소값(local minimum)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 하강 알고리즘(gradient descent)에 모멘텀을 추가한 rmsprop, adam 등의 옵티마이저 식(알고리즘)을 사용하기도 하며, 또한 충분한 epoch를 시험해 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모델 선정 기준은 validation loss로 validation loss가 가장 작은 모델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epoch는 신경망을 학습시킬 때, 모든 트레이닝 데이터(training data)에 대해 완료된 트레이닝 사이클(training cycle)의 수를 의미한다.
즉, 전체 데이터셋(dataset)에 대해 한 번 학습을 완료한 상태로, epoch = 10은 전체 데이터를 10번 사용해서 학습을 거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 X축: loss, Y축: density of given loss를 나타낸다.
빨간색: test data, 파란색: faulty data (verification data)
최종 모델 (이때, 별도로 callback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그냥 설정한 모든 epoch가 끝난 후 모델)에 test data와 faulty data를 넣고 loss의 분포도를 구한 그래프임.
Test data를 나타내는 빨간색 분포는 더 낮은 loss 값을 보이는데 이는 test data와 training data가 같은 분포에서 샘플링된 특성을 잘 보여준다.
반면 faulty data 분포는 예상대로 더 큰 loss 값에 분포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두 데이터 세트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기준값(threshold) 지정하는 등 실제 목표인 양품 불량품 진단을 하는 기준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그래프의 경우 겹치는 부분이 상당하므로 실제 파이프를 검사할 때 데이터 샘플 여러 개를 예측(predict)하고 그 값들의 평균값이 기준값(threshold)을 넘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식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상기 검사히스토리저장부(482)의 음향정보는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음향정보이고, 검사결과정보는 강관검사제어수단(430)에 의해 불량 여부를 판단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검사히스토리저장부(482)의 사용자검증정보는 검사결과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증정보로서, 실제 육안검사를 통해 검사결과와 다를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이다.
상기 학습정보저장부(483)의 검사학습정보는 검사가 진행되면서 검사조건에 따라 검사과정에서 생성된 검사결과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학습정보로서, 설정된 검사정보, 수집된 음향정보 및 검사결과정보에 대한 학습정보이며, 사용자가 검사결과정보에 대한 검증정보로서 입력한 사용자검증정보를 포함하여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검사정보부(484)의 검사정보는 사용자입력수단(140)에 의해 설정된 검사에 필요한 정보로서, 강관의 두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검사대상정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관을 시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강관의 검사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검사장치 본체(100)의 외관에 구성된 사용자입력수단(140)을 통해 검사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강관의 검사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강관의 검사정보에 대한 조회를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강관의 검사정보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강관의 검사정보 설정이 요청되면, 검사정보설정수단(450)에서는 검사정보 설정항목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검사정보를 입력하고, 검사정보설정수단(450)에서는 사용자단말수단(500) 또는 사용자입력수단(140)을 통해 입력된 검사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등록하여 설정한다.
검사정보는 강관의 두께, 길이 정보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검사정보의 설정은 검사대상이 다른 종류의 강관으로 변경되기 전에는 다시 설정할 필요는 없다.
이후, 사용자는 강관을 강관 받침수단(110)에 얹고 음향발생수단(200)으로 밀착시키고,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검사를 진행할 최초 위치에 이동시켜 검사를 준비한다.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으로부터 검사 시작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음향제어수단(410)을 제어하여 음향발생수단(200)으로부터 음향이 발생시켜 강관에 제공한다.
이때, 음향제어수단(410)에서는 정보저장관리수단(400)에 설정된 검사정보에 따라서 설정된 주파수,진폭을 갖는 음향제어신호를 음향발생수단(200)으로 제공하여 강관의 두께, 길이에 따라 검사에 적정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한편 음향검출수단(300)에서는 강관을 따라 유출된 음향을 검출하게 되고, 수집수단(420)에서는 상기 음향검출수단(300)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집하여 디지털 음향데이터로 변환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이의 정보에 대한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14는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수집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는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첫 번째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면서 강관의 음향이 검출되도록 하여 강관을 검사하게 된다.
사용자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가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132) 내 가이드섹터인식단자(133)가 가이드레일(160) 내 섹터인식단자(161)와 접촉되면서 그 신호를 검사제어장치(300)로 제공하게 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상기 섹터인식단자(161)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고, 강관의 섹터에 따라서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의 검사정보 및 음향분석정보, 검사학습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마지막 섹터까지 음향신호가 검출되고,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검사종료가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수단(150) 및 사용자단말수단(500)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로 부터 사용자검증정보가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진행정보로서, 사용자검증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의 검사히스토리정보저장부(462)에 저장한다.
학습관리수단(440)에서는 검사정보,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음향정보 등 검사진행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검사결과정보를 참조하여 학습정보를 생성하고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의 학습정보관리부(483)의 학습정보로 등록한다.
여기서 학습관리수단(440)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검증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검증정보를 참조하여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음향검출수단(300)을 첫 번째 섹터 위치로부터 마지막 섹터의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하나의 강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였으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검사 시작 후 검사를 원하는 위치로 음향검출수단(300)을 이동시키고 검사 완료 후 검사종료를 선택하여 하나의 강관에 대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가 진행된 섹터에 대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이용하여 검사제어장치(400)로부터 강관의 검사정보설정, 사용자검증정보입력, 강관의 검사 진행(검사시작, 검사종료)이 가능하며, 검사결과정보, 학습정보와 검사 진행 시 수집된 음향정보의 조회 및 제공받아 저장(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말제어수단(460)에서의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접속관리는 일반적인 보안 접속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접속된 사용자별 접속관리정보를 구성하여 접속제한 및 허용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는, 강관을 섹터로 구분하고,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전 섹터의 구간별로 음향을 검출하여 강관을 검사 또는 정해진 섹터의 위치에서 음향을 검출하여 강관을 검사하도록 하는 바, 별도의 고정부이동수단을 구성하지 않고, 사용자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이동 또는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켜 음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검사장치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때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은 강관으로부터 유출된 음향을 고르게 검출할 수 있도록 강관받침수단(110)에 놓인 강관의 중앙 위치에 해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고정시켜 구성하는 경우 검사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나, 보다 세밀한 검사를 위해서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이 필요하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음향검출위치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를 자동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 자동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처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음향검출수단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적용된 본 발명 다른 실시 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고정부 자동이동수단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결합되어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가 가이드레일(160)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이동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검사제어수단(430)의 제어에 따라서 이동가이드(132)를 각 섹터별 검사위치로 이동 제어하는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이동수단(600)은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의 제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610)과,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결합되며 구동수단(61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를 가이드레일(160)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이동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610)은 선형 모터(Linear mot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이동부(620)는 선형 모터와 회전축 결합되고 그 일 측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 운동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제공하는 기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 모터, 기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610), 가이드이동부(620)의 상세구조는 일반적인 회전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상세한 구조는 생략한다.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로부터 검사 진행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으로 검사의 시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에서는 검사제어수단(430)으로부터 검사 진행이 시작되면, 검사정보부(484)에 설정된 검사정보에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가이드이동부(620)를 동작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첫 번째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첫 번째 위치로부터 각 섹터 단위로 이동가이드(132)를 이동시켜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가 마지막 위치까지 이르러 강관의 모든 섹터에 대한 음향검출이 완료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해당 강관에 대한 검사를 완료하고, 상기 본 발명 실시 예에서와 같이, 검사결과정보를 표시수단(150)에 표시 및 사용자단말수단(500)으로 제공하며, 수집된 음향정보 및 검사진행정보(검사정보 등)을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저장하며 학습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는 검사제어장치(400)는 검사 진행을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수단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 없이 정해진 위치에서 음향을 검출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설정된 위치지정모드를 검사정보부(484)에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검사 제어과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의 검사제어과정은,
상기 제1항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로부터 검사 진행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정보부(484)에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를 위치지정모드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첫 번째 섹터 위치로 이동시키고, 첫 번째 섹터 위치로부터 각 섹터 단위로 이동가이드(132)를 이동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가 마지막 섹터의 위치까지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량판단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모드설정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로부터 검사 진행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정보부(484)에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가이드이동부(620)를 동작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가이드이동부(620)를 동작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첫 번째 섹터 위치로 이동시키고, 첫 번째 섹터 위치로부터 각 섹터 단위로 이동가이드(132)를 이동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가 마지막 섹터 위치까지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 실시 예에서와 같이, 수집된 음향정보 및 검사진행정보(검사정보,사용자검증정보 등)을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저장하며 학습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바, 검사진행정보로서 모드설정정보 또한 참조하여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서는 강관을 검사함에 있어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자동 이동시키고, 각 위치에 해당하는 음향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강관을 강관받침수단(110)에 공급하는 동작만으로도 강관의 검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강관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음향정보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은 지보에 이용되는 강관(록볼트)에 대한 검사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있지만, 금속으로 이루어진 관(pipe)형태의 제품 또는 일정한 구조를 갖는 금속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품에 대하여 실시가능하다.

Claims (13)

  1. 검사대상 강관을 검사위치에 지지해주기 위한 강관받침수단과, 강관받침수단에 위치한 강관에 음향을 공급하기 위한 음향발생수단과, 강관의 일 측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되어 강관을 따라 유출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제어하여 강관에 정해진 주파수, 진폭을 갖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고 음향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음향데이터를 등록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검사제어장치와, 강관의 검사 진행 및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수단과, 강관검사결과 및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의 정상 및 불량 유형에 따른 강관의 유출 음향데이터 수집하고, 그 불량 여부에 대하여 분석하여 불량판단 모델을 생성하고, 불량판단모델에 대하여 학습된 정보인 것으로서,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검출된 음향 데이터 파일을 라인 단위로 분리 저장하는 파일 전처리과정 (File pre-processing)과, 검출된 음향 데이터 파일들을 리드(read) 후 절대치, 평균치 연산(ABS, Avergae operation)을 수행하는 데이터 경량화 과정과, 트레이닝 대상 데이터 파일을 스케일링(Scaling)하고, 이 값을 오토엔코더(Autoencoder)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불량판단모델을 생성하는 불량판단모델 생성과정과, 불량판단모델을 트레이닝하는 트레이닝 과정과, Test Data와 Faulty Data를 통해 검증하는 검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2. 검사장치 본체(100)의 그 상부로 검사대상인 강관을 검사위치에 지지해주기 위한 강관받침수단(110), 강관받침수단(110)에 지지되는 강관의 일 측 끝단에 음향발생수단(200)이 위치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 강관받침수단(110)에 놓인 강관의 일 측으로 음향검출수단(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포함하며,
    검사장치 본체(100)의 외부 일 측에는 강관의 검사 진행 및 검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수단(140)과, 강관검사결과 및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수단(150)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에 설치되어 강관받침수단(110)에 놓인 강관 내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200)과,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설치되어 강관을 통해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장치 본체(100) 그 내부로는 상기 음향발생수단(200)을 통해 정해진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의 발생 제어 및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검출된 음향데이터를 강관의 불량 유형에 따른 강관의 수집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음향분석정보를 참조하여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검사제어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분석정보는,
    검출된 음향 데이터 파일을 라인 단위로 분리 저장하는 파일 전처리과정 (File pre-processing)과, 검출된 음향 데이터 파일들을 리드(read) 후 절대치, 평균치 연산(ABS, Avergae operation)을 수행하는 데이터 경량화 과정과, 트레이닝 대상 데이터 파일을 스케일링(Scaling)하고, 이 값을 오토엔코더(Autoencoder)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불량판단모델을 생성하는 불량판단모델 생성과정과, 불량판단모델을 트레이닝하는 트레이닝 과정과, Test Data와 Faulty Data를 통해 검증하는 검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검사제어장치(40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강관 검사정보 설정, 강관 검사 진행 및 강관 검사 내역 확인 조회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수단고정수단(120)은 음향발생수단(200)을 고정하기 위한 발생수단고정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발생수단고정부(121)는 음향발생수단(200)을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은 강관받침수단(120)에 놓인 강관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에 음향검출수단(3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 ㄷ " 형태로 구성되고 그 끝단에 검출수단고정부(131)가 구성되며, 상기 검출수단고정부(131)는 음향발생수단(200)을 착,탈 가능한 고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출되는 음향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부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강관의 길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섹터인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이동수단은 상기 검사장치 본체(100)를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60)이 구성되고, 상기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하단으로는 가이드레일(160)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가이드(132)가 구성되며,
    상기 섹터인식수단은 가이드레일(160)에는 강관의 음향검출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섹터인식단자(161)로 구성되고,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 내에는 상기 섹터인식단자(161)에 접촉하는 가이드섹터인식단자(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섹터인식단자(161)는 가이드섹턱인식단자(133)와 접촉되면 검사제어장치(4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적인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설정된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음향을 음향발생수단(200)을 통해 발생시키는 음향제어수단(410)과, 음향검출장치(300)를 통해 검출된 음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420)과,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진행정보(시작, 종료)에 따라서 음향제어수단(410)을 제어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고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저장된 검사정보 및 음향분석정보, 검사학습정보를 참조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검사결과정보를 생성 및 검사히스토리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450)에 저장하며, 사용자검증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검증정보를 검사히스토리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450)에 저장하는 검사제어수단(430)과,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에서 생성된 검사결과정보, 사용자검증정보 및 검사제어정보를 강관의 검사학습정보로 정보저장관리수단(480)에 등록 저장 관리하는 학습관리수단(440)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검사에 필요한 검사정보 항목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정보를 정보저장관리수단(460)에 설정하기 위한 검사정보설정수단(450)과, 유무선통신수단(470)을 통해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접속관리 및 사용자단말수단(500)의 강관 검사정보 설정, 사용자단말수단(500)의 요청에 따라서 강관검사 진행 및 검사 결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제어수단(460)과, 사용자단말수단(500)과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통신수단(470)과,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은 강관의 불량 유형에 따라 학습된 음향분석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분석정보저장부(481), 수집수단(420)을 통해 수집된 음향정보 및 검사결과정보,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검증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히스토리저장부(482), 상기 학습관리수단(440)에서 생성된 검사학습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학습정보저장부(483)와, 검사정보설정수단(450)에 의해 설정된 검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검사정보부(484)를 포함하는 정보저장관리수단(4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석정보저장부(481)의 음향분석정보는, 강관에 음향을 제공하여 강관으로부터 수집된 음향정보에 대한 분석, 학습된 정보로서, 강관의 불량유형에 따라 수집된 음향정보, 그리고 그 불량 여부를 판단, 확인하여 불량판단모델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학습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정보부(484)의 검사정보는 강관의 길이, 두께에 대한 검사대상정보이며,
    상기 음향제어수단(410)은 강관의 길이, 두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진폭을 갖는 음향제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검사정보부(484)에 설정된 검사정보를 참조하여 음향발생수단(200)으로 제공할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검출위치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300)의 위치를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를 검사제어수단(430)의 제어에 따라서 자동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 자동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검사제어수단(430)의 제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를 각 섹터별 검사위치로 이동 제어하는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부 자동이동수단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결합되어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를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이동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검사제어수단(430)의 제어에 따라서 이동가이드(132)를 각 섹터별 검사위치로 이동 제어하는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이동수단(600)은 고정부이동제어수단(490)의 제어에 따라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610)과,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에 결합되며 구동수단(61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가이드(132)를 가이드레일(160)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이동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제어장치(400)는 검사 진행을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드설정수단은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이동 없이 정해진 위치에서 음향을 검출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위치지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사용자입력수단(140) 또는 사용자단말수단(500)을 통해 설정된 위치지정모드를 검사정보부(484)에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제어수단(430)의 강관 검사제어과정은,
    사용자로부터 검사 진행이 입력되면,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검사정보부(484)에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위치지정모드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과정과,
    위치지정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여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을 첫 번째 섹터 위치로 이동시키고, 첫 번째 섹터 위치로부터 각 섹터 단위로 이동가이드(132)를 이동시켜 음향검출수단고정수단(130)의 위치가 마지막 섹터의 위치까지 음향검출수단(300)을 통해 음향을 검출하고, 검사제어수단(430)에서는 각 섹터에 대한 강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량판단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KR1020210125803A 2021-09-23 2021-09-23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KR10261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3A KR102619802B1 (ko) 2021-09-23 2021-09-23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PCT/KR2021/095139 WO2023048345A1 (ko) 2021-09-23 2021-12-28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3A KR102619802B1 (ko) 2021-09-23 2021-09-23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289A KR20230043289A (ko) 2023-03-31
KR102619802B1 true KR102619802B1 (ko) 2024-01-02

Family

ID=8571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03A KR102619802B1 (ko) 2021-09-23 2021-09-23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9802B1 (ko)
WO (1) WO202304834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7007A (ja) * 2018-05-10 2019-11-14 東京瓦斯株式会社 超音波探傷の判定装置、判定プログラム及び判定方法
KR102128066B1 (ko) * 2019-12-16 2020-06-30 주식회사 렉터슨 음향 방출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물 결함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21121803A1 (en) * 2019-12-20 2021-06-24 Imitec Gmbh Damage assessment device for remote controlled inspection of aircraf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22B1 (ko) * 2013-12-31 2016-06-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부품 불량검사용 초음파 탐상장치
KR20170040501A (ko) * 2015-10-05 2017-04-13 에스피하이테크 주식회사 내면이 육성용접된 파이프의 용접부위 결함 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7007A (ja) * 2018-05-10 2019-11-14 東京瓦斯株式会社 超音波探傷の判定装置、判定プログラム及び判定方法
KR102128066B1 (ko) * 2019-12-16 2020-06-30 주식회사 렉터슨 음향 방출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물 결함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21121803A1 (en) * 2019-12-20 2021-06-24 Imitec Gmbh Damage assessment device for remote controlled inspection of aircraf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345A1 (ko) 2023-03-30
KR20230043289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3966B2 (en) Pipe defect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CA2834313C (en) Integrity monitoring of conduits
JP5216598B2 (ja) パルス渦電流パイプライン検査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31894B2 (en) Autonomous remaining useful life estimation
US20080004839A1 (en) Autonomous Remaining Useful Life Estimation
CN102707029B (zh) 激光填丝焊焊缝质量在线检测及评估方法
US20170372704A1 (en) Autonomous material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266992A1 (en) Quantifying tubing defect severity
KR102619802B1 (ko) 음향신호를 이용한 강관 검사 시스템
KR102277276B1 (ko) 금속 물성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CN102384831B (zh) 高压管汇件及立式罐压力容器检测装置的检测方法
KR101097414B1 (ko) 배관진동 평가방법
CN116519477B (zh) 一种岩石失稳判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091327B (zh) 一种管道螺旋焊缝缺陷开孔取样验证方法
CN115144259A (zh) 一种钢材抗形变性能检测方法及系统
MX2007003534A (es) Metodo y sistema para calibrar un explorador de tubos.
Simpson et al. High-Resolution Acoustic Imaging for Submillimetric Casing Thickness Quantification and Advanced Effective-Area-Based Burst Pressure Analyses
US9945814B2 (en) Total integrated tube analysis
van Pol et al. The Future of In-Line Inspection: Free-Floating Smart Sensors
CN117686588B (zh) 燃气管道焊接质量的无损监测系统及方法
KR101040926B1 (ko) 기계의 결함 진단방법
Adams et al. In-Service Dent Management From an Operator’s Perspective
CA2631884C (en) Autonomous remaining useful life estimation
Dakhel et al. Full-scale tests of transporting pipeline sections: A review and consequences to our investigations
Sinha State-of-the-art in sensor technologies for pipe insp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