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705B1 -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705B1
KR102619705B1 KR1020180083156A KR20180083156A KR102619705B1 KR 102619705 B1 KR102619705 B1 KR 102619705B1 KR 1020180083156 A KR1020180083156 A KR 1020180083156A KR 20180083156 A KR20180083156 A KR 20180083156A KR 102619705 B1 KR102619705 B1 KR 10261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coupling pin
cross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8905A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70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nnector module and a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disposed on the frame;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have different sizes.

Description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nnector module and a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Electrical devices in automobiles generally include engine electrical devices (starter, ignition, charg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s, but recently, as vehicles have become more electronically controlled, most systems, including chassis electrical devices, are becom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Various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lamps, audio, heaters, and air conditioners installed in cars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when the car is stopped, and from the generator when running. At this time, the normal power voltage is used to generate power in the 14V power system. Capacity is being used.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various new technologies (motor-type power steering, Internet, etc.) aimed at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utomobil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vehicl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at can utilize current automobile systems to the fullest exten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t is a prospect.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Hybrid electric vehicles (HEV), regardless of soft or hard type, are equipped with a DC-DC converter (Low Voltage DC-DC Converter) to supply electric loads (12V). In addition, the DCDC converter, which acts as a generator (alternator) in general gasoline vehicles, lowers the high voltage of the main battery (usually a high-voltage battery of 144V or higher) and supplies 12V voltage for electrical loads.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A DC-DC converter is an electronic circuit device that converts direct current power of a certain voltage into direct current power of a different voltage,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elevision sets and automotive electronics.

컨버터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외면에는 배터리 또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이 외부단자와 결합 시, 컨버터는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변환된 전원을 부하로 인가할 수 있다. The converter may be shaped by a housing. Additionally, a connector modul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battery or loa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connector module is combined with an external terminal, the converter can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or apply the converted power to the load.

커넥터 모듈은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복수의 외부단자와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커넥터 단자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복수의 외부단자와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각각 3개일 수 있다. 각각의 외부단자들은 서로 동일한 전원값을 가지는 커넥터 단자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컨버터의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의 주의를 요한다. The connector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 terminals to each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wer values. For example, there may be three external terminals and three connector terminals. Since each external terminal must be connected to a connector terminal with the same power value, operator caution is required during the converter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단자들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onnector module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easily distinguishing terminals with different power values, and a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The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disposed on the frame;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have different sizes.

본 실시예를 통해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단자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수용부 및 결합홀을 형성하여, 부품 간에 오조립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isassembly and defects between parts can be prevented by forming receiving portions and coupling holes of different sizes 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특히, 복수의 커넥터 및 단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컨버터 내에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power of different sizes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terminals,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an electrical short from occurring within the converter.

또한, 작업자는 별도의 확인 없이도 단자 및 커넥터를 상호 대응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 공수가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orkers can assemble terminals and connector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out separate confirm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보다 하위 구성들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보인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module of Figure 2 from another angl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broken down into lower components.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and that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or bottom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the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커넥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상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module of Figure 2 from another angle.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100)는, 하우징(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컨버터(100)의 구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2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ver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housing 10.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10 in which one or more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converter 100 are disposed. The internal space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base 2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상세히, 상기 컨버터(10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하우징(10)은 상호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에는 스크류(미도시)가 결합되어, 양 구성을 상호 결합시킨다. In detail,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rter 100 is form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 and the housing 1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And, the internal space may be formed inside by combining the base 20 and the housing 10. The base 20 and the housing 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oupling portions 14 formed in corresponding regions. A screw (not show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4 to couple the two components to each other.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방열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구조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의 구동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 예로, 상기 방열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방열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12)은 복수로 구비되어, 인접한 방열판과 상호 이격되기 위한 갭(Gap)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부품의 열은 상기 하우징(10)을 통해 외부로 전도되어, 상기 방열판(12)을 통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버터(100)의 인접한 영역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방열판(12)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dissipating driving heat of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As an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plate 12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eat sink 1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form a gap for being spaced apart from adjacent heat sinks. Accordingly, the hea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condu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10 and easily dissipated through the heat sink 12. Meanwhile, a fan (not shown) that moves air is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nverter 100 to discharge air toward the heat sink 12.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커넥터 결합부(18)와, 외부단자 결합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와 상기 외부단자 결합부(16)는 각각 커넥터 모듈(50)과 외부단자(미도시)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or coupling portion 18 and an external terminal coupling portion 16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18 and the external terminal coupling portion 16 may each b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or module 50 and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are coupled.

상기 외부단자 결합부(16)에는 외부단자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컨버터(100) 내에 배치되는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컨버터(100)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제공단자이거나, 상기 컨버터(100)의 구동을 위한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구동단자일 수 있다. An external terminal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coupling portion 16.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mponents disposed within the converter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a power supply terminal for providing power to the converter 100, or a driving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or driving the converter 100.

상기 커넥터 결합부(18)는 커넥터 모듈(50)이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에 형성된 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커넥터 결합부(18)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18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module 5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module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18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or module 50 may be screwed to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18.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컨버터(100)와 배터리(미도시), 상기 컨버터(100)와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전원이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어 상기 부하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의 전원은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어, 상기 부하로 저전압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커넥터 모듈(50)은 상기 컨버터(10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 또는 상기 컨버터(1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구성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일체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connector module 50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verter 100 and a battery (not shown), the converter 100 and a load, so that power provided from the battery is converted by the converter 100 and applied to the load. It can be. For example, high-voltage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y may be converted in the converter 100 and low-voltag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load.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connector module 50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ny module for connecting components for applying power to the converter 100 or components for applying power from the converter 100. You can.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보다 하위 구성들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broken down into lower components.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50)은,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일측에 배치되는 터미널(101)과, 상기 프레임(60)의 타측에 배치되는 단자(120, 140, 160)를 포함한다. 2 to 6, the connector modul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60, a terminal 10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60, and the frame 60. It includes terminals 120, 140, and 160 disposed on the other side.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커넥터 모듈(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커넥터 모듈(50)의 몸체로서 이해된다.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60)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rame 6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or module 50. The frame 60 is understood as the body of the connector module 50. The frame 6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Part of the frame 6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placed outside the housing 10.

상기 프레임(60)은 하면을 형성하는 제1몸체(61)와, 상기 제1몸체(6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60 includes a first body 61 forming a lower surface, and a second body 62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body 60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frame 60. can do.

상기 제1몸체(60)에는 상기 단자(120, 140, 160) 및 상기 터미널(101)이 배치되는 수용부(66, 67, 68)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66, 67, 68)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몸체(60)에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66, 67, 68)를 상호 구획하는 구획부(65)가 배치된다. 상기 구획부(65)는 복수의 수용부(66, 67, 68)가 각각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인접한 수용부 사이 또는 상기 제1몸체(60)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는 상기 프레임(6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60 is provided with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where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nd the terminal 101 are disposed. The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may be mutually partitioned. In detail, the first body 6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65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partitions the receiving parts 66, 67, and 68 from each other. The dividing portion 65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receiving portions or at an edge area of the first body 60 so that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are divided into different regions. Because of this,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when the frame 60 is viewed from the top.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에는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의 일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수용부(66, 67, 68)의 바닥면에는 결합핀(111, 131, 151)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66, 67, 68)의 바닥면에는 타 영역 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69)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은 상기 결합홈(69)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nd one area of the terminal 101 may b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In detail, one end of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For this purpose, a coupling groove 69 that is recessed lower than other area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The lower ends of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69. At this time,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may be screw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69.

따라서,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일단이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101)은 일단이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one end of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terminal 101 has one end coupled to the coupling pin. By being coupled to the pins 111, 131, and 151, the other end may exten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nd the terminal 101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한편, 상기 터미널(101)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에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몸체(62)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62)의 내면 중 상기 관통홀(56)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결합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상기 하우징 결합부(55)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55)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의 홀의 내주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90)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90)는 단면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영역에 상기 터미널(101)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through hole 56 penetrating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62 so that a portion of the terminal 101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Additionally, a housing coupling portion 55 that protrudes inward from other areas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62 in the area where the through hole 56 is formed. Accordingly, the frame 60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by inserting the housing coupling part 55 into the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At this time, a separate sealing member 90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55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e of the housing 10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can do. The sealing member 90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10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area.

그리고, 상기 제2몸체(62)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53)은 상기 제2몸체(6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별도의 스크류가 상기 나사홀(53)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6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screw hole 5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62 to be screw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The screw hole 53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62, and a separate screw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screw hole 53. Because of this, the frame 60 can be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상기 터미널(101)은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120, 140, 16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로 전달하거나, 상기 컨버터(100) 내에서 변환된 전원을 상기 단자(120, 140, 160)를 외부부하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1)의 일단은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컨버터(100) 내에 배치되어 전원의 변환과 관련된 전자회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e terminal 1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to transmit power applied from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to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lternatively, the power converted within the converter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to an external load. Accordingly, one end of the terminal 1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a separate e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understood as an electronic circuit device disposed within the converter 100 and related to power convers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0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1)은 제1터미널(110), 제2터미널(130), 제3터미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미널(101)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터미널(110)에는 12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터미널(130)에는 그라운드 영역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터미널(150)에는 48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terminal 10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terminal 101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10, a second terminal 130, and a third terminal 150. Voltages of different magnitudes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1. As an example, a voltage of 12V may be formed at the first terminal 110, a voltage of the ground region may be formed at the second terminal 130, and a voltage of 48V may be formed at the third terminal 150. You can.

상기 터미널(101)은 상호 단차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101)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terminal 101 may have a plurality of areas arranged to be stepped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terminal 101 may includ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first area. Here, the first area may be an area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and the second area may be an area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The second area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area.

상세히, 상기 제1터미널(110)은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는 제1-1영역(11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1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영역(114)은 상기 제1-1영역(11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영역(112)에는 제1결합핀(111)가 관통하도록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영역(11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1연결부(116)가 결합되도록 제1장착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11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terminal 110 may include a 1-1 region 112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in 111 and a 2-1 region 114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You can. The 2-1 area 114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1-1 area 112. A first coupling hole 112a may be formed in the 1-1 region 112 so that the first coupling pin 111 penetrates. In addition, a first mounting hole 114a may be formed in the 2-1 area 114 so that the components within the housing 1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6 for coupling are coupled thereto.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6 may be understood as a terminal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따라서, 상기 제1터미널(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1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장착홀(11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coupling hole 11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first mounting hole 114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10. .

상기 제2터미널(130)은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제1-2영역(13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2영역(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2영역(134)은 상기 제1-2영역(13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2영역(132)에는 제2결합핀(131)가 관통하도록 제2결합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2영역(13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2연결부(136)가 결합되도록 제2장착홀(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13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130 may include a 1-2 region 132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nd a 2-2 region 134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 The 2-2 area 134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1-2 area 132. A second coupling hole 132a may be formed in the 1-2 region 132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in 131 penetrates. In addition, a second mounting hole 134a may be formed in the 2-2 area 134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6 for coupling with the components within the housing 10 is coupled. 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6 may be understood as a terminal por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따라서, 상기 제2터미널(130)의 일단에는 상기 제2결합홀(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130)의 타단에는 상기 제2장착홀(13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coupling hole 13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130,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134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130. .

상기 제3터미널(150)은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1-3영역(152),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3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영역(154)은 상기 제1-3영역(152)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영역(152)에는 제3결합핀(151)가 관통하도록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영역(154)에는 상기 하우징(10) 내 구성들과 결합을 위한 제3연결부(156)가 결합되도록 제3장착홀(15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연결부(1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e third terminal 150 may include a 1-3 region 152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in 151 and a 2-3 region 154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 The 2-3 area 154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1-3 area 152. A third coupling hole 152a may be formed in the 1-3 region 152 so that the third coupling pin 151 penetrates. In addition, a third mounting hole 154a may be formed in the 2-3 region 154 so that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56 for coupling with the components within the housing 10 is coupled. Here, the third connection part 156 can be understood as a terminal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따라서, 상기 제3터미널(150)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되고, 상기 제3터미널(150)의 타단에는 상기 제3장착홀(154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ird coupling hole 15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150, and the third mounting hole 154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terminal 150. .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외부부하 또는 배터리를 상기 컨버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외부 케이블 또는 단자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케이블 또는 단자라 함은, 상기 외부부하 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라인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o which external cables or terminals are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an external load or battery to the converter 100. Here, the external cable or terminal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disposed at the end of a line extending from the external load or the battery.

상기 단자(120, 140, 16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상기 제1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120)와, 상기 제2터미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140)와, 상기 제3터미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20, 140, 160)와 상기 터미널(101)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프레임(60)에 형성된 수용부(66, 67, 68) 내에서 상기 결합핀(111, 131, 15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detail,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include a first terminal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10 and a second terminal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30. And, it may include a third terminal 16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50.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nd the terminal 101 is achieved through the coupling pins 111 and 131 within the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formed on the frame 60. , 151).

복수의 상기 단자(120, 140, 160)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자(120)에는 12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단자(140)에는 그라운드 영역의 전압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자(160)에는 48V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Voltages of different magnitudes may be formed 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140, and 160. For example, a voltage of 12V may be formed at the first terminal 120, a voltage of the ground region may be formed at the second terminal 140, and a voltage of 48V may be formed at the third terminal 160. It can be.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2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1단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1)에는 상기 제1결합핀(111)가 관통하도록 제4결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부(12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1단자홀(12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1)와 상기 제1단자부(12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120)는 일단이 상기 제1결합핀(1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12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121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in 111 and a first terminal portion 122 to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coupled. A fourth coupling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1 so that the first coupling pin 111 penetrates. Additionally, a first terminal hole 123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22 to allow an external terminal to be coupled there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1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122 may be formed as one body. Accordingly,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in 1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4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2단자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41)에는 상기 제2결합핀(131)가 관통하도록 제5결합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부(14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2단자홀(14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41)와 상기 제2단자부(14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단자(140)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4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141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142 to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coupled. A fifth coupling hole 141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in 131 penetrates. Additionally, a second terminal hole 143 (see Figure 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2 to allow an external terminal to be coupled there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2 may be formed as one body. Accordingly,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1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161)와,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제3단자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61)에는 상기 제3결합핀(151)가 관통하도록 제6결합홀(16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단자부(16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도록 제3단자홀(163, 도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61)와 상기 제3단자부(16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단자(160)는 일단이 상기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terminal 160 may include a third coupling portion 161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in 151 and a third terminal portion 162 to which an external terminal is coupled. A sixth coupling hole 161a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upling portion 161 so that the third coupling pin 151 penetrates. Additionally, a third terminal hole 163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third terminal portion 162 to allow an external terminal to be coupled there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161 and the third terminal portion 162 may be formed as one body. Accordingly,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16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in 151,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제조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다.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1 내지 3 결합핀(111, 131, 151)에는 상기 제1 내지 3결합홀(112a, 132a, 152a)을 통해 상기 터미널(110, 130, 15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10, 130, 15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들이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에 형성된 상기 제4 내지 6결합홀(121a, 141a, 161a)에 상기 제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들이 각각 관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7, first,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ins (111, 131, 151) have the terminals (110, 130, 150) through the first to third coupling holes (112a, 132a, 152a). are combined. And,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120, 140, and 160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s 110, 130, and 150. This is because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ins (111, 131, 151) penetrate the fourth to sixth coupling holes (121a, 141a, 161a)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120, 140, 160), respectively. It can be done.

따라서, 상기 터미널(110, 130, 150)과 상기 단자(120, 140, 160)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양 구성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3단자(120, 140, 160)의 상부에는 제1 내지 3와셔(125, 145, 165)와, 제1 내지 3 너트(126, 146, 16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110, 130, 150)에 상기 단자(120, 140, 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가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110, 130, 150)과 상기 단자(120, 140, 1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는 상기 결합핀(111, 131, 15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rminals 110, 130, and 150 and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both components, first to third washers (125, 145, 165) and first to third nuts (126, 146, 166) can each be combined. That is, when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are coupled to the terminals (110, 130, and 150), the washers (125, 145, and 165) and the nuts (126, 146, and 166)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pin ( 111, 131, and 15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rminals 110, 130, 150 and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The washers (125, 145, 165) and the nuts (126, 146, 166)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pins (111, 131, 151).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50)은 제조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전원값을 가지는 단자 및 터미널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connector module 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to prevent terminals with different power values from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세히, 상기 제1결합핀(111), 상기 제2결합핀(131) 및 상기 제3결합핀(151)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내지 3결합홀(112a, 132a, 152a)과, 상기 제4 내지 6결합홀(121a, 141a, 161a)의 단면적은 결합되는 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coupling pin 111,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nd the third coupling pin 15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is, the first to third coupling holes (112a, 132a, 152a) and the fourth to sixth coupling holes (121a, 141a, 161a) are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ins (111, 131, 151).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pin to be coupled.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핀(111)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15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핀(131)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핀(111)와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홀(112a)이 형성된 제1터미널(110)과, 제4결합홀(121a)이 형성된 제1단자(120)는, 제2결합핀(131)에는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결합핀(151)에 결합되는 제3결합홀(152a)이 형성된 제3터미널(150)과, 제6결합홀(161a)이 형성된 제3단자(160)는 각각 제1결합핀(111)과 제2결합핀(131)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1)과 상기 단자(120, 140, 160)는 설정된 결합핀에만 결합될 수 있어, 다른 크기의 전원이 형성된 구성들과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in 111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third coupling pin 151 an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10 in which the first coupling hole 112a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in 111 is formed, and the first terminal 120 in which the fourth coupling hole 121a is forme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in 111.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31. Likewise, the third terminal 150 formed with the third coupling hole 152a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in 151 and the third terminal 160 formed with the sixth coupling hole 161a are each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in 151.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ccordingly, the terminal 101 and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can be coupled only to the set coupling pins, thereby preventing short-circuiting with components in which power supplies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또한, 상기 제1 내지 3결합핀(111, 131, 151)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와셔(125, 145, 165)와 상기 너트(126, 146, 166)에 형성된 홀의 단면적 또한 결합되는 결합핀(111, 131, 151)의 단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ins 111, 131, and 15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holes formed in the washers 125, 145, and 165 and the nuts 126, 146, and 166 are also coupled. Of course,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ns 111, 131, and 151.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66, 67, 68)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120, 140, 160) 중 상기 수용부(66, 67, 68) 내에 배치되는 영역, 즉 상기 제1 내지 3결합부(121, 141, 161)의 단면적 또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상기 수용부(66, 67, 68)의 단면적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결합부(121, 141, 161)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regions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of the terminals 120, 140, and 160, that is,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121, 141, and 161, may also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You can. 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66, 67, and 68 may be formed differently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121, 141, and 161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141)가 결합되는 제2수용부(67)의 단면적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21)가 결합되는 제1수용부(66)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용부(67)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결합부(161)가 결합되는 제3수용부(68)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7 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is coupled may be formed to be the largest.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66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21 is couple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67,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61 to which the third coupling part 161 is coupled. I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portion 68.

따라서,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1수용부(66)와,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third receiving portion 68. Also, the second terminal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66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68.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2수용부(67)에 상기 제2결합핀(131)의 단면적에 의해 결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수용부(68)의 단면적과 상기 제1결합부(12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terminal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7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in 131. 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68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21, the first terminal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68. there is.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66)의 단면적과 상기 제2결합부(1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1수용부(66)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용부(68)의 단면적과 상기 제2결합부(141)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2단자(140)는 상기 제3수용부(68)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66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1, the second terminal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66. there is. 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68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1, the second terminal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68. there is.

나아가, 상기 제1결합핀(111)의 단면적과 상기 제6결합홀(161a)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1수용부(66)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핀(131)의 단면적과 상기 제6결합홀(161a)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제3단자(160)는 상기 제2수용부(67)에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more,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in 111 and the sixth coupling hole 161a, the third terminal 1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66. there is. 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in 131 and the sixth coupling hole 161a, the third terminal 1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67. there is.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터 및 복수의 단자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수용부 및 결합홀을 형성하여, 부품 간에 오조립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isassembly and defects between parts can be prevented by forming receiving portions and coupling holes of different sizes 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특히, 복수의 커넥터 및 단자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컨버터 내에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power of different sizes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terminals,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an electrical short from occurring within the converter.

또한, 작업자는 별도의 확인 없이도 단자 및 커넥터를 상호 대응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 공수가 줄어들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orkers can assemble terminals and connector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out separate confirm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just becaus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핀은 제1결합핀, 제2결합핀 및 제3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1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2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3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4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단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5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단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6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바닥면에 상기 제1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1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2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터미널 및 제2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3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3터미널 및 상기 제3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 상기 제2수용부와 상기 제3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내지 3수용부를 상호 구획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단자의 영역,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단자의 영역,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3단자의 영역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disposed on the frame;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and
It is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include a first coupling pin, a second coupling pin, and a thir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in;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econd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in; and
At one end, it includes a third terminal including a third coupling hole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ourth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in;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fifth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in; and
At one end, it includes a third terminal including a sixth coupling hole that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pin,
In the frame,
A first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terminal and a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re accommodated;
a second receiving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and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accommodated;
a third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end of the third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hird terminal and a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are accommodated; and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to mutually partition the first to third accommodating parts,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rea of the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rea of the second terminal arrang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area of the third terminal arrang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nector modul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터미널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내지 제3단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원이 인가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Power of different sizes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A connector module to which power of different sizes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핀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3결합핀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i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coupling pin an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in,
A connector modul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coupl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coupling p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수용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수용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modul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제2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제3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disposed with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disposed with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third terminal includes a third coupling portion disposed within the third receiving portion,
A connector modul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과 상기 단자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와셔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module further includes a washer and a nut coupled to the coupling pin to secure the terminal to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을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과 상기 단자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module in which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coupling pin.
내부에 전원을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회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핀;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상기 결합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핀의 단면적은 서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핀은 제1결합핀, 제2결합핀 및 제3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1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2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3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일단에 상기 제1결합핀에 끼워지는 제4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단자;
일단에 상기 제2결합핀에 끼워지는 제5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단자; 및
일단에 상기 제3결합핀에 끼워지는 제6결합홀을 포함하는 제3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바닥면에 상기 제1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1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2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터미널 및 제2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
바닥면에 상기 제3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3터미널 및 상기 제3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 상기 제2수용부와 상기 제3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내지 3수용부를 상호 구획시키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단자의 영역,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단자의 영역, 상기 제3수용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3단자의 영역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는 컨버터.
A housing in which an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converting power is placed; and
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connector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ircuit device,
The connector module is,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disposed on the frame;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s; and
It is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include a first coupling pin, a second coupling pin, and a thir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in;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econd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in; and
At one end, it includes a third terminal including a third coupling hole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ourth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in;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fifth coupling hole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in; and
At one end, it includes a third terminal including a sixth coupling hole that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pin,
In the frame,
A first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terminal and a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re accommodated;
a second receiving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and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accommodated;
a third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end of the third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hird terminal and a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are accommodated; and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to mutually partition the first to third accommodating parts,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rea of the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rea of the second terminal arrang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area of the third terminal arrang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converter is formed.
KR1020180083156A 2018-07-17 2018-07-17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KR102619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en) 2018-07-17 2018-07-17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en) 2018-07-17 2018-07-17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05A KR20200008905A (en) 2020-01-29
KR102619705B1 true KR102619705B1 (en) 2024-01-02

Family

ID=6932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56A KR102619705B1 (en) 2018-07-17 2018-07-17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7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04A (en) * 2020-12-14 202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5208A (en) * 2013-01-30 2016-02-18 ラビナル・エル・エル・シー Connector assembly
JP2017195703A (en) * 2016-04-20 2017-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 connection box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4457B2 (en) * 2009-02-20 2012-12-18 Clean Wav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ower connection
KR20170012779A (en) * 2015-07-23 2017-02-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xternal connecter of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5208A (en) * 2013-01-30 2016-02-18 ラビナル・エル・エル・シー Connector assembly
JP2017195703A (en) * 2016-04-20 2017-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 connec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05A (en)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714A (en) Battery pack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666002B2 (en) Wiring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housed circuit assembly
JP598396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and bobbin holder
WO2019245148A1 (en) Converter
KR102619705B1 (en) Connector module and Converter having the same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KR102590523B1 (en) Converter
WO2020101214A1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EP4277444A1 (en) Converter
KR102515174B1 (en) Power terminal module
KR102634417B1 (en) Converter
KR102653879B1 (en) Converter
KR102645803B1 (en) Converter
KR102630246B1 (en) Converter
US20120326507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casing accommodated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KR102592168B1 (en) Converter
KR102631926B1 (en) Converter
JP7419963B2 (en) power converter
KR20210049624A (en) Converter
CN219394461U (en) Vehicle-mounted charger and vehicle
WO2022245164A1 (en) Converter
US20220377931A1 (en) Converter
KR102476402B1 (en) Converter
KR20210075685A (en) Converter
KR20210012275A (en)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