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52B1 -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52B1
KR102619352B1 KR1020210143736A KR20210143736A KR102619352B1 KR 102619352 B1 KR102619352 B1 KR 102619352B1 KR 1020210143736 A KR1020210143736 A KR 1020210143736A KR 20210143736 A KR20210143736 A KR 20210143736A KR 102619352 B1 KR102619352 B1 KR 10261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underwater
underwater camera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496A (ko
Inventor
최복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4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소형이면서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소형이면서 무선으로 구동되는바 여러 지역에 걸쳐 다수의 수중 카메라 장치를 투하한 후 촬영이 종료된 후 수면으로 부상한 것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탐사할 수 있는바, 1회 탐사로 넓은 지역의 수중상태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춰 심해 촬영이 가능하고, 수중저항이 적은 막대구조로 구비되어 잠수속도가 빨라 탐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ROD-TYPE HIGH-SPEED VERITCAL LIFTING TYPE UNDERWATER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닷속의 수중상태를 관찰하거나 촬영하기 위해서는 주로 잠수부가 직접 수중 카메라를 가지고 잠수하여 촬영한다. 그러나 생리학상 인간의 잠수 수심 한계를 초과한 심해저의 경우에는 잠수부의 잠수가 불가능한바 수중 카메라 장치를 투입하여 촬영해야한다.
이러한 수중 카메라 장치는 깊은 수심에 따른 높은 수압과 자연광이 도달하지 못하는 혹독한 심해환경 속에서 촬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수중 카메라 장치는 방수가 되면서, 높은 수압과 낮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조명장치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다.
수중 카메라 장치는 촬영정보를 지상으로 전송해야 하고, 촬영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수거해야 하므로, 주로 수면 위의 부유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된다. 심해 상태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과 심해 정보를 카메라 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지상으로 보내고, 지상에서는 영상과 정보를 이용하여 심해 상태를 판단하고 심해를 연구하거나 심해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내장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고,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케이블 연결 없이 자체적으로 수중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90323호에는 수면의 부유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잠수되고, 수면에 위치된 제어모듈로 정보를 전송하며, 원통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 배열로 구비된 촬영부,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조류를 상쇄시키는 조류 상쇄부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56335호에는 별도의 연결 케이블과 조타장치없이 잠수정 동체의 신속하고 정밀한 자세제어를 통해 다양한 각도의 수중 촬영이 가능한 수중 촬영 등에 사용되는 무인잠수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이하 '선행기술 2'라 함.)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107-0079785호에는 수중에서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수중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자체 부력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을 수중으로 잠수시키기 위한 중량체, 하우징과 중량체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중량체 분리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중량체 분리부에 의해 중량체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자체 부력에 의해 자기부상 하는바, 카메라 회수를 위한 별도의 부상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자가부상 수중 촬영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첫째,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에 따른 수중 카메라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 자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대량생산이 어렵다.
둘째,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짧은 시간에 넓은 범위의 수중상태를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선행기술 1은 수면 위의 부유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되어야 하므로 한 번에 여러 포인트를 촬영할 수 없고, 선행기술 2는 잠수정 특성상 배터리 등의 한계로 촬영 가능한 범위에 제한이 따르기 때문이다.
셋째, 선행기술 3은 하우징의 소재가 자체부력을 갖는 재질로만 구비되어야 하는바, 내구성의 한계로 일정 수압 이상의 심해를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넷째, 선행기술 3은 자체부력을 갖는 재질과 구조로 인해 하우징의 잠수속도가 느리고, 하우징의 자체부력만으로 부상하기 때문에 부상속도 또한 느리므로, 촬영장치를 바닷속에 투하하고 촬영 후 수거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짧은 시간에 넓은 범위의 수중 촬영이 가능하며, 심해의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면서, 촬영시간 단축이 가능한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일측은 외부와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GPS센서부; 상기 하우징이 수면 위로 부상한 후 불빛 점멸수단을 제공하는 점멸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하는 동안 외측면 방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카메라; 상기 수중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정보들을 취합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상기 하우징을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수중 모터구동부;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하우징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GPS센서부, 상기 점멸부, 상기 광원부, 상기 수중 카메라, 상기 기록부,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강종료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및 상기 조건판단부가 상기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에 하강종료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시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감지센서; 및 상기 수압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수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이 위치한 수심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심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수심정보를 기반으로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 시 기설정된 수심간격마다 수중상태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송신부로부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내부에 전자석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형성부; 및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영구자석 끝단에는 회전날개가 결합되며, 상기 자기장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영구자석이 회전하면서 얻어지는 추진력으로 하우징을 부상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원기둥 막대 형상을 하며, 막대 상부는 외부와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막대 하부는 중량체로 채워져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중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밀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 배열을 이루며, 상기 광원부, 상기 기록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의 상기 자기장형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의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 카메라는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수중 카메라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소형이면서 구성이 단순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소형이면서 무선으로 구동되는바, 여러 지역에 걸쳐 다수개의 수중 카메라 장치를 투하한 후 촬영이 종료된 후 수면으로 부상한 것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탐사할 수 있는바, 1회 탐사로 넓은 지역의 수중상태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별도의 부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바, 하우징의 소재를 자체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심해의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재질로 구성하여 심해를 수중 촬영 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수중에서 저항이 적은 구조로 구비되어 잠수속도가 빠르므로 탐사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의 수중 모터구동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100), 수직모터구동부(200), GPS센서부(300) 및 점멸부(40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하우징(100)은 상부에는 외부와 밀폐된 수용공간(110-1)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110-2)가 마련된다. 하우징(100)은 바닷속에서 중량부(110-2)의 무게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한다. 하우징(100)은 지름 약 3cm, 길이 약 100cm의 크기의 원기둥형상의 가느다란 금속막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이 막대형상으로 구비됨으로서, 동일 질량의 다른 형상의 하우징에 비해 잠수시 하우징(100)이 받는 수직 저항이 감소하므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수직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단 하우징의 크기 및 재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1)에는 광원부(120), 수중 카메라(130), 기록부(140), 제어부(150) 및 전원공급부(160)가 마련된다.
광원부(120)는 하우징(100)의 외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 마련된다. 심해에는 자연광이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중 촬영을 위해서는 광원부(120)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한다.
수중 카메라(130)는 하우징(100) 내측면에 밀폐되도록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 배열을 이루어 360도를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수중 카메라(130)는 하우징(100)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수중상태를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중 카메라(130)는 막대구조로 된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기 위해서 초소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 카메라(130)는 하우징(100)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시 기 설정된 수심간격마다 수중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는 수압을 감지할 수 있는 수압감지센서(131) 및 감지된 수압정보를 이용하여 수심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심측정부(132)가 마련된다. 수중카메라(130)는 수심측정부(132)로부터 측정된 수심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일정 수심마다 수중상태를 스냅 촬영한다.
수중 카메라(130)는 하우징(100)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하는 동안 수중상태를 연속촬영하는 수중 동영상 카메라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수중 카메라(130)는 고압력을 견디는 수중카메라렌즈(133)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수중카메라렌즈(133)는 높은 수압으로부터 수중카메라(130)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다.
기록부(140)는 수압감지센서(131)가 감지한 수압정보, 수압정보를 통해 수심측정부(132)가 측정한 수심정보 및 수중 카메라(130)가 촬영한 촬영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각각 취합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중 모터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전체구조물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51), 조건판단부(152) 및 송신부(153)를 포함한다.
입력부(151)는 미리 사용자로부터 하강종료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하강종료조건은 한계 수심, 한계 수압 또는 잔여 공급전원량 등이 될 수 있으며, 입력조건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조건판단부(152)는 수중 카메라 장치가 미리 입력받은 한계 수심, 한계 수압 또는 전원량에 다다랐는지 즉,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송신부(153)는 조건판단부(152)에서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 경우, 하강종료신호를 송신하여 수중 모터구동부(200)를 작동시킨다.
전원공급부(160)는 광원부(120), 수중 카메라(130), 기록부(140), 제어부(150), 수중 모터구동부(200), GPS센서부(300) 및 점멸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 외에도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1)에는 염분감지센서 및 수온감지센서가 더 구비 될 수 있다. 염분감지센서는 수심에 따른 염분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수온감지센서 수심에 따른 수온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염분정보 및 수온정보는 각각 취합되어 기록부(140)에 기록될 수 있다.
중량부(110-2)는 하우징(100)을 수직 방향으로 잠수시키고, 잠수시 파고에 의해 전체구조물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체구조물의 수직균형을 잡아주기 위해 마련된다. 중량부(110-2)는 하우징(100)의 막대 하부에 중량체를 구비함으로써 무게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량체는 하우징(100)의 자체부력을 극복하는 중량을 갖는 소재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하우징(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원기둥 막대 형상으로 함으로써, 같은 중량의 구 형상의 하우징에 비해 저항이 감소하여, 잠수속도와 부상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이 구형상인 수중 카메라 장치에 비해서 탐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의 수중 모터구동부(200)의 개략도이다.
수중 모터구동부(200)는 수신부(210), 자기장형성부(220) 및 회전부재(23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수신부(21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1)내에 위치하며, 제어부(150)의 송신부(153)로부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마련된다.
자기장형성부(22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1)내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자석이 구비되어있고, 제어부(150)의 송신부(153)로부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으면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한다. 자기장의 세기는 하우징(100) 외부에 구비된 회전부재(230) 내부의 영구자석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여야 한다.
회전부재(230)는 하우징(100)의 상단 외측면에 구비된다. 회전부재(23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1)과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회전부재(230)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영구자석 끝단에는 회전날개가 결합된다.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자기장형성부(22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영구자석이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하우징(100)을 수직 방향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승강식 카메라 장치는 동시에 여러 지역에 투하한 후 탐사가 종료된 후 수면 위로 부상한 장치를 수거해야 하는바, 수거를 위해서는 카메라 장치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GPS센서부(300)와 점멸부(400)가 마련된다.
GPS센서(300)는 하우징(100)의 상단면에 위치하여 부상 후 카메라 장치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관제 서버에 송수신한다.
점멸부(400)는 불빛 점멸수단을 제공하여 밤에도 육안으로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1: 수용공간 110-2: 중량부
120: 광원부
130: 수중카메라
131: 수압감지센서 132: 수심측정부
133: 수중카메라렌즈
140: 기록부
150: 제어부
151: 입력부 152: 조건판단부
153: 송신부
160: 전원공급부
200: 수중모터구동부
210: 수신부
220: 자기장형성부
230: 회전부재
300: GPS센서부
400: 점멸부

Claims (5)

  1. 일측은 외부와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GPS센서부;
    상기 하우징이 수면 위로 부상한 후 불빛 점멸수단을 제공하는 점멸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하는 동안 외측면 방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중 카메라;
    상기 수중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정보들을 취합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상기 하우징을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수중 모터구동부;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하우징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GPS센서부, 상기 점멸부, 상기 광원부, 상기 수중 카메라, 상기 기록부,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강종료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및
    상기 조건판단부가 상기 하강종료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에 하강종료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송신부로부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내부에 전자석이 구비되어있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하강종료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형성부; 및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끝단에는 회전날개가 결합되며, 상기 자기장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이 회전하면서 얻어지는 추진력으로 상기 하우징을 부상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시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감지센서; 및
    상기 수압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수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이 위치한 수심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심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중 카메라는
    상기 수심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수심정보를 기반으로 수직 하강 또는 수직 상승 시 기설정된 수심간격마다 수중상태를 촬영하는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기둥 막대 형상을 하며, 막대 상부는 외부와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막대 하부는 중량체로 채워져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중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밀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방사 배열을 이루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록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의 상기 자기장형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수중 모터구동부의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카메라는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수중 카메라 렌즈를 더 포함하는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KR1020210143736A 2021-10-26 2021-10-26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KR10261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736A KR102619352B1 (ko) 2021-10-26 2021-10-26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736A KR102619352B1 (ko) 2021-10-26 2021-10-26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496A KR20230059496A (ko) 2023-05-03
KR102619352B1 true KR102619352B1 (ko) 2024-01-02

Family

ID=8638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736A KR102619352B1 (ko) 2021-10-26 2021-10-26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680A (ja) * 2010-09-22 2012-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水中航走体、管内調査システム、水中航走体の上昇及び下降制御方法、及び管内調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29B1 (ko) * 2011-04-05 2013-03-18 모터웰 주식회사 자중 회전 낙하형 수중영상취득장치
KR101773686B1 (ko) * 2015-12-23 2017-09-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카메라 장치의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323B1 (ko) * 2018-08-13 2020-03-17 최승찬 수중 촬영 장치
KR20200029434A (ko) * 2020-03-11 2020-03-18 최승찬 수중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680A (ja) * 2010-09-22 2012-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水中航走体、管内調査システム、水中航走体の上昇及び下降制御方法、及び管内調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496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5782B1 (ja) フルデプスに適した海底堆積物の力学的性質測定システム
KR102034037B1 (ko) 해저탐사를 위한 수중 정보수집 장치
CN205524893U (zh) 一种应用于水下探测的遥控潜艇
CN106628026B (zh) 一种无人船及无人船系统
CN105818944B (zh) 一种应用于水下探测的遥控潜艇
JP3854984B1 (ja) ブイおよびこのブイを用いた海洋環境モニタシステム
JP6931497B2 (ja) 水底探査装置及び地形探査システム
JP5615229B2 (ja) 海底探査装置
US20150153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otographing moving image for spill observation of carbon dioxide in deep part of sea floor
KR101835107B1 (ko) 어군 탐지용 드론
JP2016129514A (ja) 養殖水槽の水質監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養殖システム
JP2001247086A (ja) 無人潜水機およびその位置保持制御方法
US10994820B2 (en) Connectedly-formed underwater exploration device
CN111011318A (zh) 一种可精确定位的可视探鱼器、探鱼系统及其探鱼方法
JP2001515587A (ja) 係留型水質検査装置
KR102619352B1 (ko) 막대형 고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JP2023524320A (ja) カプセル内視鏡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EP2863257A1 (en) Underwater images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KR20200029434A (ko) 수중 촬영 장치
KR102238344B1 (ko) 드론을 이용하여 해양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KR101244829B1 (ko) 자중 회전 낙하형 수중영상취득장치
KR102573113B1 (ko) 내압식 구형 저속 수직승강식 수중 카메라 장치
KR101850247B1 (ko) 해저 코어 시추장치
KR102090323B1 (ko) 수중 촬영 장치
KR20180065275A (ko) 선박용 정보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