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20B1 -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20B1
KR102619020B1 KR1020210064393A KR20210064393A KR102619020B1 KR 102619020 B1 KR102619020 B1 KR 102619020B1 KR 1020210064393 A KR1020210064393 A KR 1020210064393A KR 20210064393 A KR20210064393 A KR 20210064393A KR 102619020 B1 KR102619020 B1 KR 10261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ard
service
user terminal
acc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390A (ko
Inventor
전현수
박빛나
홍나영
조안나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1006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20B1/ko
Priority to PCT/KR2022/007103 priority patent/WO2022245126A1/ko
Publication of KR2022015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터링 방법은 파트너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과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결과가 결정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CCESS CAR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온라인 영역과 오프라인 영역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전 9시에 회사에 출근하여 사원증을 태깅하여 사무실에 들어가고, 오후 12시에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으로써 회원권을 제시하여 운동을 하고, 오후 6시에 온라인 사이트에서 티겟을 구매하고, 오후 7시에 채팅방을 통해 친구들과 채팅하며, 오후 9시에 퇴근하여 아파트의 출입문에 출입 카드를 태깅하여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온라인 영역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또는 오프라인 영역에서 사용자가 입장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특정 자격이 있어야만 액세스가 가능한 필요성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활동을 위해 필요한 액세스를 위한 자격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액세스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발급받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트너가 생성한 액세스 카드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특정 영역에 액세스할 때 필요한 액세스 카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또는 컨텐츠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로의 접근을 필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은 파트너 단말로부터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제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카드를 사용자 단말에 발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액세스 카드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액세스 카드의 조회 응답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은, 상기 파트너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할당된 필터링 조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처리 결과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조건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은 파트너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처리 요청에 대해 액세스 카드를 제작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액세스 카드의 조회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파트너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조건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로부터 파트너 단말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응답은, 상기 파트너 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조건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액세스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파트너들이 발급한 액세스 카드들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하여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특정 영역에 액세스할 때 필요한 액세스 카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또는 컨텐츠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로의 접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 제공 방법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 제공 방법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파트너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카드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발급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관리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이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패키지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를 생성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필터링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에 대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채팅방의 입장 여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챗봇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응답 메시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접근 여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파트너 단말(101),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사용자 단말(104)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05)가 도시된다. 파트너 단말(101)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사용자 단말(104)을 소지하는 사용자의 액세스를 위해 액세스 카드를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의 제작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카드 제작 페이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서 제공한 액세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4)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05)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 단말(104)이 액세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 또는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트너 단말(101)은 사용자 단말(104)에게 오프라인을 통한 수단을 활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104)에게 유효한 신분, 자격, 소속회사, 소속학교, 멤버십, 출입카드, 보증서, 명함, 티켓, 입장권에 대응하는 가상의 카드인 액세스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05)는 서로 동일한 사업 주체에 의해 운영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사업 주체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의 특정 영역 (예를 들면,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에 로그인하여 입장하거나 또는 파트너와 관련된 오프라인에서 특정 공간(예를 들면, 건물 등)에 입장하기 위한 자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영역에 사용자 단말(104)의 접근이나 입장을 허용하기 위한 가상의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액세스 카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유효한 신분, 자격, 소속회사, 소속학교, 멤버십, 출입카드, 보증서, 명함, 티켓, 입장권을 디지털화한 가상의 카드일 수 있다. 파트너 단말(101)은 클라우드형 서비스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확인된 신원, 권리, 자격, 소유권한, 출입권한 등을 디지털화하여 나타내는 가상의 카드인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카드는 학생증, 사원증, 회원증, 명함, ID 카드와 같이 파트너와 관련된 신분이나 소속을 증빙하기 위한 카드일 수 있다. 또는, 액세스 카드는 특정 시간에 진행되는 파트너와 관련된 공연, 전시, 경기를 관람하기 위한 입장 티켓일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특정 구간에서 사용 가능한 파트너와 관련된 회원권, 시즌권 등일 수 있다. 또는, 액세스 카드는 파트너가 지정한 건물의 출입 카드를 의미하거나, 보증서와 같이 파트너와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매/보유 인증을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액세스 카드는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영역에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증명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위에서 설명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사용자가 파트너가 생성한 채팅방에 입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카드 발급 페이지를 통해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는 권한인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파트너의 특정 공간(사무실)에 방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카드 발급 페이지를 통해 사무실을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인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카드 발급 페이지를 통해 발급된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어플리케이션 서버(105) 또는 사용자 단말(104)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는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파트너 단말(101)이 가입 및 등록한 후에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액세스 카드 제작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는 액세스 카드를 발급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4)이 접속한 후, 액세스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인 액세스 카드 발급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05)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여 액세스 카드의 발급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의 발급이 진행된 이후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에 대해 액세스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트너 단말(101)과 연결된 액세스 체크 장치(미도시됨)가 체크함으로써, 사용자가 파트너와 관련된 오프라인 상의 특정 공간에 입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와 액세스 체크 장치는 근거리 무선 방식 (예를 들면, 블루투스, NFC 등)을 이용하거나, 액세스 체크 장치가 사용자 단말(104)에 표시된 식별 정보(예를 들면, QR 코드)를 리딩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4)이 액세스 체크 장치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리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위해 필요한 액세스 카드를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4)로 편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파트너 단말(101)이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작한 액세스 카드가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4)에 발급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파트너와 관련된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공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에 파트너를 등록하고, 파트너와 관련된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카드 제작 페이지는 파트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파트너 단말(101)이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현되는 카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01)은 카드 제작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파트너 단말(1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카드 정보를 카드 제작 페이지에 입력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액세스 카드가 제작이 완료된 경우, 액세스 카드가 제작 완료되었다는 알림 또는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작된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10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파트너 단말(1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 또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은, 사업 주체의 이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작된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서 제공하는 카드 발급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될 수 있다. 카드 발급 페이지는 링크(URL)나 QR 코드 등을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근 가능한 링크나 QR 코드는 파트너 단말(101)이 직접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하거나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를 통해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나 QR코드를 통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고, 카드 발급 페이지에서 발급된 액세스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었는지를 알리는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101)에 제공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서 액세스 카드가 발급이 완료된 경우, 액세스 카드가 발급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101) 또는 사용자 단말(104)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파트너 단말(1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은, 사업 주체의 이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4)의 전화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ID)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4)이 아닌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보안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카드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보안 저장 영역에 저장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4)의 동의가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104)에 저장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에 대해 발급된 액세스 카드의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104)을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파트너의 특정 영역에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보안 저장 영역으로부터 액세스 카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4)을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파트너의 특정 영역에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4)에 액세스 카드가 다운로드되지 않고 액세스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의 보안 저장 영역에 저장된 액세스 카드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액세스 카드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104)에 다운로드되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즉,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104)의 저장 영역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을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파트너의 특정 영역에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4)의 인증서를 통해 암호화된 액세스 카드를 복호화함으로써 액세스 카드의 존재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 제공 방법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301)에서,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공하는 파트너 관리 페이지를 통해 액세스 카드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서비스에 가입할 때 입력되는 정보는 도 7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302)에서,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서 제공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에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303)에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는 파트너 단말(101)이 입력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를 생성하기 위해 파트너 단말(101)이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전송하거나 또는 등록하는 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304)에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는 액세스 카드에 사용자 단말(104)의 사용자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가 특정 사용자 단말(104)에 제한되어 발급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가 액세스 카드에 할당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는 사용자 단말(104)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액세스 카드가 선착순으로 발급 가능한 개수가 액세스 카드에 할당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카드 발급 페이지의 링크를 파트너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306)에서,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의 카드 발급 페이지의 링크를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307)에서,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의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고, 액세스 카드의 발급을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액세스 카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309)에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5)에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제작된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저장되고, 액세스 카드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5)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5)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설명한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05)가 하나의 서버인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를 통해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05)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401)의 동작은 파트너 단말(101)의 동작과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403)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104)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01)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사용자 단말(104)을 소지하는 사용자의 액세스를 위해 액세스 카드를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의 제작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카드 제작 페이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공한 액세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403)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파트너 단말(401)이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작한 액세스 카드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403)에 발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파트너와 관련된 파트너 단말(401)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공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에 파트너를 등록하고, 파트너와 관련된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카드 제작 페이지는 파트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파트너 단말(401)이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현되는 카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를 생성하기 위해 파트너 단말(401)이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전송하거나 또는 등록하는 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파트너 단말(401)은 카드 제작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파트너 단말(4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401)은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카드 정보를 카드 제작 페이지에 입력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액세스 카드가 제작이 완료된 경우, 액세스 카드가 제작 완료되었다는 알림 또는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작된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40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파트너 단말(4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은, 사업 주체의 이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작된 액세스 카드는 카드 발급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3)은 링크(URL)나 QR 코드 등을 통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근 가능한 링크나 QR 코드는 파트너 단말(401)이 직접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하거나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를 통해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3)은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나 QR코드를 통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고, 카드 발급 페이지에서 발급된 액세스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었는 지를 알리는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401)에 제공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액세스 카드가 발급이 완료된 경우, 액세스 카드가 발급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단말(401) 또는 사용자 단말(403)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파트너 단말(4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은, 사업 주체의 이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가 생성되면,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403)의 전화 번호, 사용자 단말(4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ID), 또는 기타 사용자의 식별 정보(사번/학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4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3)이 아닌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403)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카드 제공 방법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601)에서, 파트너 단말(401)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공하는 파트너 관리 페이지를 통해 액세스 카드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서비스에 가입할 때 입력되는 정보는 도 7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602)에서,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서 제공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에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정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603)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파트너 단말(401)이 입력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액세스 카드에 사용자 단말(403)의 사용자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가 특정 사용자 단말(403)에 제한되어 발급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가 액세스 카드에 할당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는 사용자 단말(403)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액세스 카드가 선착순으로 발급 가능한 개수가 액세스 카드에 할당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카드 발급 페이지의 링크를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사용자 단말(403)은 액세스 카드의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고, 액세스 카드의 발급을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607)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사용자 단말(403)이 발급 요청한 액세스 카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제작된 액세스 카드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저장되고, 액세스 카드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403)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403)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609)에서, 사용자 단말(104)은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에서 설명되는 파트너 관리 페이지, 카드 제작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발급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의 설명은 파트너 단말(101)과 사용자 단말(10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파트너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파트너 관리 페이지는 파트너 단말(101)이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해 가입하거나 또는 가입한 이후에 액세스 카드를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01)은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해 파트너의 이름, 관리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카드를 발급하는 것에 대해 과금이 진행될 수 있다. 과금을 위해 파트너에 대한 계좌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계좌 정보는 충전액, 액세스 카드의 발급 비용, 액세스 카드의 발급 건수 및 현재 잔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액은 파트너가 액세스 카드를 발급하기 위해 충전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액세스 카드의 발급 비용은 액세스 카드를 1개 발급할 때마다 소진되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의 발급 비용은 액세스 카드의 종류, 액세스 카드에 대해 발급 건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잔액은 충전액에서 액세스 카드의 발급 비용과 발급 건수를 곱한 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리스트는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들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액세스 카드 리스트는 액세스 카드의 분류, 유효 기간, 제작 건수, 발급 건수, 액세스 카드의 상세 내용을 보거나 편집하기 위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항목은 예시에 불과하며, 액세스 카드와 관련된 항목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 또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가 제공하는 카드 제작 페이지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파트너 단말(101)과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1)간의 동작에 대해 설명되나, 아래의 설명들은 파트너 단말(401)과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402) 간의 동작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의 카드 제작 페이지는 파트너 단말(101)이 접속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하고자 하는 액세스 카드 각각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8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해 파트너 단말(101)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등록되는 카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카드 정보는 일례에 해당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액세스 카드에 대한 발급 대상 정보 (일례로, 사용자 단말(104)의 전화번호, 사용자 단말(104)의 어플리케이션 ID, 사용자 단말(104)의 사용자와 관련된 개인 식별정보(예를 들면, 학번 또는 사번))
(2) 액세스 카드에 대한 발급 개수 정보 (발급 개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4)에 대한 발급 대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음)
(3) 파트너 단말(1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의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예를 들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파트너 단말(101)의 사업 주체와 관련된 공식 계정에 대한 식별정보(ID)),
(4) 액세스 단말(101)에 대한 정보,
(5) 액세스 카드의 종류 (예를 들면, 출입증, 학생증, 회원증 등),
(6) 액세스 카드의 유효기간 정보
(7) 액세스 카드의 회수 가능 여부, 양도 가능 여부, 재양도 가능 여부, 양도 가능 여부 또는 재양도 가능 여부에 대한 조건 (예를 들면, 양도 또는 재양도가 가능하기 위한 사전 처리 요건, 시간적 요건, 지역적 요건, 양도 또는 재양도를 받는 인적 요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8) 액세스 카드의 사용 가능 지점 (예를 들면, 체인점의 경우, 특정 체인점에서만 사용 가능) 또는 사용 가능 지역적 영역
(7) 액세스 카드와 연결된 제3자 서버에 대한 연결 정보 (예를 들면, 액세스 카드인 학생증으로 도서를 대여하는 경우, 도서관 서버와 연동되어 학생증을 소지한 사용자의 대여현황 등을 확인하기 위함)
(8) 액세스 카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 (예를 들면, 액세스 카드에 대한 이름, 이미지 또는 색상, 홀로그램, 로고, 파트너 단말(101)이 등록한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액세스 카드 제작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가 실물 카드인 것과 같이 앞면과 뒷면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에 대한 카드 제작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가 다르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카드의 앞면에는 사용자 단말(104)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정보 (이름, 사진, 별명, 메일 주소, 소속 등)와 액세스 카드의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의 뒷면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상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가 출입증인 경우, 액세스 카드의 뒷면에는 액세스 카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처,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는 발급 대상 (사용자 단말(104)의 사용자), 액세스 카드의 유효 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에 대해 상세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카드의 사용 방법, 액세스 카드를 사용할 때의 주의 사항, 액세스 카드를 재발급 요청하는 메뉴, 액세스 카드의 반납 요청하는 메뉴 등의 설정이 파트너 단말(101)에 의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단말이 접속하는 카드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카드 관리 페이지는 파트너 단말(101)이 접속할 수 있는 페이지이며,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카드 관리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가 제작된 이후에, 액세스 카드의 발급에 대한 정보가 파트너 단말(101)에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카드 관리 페이지는 액세스 카드의 발급 기간, 발급 링크(URL, QR 코드 등), 액세스 카드의 발급 상태, 액세스 카드의 발급 대상 건수, 액세스 카드의 발급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발급 링크가 URL 형태인 경우, 파트너 단말(101)이 발급 링크를 복사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발급 링크가 QR 코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104)이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파트너 단말(101)에 제공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의 발급 내역은 파트너 단말(101)이 N개의 액세스 카드를 N개를 제작한 경우, 사용자 정보(Ex.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또는 사용자 단말(104)의 전화 번호)가 액세스 카드가 발급될 때 할당될 수 있다. 만약에, 액세스 카드가 특정 사용자 단말에 할당되지 않고 선착순으로 발급되는 경우에, 발급 내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는 액세스 카드가 제작된 이후에 액세스 카드가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104)에 발급될 때 할당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의 발급 및 회수되는 상태는 발급 내역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에 대한 발급 대기 건수는 발급 대상 수에서 발급 카드 수를 제외한 건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액세스 카드의 카드 발급 페이지에 대한 링크가 전달된 경우를 설명한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링크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링크는 파트너 단말(101)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 또는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에 대응하는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업 주체가 참여하는 채팅방은, 사업 주체의 이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채팅방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기 위한 링크가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되는 경우, 채팅방을 통해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4)이 액세스 카드와 연계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에 대해 사용자 단말(104)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id), 사용자 단말(104)에 대한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전화 번호)가 매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에서 "발급 받기"라는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4)은 해당 메뉴에 연결된 카드 발급 페이지의 링크를 통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여 액세스 카드의 발급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파트너 단말(101)에 표시되거나 또는 온라인(ex. 웹페이지)/오프라인(ex. 키오스트, 벽면 등)에서 표시된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04)이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URL를 선택하거나 또는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가 제공하는 카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하여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 요청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발급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파트너 단말(101)이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102)를 통해 제작한 액세스 카드가 생성되면,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발급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면, 카드 발급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파트너 단말(101) 또는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3)와 관련된 채팅방에서 액세스 카드가 발급되었다는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가 파트너 단말(101) 또는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104)를 통해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4)에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104)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세스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예를 들면, 액세스 카드 지갑)에서 파트너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들을 조회, 삭제, 편집 등의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은 서로 다른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액세스 카드들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4)은 도 11(B)에서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파트너 단말(101)이 제작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액세스 카드들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액세스 카드들 각각에 대해 부가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될 때, 액세스 카드가 동작하거나 또는 액세스 카드가 유효하기 위한 조건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부가 정보는 액세스 카드와 관련된 시간 정보, 타입 정보, 프로필 정보, 증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액세스 카드가 유효하기 위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타입 정보는 액세스 카드가 1회성인지 아니면 재발급을 통해 반영구적인지 여부, 타인에게 공유/양도가 가능한지 여부, 액세스 카드의 사용 방식에 대한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필 정보는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의 지역, 나이, 성별, 소속 등 사용자의 신상 정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증명 정보는 백신 접종 여부, 면허증 소지 여부, 멤버쉽 가입 여부 등과 같이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활동하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관리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4)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가 표시된 결과가 도시된다. 도 12(A)는 도 8에서 설명된 액세스 카드의 앞면을 나타내고, 도 12(B)는 도 8에서 설명된 액세스 카드의 뒷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4)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 카드의 발급과 관련된 파트너의 파트너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카드를 반납하여 폐기하거나 또는 유효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메뉴 등이 표시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04)을 소지하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의 소속, 사용자의 별명, 사용자의 이메일 등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액세스 카드의 뒷면에는 액세스 카드의 이용에 필요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B)에 도시된 표시 화면과 같이, 액세스 카드의 유효 기간(발행일 및 종료일)과 액세스 카드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ex. QR 코드)의 표시 메뉴, 액세스 카드를 생성한 파트너와 관련된 상세 정보(ex. 발행자), 액세스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위치 정보(ex. 출입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액세스 카드를 이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소유한 경우에 액세스 카드의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들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카드의 리스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동일한 사용자(ex. 사용자 k)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계정)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액세스 카드들의 리스트도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동일한 사용자(ex. 사용자 k)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계정)가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액세스 카드들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들마다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카드를 생성한 파트너가 설정한 사용자 단말들의 타입 (ex. 스마트폰, 테블릿PC, 웨어러블 장치 등인지 여부),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 빈도, 사용자 단말들에 설정된 우선 순위, 사용자 단말들의 속성(화면 크기, 통신 지원 방식 등)에 기초하여 액세스 카드들의 리스트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트너 패키지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를 생성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는 파트너 단말(101)은 파트너 X에 연관될 수 있다. 이 때, 파트너 X에 하위 계층의 파트너 X-1 내지 파트너 X-N이 존재하는 경우, 파트너 단말(101)은 파트너 X에 대해 파트너의 패키지 단위로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트너 X가 특정 대학이고, 파트너 X-1 내지 파트너 X-N이 특정 대학 내에 위치한 단과 대학에 대응하는 경우, 파트너 단말(101)은 사용자 단말(104)에 대해 파트너 X에 대한 액세스 카드(ex. 출입증)를 제작할 때 파트너 X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파트너 X-1 내지 파트너 X-N의 액세스 카드도 함께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위 계층인 파트너 X의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거나 또는 파트너 X의 액세스 카드 및 파트너 X의 하위 계층인 하위 계층에 속하는 파트너 X-1 내지 파트너 X-N의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파트너가 계층적으로 구성된 경우, 상위 계층의 파트너에 대한 액세스 카드가 제작되면, 자동으로 하위 계층의 파트너에 대한 액세스 카드가 파트너 패키지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트너에 대한 계층 관계는 파트너 단말(101)에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계층에 대한 파트너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와는 독립적으로 하위 계층에 대한 파트너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가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제작 페이지에서 상위 계층의 파트너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때 입력되는 정보와 하위 계층의 파트너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때 입력되는 정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파트너 단말(1501),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 서비스 제공 서버(1503) 및 사용자 단말(1504)이 개시된다.
파트너 단말(1501)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카드의 제작 페이지를 통해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는 파트너와 관련된 온라인의 특정 영역 (예를 들면,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에 로그인하여 입장하기 위한 자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504)은 서비스 제공 서버(1503)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웹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특정 계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4)이 로그인하여 액세스 카드를 통해 수행가능한 서비스(예를 들면, TV 서비스, 라디오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5)는 액세스 카드의 제작과 발급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며, 도 15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액세스 카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1504)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서비스 기능은 사용자 단말(1504)이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를 통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및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기초하여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501)은 특정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아서 소유한 사용자 단말(1504)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정한 서비스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필터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504)은 서비스 제공 서버(1503)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504)이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를 통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및 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기초하여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파트너 단말(1501)은 특정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아서 소유한 사용자 단말(1504)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필터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를 제작한 파트너 단말(1501)은 특정 액세스 카드를 소유한 사용자 단말(1504)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정 서비스 기능(예를 들면, 채팅 봇에서의 발화 제한, 타겟 메시지 제공, 채팅방 입장 등)을 제공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소유한 사용자 단말(1504)은 특정 액세스 카드를 소유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정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판단하는 과정이 서비스 제공 서버(1503)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액세스 카드를 제작한 파트너 단말(1501)에서 의해 업로드되었거나, 생중계되는 영상이 제공될 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정 서비스 기능 또는 컨텐츠에 할당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소유한 사용자 단말(1504)은 영상의 시청을 요청할 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권리나 자격이 서비스 제공 서버(1503)를 통해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필터링 방법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2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필터링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1601)에서, 파트너 단말(1501)은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에 액세스 카드의 제작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단계(1602)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는 파트너 단말(1501)에서 입력한 액세스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단계(1603)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는 파트너 단말(1501)에 의해 제작된 액세스 카드는 사용자 단말(1504)에 발급할 수 있다.
단계(1604)에서, 파트너 단말(1501)은 서비스 제공 서버(1503)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1605)에서, 사용자 단말(1504)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5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1606)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에 사용자 단말(1504)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조회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1607)에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1502)는 사용자 단말(1504)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의 소유 여부 및 종류 등을 포함하는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을 서비스 제공 서버(15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1608)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사용자 단말(1504)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504)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609)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응답을 사용자 단말(1504)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에 대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파트너 단말(1501)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가입하여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파트너 단말(1501)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구현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기능들 (서비스 기능 A~서비스 기능 D) 각각에 대해 필터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조건은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정 서비스 기능을 요청할 때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기능의 제공 여부는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발급한 액세스 카드가 파트너 단말(15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 B에 대한 이용 요청을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필터링 조건에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필터링 조건에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보유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이고, 서비스 기능 B가 채팅방에 공지 사항을 게시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 B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은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아서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서비스 기능 B를 수행하지 못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은 서비스 기능 B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이고, 서비스 기능 C가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를 하이라이팅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 C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액세스 카드 Y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는 액세스 카드 Y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기능 C를 수행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 3(1504-3)만 서비스 기능 C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이고, 서비스 기능 D가 채팅방에서 챗봇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 D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3개 이상의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 모두 3개 이상의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 모두 서비스 기능 D를 제공받을 수 없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사용자 단말들(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것을 요청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파트너 단말(15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들(1504-1~1504-3) 중 서비스 기능 A-D의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1504-1~1504-3)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리거나 추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도 17과 달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504-1~1504-3)에 제공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파트너 단말(1501)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들 (컨텐츠 1-컨텐츠 4)을 업로드하거나 또는 포스팅함으로써 게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컨텐츠들 (컨텐츠 1-컨텐츠 4) 각각에 컨텐츠들의 이용 조건과 관련된 필터링 조건이 파트너 단말(150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조건은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컨텐츠에 이용 요청을 할 때 컨텐츠를 제공할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의 제공 여부는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발급한 액세스 카드가 파트너 단말(15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에 대한 이용 요청을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컨텐츠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이 필터링 조건에 만족하는 액세스 카드를 보유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들 (1504-1~1504-3)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동영상 서비스이고, 컨텐츠 A가 19세 이상의 성인만 시청이 가능한 컨텐츠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 A에 필터링 조건이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은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아서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컨텐츠 A를 시청하지 못하며,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은 컨텐츠 A를 시청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블로그 서비스이고, 컨텐츠 B가 블로그에 친구로 등록된 회원만 확인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게시된 컨텐츠 B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액세스 카드 Y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는 액세스 카드 Y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 B를 확인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 3(1504-3)만 컨텐츠 B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메시징 서비스이고, 컨텐츠 D가 채팅방에서 업로드한 파일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컨텐츠 D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3개 이상의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 모두 3개 이상의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 1(1504-1), 사용자 단말 2(1504-2) 및 사용자 단말 3(1504-3) 모두 컨텐츠 D를 다운로드받을 수 없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사용자 단말들(1504-1~1504-3)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사용할 요청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서비스 제공 서버(1503)는 파트너 단말(15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들(1504-1~1504-3) 중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들 각각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1504-1~1504-3)에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리거나 또는 추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채팅방의 입장 여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이고, 채팅방의 입장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터링 조건은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액세스 카드의 조합,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1(1504-1)은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 1(1504-1)이 채팅방 2에 입장 요청하더라도 채팅방 2에 입장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단말 2(1504-2)은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1(1504-1)이 채팅방 2에 입장 요청한 경우 채팅방 2에 입장했다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에, 채팅방에 입장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해 액세스 카드 Y의 보유 여부가 필터링 조건이라고 가정하면, 액세스 카드 Y를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 1(1504-1)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2(1504-2)도 채팅방에 입장할 수 없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챗봇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응답 메시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채팅 서비스의 챗봇 서비스이고, 서비스 기능이 응답 메시지를 제공받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일례로,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는지 여부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다르게 받는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1504-1)의 경우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504-2)은 액세스 카드를 보유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채팅봇에 대해 채팅 메시지를 입력했을 때,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4-1)은 채팅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 1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504-2)은 동일한 채팅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 1과 다른 응답 메시지 2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채팅봇에 대해 채팅 메시지를 입력했을 때,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액세스 카드 X의 보유 여부(액세스 카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4-1)은 채팅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 1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504-2)은 동일한 채팅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 1과 다른 응답 메시지 2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 카드의 발급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접근 여부가 달라지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해 필터링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조건은 파트너 단말(1501)이 제작한 액세스 카드를 사용자 단말(1504-1, 1504-2)이 보유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에, 파트너 단말(1501)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A에 컨텐츠 S를 게시한 경우, 사용자 단말(1504-1) 및 사용자 단말(1504-2)이 컨텐츠 S의 재생 요청을 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컨텐츠 S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이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인 경우, 액세스 카드를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 1(1504-1)은 컨텐츠 S의 재생 결과를 제공받지 못한다. 반면에, 액세스 카드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 2(1504-2)는 컨텐츠 S의 재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1에서 설명한 예시와 다르게, 컨텐츠 S의 필터링 조건이 복수의 액세스 카드들의 보유 여부 또는 액세스 카드 Y의 보유 여부인 경우, 사용자 단말 1(1504-2) 및 사용자 단말 2(1504-2) 모두 컨텐츠 S의 재생 결과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파트너 단말
102: 액세스 카드 제작 서버
103: 액세스 카드 발급 서버
104: 사용자 단말
105: 어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12)

  1.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가 수행하는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파트너 단말로부터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카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액세스 카드를 사용자 단말에 발급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의 조회 응답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상기 액세스 카드의 조합, 상기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상기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상기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상기 서비스 기능은,
    (i) 상기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는 기능,
    (ii) 상기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방에서 챗봇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iii) 상기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에 하이라이팅할 수 있는 기능 또는
    (iv) 상기 채팅방에서 공지 사항을 게시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동영상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서비스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시청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확인하거나,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6.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파트너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카드를 제작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액세스 카드의 조회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해 상기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발급된 액세스 카드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상기 액세스 카드의 조합, 상기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상기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상기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서비스 기능은,
    (i) 상기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는 기능,
    (ii) 상기 메시징 서비스의 채팅방에서 챗봇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iii) 상기 채팅방에서 채팅 메시지에 하이라이팅할 수 있는 기능 또는
    (iv) 상기 채팅방에서 공지 사항을 게시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동영상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서비스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시청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급된 상기 액세스 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확인하거나,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11.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카드 관리 서버로부터 파트너 단말이 제작한 상기 액세스 카드를 발급받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처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응답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설정한 필터링 조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발급받은 액세스 카드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터링 조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 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액세스 카드의 보유 여부, 상기 액세스 카드의 조합, 상기 액세스 카드에 설정된 권한, 상기 액세스 카드의 개수 또는 상기 액세스 카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필터링 방법.
KR1020210064393A 2021-05-18 2021-05-18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1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3A KR102619020B1 (ko) 2021-05-18 2021-05-18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CT/KR2022/007103 WO2022245126A1 (ko) 2021-05-18 2022-05-18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93A KR102619020B1 (ko) 2021-05-18 2021-05-18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90A KR20220156390A (ko) 2022-11-25
KR102619020B1 true KR102619020B1 (ko) 2023-12-28

Family

ID=8423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93A KR102619020B1 (ko) 2021-05-18 2021-05-18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97B1 (ko) * 2018-07-06 2019-12-31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339A (ko) * 2012-08-23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업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컨텐츠 다운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들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40086809A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멤버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97B1 (ko) * 2018-07-06 2019-12-31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90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576B1 (en) Screen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apparatus
US11431834B1 (en) Screen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apparatus
KR101430799B1 (ko) 조건적 인센티브 제시, 추적 및 상환
US20140172630A1 (en) Social media interface for use with a global shopping cart
US20130219298A9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with Recommendations to Users
US20110289142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Event Facility
JP2015531176A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並びにその広告サービス方法
KR102147989B1 (ko) 예매 정보 및 티켓의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8724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N110958347B (zh) 电子名片的管理方法及装置
KR20140126152A (ko) 음악 컨텐츠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70262511A1 (en) Automated relevant event discovery
US20160026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recommending exchanging of digital assets
CA2799838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event facility
KR102619020B1 (ko)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필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30981B1 (ko) 액세스 카드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30984B1 (ko) 액세스 카드 체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9442467B1 (en) Event triggered data lockbox capable of anonymous revelation
KR102619036B1 (ko) 액세스 카드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TW202207061A (zh) 終端裝置、資訊處理系統及其程式
KR20220156450A (ko) 액세스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19235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공간 및 회원 관리 시스템
KR102504065B1 (ko) 컨텐츠 확장 업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US20210374202A1 (en) Relationships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1125046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using user data gathered by use of a rewards-based, universal, integrated code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