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72B1 -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 Google Patents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72B1
KR102618772B1 KR1020220091537A KR20220091537A KR102618772B1 KR 102618772 B1 KR102618772 B1 KR 102618772B1 KR 1020220091537 A KR1020220091537 A KR 1020220091537A KR 20220091537 A KR20220091537 A KR 20220091537A KR 102618772 B1 KR102618772 B1 KR 10261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vely
label unit
user
trigger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음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음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음껏
Priority to KR102022009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보디를 형성하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제공되는 베이스 라벨 유닛; 및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트리거링 라벨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gnition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comprising: a base label unit forming a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a triggering label unit that selectively provides an imitating imag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within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induces the user to imitate the imitating image. Begin.

Description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본 발명은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제공된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노출시켜 이미지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triggering card system that sets an area provided with an imitating imag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exposes the imitating image to the user to encourage the user to imitate the image.

인간의 행동 습관은 인생의 초기 특히 유아 시기에 형성된다. 유아기는 습관 형성의 시기로 행동 및 생활 습관을 형성하며,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는 훈련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훈련이 필요하다.Human behavioral habits are formed early in life, especially during childhood. Infancy is a time of habit formation, where behavior and lifestyle habits are formed, and training to recognize one's own emotions and understand the emotions of others is necessary.

유아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을 통해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며,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고 조절하게 된다. Infants begin to feel emotions through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and learn to recognize, express, and control their emotions.

유아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감정을 느끼기는 하나 섬세하게 다루지는 못한다. 따라서, 유아에게 감정이 생기는 원인과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Infants feel naturally occurring emotions, but cannot handle them delicately.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on the causes of emotions in young children and how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m.

먼저, 유아가 다양한 감정에 관심을 갖도록 여러 감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여 감정을 편하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자신의 감정을 언어, 소리, 표정, 행동, 그림, 편지 등의 다양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First, we share experiences with various emotions so that children are interested in various emotions, so that they can easily recognize and understand emotions. Next, education is needed on various ways to express one's emotions through language, sounds, facial expressions, actions, pictures, letters, etc.

예컨대, 인간의 모방본능을 이용한 감정 카드 교육을 실시하면, 감정 카드를 통해서 다양한 감정에 대한 정의와 어휘력을 향상시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쉽게 알아차리고,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you conduct emotion card education using the human instinct to imitate, you will be able to easily recognize you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by improving the definition and vocabulary of various emotions through emotion cards.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대화와 상담을 위한 카드 교구 (공개번호 제10-2018-0031382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n example of a prior patent document related to this is “Card tool for conversation and consultation (Publication No. 10-2018-003138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감정카드, 장소카드, 관계카드 및 행동카드를 순차적으로 한 장씩 선택하면서 아이가 경험한 상황과 감정을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는 카드 교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가 경험한 상황에서 느끼게 되는 다양한 감정이 표현된 감정단어와, 감정단어에 대응하는 감정이 표현된 감정캐릭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감정카드; 아이가 경험한 상황에서 관련된 다양한 인물이 표현된 인물단어와, 인물단어에 대응하는 인물이 표현된 인물캐릭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관계카드; 및 아이가 경험한 상황에서 아이가 한 행동과 해야할 행동이 표현된 행동단어와, 행동단어에 대응하는 행동이 표현된 행동캐릭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행동카드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the situation experienced by the child is provided by providing a card teaching tool that allows the child to proceed with the story of the situation and emotions experienced by sequentially selecting emotion cards, place cards, relationship cards, and action cards one by one. A plurality of emotion cards including emotion words expressing various emotions felt in and emotion characters expressing emotions corresponding to the emotion words; A plurality of relationship cards including person words expressing various people related to situations experienced by the child, and character characters expressing people corresponding to the person words; and a plurality of action cards including action words expressing actions the child did and should do in situations experienced by the child, and action characters expressing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action words.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디자인 교육 교구 (등록번호 제10-1744032호,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Design Education Tool (Registration No. 10-17440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exists.

특허문헌 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디자인 교육 교구가 제공되며 교구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card)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카드에 색 교육 컨텐츠가 배치되는 색 교육 교구; 적어도 하나의 카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카드에 모양 교육 컨텐츠가 배치되는 모양 교육 교구; 및 적어도 하나의 카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카드에 재료 교육 컨텐츠가 배치되는 재료 교육 교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 design education teaching aid is provided, and the teaching aid is made up of at least one card, and a color education teaching aid in which color education content is placed on each card; A shape education tool consisting of at least one card and having shape education content placed on each card; And it may include a material education tool consisting of at least one card, and material education content is arranged on each card.

공개번호 제10-2018-0031382호Publication number 10-2018-0031382 등록번호 제10-1744032호Registration number 10-1744032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여 감정 표현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자 한다.First, we aim to learn about emotional expressions by providing images that users can visually perceive.

둘째, 사용자로부터 이미지가 인지되면 사용자의 신경 세포를 활성화시켜 감정 표현을 모방하도록 유도하고자 한다.Second, when an image is recognized by the user, it is intended to activate the user's nerve cells and induce the user to imitate emotional expressions.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메인 보디를 형성하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제공되는 베이스 라벨 유닛(base label unit);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imitating image)가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트리거링 라벨 유닛(triggering labe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ain body and includes a base label unit provided with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a triggering label unit (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triggering label uni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은,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 상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폐곡선(closed loop)로 이루어지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losed loop virtually formed on the base label unit, and is selectively extended or extended according to the purpose.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트리거링 라벨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복수 개의 파티클이 선택적으로 적층 되어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파티클 각각은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itating image is selectively formed by selectively stacking a plurality of particles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the plurality of Each particle may be characterized by selectively absorbing 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트리거링 라벨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의 영역을 복수 개의 필드로 선택적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필드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파티클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필드 별로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divides the area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into a plurality of fields, and selects the plurality of particl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The density per unit area may be selectively adjusted to form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됨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 뉴런을 선택적으로 활성 시켜,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모방을 유도하는 이모션 정보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mitating image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osed to the user and recognized by the user, selectively activates the user's mirror neurons, leading the user to imitat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을 제외한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제1정보 제공 영역이 선택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is selectively allocated to any one of the areas excluding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은,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의 인접하게 제2정보 제공 영역이 선택적으로 할당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is selectively allocated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에 마련된 상기 이모션 정보를 청각적으로 네이밍한 해석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interpreting label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selectively provides interpretation information acoustically naming the emo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mitating imag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interpreting label uni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해석 정보를 제2의 언어로 선택적으로 번역된 번역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translating label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lating label that is selectively placed in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selectively provides transl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translated into a second languag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translating label uni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은,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 사이에 소정의 푸싱 포스(pushing force)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푸싱 포스에 의하여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은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밀어내면서 각각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pushing force is selecti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may be selectively pushed away from each other using a predetermined pushing force to prevent each area from being invaded.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제공된 영역을 설정하여 감정 표현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it is possible to learn about emotional expressions by setting an area provided with an imitating image that the user can visually perceive.

둘째, 사용자로부터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인지되면 사용자의 신경 세포를 활성화시켜 감정 표현을 모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Second, when the imitating image is recognized by the user, the user's nerve cells can be activated to induce the user to imitate the emotional expression.

셋째, 이미테이팅 이미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생성하여 감정 표현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Third, it creates an area tha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imitating image, making it possible to understand emotional expression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베이스 라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의 확장 또는 축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트리거링 라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트리거링 라벨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베이스 라벨 유닛 상에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제2정보 제공 영역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소정의 푸싱 포스가 적용된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과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a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on 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preting label unit and a translating label unit to which a predetermined pushing force is applied in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베이스 라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의 확장 또는 축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트리거링 라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트리거링 라벨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베이스 라벨 유닛 상에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제2정보 제공 영역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소정의 푸싱 포스가 적용된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과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이다.Figure 1 is a plan view of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a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on the base label unit of th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preting label unit and a translating label unit to which a predetermined pushing force is applied in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라벨 유닛(base label unit, 10) 및 트리거링 라벨 유닛(triggering label unit, 100)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interpreting label unit, 200) 및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translating label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ecognition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bel unit (10) and a triggering label unit (100), and further includes an inter It includes an interpreting label unit (200) and a translating label unit (300).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제공된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노출시켜 이미지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트리거링 카드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recognition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 area provided with an imitating imag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is set, and the imitating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It is about a triggering card that induces exposure to imitate an image.

먼저, 베이스 라벨 유닛(1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보디를 형성하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이 제공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base label unit 10, as shown in Figure 2, it forms the main body and is provided with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베이스 라벨 유닛(10)은 기저에 층을 이루는 것으로 트리거링 카드의 메인 보디로서, 종이, 라벨, 시트, 필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base label unit 10 is a layered base, the main body of the triggering card, and is made in the form of paper, label, sheet, film, etc.

베이스 라벨 유닛(10)의 두께와 크기에는 제한이 없으나, 학습을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에 집어들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no limit to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base label unit 10, but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ize that allows the user to pick it up with one hand for learning purposes.

또한, 베이스 라벨 유닛(10) 상에 형성되는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은 실제 베이스 라벨 유닛(10) 상에서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가상의 경계선에 해당되는 것이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의 이미테이팅 이미지(110)가 마련됨에 따라서 그 경계선이 결과적으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게 되는 가상의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formed on the base label unit 10 corresponds to a virtual boundary line that is not observed with the naked eye on the actual base label unit 10, as shown in Figure 1. As the imitating image 110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epared, the boundary line can be defined as a virtual line that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은 베이스 라벨 유닛(10) 상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폐곡선(close loop)로 이루어지며 폐곡선은 개념적 경계 라인에 해당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2,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consists of a closed curve (close loop) virtually formed on the base label unit 10, and the closed curve corresponds to a conceptual boundary line.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은 베이스 라벨 유닛(10)의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의 배치에 따라서 이미테이팅 이미지(11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The preset virtual border line 11 can be selectively placed anywhere on the base label unit 10, and there is no limit to its location, and the imitating imag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reset virtual border line 11. The position of (110) can be determined.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at least on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is formed and can be selectively enlarged or reduced depending on the purpose.

예컨대, 사용자로 하여금 학습하고자 하는 이미테이팅 이미지(110)의 크기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For example,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is set to be expanded or contrac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mitating image 110 that the user wishes to learn.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 내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imitating image, 110)가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as shown in FIG. 4, an imitating image 110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is optionally provided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to allow the user to It is a configuration that induces the user to imitate the imitating image 110.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은 베이스 라벨 유닛(10)의 어느 한 곳에 제공되어, 이미테이팅 이미지(110)가 마련되도록 한다.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is provided at one location of the base label unit 10 to prepare the imitating image 110.

여기서 말하는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며,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얼굴 표정이나 감정이 드러나는 이미지로서 정의하며,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는 사용자의 인지가 작용됨에 따라서 본능적으로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imitating image 110 referred to here is identifiable with the user's naked eyes and is defined as an image that reveals facial expressions or emotions that humans instinctively have. Therefore, it allows people to imitate instinctively.

또한,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는 사용자에게 노출됨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인식되면 사용자의 거울 뉴런을 활성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모방을 유도하는 이모션 정보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mitating image 110 is exposed to the user and, when recognized by the user, activates the user's mirror neurons to selectively provide emotion information that induces the user to imitate.

여기서 말하는 이모션 정보에는 기쁨, 감동, 기대, 감사, 만족, 뿌듯, 설렘, 안심, 신남, 편안, 흥분, 행복, 미안, 서러움, 비참, 실망, 속상함, 슬픔, 심심, 아쉬움, 허전함, 우울, 후회, 괴로움, 답답, 귀찮음, 부끄러움, 미움, 싫음, 피곤, 힘듦, 화남, 분노, 억울, 분함, 격노, 짜증, 긴장, 놀람, 걱정, 당황, 불안, 무서움, 어색 등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한다.The emotion information mentioned here includes joy, emotion, anticipation, gratitude, satisfaction, pride, excitement, relief, excitement, comfort, excitement, happiness, sorry, sadness, misery, disappointment, upset, sadness, boredom, regret, emptiness, depressi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such as regret, pain, frustration, annoyance, shame, hate, dislike, tired, difficult, angry, anger, resentment, indignation, rage, irritation, tension, surprise, worry, embarrassment, anxiety, fear, awkwardness, etc. Make sure it is included.

또한, 이모션 정보는Storm & Storm(1987) 연구에서 사용한 감정단어 5개 군집(기쁨, 슬픔, 두려움, 분노, 혐오)별 분류에 포함된 모든 감정 정보나 로버트 플루치크의 마음 바퀴 등에 포함된 감정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므로 이모션 정보에는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motion information includes all emo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emotion word clusters (joy, sadness, fear, anger, and disgust) used in the Storm & Storm (1987) study, or emo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Robert Pluchik's mind wheel. may be included, and since the emotions that humans can express are not absolute, it is desirable that there be no limit to the emotion information.

이를 통해서 이미테이팅 이미지(110)에 노출된 사용자는 여러가지 감정을 나타내는 상황과 표정을 학습하고 모방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users exposed to the imitating image 110 can learn and imitate situations and facial expressions expressing various emotions.

즉,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신경세포를 활성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능적으로 동일한 표정을 자연스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감정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is an area that is visually exposed to the user and activates the user's nerve cells to induce the user to instinctively and naturally follow the same facial expression, thus providing emotional response. Make learning possible.

또한,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 내에서 복수 개의 파티클(111)이 적층되어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allows a plurality of particles 111 to be stacked within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to form an imitating image 110.

복수 개의 파티클(111)은 복수 개 또는 복수의 종류로 이루어진 미립자들의 집합체에 해당되는 것으로, 부분 용융된 입자 형태로 분사되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 내에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적층되어 3차원적으로 형성하므로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은 그 자체로 인쇄층을 이루는 형태가 된다.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 corresponds to an aggregate of a plurality or plurality of types of particles, which are sprayed in the form of partially melted particles and stacked according to the purpose within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hape. Therefore,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itself forms a printing layer.

트리거랑 라벨 유닛 상에 분사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파티클(111) 각각은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 sprayed and stacked on the trigger and label unit selectively absorbs o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복수 개의 파티클(111)이 가시광선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 selectively absorb or emit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visible light range, the user can check this with the naked eye.

또한, 트리거링 라벨 유닛(100)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 내에 영역을 복수 개의 필드로 선택적으로 구획하고 복수 개의 필드 각각의 복수 개의 파티클(111)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iggering label unit 100 selectively divides the area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into a plurality of fields and selectively adjusts the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

복수 개의 필드 별로 복수 개의 파티클(111)의 밀도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By selectively applying the density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111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can be formed.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면, 소정의 단차를 통해서 복수 개의 필드 각각의 표면의 마찰계수가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 5, when a predetermined step is formed,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and selectively through the predetermined step.

즉, 이미테이팅 이미지(110)의 표면 마찰 계수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을 활용하여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mitating image 110 is selectively adjusted, the user can perceive the imitating image 110 using the sense of touch.

아울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 유닛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을 제외한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제1정보 제공 영역(12)이 선택적으로 할당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base layer unit allows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to be selectively allocated to any one of the areas excluding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또한, 제1정보 제공 영역(12)의 인접하게 제2정보 제공 영역(13)이 선택적으로 할당되어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is selectively allocated and placed adjacent to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제공 영역(12)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이미테이팅 이미지(110)에 마련된 이모션 정보를 청각적으로 네이밍한 해석 정보(210)를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as shown in FIG. 7, it is selectively placed i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and audibly names the emo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mitating image 110.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is provided selectively.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은 제1정보 제공 영역(12) 내에 소정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preferably consists of predetermined characters withi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에서 제공하는 해석 정보(210)는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를 청각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미테이팅 이미지(110)를 정의하는 명칭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provided by 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can express the imitating image 110 aurally or can be defined as a name that defines the imitating image 110.

예컨대, 이미테이팅 이미지(110)가 분노하거나 화난 이모션 정보로서 노출될 경우 해석 정보(210)는 '화난'으로서 정의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imitating image 110 is exposed as angry or angry emotion information,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is defined as 'angry'.

즉,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모션 정보를 모방하는 동시에 청각적인 정보를 보강하여 감정 학습과 더불어서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allows the user to learn emotions and understand emotions by imitating emotion information and reinforcing auditory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300)의 경우, 제2정보 제공 영역(13)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해석 정보(210)를 제2의 언어로서 선택적으로 번역된 번역 정보(310)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translating label unit 300, it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to selectively provide translation information 310 in which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is selectively translated into a second language. .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300)은 제2정보 제공 영역(13) 내에 소정의 문자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과는 다른 언어의 문자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lating label unit 300 consists of predetermined characters in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provide characters in a languag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300)은 제1정보 제공 영역(12) 내에 제공되는 해석 정보(210)를 또 다른 언어로서 번역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ranslating label unit 300 provides information that translates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provided i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into another language.

번역 정보(310)의 언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등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로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language of the translation information 310, and i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languages including English, Japanese, Chinese, French, etc.

또한, 번역 정보(310)에는 점자 정보, 프로그래밍 언어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translation information 310 preferably includes Braille information and programming language.

예컨대,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200)에서의 해석 정보(210)가 '화난'일 경우, 트랜스레이팅 유닛에서의 번역 정보(310)는 'angry'가 제공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in the interpreting label unit 200 is 'angry', the translation information 310 in the translating unit provides 'angry'.

아울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제공 영역(12)과 제2정보 제공 영역(13),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11)이 마련될 때 각각의 영역과 경계 라인 사이에는 소정의 푸싱 포스(P)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whe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and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1 are provided, ther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each area and the boundary line. A pushing force (P) is formed selectively.

소정의 푸싱 포스는 각각의 영역들이 상충되지 않도록 서로 밀어내는 힘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ushing force can be defined as the force that pushes each area so that they do not conflict.

제1정보 제공 영역(12)과 제2정보 제공 영역(13)이 소정의 푸싱 포스에 의해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밀어내면서 각각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며 형성되도록 한다. 각각의 영역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이모션 정보, 해석 정보(210), 번역 정보(310)가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제공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2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are formed by selectively pushing each other away by a predetermined pushing force without invading each area. As each area is formed not to overlap, the emotion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formation 210, and translation information 310 are provid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llowing the user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s within the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10: 베이스 라벨 유닛
11: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12: 제1정보 제공 영역
13: 제2정보 제공 영역
100: 트리거링 라벨 유닛
110: 이미테이팅 이미지
111: 복수 개의 파티클
200: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
210: 해석 정보
300: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
310: 번역 정보
10: Base label unit
11: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12: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13: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100: Triggering label unit
110: Imitating image
111: Multiple particles
200: interpreting label unit
210: Analysis information
300: Translating label unit
310: Translation information

Claims (10)

메인 보디를 형성하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제공되는 베이스 라벨 유닛(base label unit);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테이팅 이미지(imitating image)가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트리거링 라벨 유닛(triggering label unit); 및
제1정보 제공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에 마련된 이모션 정보를 청각적으로 네이밍한 해석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프리팅 라벨 유닛(interpreting label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은,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 상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폐곡선(closed loop)로 이루어지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고,
상기 트리거링 라벨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복수 개의 파티클이 선택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파티클 각각은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방출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의 영역을 복수 개의 필드로 선택적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필드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파티클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필드 별로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필드 각각의 마찰계수가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을 활용하여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를 인지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라벨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을 제외한 영역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이 선택적으로 할당되며,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의 인접하게 제2정보 제공 영역이 선택적으로 할당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 사이에 각각의 영역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정보 제공 영역과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은 각각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
A base label unit forming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 imitating imag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a triggering label unit is provided to induce the user to imitate the imitating image. label unit); and
Includes an interpreting label unit sel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selectively providing interpretation information acoustically naming the emo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mitating image,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is,
It consists of a closed loop that is virtually formed on the base label unit, and is selectively expanded or contra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triggering label unit,
The emitting image is selectively formed by selectively stacking a plurality of particles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selectively absorbs o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Selectively dividing the area within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into a plurality of fields,
The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is selectively adjusted to form a predetermined step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is individually and selectively adjusted to allow the user to Utilizes the sense of touch to recognize the imitating image,
The base label unit is,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is selectively allocated to one of the areas excluding the preset virtual boundary line,
A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is selectively allocated and placed adjacent to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The respective area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so as not to overlap, so that the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do not invade their respective areas. A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테이팅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됨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의 거울 뉴런을 선택적으로 활성시켜,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모방을 유도하는 상기 이모션 정보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itating image is:
Recognition triggering through selective area al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vided to induce imitation by the user by selectively activating the user's mirror neurons when recognized by the user as it is exposed to the user. card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정보 제공 영역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해석 정보를 제2의 언어로 선택적으로 번역된 번역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트랜스레이팅 라벨 유닛(translating label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 할당을 통한 인지력 트리거링 카드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lating label unit that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area and selectively provides transl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terpret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translated into a second language. Cognitive triggering card system with selective area allocation.

삭제delete
KR1020220091537A 2022-07-25 2022-07-25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KR102618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537A KR102618772B1 (en) 2022-07-25 2022-07-25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537A KR102618772B1 (en) 2022-07-25 2022-07-25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772B1 true KR102618772B1 (en) 2023-12-29

Family

ID=8933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537A KR102618772B1 (en) 2022-07-25 2022-07-25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32B1 (en) 2014-09-23 2017-06-07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Design educational material
KR20180031382A (en)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마노컴퍼니 Card tool for conversation and counseling, and a conversation and counse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57000B1 (en) * 2019-01-22 2019-12-17 이승현 Structure layered by soft layer having semi-melted grain
KR102184127B1 (en) * 2020-01-28 2020-11-27 이승현 Label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separating area by allocating variable commercial ar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32B1 (en) 2014-09-23 2017-06-07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Design educational material
KR20180031382A (en)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마노컴퍼니 Card tool for conversation and counseling, and a conversation and counse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57000B1 (en) * 2019-01-22 2019-12-17 이승현 Structure layered by soft layer having semi-melted grain
KR102184127B1 (en) * 2020-01-28 2020-11-27 이승현 Label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separating area by allocating variable commercial area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10-2184127호(2020.11.27. 공고) 1부.*
마음껏TV, [마음껏] 감정카드 활용법ㅣ 내마음지도ㅣ오늘내기분을 표현하고 정리하는 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pel Nietzsche contra democracy
Nietzsche Twilight of idols and Anti-christ
Sartre Existentialism and human emotions
Gray Consciousness: Creeping up on the hard problem
Eco Kant and the platypus: Essays on language and cognition
Goody The anthropology of the senses and sensations
Badcock PsychoDarwinism
Ahmad Landscapes of Hope: Anti-Colonial Utopianism in America
Wynn Renewing the senses: a study of the philosophy and theology of the spiritual life
Blackburn Plato's Republic: A Biography
Cadden At Arm’s Length: A Rhetoric of Character in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KR102618772B1 (en) System of triggering card for cognition by selectively allocating area
Kuzmina Conceptual metaphor in syntax: sentence structure level
Anthony Rudowski Lessing's" Aesthetica in Nuce": An Analysis of the May 26, 1769, Letter to Nicolai
Vanzant Until Today!: Daily Devotions for Spiritual Growth and Peace of
MacConochie Staging Touch in Shakespeare's England
Stott et al. Behind the mask: Kierkegaard's pseudonymic treatment of Lessing in the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Hirschbühl DIPLOMARBEIT/DIPLOMA THESIS
Naqvi et al. DECONSTRUCTING RACISM: A STUDY OF JESMYN WARD’S SING, UNBURIED SING WITH REFERENCE TO CRITICAL RACE THEORY
Rushdie Neil Bissoondath
Ferguson Nineteenth-century Black Women's Literary Emergence: Evolutionary Spirituality, Sexuality, and Identity: an Anthology
Schildgen Overcoming Augustinian Dichotomies in Defense of the Laurel in Canzoni 359 and 360 of the" Rime Sparse"
Harger Kundalini Consciousness
Jacobs The Primary Vision: A Study of the Work of Laura (Riding) Jackson
Gayk “Sensible signes”: Mediating images in late medieval lit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