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06B1 -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06B1
KR102618206B1 KR1020220143970A KR20220143970A KR102618206B1 KR 102618206 B1 KR102618206 B1 KR 102618206B1 KR 1020220143970 A KR1020220143970 A KR 1020220143970A KR 20220143970 A KR20220143970 A KR 20220143970A KR 102618206 B1 KR102618206 B1 KR 10261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conveyor
pickup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훈
남진아
최익호
신의식
성용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에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픽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은, 복수의 픽업 영역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CONVEYOR PICKU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에서 물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픽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서비스현장에서는, 물품(재료, 화물, 음식, 또는 주문품 등)을,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로 컨베이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운반된 물품(또는 물건, 이하 ‘물품’으로 지칭함)을 사용자가 픽업하여 해당 물품을 전달받는 시스템으로서, 주로 공장이나 공항 등의 물류 이동에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공항, 음식점, 카페 등에서 주문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컨베이어 위의 물품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픽업을 위해 자신의 물품을 찾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공항의 경우, 자신의 수화물이 나오는지, 컨베이어 주변에서 계속 대기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혼잡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불필요하게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게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대형스크린이나 안 내모니터를 활용하는 방식(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3235호)이 사용되나, 이동하는 컨베이어에서 자신의 물품을 찾는 것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어, 컨베이어 주변의 혼잡은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사용자들의 혼잡을 야기하지 않고, 용이하게 자신의 물품을 픽업할 수 있는 새로운 픽업 시스템과 이에 대한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혼잡을 야기하지 않고, 용이하게 자신의 물품을 픽업할 수 있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컨베이어를 연동하여 혼잡한 상황에서도 물품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컨베이어 주변에서 불필요한 혼잡을 방지하여 실질적인 비대면 픽업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픽업 영역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은, 복수의 픽업 영역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1 픽업 영역에 제1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1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제1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2 픽업 영역에 제2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2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제2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제1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물품을 픽업하도록 형성되는 제2영역을 순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영역의 양측에는 상기 물품을 센싱하는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POS(Point Of Sale System)에서 수신한 상기 물품에 대한 주문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물품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이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픽업 영역에 놓여진 제1상태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상태가 센싱되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이동하면서 출력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물품에 위치에 상기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이 픽업된 제2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물품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이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픽업 영역에 놓여진 제1상태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상태가 센싱되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이동하면서 출력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물품에 위치에 상기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이 픽업된 제2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컨베이어에 놓인 물품의 이동에 연동하여 물품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서 이동하면서 표시되어,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품이 놓이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의 위치에서 자신의 물품을 픽업할 수 있다.
특히, 음식점 및 카페 등에서, 주문품이 놓여진 컨베이어와, 디스플레이의 주문 번호의 위치가 동기화 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신의 주문품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주문품을 픽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물품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경우에 컨베이어에 접근하게 되며, 따라서 컨베이어 주변에서 사용자의 혼잡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픽업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비대면 픽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운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문 시스템과 픽업 시스템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6b은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픽업 시스템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픽업 시스템에서 복수의 물품이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공장에 설치되는 부품 공급 컨베이어 시스템, 물류 창고에 설치되는 물류 이동 컨베이어 시스템, 공항이나 터미널에 설치되는 수하물 컨베이어 시스템, 음식점이나 카페에 설치되는 주문품 컨베이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수하물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수하물 통제 시스템이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과 서로 연동되고, 주문품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과 주문 시스템(40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으로 주문품 컨베이어 시스템을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운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컨베이어 시스템(200)과 픽업 시스템(3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베이어(conveyor, 230)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동, 운반하는 띠 모양의 운반 장치로서,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는, 고무, 직물, 철망, 또는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벨트 위에 물건을 올려 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체인 컨베이어는 쇠사슬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장치이고, 롤러 컨베이어는 롤러를 길게 늘어 놓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의 방식은 단지 컨베이어(23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컨베이어(230)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베이어(230)는 적어도 일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컨베이어(230)에 놓여진 물품(10)이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오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230)는 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물품(10)은 픽업이 없으면 계속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30)는 복수의 픽업 영역(231)을 구비하고, 상기 픽업 영역(231)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 영역(231)은 물품(10)이 놓여지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231)이 순환식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30)는 가운데가 빈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영역은 상기 픽업 영역(231)에 상기 물품(10)을 제공하는 제1영역(20)과, 상기 물품(10)을 픽업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영역(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픽업 시스템(300)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베이어 시스템(200)은, 상기 컨베이어(230)를 이용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컨베이어(230) 외에도 센서부(220), 컨베이어 제어부(240), 통신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운용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컨베이어(230)의 구동상태, 컨베이어(23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픽업 영역(231)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센서부(220)는 컨베이어(23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221, 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속도 감지 센서(221)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속도 센서나 또는 상기 컨베이어(2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내장되어 모터의 각도를 센싱하는 엔코더(encoder)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엔코더는 모터 펄스 값을 근거로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픽업 영역(231)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위치센서(position sensor, 222, 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222)는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픽업 영역(231), 예를 들어 트레이가 위치하였는지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위치센서(222)는 스탭스위치식, 섭동저항식, 정전용량식, 차동 트랜스식, 근접스위치, 광전스위치(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제어부(240)는 컨베이어(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230)는 상기 컨베이어 제어부(240)에 의한 제어 하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통신부(210)를 통하여 서버나 픽업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상기 컨베이어(2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베이어 제어부(240)가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컨베이어 시스템(200)과 픽업 시스템(300) 사이, 컨베이어 시스템(200)과 주문 시스템(400) 사이,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200)과 별도의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제어부(24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컨베이어(2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베이어 제어부(240)는 픽업 시스템(300)과 연동되어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픽업 시스템(300)은 통신부(310), 센서부(320), 저장부(330), 디스플레이(340) 및 제어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픽업 시스템(300)과 컨베이어 시스템(200) 사이, 픽업 시스템(300)과 주문 시스템(400) 사이, 또는 픽업 시스템(300)과 별도의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픽업 시스템(3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통신부(3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20)는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운용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물품의 픽업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픽업 영역(231)에 물품(10)을 제공하는 제1영역(20)과, 상기 물품(10)을 픽업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영역(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2영역(30)의 물품(10)을 센싱하는 센서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230)는 상기 제1영역(20)과 제2영역(30)을 순환하면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영역(30)의 양측에는 상기 물품을 센싱하는 제1센서(321)와 제2센서(322)가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321)와 제2센서(322)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물품(100)을 센싱한다.
상기 제1영역(20)은 물품을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서비스 구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영역(30)은 사용자가 물품을 픽업하는 영역으로서, 픽업 구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21)와 제2센서(322)는 각각 상기 서비스 구역과 상기 픽업 구역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10)의 출발과 도착을 센싱한다.
상기 제1센서(321)는 출발위치센서로서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물품(10)을 센싱하여 물품(10)의 출하를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321)는 서비스 구역의 일측에서 상기 픽업 구역으로 향하는 특정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2)는 도착위치센서로서 상기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물품(10)을 센싱하여 상기 물품(10)의 픽업을 확인한다. 즉, 상기 픽업 영역(231)에 물품(10)이 없음을 확인하여 픽업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센서(322)는 상기 서비스 구역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상기 픽업 구역에서 상기 서비스 구역으로 향하는 특정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30)는 메모리로서, 제어부(3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명령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픽업 시스템(300)은 상기 컨베이어(23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영역(30)에서 상기 물품(10)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 방향(전술한 컨베이어(2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상측에 위치하며,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컨베이어(23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340)의 화면(뷰잉 영역)은 상기 컨베이어(230)의 픽업 영역에 대하여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컨베이어(230)의 외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면, 외측면, 내측면 및 하면을 가지는 환형의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면에 화면(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340)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외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바라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컨베이어(230)와 유사하게 가운데가 빈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픽업 구역(30)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픽업 구역(30)에서 상기 물품(10)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물품(10)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픽업번호, 주문번호, 사용자 ID, 물품명, 물품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230)의 물품(10)의 픽업 구역(30)과 나란하게 디스플레이(340)가 위치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물품(10)과 관련된 정보의 아래 위치한 물품(10)이, 해당 정보의 물품(10)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내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341a, 341b, 도 5a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컨베이어(230)의 픽업 영역(231) 간의 간격과, 상기 표시 영역(341)의 간격은 서로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340)는 반드시 예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베이어(230)의 픽업 영역(231)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베이어(230)의 상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30)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픽업 영역(23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 제어부(35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 상기 센서부(320)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 상기 저장부(330)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241) 중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도 2의 점선 원)에 물품(10)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1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340)에서 상기 정보의 간격이나 이동 속도는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00)에서 센싱한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 픽업 영역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350)에서 보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컨베이어(230)에 놓인 물품(10)의 이동에 연동하여 물품(10)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340)에서 이동하면서 표시되어,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품(10)이 놓이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된 정보의 위치에서 자신의 물품(10)을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주문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주문 시스템(400)과의 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주문 시스템(400)과 픽업 시스템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주문 시스템(400)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시스템(400)은, POS(Point Of Sale, 판매 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POS는 판매와 관련한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고객정보를 수집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상기 주문 시스템(400)은, 통신부(410), 저장부(420) 및 주문 처리부(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는, 주문 시스템(400)과 픽업 시스템(300) 사이, 주문 시스템(400)과 컨베이어 시스템(200) 사이, 또는 주문 시스템(400)과 별도의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410)는, 상기 주문 시스템(4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20)는 메모리로서, 주문 시스템(4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문 접수, 결제 정보, 주문 번호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주문 처리부(430)는, 주문품, 예를 들어 음료 제조 등이 완료되어 해당 음료가 고객들에게 나가는 경우에, 발송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문 시스템(400)은 상기 주문품에 대하여 주문을 접수하고, 주문 접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로서 출력하여 알려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주문은 스마트폰(510)을 이용하여 모바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양한 다른 예약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스마트폰(510)을 통하여 음료가 주문되면 예약 서버(520)에서 주문을 접수후에 주문 번호를 생성한다. 상기 예약 서버(520)는, 예를 들어 테이블 예약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주문번호는 주문한 물품에 설정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주문번호는 상기 예약 서버(520)가 아니라 다른 서버나, 주문 시스템(400)에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약 서버(520)는 상기 주문번호를 주문자에게 알려준다.
다음으로, 예약 서버(520)는 상기 접수 내역(주문내역 및 주문번호 등)를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서버(530)는 각각의 주문 시스템(400)에게 주문을 알려주는 통합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주문 시스템(400)은 상기 중앙 서버(530)로부터 상기 주문내역 및 주문번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하여,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에서 물품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음료를 제조하고, 해당 주문번호의 음료가 준비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주문 시스템(400)에 입력하며, 이를 통하여 발송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주문 처리부(430)는 상기 통신부(410)를 통하여 상기 중앙 서버(530)로 발송 처리를 전송하고, 중앙 서버(530)는 예약 서버(520)로 처리 내역을 발송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중앙 서버(530)가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로 처리내역을 발송한다.
이 경우에,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는 마이크로 서버(351)와 디스플레이 제어부(352)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로 서버(351)가 상기 처리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52)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서버(351)로 주문번호를 요청한다.
이 때에,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출발위치센서에서 음료의 탑재를 센싱하면, 상기 음료가 놓여진 픽업 영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340)의 위치에 주문번호를 표시한다. 상기 주문번호는 상기 주문 시스템(400)에서 발송 처리된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문번호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픽업번호, 사용자 ID 등 주문번호와 다른 정보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문번호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는 음료를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픽업 영역(231)에 탑재하는 경우에, 발송 처리가 있어야만 디스플레이(340)의 정보표시와 물품 간의 위치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발송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음료를 픽업 영역(2310에 탑재하여, 출발위치센서를 통과하게 되면, 주문번호 확인이 불가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고유번호가 적용된 트레이를 사용하여, 발송 처리의 과정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에는 각각 고유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매핑된 주문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주문번호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하면, 발송처리와 관계없이 물품(10)과 픽업 영역(231)이 서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 번호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어 상기 픽업 영역(231)과 동기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에 의하면, 본 발명의 주문 시스템(400)은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물품(10)에 설정된 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에 대한 개념과 주문 시스템(400)과의 연동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제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6b은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픽업 시스템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물품(10)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TEP1). 이 경우에, 상기 물품(10)에 설정된 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에 의하면, 음료에 대한 주문내역 및 주문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가 중앙 서버(53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물품(10)을 제조한 후에, 중앙 서버(530)로 발송 처리를 전송하고 상기 컨베이어(230)의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물품을 탑재한다(STEP2).
이 후에, 상기 픽업 시스템(300)에서는 상기 물품(10)이 컨베이어(230)에 구비되는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제1상태를 센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와 같이, 제1상태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주문번호와 픽업 영역의 위치가 동기화 된다(STEP3).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가 센싱되면, 디스플레이(340)에서 상기 픽업 영역(231)과 대응되는 위치(341)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를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시스템(300)에는 전술한 제1센서(3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픽업 시스템(300) 또는 주문 시스템(400)은, 상기 제1센서(321)를 이용하여, 주문 번호 발송 후, 물품(10)이 올려진 픽업 영역, 예를 들어 트레이가 센싱된 경우, 해당 물품(10)이 올려진 트레이를, 발송 처리된 주문 번호에 해당하는 물품(10)이 올려진 픽업 영역으로 인식하게 된다.
만약, 발송처리 후에, 제1센서(321)에 빈 트레이가 이동하는 경우, 물품의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문번호와 해당 빈 트레이에 대한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센서(321)에서 물품(10)을 센싱하는 경우에 해당 트레이의 위치로 등록된 주문번호를 매핑하여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놓여진 물품(10)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1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상기 정보를 이동하면서 출력하여, 상기 컨베이어(230)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물품(10)에 위치에 상기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디스플레이(340)가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상기 정보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센서부(220), 예를 들어 속도 감지 센서(221)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컨베이어(230)의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340)에는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들(341a, 341b)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정보표시 영역들(341a, 341b)에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면, 상기 정보(예를 들어 주문번호, 픽업번호, 사용자 ID 등)는 항상 해당하는 물품(10)의 위치와 동기화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표시 영역들은 제1정보표시영역(341a), 제2정보표시영역(341b), …, 제N정보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 영역(231)이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에 위치하는 시점에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에 상기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물품(10)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에, 상기 물품(10)이 이동하면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에서는 정보의 표시가 오프(off)된다. 상기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 영역(231)이 상기 제N정보표시영역에 위치하는 시점에는 상기 제N정보표시영역에 상기 물품(10)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컨베이어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위치센서(222)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50) 또는 컨베이어 제어부(240)는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영점 조절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품이 픽업된 제2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픽업 시스템(300)의 제2센서(321)에서 물품의 픽업을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주문번호를 삭제한다(STEP4). 이 경우에, 상기 물품이 픽업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트레이의 주문번호를 루프를 형성하면서 다시 디스플레이(340)에 출력된다. 디스플레이(340)에 다시 출력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정보에 다른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 표시될 때에는 청색이나, 다시 표시될 때에는 적색으로 색상이 달라지거나, 처음에 표시될 때에는 주문번호가 출력되나, 다시 표시될 때에는 주문번호와 함께 사용자 ID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물품의 공급 시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2센서(322)를 이용하여 제2영역(30)에서 상기 물품(10)의 픽업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센서(32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놓여진 물품(10)이 센싱되면, 상기 정보가 상기 제2영역(30)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물품이 픽업되어 해당 트레이에서 물품이 사라진 후에도, 상기 트레이가 제2센서(322)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주문번호가 디스플레이(3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픽업된 트레이가 제2센서(322)에 도달하여, 상기 제2센서(322)에서 물품이 사라짐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340)의 해당 트레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주문번호의 출력이 종료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센서(322)는 도착위치센서로서 상기 픽업 영역(231)에 놓여진 물품(10)을 센싱하여 상기 물품(10)의 픽업을 확인한다. 즉, 도착위치 센서는 트레이에 물품(10)이 없어졌는지를 센싱하며, 상기 도착위치센서에서 물품(10)이 센싱되는 경우에, 해당 트레이에 연동된 주문번호는 계속하여 루핑될 수 있다.
이 때에, 픽업되지 않아 서비스 영역을 지나 다시 픽업 영역으로 향하는 물품(10)이 제1센서(321, 출발위치센서)에서 센싱되는 경우에, 제어부(350)는 해당 트레이는 제외하고 다음으로 센싱되는 트레이의 물품을 새로이 수신된 주문번호의 물품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복수의 물품이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픽업 시스템에서 복수의 물품이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픽업영역에 물품들이 선택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는,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1 픽업 영역(231a)에 제1 물품(10a)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1 픽업 영역(231a)과 대응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물품(10a)에 대한 제1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또한, 픽업 시스템(300)의 제어부(350)는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2 픽업 영역(231b)에 제2 물품(10b)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2 픽업 영역(231b)과 대응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물품(10b)에 대한 제2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정보와 제2정보는 각각 상기 컨베이어(230)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예시에서도 상기 제1정보와 제2정보를 주문번호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정보와 제2정보는 픽업번호, 사용자 ID, 물품명, 물품의 개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디스플레이(340)에 복수의 정보표시영역(341a, 341b)이 형성되고, 이중에서 제1정보표시영역(341a)과 제2정보표시영역(341b)에 물품들(10a, 10b)이 도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과 제2정보표시영역(341b)은 도 7a 및 도7b의 디스플레이(340)에서 컨베이어(2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4번째와 2번째에 해당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제1 물품(10a)이 놓여진 컨베이어(230)의 제1 픽업영역(231a)이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정보표시영역(341a)에는 주문번호 C가 출력된다. 또한, 제2 물품(10b)이 놓여진 컨베이어(230)의 제2 픽업영역(231b)이 상기 제2정보표시영역(34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2정보표시영역(341b)에는 주문번호 B가 출력된다.
컨베이어(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픽업영역(231a)과 제2 픽업영역(231b)은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만약, 제1 픽업영역(231a)이 제2정보표시영역(341b)에 도달하면, 상기 제2정보표시영역(341b)에 주문번호 C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픽업영역(231b)은 도착위치센서(322)에 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40)에서 주문번호 B가 사라지나, 도착위치센서(322)에 도달하기 전에는 주문번호 B가 다른 정보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a에서 컨베이어(2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340)의 3번째에 해당하는 위치를 참조하면, 픽업영역에 물품이 없으며 따라서, 해당하는 정보표시영역에도 주문번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도 7b에서 컨베이어(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물품이 없는 픽업영역도 제1 픽업영역과 제2 픽업영역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40)의 5번째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주문번호가 출력되지 않으며, 이에 대응하는 물품이 없는 픽업영역이 해당 위치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의 주문번호E에 해당하는 물품은 도 7a와 같이 서비스 영역에서 픽업 영역에 놓여진 상태이나, 아직 출발위치센서(321)를 지나가기 전이므로, 도 7a의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340)에 주문번호E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에, 출발위치센서(321)를 지나 도 7b의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340)에는 주문번호E기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100)은 컨베이어(230)의 복수의 픽업영역과 디스플레이(340)의 복수의 정보표시영역이 서로 동기화되어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픽업 시스템(3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비대면 픽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의 위치에서 자신의 물품을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복수의 픽업 영역을 포함하며, 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 측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상기 물품을 제공하는 제1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물품을 픽업하도록 형성되는 제2영역을 상기 환형의 경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물품의 픽업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픽업을 검출하면 상기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물품에 대한 픽업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정보가 상기 제2영역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 영역들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정보표시 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1 픽업 영역에 제1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1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제1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 중 제2 픽업 영역에 제2 물품이 놓여진 경우, 상기 제2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제2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각각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양측에는 상기 물품을 센싱하는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놓여진 물품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업 영역에는 각각 고유번호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매핑된 주문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픽업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주문번호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물품의 픽업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업 영역에 놓여진 물품이 센싱되면, 상기 정보가 상기 제2영역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POS(Point Of Sale)에서 수신한 상기 물품에 대한 주문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11. 물품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품이 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픽업 영역에 놓여진 제1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가 센싱되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이동하면서 출력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물품에 위치에 상기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이 픽업된 제2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영역에서 상기 물품이 픽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물품은 상기 환형의 경로를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정보가 루프를 형성하면서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물품에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품이 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픽업 영역에 놓여진 제1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가 센싱되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픽업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를 이동하면서 출력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물품에 위치에 상기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이 픽업된 제2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업 영역에서 상기 물품이 픽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물품은 상기 환형의 경로를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정보가 루프를 형성하면서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43970A 2022-11-01 2022-11-01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1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970A KR102618206B1 (ko) 2022-11-01 2022-11-01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970A KR102618206B1 (ko) 2022-11-01 2022-11-01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206B1 true KR102618206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970A KR102618206B1 (ko) 2022-11-01 2022-11-01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8310A1 (en) * 2008-12-23 2010-06-24 Datalogic Scann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tallying objects
JP2014091609A (ja) * 2012-11-02 2014-05-19 Daifuku Co Ltd 物品情報の表示装置
KR20190118839A (ko) * 2018-04-11 2019-10-21 어명준 무인 편의점 시스템
KR20220069802A (ko) * 2020-11-20 2022-05-27 쿠팡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8310A1 (en) * 2008-12-23 2010-06-24 Datalogic Scann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tallying objects
JP2014091609A (ja) * 2012-11-02 2014-05-19 Daifuku Co Ltd 物品情報の表示装置
KR20190118839A (ko) * 2018-04-11 2019-10-21 어명준 무인 편의점 시스템
KR20220069802A (ko) * 2020-11-20 2022-05-27 쿠팡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692B1 (en) Item replacement assistance
US10902504B2 (en) Techniques for filling orders
US20240013144A1 (en) Fully automated self-service store
US11436664B2 (en) Techniques for filling orders
KR102300176B1 (ko) 구매행위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50271A1 (en) Presence, pattern and weight sensor surface
US20050256774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JP2016055963A (ja) 入出荷支援システム、無人搬送車及び入出荷支援方法
US20180158017A1 (en) Produc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KR101963999B1 (ko) 상품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237428A1 (en) Order fulfillment using routes
US2017020011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solidating product orders
KR102637070B1 (ko)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8206B1 (ko) 컨베이어 픽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8158836A (ja) 商品搬送システム
JP2016055964A (ja) 入出荷支援システム、自動倉庫及び入出荷支援方法
WO2022115679A1 (en) Order fulfillment using store sections
WO20191333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medying product mis-shipments to retail stores
US11738949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s and methods
JP3596409B2 (ja) 物流センター
KR101731781B1 (ko) 주문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627A (ko) 상품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121652A1 (en) Order fulfillment using pickers and packers
US20220335369A1 (en) Filling orders using item adjacency
JP5652662B2 (ja) 物品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