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10B1 -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10B1
KR102618110B1 KR1020210181211A KR20210181211A KR102618110B1 KR 102618110 B1 KR102618110 B1 KR 102618110B1 KR 1020210181211 A KR1020210181211 A KR 1020210181211A KR 20210181211 A KR20210181211 A KR 20210181211A KR 102618110 B1 KR102618110 B1 KR 10261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bble removal
flow rate
sample water
constan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090A (ko
KR102618110B9 (ko
Inventor
황경엽
김유정
안정민
전득현
손창식
Original Assignee
블루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10B1/ko
Priority to PCT/KR2022/010544 priority patent/WO2023113131A1/ko
Publication of KR2023009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090A/ko
Priority to US18/346,364 priority patent/US202303472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10B1/ko
Publication of KR1026181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73Degasification of liquids by a method not covered by groups B01D19/0005 - B01D19/004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압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시료수가 수질계측기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Constant Flow Apparatus having Microbubble Removing Function}
본 발명은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압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시료수가 수질계측기로 공급되도록 하고,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급격한 인구증가와 고도의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기의 오염, 토양의 오염,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의 오염 등 각종 오염원으로 인하여 수질은 극도로 오염되고 있다. 특히, 상수원 및 하천의 오염은 인간 생활과 생태계의 정상적인 순환에 큰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공장에서 방류하는 폐수나 다른 오염물질들에 의해 강, 하천 또는 상수원 등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강, 하천, 호소 또는 정수처리 및 하수처리 시설에 대한 상시 감시를 목적으로 수질을 검사함으로써, 상수원 보호는 물론, 오염물질 배출업소의 관리 및 규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수처리장 처리수의 수질기준 및 바이러스 처리기준이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수용가의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까지 실시간 감시가 제도적으로 도입되어 국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도록 법과 제도가 정비되어 시행되고 있다.
수질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항목을 측정하여 수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고, 수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수질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요 항목은 수온뿐만 아니라,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탁도, 기타 다양한 항목이 있다. 수소이온농도는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나타내고, 탁도는 물의 흐림 정도를 수치로 계량화 한 것이다.
이러한 수질의 상태를 측정하는 여러 항목 중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탁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료수 중의 기포를 제거하지 않으면 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빛이 기포를 만나면 기포의 표면에서 반사 또는 굴절하여 산란광을 발생시킬 수 있고, 기포를 통과한 빛도 밀도가 다른 매질을 통과하기 때문에 굴절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 제10-0572370호 등에서는 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시료수가 중앙의 원기둥 형상을 넘어가도록 하여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큰 기포를 제거할 수는 있으나 미세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많은 유량을 공급하는 경우 기포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질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되어야 함은 물론, 수질의 상태를 측정하는 수질계측기로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수질계측기로 공급되는 시료수의 유압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환경이라면, 수질계측기가 측정하는 수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7237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수의 유압 변화에 관계 없이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시료수를 수질계측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료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전에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단부를 통하여 시료수가 유입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과 나란하도록 이격 위치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부를 통하여 시료수가 유출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1 관의 일측과 상기 제 2 관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 외부의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상기 제 1 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정압밸브; 상기 제 2 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상기 제 2 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 2 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저항밸브; 및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으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상기 스트레이너를 지나간 후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제 2 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관으로 유입되는 시료수가 상기 스트레이너를 지나갈 때, 상기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상기 스트레이너의 외경 또는 내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관이 연결되되,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관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상기 제 2 관이 연결되되, 상기 제 2 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관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외주연끼리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과, 상기 기포제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기포제거관 보다 상부로 연장되는 이동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외주연끼리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과, 상기 기포제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기포제거관 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이격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안내관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기포제거관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관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압력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제 1 관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력 이상으로 걸리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의 접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2 관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관 내부의 공기 또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벤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압밸브 및 저항밸브를 구비하므로, 외부요인으로 인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압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시료수가 수질계측기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관에 기포제거관을 구비하므로,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포제거관의 하단부가 제 1 관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유입홀에서 제 1 관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제 1 관의 하단부와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으로 고르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안내관이 기포제거관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기포제거관의 상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기포제거관을 제 1 관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의 디스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제거 장치(100)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1000)는 기포 제거 장치(100), 정압밸브(200) 및 저항밸브(300)를 포함한다. 기포 제거 장치(100)는 본체(110) 및 스트레이너(15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디스크부재(160), 압력스위치(170) 및 에어벤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대략 "H"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관(120), 제 2 관(130), 연결부(140) 및 브라켓(142)을 포함한다. 제 1 관(120)은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하단부와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관(130)은 제 1 관(120)과 나란하도록 이격 위치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하단부와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관(130)의 하측에는 별도의 분기부(131)가 제 2 관(13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관(120)의 개방된 하단부에는 제 1 하부개폐부(122)가 장착되고, 제 1 관(120)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제 1 상부개폐부(124)가 장착된다. 제 2 관(130)의 개방된 하단부에는 제 2 하부개폐부(132)가 장착되고, 제 2 관(130)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제 2 상부개폐부(134)가 장착된다. 제 2 하부개폐부(132)에는 드레인홀(132a: 도 3 도시)이 형성되고 드레인홀(132a)은 드레인부(136)에 의하여 개폐된다.
스트레이너(150)는 제 1 관(120)에 삽입되고 디스크부재(160)는 제 2 관(130)에 삽입되어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부(140)는 제 1 관(120)의 일측과 제 2 관(130)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켜서, 제 1 관(120) 내부의 유체가 연결부(140)를 통하여 제 2 관(130)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관(120)의 하단부는 연결부(140)의 일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 1 관(120)의 상단부는 연결부(140)의 일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관(130)의 하단부는 연결부(140)의 타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 2 관(130)의 상단부는 연결부(140)의 타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된다. 브라켓(142)은 연결부(140)의 후방에 연결되며 본체(110)가 벽체 등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정압밸브(200), 저항밸브(300), 압력스위치(170) 및 에어벤트(180)가 각각 장착된다. 정압밸브(200)는 제 1 하부개폐부(122)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시료수가 제 1 하부개폐부(122)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122a: 도 3 도시)을 통하여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될 때, 외부의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외부의 시료수가 기준 유속 및 압력을 초과한 상태로 정압밸브(200)로 공급되면, 정압밸브(200)는 외부의 시료수를 기준 유속 및 압력이 되도록 조절한 후 유입홀(122a)로 전달하여,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항상 일정한 유속 및 압력이 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정압밸브(200)는 예를 들면 유입홀(122a)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조절하여 외부의 시료수를 기준 유속 및 압력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항밸브(300)는 캡부(131a)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 2 관(130)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캡부(131a)의 유출홀(131b: 도 5 도시)을 통하여 제 2 관(13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정압밸브(200) 및 저항밸브(300)를 구비하므로, 외부요인으로 인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압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속과 유압으로 시료수가 수질계측기(A: 도 7 도시)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수질계측기(A)는 시료수의 수질을 계측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압력스위치(170)는 제 1 상부개폐부(124)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 1 상부개폐부(124)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상부홀(124a: 도 3 도시)을 통하여 제 1 관(120)의 내부 압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압력스위치(170)는 외부로부터 제 1 관(120) 내부로 공급되는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는지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시료수가 정상적인 유속 및 압력으로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면, 제 1 관(120)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력 이상으로 걸리게 되고, 압력스위치(170)는 이를 감지하여 "on" 상태의 접점신호를 외부의 수질계측기(A)로 전송한다. 수질계측기(A)는 압력스위치(170)가 전송하는 "on" 상태의 접점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정상유입(Normal Flow)' 상태로 인식하고, 수질계측기(A)의 디스플레이부에 시료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운영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만일, 제 1 관(12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력 미만으로 걸리게 되면, 시료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압력스위치(170)는 이를 감지하여 "off" 상태의 접점신호를 외부의 수질계측기(A)로 전송한다. 수질계측기(A)는 압력스위치(170)가 전송하는 "off" 상태의 접점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시료유입상태 확인(Check Flow)' 상태로 인식하고, 수질계측기(A)의 디스플레이부에 시료수가 제대로 유입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여 운영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에어벤트(180)는 제 2 관(130)의 제 2 상부개폐부(134)에 장착되어 제 2 관(130) 내부의 기포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시료수 내의 기포가 스트레이너(150)에 의하여 제거되어, 제 2 관(130)의 상부로 모이게 되면, 제 2 관(130)의 상부로 모인 기포 또는 공기는 제 2 상부개폐부(134)에 관통 형성되는 제 2 상부홀(134a: 도 3 도시) 및 에어벤트(180)를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에어벤트(180)는 제 2 관(130)의 상부로 모인 큰 기포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에어벤트(180)는 제 2 관(13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고, 시료수가 일정 유압 및 유속으로 수질계측기(A)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를 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레이너(150)는 제 1 관(120)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을 포함하고, 이격안내관(156) 및 이동안내관(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제거관(152)은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뭉친 상태로 제 1 관(120)에 삽입된다.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은 상호 인접한 외주연끼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기포제거관(152)의 길이방향 하단부는 제 1 관(120)의 하단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기포제거관(152)의 길이방향 상단부는 연결부(140)의 상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관(120)의 하단부에서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기포제거관(152)을 통과하면서 기포제거관(152)과 시료수 사이의 장력에 의하여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이동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또한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는 기포제거관(152)의 내벽 및 외벽에 붙게 되어, 시료수에 포함된 미세기포가 큰 기포로 뭉치면서 기포제거관(152)에 포집된다.
그리고 제 1 관(120)으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제 1 관(120) 내부를 채우면서 기포제거관(152)을 지나간 후 연결부(140)를 거쳐 제 2 관(130)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 관(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에어포켓에 진공이 걸리게 되면, 기포제거관(152)에서 형성되는 큰 기포가 시료수를 따라 연결부(140)를 거쳐 제 2 관(130)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제 2 관(130)으로 이동된 큰 기포는 상기 에어포켓으로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에어벤트(18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관(120)에 기포제거관(152)을 구비하므로,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격안내관(156)은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 중 일 기포제거관(152)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기포제거관(152) 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안내관(156)의 하단부는 제 1 관(120)의 하단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기포제거관(152)의 하단부는 이격안내관(156)에 의하여 제 1 관(120)의 하단부와 약간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처럼 기포제거관(152)의 하단부가 제 1 관(120)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유입홀(122a)에서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제 1 관(120)의 하단부와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으로 고르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안내관(154)은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152) 중 타 기포제거관(152)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단부는 기포제거관(152) 보다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안내관(154)은 기포제거관(152)이 부력에 의하여 일정 수위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관(120) 내부로 시료수가 차오르게 되거나, 또는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수의 압력이 기포제거관(152)으로 전달되면, 기포제거관(152)은 부력, 시료수의 압력 등에 의하여 제 1 관(120) 내부에서 상부로 뜨게 된다. 이렇게 기포제거관(152)이 상부로 뜨게 되면, 기포제거관(152)의 상단이 연결부(140)의 상측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기포제거관(152)에 달라붙은 기포가 연결부(140)를 통하여 제 2 관(130)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없다. 이동안내관(154)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안내관(154)의 상단은 기포제거관(152)의 상단 보다 상부에 위치되므로, 기포제거관(152)이 상부로 뜬다 하더리도, 이동안내관(154)의 상단이 제 1 관(120)의 상부에 부딪히게 되면 기포제거관(152)은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포제거관(152)의 상부로 돌출되는 이동안내관(154)을 구비하므로, 기포제거관(152)의 상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본체(110) 내부를 청소할 때, 이동안내관(154)을 잡은 상태로 기포제거관(152)을 제 1 관(120)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격안내관(156) 또는 이동안내관(154)은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의 디스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크부재(160)는 디스크(162) 및 지지프레임(164)을 포함한다. 디스크(162)는 예를 들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제 2 관(13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다. 지지프레임(164)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디스크(162)를 일체로 관통하도록 위치된다. 지지프레임(164)과 디스크(162)는 상호 연결되어 제 2 관(130) 내부에 삽입되는 디스크(162)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디스크(162)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162a)이 형성되어, 연결부(140)에서 제 2 관(130)의 하단부로 시료수가 이동될 때, 시료수는 복수 개의 관통홀(162a)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터지면서 제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관(130)에 디스크(162)를 구비하므로, 기포제거관(152)에서 제거되지 않은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디스크(162)를 지나면서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디스크(162)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디스크(162-1)는 연결부(140)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연결부(140)에서 제 2 관(130)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시료수는 상부디스크(162-1)로 안내된 후 하방으로 지나가게 된다. 이처럼 디스크부재(160)는 제 2 관(130) 내부에서 필요한 부분만 차지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디스크(162) 중 최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디스크(162-2)는 제 2 관(130)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제 2 관(130)의 하단부에는 하부디스크(162-2)를 지지하도록 지지돌부(163)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하부디스크(162-2)는 지지돌부(163)에 의하여 제 2 관(130)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시료수는 하부디스크(162-2)를 지나 유출홀(131b)로 이동될 수 있어, 시료수 내에 포함된 기포는 하부디스크(162-2)에 형성된 관통홀(162a)을 지나면서 터지게 된다.
한편, 제 1 관(120)으로 유입되는 시료수의 기포는 기포제거관(152)에서 대부분 제거되므로, 경우에 따라 디스크부재(160)는 생략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시료수가 정압밸브(200)를 거친 후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정압밸브(200)는 외부의 시료수를 기준 유속 및 압력이 되도록 조절한 후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제 1 관(120) 내부로 유입된 시료수는 연결부(140)를 지나 제 2 관(130)으로 이동된 후 유출홀(131b)을 통하여 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저항밸브(300)가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수질계측기(A)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관(120) 내부로 시료수가 유입될 때,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기포제거관(152)에 붙으면서 점차 큰 기포로 뭉치게 되고, 이렇게 뭉친 기포는 연결부(140)를 지나 제 2 관(130)으로 이동된 후 에어벤트(18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제 2 관(130) 내부로 시료수가 유입될 때,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디스크(162)의 관통홀(162a)을 통과하면서 터지게 되어, 기포제거관(152)에서 제거되지 않은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디스크(162)를 지나면서 제 2 관(130)의 상부로 이동되고, 이어서, 에어벤트(18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100: 기포 제거 장치
110: 본체 120: 제 1 관
122: 제 1 하부개폐부 122a: 유입홀
124: 제 1 상부개폐부 124a: 제 1 상부홀
130: 제 2 관 131: 분기부
131a: 캡부 131b: 유출홀
132: 제 2 하부개폐부 132a: 드레인홀
134: 제 2 상부개폐부 134a: 제 2 상부홀
136: 드레인부 140: 연결부
142: 브라켓 150: 스트레이너
152: 기포제거관 154: 이동안내관
156: 이격안내관 160: 디스크부재
162: 디스크 162a: 관통홀
162-1: 상부디스크 162-2: 하부디스크
163: 지지돌부 164: 지지프레임
170: 압력스위치 180: 에어벤트
200: 정압밸브
300: 저항밸브

Claims (7)

  1.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단부를 통하여 시료수가 유입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과 나란하도록 이격 위치되며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부를 통하여 시료수가 유출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1 관의 일측과 상기 제 2 관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
    외부의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상기 제 1 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정압밸브;
    상기 제 2 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시료수가 일정한 유속 및 압력으로 상기 제 2 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 2 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저항밸브; 및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으로 유입되는 시료수는 상기 스트레이너를 지나간 후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제 2 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관으로 유입되는 시료수가 상기 스트레이너를 지나갈 때, 상기 시료수에 포함된 기포가 상기 스트레이너의 외경 또는 내경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관이 연결되되,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관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상기 제 2 관이 연결되되, 상기 제 2 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관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외주연끼리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과,
    상기 기포제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기포제거관 보다 상부로 연장되는 이동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외주연끼리 연결되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관과,
    상기 기포제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기포제거관 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이격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안내관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기포제거관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관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압력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제 1 관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력 이상으로 걸리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의 접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2 관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관 내부의 공기 또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벤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KR1020210181211A 2021-12-17 2021-12-17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KR10261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211A KR102618110B1 (ko) 2021-12-17 2021-12-17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PCT/KR2022/010544 WO2023113131A1 (ko) 2021-12-17 2022-07-19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US18/346,364 US20230347265A1 (en) 2021-12-17 2023-07-03 Constant flow conditioner having microbubble remov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211A KR102618110B1 (ko) 2021-12-17 2021-12-17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090A KR20230093090A (ko) 2023-06-27
KR102618110B1 true KR102618110B1 (ko) 2023-12-28
KR102618110B9 KR102618110B9 (ko) 2024-04-08

Family

ID=8677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211A KR102618110B1 (ko) 2021-12-17 2021-12-17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47265A1 (ko)
KR (1) KR102618110B1 (ko)
WO (1) WO20231131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79B1 (ko) 2024-02-08 2024-05-10 블루센 주식회사 수질 측정 시료수 안정화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7052A (en) 1991-11-29 1993-07-13 Ilves Juhani E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reaction plates coupled to an astable oscillator
US5831727A (en) 1997-04-29 1998-11-03 Hach Company Bubble elimination from liquid
KR100232762B1 (ko) 1995-04-10 1999-12-01 파퀘스 요한 헨리 요제프 액체, 가스 및 미립물을 함유하는 유체용 침전 기구, 이에 부설되는 폐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JP2005334682A (ja) * 2004-05-24 2005-12-08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気泡除去装置
KR100643176B1 (ko) * 2006-05-26 2006-11-1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탁도 측정장치
KR101283320B1 (ko) 2012-04-04 2013-07-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캐비테이션터널용 기포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225B1 (ko) 2020-04-28 2021-02-02 주식회사 로버스텍 스크러버의 기포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060U (ko) * 1989-02-14 1990-08-24
JP2573091B2 (ja) * 1990-09-23 1997-01-16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液体測定装置
KR960001826A (ko) * 1994-06-30 1996-01-25 배순훈 백라이트 밝기 자동 조절 장치
KR100572370B1 (ko) 2003-03-12 2006-04-18 김병기 저탁도용 탁도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7052A (en) 1991-11-29 1993-07-13 Ilves Juhani E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reaction plates coupled to an astable oscillator
KR100232762B1 (ko) 1995-04-10 1999-12-01 파퀘스 요한 헨리 요제프 액체, 가스 및 미립물을 함유하는 유체용 침전 기구, 이에 부설되는 폐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US5831727A (en) 1997-04-29 1998-11-03 Hach Company Bubble elimination from liquid
JP2005334682A (ja) * 2004-05-24 2005-12-08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気泡除去装置
KR100643176B1 (ko) * 2006-05-26 2006-11-1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탁도 측정장치
KR101283320B1 (ko) 2012-04-04 2013-07-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캐비테이션터널용 기포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225B1 (ko) 2020-04-28 2021-02-02 주식회사 로버스텍 스크러버의 기포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79B1 (ko) 2024-02-08 2024-05-10 블루센 주식회사 수질 측정 시료수 안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090A (ko) 2023-06-27
KR102618110B9 (ko) 2024-04-08
WO2023113131A1 (ko) 2023-06-22
US20230347265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110B1 (ko) 미세 기포 제거 기능을 포함하는 정유량 조절 장치
JP2009533675A (ja) オンライン・アナライザ用の限外濾過システム
KR102227443B1 (ko) 관형필터를 이용한 십자류여과방식의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초기우수처리장치
CN107300525A (zh) 一种水质分析仪
KR100836720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1692677B1 (ko) 유동압력차를 이용한 다중 회절유로형 기포제거부를 갖는 지능형 탁도 측정 장치
KR100768340B1 (ko) 샘플링 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KR20090058159A (ko) 부유물 흡입기
KR101010367B1 (ko) 미세기포 제거기가 내장된 저농도 탁도계
US6405580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easuring foam forming compounds in aqueous solutions
CN108254367B (zh) 船载或岸基水体营养盐自动检测和预警装置及其方法
KR20130127830A (ko)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CN215866630U (zh) 一种水质监测用仪表水箱
KR101661736B1 (ko) 개수로용 유량 측정 장치
JP2006242749A (ja) 水質計測用の前処理装置
KR20160039854A (ko) 수질 원격 감시 시스템용 시료 채취 장치
CN205015249U (zh) 一种微气泡性能测试评价实验平台
KR102134269B1 (ko) 수질계측기용 수조 자동 청소장치
JP4744289B2 (ja) 水質測定装置
KR980008277A (ko) 유수분리방법 및 그 장치
CN209760419U (zh) 截污闸门的控制装置、排水系统
KR102664579B1 (ko) 수질 측정 시료수 안정화 장치
KR102620429B1 (ko) 이물질과 기포의 제거기능을 가진 다항목 수질 계측기
SU9001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рционного отбора проб жидкости
CN220772305U (zh) 一种泵池液位观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