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47B1 -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 Google Patents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47B1
KR102617247B1 KR1020230095426A KR20230095426A KR102617247B1 KR 102617247 B1 KR102617247 B1 KR 102617247B1 KR 1020230095426 A KR1020230095426 A KR 1020230095426A KR 20230095426 A KR20230095426 A KR 20230095426A KR 102617247 B1 KR102617247 B1 KR 10261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ctor
trailer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티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티알
Priority to KR102023009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0Transport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3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resources, e.g. consumed pow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설치된 제1 단말기와 트레일러에 설치된 제2 단말기를 통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관제하는 방법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가 주위에서 발신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패킷 중 상기 트랙터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제2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식별하고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태신호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Tractor-trailer controlling IoT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IoT terminal}
본 발명은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관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또는 샤시(Chassis)라고도 함)는 차축, 차륜, 및 스프링 장치를 갖춘 무동력 차량이며 트랙터에 연결되어 화물을 적재하고 운송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 트레일러를 연결하고 그 위에 컨테이너나 화물을 실어서 운송하고 컨테이너나 화물을 운송한 후에는 또 다른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컨테이너나 화물을 운송하는데 이 과정에서 때때로 트레일러가 방치되는 경우가 있고 트레일러가 무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트레일러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이 종래 개시되어 있다. 종래 관제 방법에서는 트레일러에 단말기를 부착하고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트레일러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2040213호 (2019년 12월 5일 공고)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2241253호 (2021년 4월 16일 공고)
상기 특허문헌1의 경우 샤시의 위치정보와 식별자만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므로 샤시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샤시가 어떤 상태인지는 알 수 없고 또한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발신해야 하므로 모듈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경우 샤시에 부착된 IoT 단말기(모듈)의 활성화, 이동, 정지 등의 상태가 변할 때 상태신호를 발생시켜서 샤시위치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배터리 소모가 많은 위치정보 획득 동작도 단말기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의 경우에도 트랙터가 어느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어느 컨테이너를 이송 중인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랙터 운전자의 휴대폰에 트랙터나 트레일러 관제를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하여 트랙터-트레일러간 연결상태나 이동 상태를 실시간 입력하여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운전자가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한 후 연결/분리 상태를 애플리케이션에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운전자가 이를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 트랙터-트레일러의 실제 연결 및 이동 현황과 관제서버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터에 설치된 제1 단말기와 트레일러에 설치된 제2 단말기를 통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관제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가 주위에서 발신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패킷 중 상기 트랙터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제2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식별하고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태신호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연결하게 되면 트랙터에서 트레일러의 식별정보를 포함시킨 운송신호를 주기적으로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관제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운송신호나 상태신호를 관제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트랙터 운전자가 별도로 트랙터와 트레일러간 연결이나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실시간 연결/연결해제 여부를 관제서버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용 IoT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용 관제용 IoT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 방법의 흐름도,
도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 방법의 흐름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트랙터 연결 감지 방법의 흐름도,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 단말기 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이루어진다', 및 '~로 구성된다'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DD),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서버 장치 등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시스템(이하 간단히 "관제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트랙터(10)에 부착된 단말기(100), 트레일러(20)에 부착된 단말기(200), 및 관제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100, 200)와 관제서버(50)는 임의의 무선 통신망(40)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트랙터(10)는 컨테이너(30) 적재를 위한 트레일러(또는 "샤시"라고도 함)(20)를 연결하여 운반하는 차량이고 트레일러(20)는 자체 동력이 없이 견인자(트랙터)(10)에 연결되어 컨테이터(30)를 실어 나르는 차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랙터(10)는 예컨대 운전석에 인접하여 설치된 트랙터용 IoT 단말기(이하 "제1 단말기"라고도 함)(100)를 구비한다. 제1 단말기(100)는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의 연결을 감지하고, 트랙터(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트랙터 상태(예컨대 이동 또는 정지 등)를 나타내는 상태신호, 및 트랙터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제2 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구체적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일러(20)는 트레일러용 IoT 단말기(이하 "제2 단말기"라고도 함)(200)를 구비한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해 가능하면 트레일러(2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저전력 블루투스(BLE) 방식으로 제1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서로 통신하지 않고 상대 단말기의 애드버타이징 패킷 신호를 탐지하는 것만으로 상대 단말기의 존재 여부 및/또는 트랙터-트레일러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BLE 통신을 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소정 주기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고 제1 단말기(100)가 이를 감지하여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의 연결 또는 연결 해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소정 주기로 트레일러(20)의 상태(예컨대 이동 또는 정지 등)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의 구체적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일러(20)에 실리는 컨테이너(30)에도 단말기(3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용 IoT 단말기(이하 "제3 단말기"라고도 함)(300)는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해 가능하면 컨테이너(3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저전력 블루투스(BLE) 방식으로 제1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3 단말기(300)는 서로 통신하지 않고 상대 단말기의 애드버타이징 패킷 신호를 탐지하는 것만으로 상대 단말기의 존재 여부 및/또는 트랙터-트레일러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와 제3 단말기(300)가 BLE 통신을 하는 경우, 제3 단말기(300)는 소정 주기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고 제1 단말기(100)가 이를 감지하여 트레일러(20)에 실린 컨테이너(30)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말기(300)는 소정 주기로 컨테이너(30)의 상태(예컨대 이동 또는 정지 등)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50)는 각 단말기(100, 200, 30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100, 200, 300)의 위치와 상태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단말기(100, 200, 300)가 부착된 트랙터(10), 트레일러(20), 및 컨테이너(30)를 추적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관제서버(50)는 각 단말기(100, 200, 3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각 단말기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단말기를 다른 단말기와 구별하는 식별정보,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단말기가 부착된 트랙터,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예컨대 트랙터의 차량번호나 기사 정보, 트레일러나 컨테이너의 식별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서버(50)는 각 단말기(100, 200, 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단말기에 대한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기 목록은 전체 관리대상인 단말기들을 관리하는 목록으로서, 예를 들어 각 단말기(100, 200, 300)의 식별정보, MAC 주소, 위치정보, 상태정보, 및 설치 대상(즉 트랙터,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비스 서버(60)는 관제서버(50)로부터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관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가 설치된 트랙터, 트레일러, 및/또는 컨테이너를 관리한다. 관제정보는 단말기 목록, 및 트랙터,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비스 서버(60)는 이러한 관제정보에 기초하여 트랙터나 트레일러의 배치, 분석 등 각종 관리를 수행하고 관련 정보를 운송사에 전달할 수도 있다.
관제 서비스 서버(60)는 관제정보에 기초하여 트레일러의 수요 예측, 트랙터 배차의 효율성 분석, 및 트레일러의 물동량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특정 트랙터가 운송하는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트랙터,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다음 배차 스케줄 작성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비스 서버(60)는 관제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기사들에 대한 트랙터 및/또는 트레일러 배차 스케줄을 작성하거나 생성하여 기사 단말기(7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관제서버(50)와 관제 서비스 서버(60)를 독립된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관제서버(50)와 관제 서비스 서버(60)가 하나로 통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사 단말기(70)는 관제서버(50) 및/또는 관제 서비스 서버(6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기사 단말기(70)에는 관제서버(50) 및/또는 관제 서비스 서버(6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컨대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의 목록을 보거나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의 배차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위치센서(110), 진동센서(120), 전력공급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위치센서(110)는 제1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즉,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GPS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기(100)는 주변 통신기지국과의 삼각측량에 의해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진동센서(120)는 제1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예컨대 가속도센서, 속도센서, 또는 변위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130)는 제1 단말기(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부이며, 예를 들어 USB 또는 시거잭 등 트랙터(10)의 차량 전원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대안적으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각종 센서(110, 12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위치정보와 상태신호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1 단말기(100)가 통신망(40)을 통해 관제서버(50) 등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기능부이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IoT 전용 통신망 등의 통신망(40)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제2 단말기(200) 및/또는 제3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BLE(저전력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만일 통신부(150)가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BLE 통신을 위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소정 주기로 발신할 수 있다. 이 때 발신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제1 단말기(100)의 식별정보 및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기설정된 주기 또는 소정 이벤트 발생시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송신호는 제1 단말기(100)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상태신호, 및 (트레일러(2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2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트레일러(20)에 제3 단말기(300)를 구비한 컨테이너(30)가 실려있는 경우 운송신호는 제3 단말기(300)의 식별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지 제3 단말기(100, 200, 300) 각각의 식별정보는 예컨대 각 단말기의 유심(USIM) 아이디, 또는 관제서버(50)에 의해 각 단말기에 미리 부여된 식별코드, MAC 어드레스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 식별정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단말기를 다른 단말기와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이면 식별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위치센서(110)가 획득한 GPS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통신기지국의 삼각측량에 의해 획득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신호는 제1 단말기(100)의 이동 또는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예를 들어 이동신호, 정지신호, 정기신호를 포함한다. 즉 제1 단말기(100)가 설치된 트랙터(10)가 이동 중이거나 정지 중인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소정 시간 주기로 이동신호, 정지신호, 및 정기신호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트랙터(10)에 부착되어 있어 트랙터(10)와 제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동 및 정지)이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구별의 실익이 없는 한 제1 단말기(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이동신호, 정지신호 등)가 곧 트랙터(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신호는 제1 단말기(100)가 이동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120)가 기설정된 임계값(제1 진동세기) 이상의 진동세기로 기설정된 시간(제1 시간)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트랙터(10)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하여 이동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시간은 예컨대 1분 또는 3분 등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트랙터(10)가 계속 이동 중일 때에는 이동신호가 예컨대 1분 또는 3분 간격으로 계속 생성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신호가 소정 주기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 생성되면 제어부(140)는 기설정한 소정 주기(예를 들어 1분 또는 3분 등)마다 운송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40)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상태신호(예컨대 이동신호)와 함께 단말기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그리고 (트레일러(20)가 달려있는 경우) 제2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주기(예컨대 1분 또는 3분 등)로 관제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정지신호는 제1 단말기(100)가 정지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120)가 기설정된 임계값(제2 진동세기) 미만의 진동세기로 기설정된 시간(제2 시간)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트랙터(10)가 정지하였다고 판단하고 정지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2 시간은 예컨대 3분 또는 5분 등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터(10)가 계속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예컨대 3분 또는 5분 간격으로 정지신호를 계속 생성하고, 이러한 정지신호를 포함한 운송신호를 소정 주기(예를 들어 3분 또는 5분 등)로 생성하여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정기신호는 제1 단말기(100)가 소정시간 이상 정지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정지신호는 트랙터(10)가 장시간 이동을 하지 않고 정차 중일 때를 이를 관제서버(50)로 알리기 위해 생성되는 신호이며,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값(제2 진동세기) 미만의 진동이 소정 시간(예컨대 12시간)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트랙터(10)가 정차 중이라고 판단하여 정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정기신호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태신호는 트랙터(10)나 제1 단말기(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생성되는 이상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량이 적거나 전원공급 케이블이 빠지거나 단선된 경우 등 기설정한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이상신호를 포함한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단말기(200)의 일부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는 위치센서(210), 진동센서(220), 자기장센서(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및 배터리(260)를 포함한다. 위치센서(210), 진동센서(220), 및 통신부(250)는 도2의 제1 단말기(100)의 각 대응 구성요소, 즉 위치센서(110), 진동센서(120), 및 통신부(150)과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2 단말기(200)의 경우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위치센서(2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자기장센서(230)는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자석(220)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터리(260)는 제2 단말기(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원이며 예를 들어 리튬배터리 등 공지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각종 센서(210, 22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상태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에서 생성하는 상태신호는 이동신호, 정지신호, 정기신호, 및 이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가 트레일러(2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구별의 실익이 없는 한 제2 단말기(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이동신호, 정지신호 등)가 곧 트레일러(2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2 단말기(200)가 생성하는 이동신호는 제2 단말기(200)가 이동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220)가 기설정된 임계값(제1 진동세기) 이상의 진동세기로 기설정된 시간(제1 시간)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트레일러(20)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하여 이동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시간은 예컨대 1분 또는 3분 등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트레일러(20)가 계속 이동 중일 때에는 이동신호가 예컨대 1분 또는 3분 간격으로 계속 생성될 수 있다.
정지신호는 제2 단말기(200)가 정지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진동센서(220)가 기설정된 임계값(제2 진동세기) 미만의 진동세기로 기설정된 시간(제2 시간)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트레일러(20)가 정지하였다고 판단하고 정지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2 시간은 예컨대 3분 또는 5분 등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20)가 계속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40)는 예컨대 3분 또는 5분 간격으로 정지신호를 계속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말기(200)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이동신호나 정지신호 등의 상태신호를 통신망(40)을 통해 관제서버(50)로 전송하는 주기를 상태신호 생성 주기보다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신호 생성 주기는 1분 또는 3분 등과 같이 분 단위로 설정하고 상태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하는 주기는 예컨대 30분, 1시간 등으로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정기신호는 제2 단말기(200)가 소정시간 이상 정지하고 있을 때 생성되는 신호이다. 정지신호는 트레일러(20)가 장시간 이동을 하지 않고 정차 중일 때를 이를 관제서버(50)로 알리기 위해 생성되는 신호이며,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값(제2 진동세기) 미만의 진동이 소정 시간(예컨대 12시간)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240)가 정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신호는 트레일러(20)나 제2 단말기(200)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60)의 배터리 잔량이 적거나 제2 단말기(200)가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경우 이상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가 훼손되어 트레일러(20)에서 이탈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 사고로 인해 트레일러(20)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경우에도 이상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일러(20)의 각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기울기 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제어부(240)가 기울기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트레일러(20)의 전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가 위와 같은 상태신호(이동신호, 정지신호, 정기신호, 또는 이상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때 제2 단말기(200)는 자신의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식별정보는 예컨대 관제서버(50)에 의해 미리 부여된 각 단말기의 식별정보일 수도 있고 MAC 어드레스가 될 수도 있다.
이제 도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단말기(100)가 BLE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제2 단말기(200)는 B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주기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단말기 주위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다(단계 S10).
운전자가 트랙터(10)에 트레일러(20)를 연결하면(단계 S11),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졌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트레일러(20)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S12).
이 때 예컨대 트랙터(10)의 주위에 여러 대의 트레일러(20)가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트레일러마다 단말기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는 주위에서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는 각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 및/또는 MAC 어드레스 그리고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트랙터(10)에 연결된 트레일러(20)의 제2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서버(50)에서 미리 부여된 단말기 식별정보로서, 트랙터(10)에 설치되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해서는 예컨대 "CH001", "CH002",.. 등과 같이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트레일러(20)에 설치되는 제2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예컨대 "CS001", "CS002",.. 등과 같이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컨테이너(30)에 설치되는 제3 단말기(300)에 대해서는 예컨대 "CT001", "CT002",.. 등과 같이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의 설치 위치(트랙터, 트레일러, 컨테이너)에 따라 단말기의 식별코드의 처음 소정 자리수의 알파뉴메릭(문자나 숫자)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각 분류 내에서는 상기 소정 자리수의 알파뉴메릭을 동일하게 통일시켜 식별코드를 부여한다.
따라서 제1 단말기(100)는 우선 주위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 중 "CS"로 시작하는 식별코드의 패킷만을 제2 단말기(200)의 후보로서 선택하고, 그 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세기를 고려하여 어느 제2 단말기(200)의 트레일러(20)가 트랙터(10)에 연결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트레일러(20)에 제3 단말기(300)가 설치된 컨테이너(30)가 실려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트랙터(10)가 어느 컨테이너(30)를 운송하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BLE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블루투스 통신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만으로 제2 단말기(200)의 존재 및 트레일러(20)와의 연결을 판단할 수 있다.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 연결이 되면 그 후 제1 단말기(100)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서 운송신호는 제1 단말기(100)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상태신호, 및 제2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태신호는 트랙터(10)의 이동, 정지 등 상태에 따라 이동신호, 정지신호, 정기신호, 및 이상신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것처럼 예컨대 1분 또는 3분 등과 거의 실시간으로 상태신호가 생성될 때마다 운송신호가 생성되어 관제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20)에 제3 단말기(300)를 구비한 컨테이너(30)가 실려있는 경우 운송신호는 제3 단말기(300)의 식별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되지 않고 제2 단말기(200)가 주위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탐색하는 탐색 모드를 갖지 않는다면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일러(20)가 트랙터(10)에 연결되어 있는지 인식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제2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소정 주기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한다.
또한 이 경우 제2 단말기(200)는 트레일러(20)가 트랙터(10)에 연결되는 것과 상관없이 기설정된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시마다 상태신호를 생성하여 관제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 S16). 즉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트레일러(20)의 이동이나 정지, 장기간 정차나 이상 발생시 기설정된 주기로 상태신호(이동신호, 정지신호, 정기신호, 및 이상신호 중 하나)를 생성하여 관제서버(50)로 전송하게 된다.
트랙터(10)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전자가 트랙터(10)에서 트레일러(20)를 분리하면(단계 S14), 제1 단말기(100)는 트랙터와 트레일러간 연결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단계 S15),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해제 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연결해제를 식별하는 방법은 연결을 식별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트랙터(10)가 트레일러(20)에서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연결 해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관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각각 BLE 통신 방식에 따른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각각은 B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 주기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주위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다(단계 S20).
운전자가 트랙터(10)에 트레일러(20)를 연결하면(단계 S21),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졌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트레일러(20)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S22).
이 때 트랙터(10)의 주위에 여러 대의 트레일러(20)가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트레일러마다 단말기에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는 주위에서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데, 도4의 단계(S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1 단말기(100)는 각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 및/또는 MAC 어드레스 그리고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트랙터(10)에 연결된 트레일러(20)의 제2 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트레일러(20)에 제3 단말기(300)가 설치된 컨테이너(30)가 실려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트랙터(10)가 어느 제3 단말기(3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컨테이너(30)를 운송하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측에서도 제1 단말기(1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트레일러(20)가 트랙터(10)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1). 이 단계(S31)는 도4의 단계(S12) 또는 도5의 단계(S22)의 제1 단말기(100)의 연결 판단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 단계(S31)는 예컨대 도6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6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단계(S311)에서 제2 단말기(200)는 주위의 다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 신호를 수신하고 각 패킷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1차로 제1 단말기(100)의 연결 판단을 한다.
예를 들어, 관제서버(50) 등에 의해 제1 단말기(100)의 식별코드가 "CH001", "CH002",.. 등으로 부여되고 제2 단말기(200)의 식별코드가 "CS001", "CS002",.. 등으로 부여되고 제3 단말기(300)의 식별코드가 "CT001", "CT002",.. 등으로 부여된 경우, 제2 단말기(200)는 우선 주위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 중 "CH"로 시작하는 식별코드의 패킷만을 제1 단말기(100)의 후보로서 선택하고, 그 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세기를 고려하여 어느 제1 단말기(200)의 트랙터(10)가 트레일러(20)에 연결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위와 같은 1차 연결 판단(S311)과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소정 임계값 이상의 신호세기를 갖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단말기를 예비 목록에 추가하여 임시 저장해둔다(단계 S312). 예를 들어 식별코드 “CH”로 시작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둘 이상 감지된 경우, 신호세기가 가장 큰 패킷의 단말기를 1차 연결한 것으로 판단하고(S311) 두번째 신호세기의 패킷의 단말기를 예비목록에 추가한다. 이는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들의 주차 위치에 따라 트레일러(20)에 실제로 연결되지 않은 트랙터(10)의 단말기의 신호세기가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BLE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블루투스 통신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만으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1차 연결 판단(S311) 및 예비목록 추가(S312)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그 후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2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소정 임계값 이상의 진동세기를 감지하게 되고, 단계(S313)에서, 제2 단말기(200)는 1차 연결 판단한 단말기 및 예비 목록에 추가된 단말기 중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는 제1 단말기(100)를 식별하고 해당 제1 단말기(100)가 설치된 트랙터(10)에 트레일러(20)가 연결되었음을 2차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 연결이 되면 그 후 제1 단말기(100)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하며(단계 S23), 이 단계(S23)는 도4의 단계(S13)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가 연결되고 연결 판단(S31)을 한 이후 제2 단말기(200)는 상태신호를 더 이상 관제서버(50)로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제2 단말기(200)는 연결해제 판단(단계 S33)을 하기 전까지 상태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태신호를 생성하더라도 이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2 단말기(200)는 사실상 슬립 모드로 들어가게 되어 전력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트랙터(10)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전자가 트랙터(10)에서 트레일러(20)를 분리하면(단계 S24), 제1 단말기(100)는 트랙터와 트레일러간 연결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단계 S25)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해제 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단말기(200)도 제1 단말기(100)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간 연결 해제를 판단하고(S33), 그 후 기설정된 주기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기초하여 상태신호 생성 및 관제서버(50)로의 전송을 재개한다(S34).
이상과 같이 도5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터-트레일러간 연결이 되면 제2 단말기(200)가 상태신호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하므로 사실상 슬립 모드에 들어가게 되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제1 단말기(100)의 운송신호에 제2 단말기(200)의 식별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관제서버(50)가 트랙터-트레일러에 대한 관제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제2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7(a)는 상부를 도7(b)는 하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8(a)는 제2 단말기(200)를 트레일러(20)에 부착하기 위한 거치대(300)의 사시도이고 도8(b)는 트레일러(20)의 표면에 제2 단말기(200)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는 외관에 하나 이상의 볼트 관통구(215)를 구비하며, 거치대(300)에도 상기 관통구(2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관통구(3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하부면에는 자석(2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자석(200)을 삽입할 수 있다.
거치대(300)는 도8(b)에 도시한 것처럼 트레일러(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거치대(300)는 자석, 실리콘, 체결나사 등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트레일러(20)의 표면에 완전히 일체로 부착된다. 그 후 거치대(300) 위에 제2 단말기(200)가 설치된다. 즉 볼트가 제2 단말기(200)와 거치대(300)의 볼트 관통구(215, 315)에 체결되어 단말기(200)가 거치대(300)에 부착된다. 제2 단말기(200)의 하부 표면과 거치대(300)의 상부 표면 사이에 자석(220)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단말기(200)의 자기장센서(230)는 자석(220)에 의한 자기장을 항시 감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자기장의 변화가 없으면 제2 단말기(200)의 이탈이나 훼손이 없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만일 누군가 임의로 제2 단말기(200)를 거치대(300)에서 분리하게 되면 자석(220)이 자리를 이탈하게 되므로 자기장 변화가 생기고 자기장센서(230)가 이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240)가 제2 단말기(200)의 이탈이나 훼손이 있다고 판단하고 이상신호를 관제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트랙터
20: 트레일러
30: 컨테이너
50: 관제서버
100, 200, 300: 단말기

Claims (7)

  1. 트랙터에 설치된 제1 단말기와 트레일러에 설치된 제2 단말기를 통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관제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가 주위에서 발신되는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패킷 중 상기 트랙터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제2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식별하고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2); 및
    제1 단말기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태신호를 포함하는 운송신호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신호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상기 상태신호, 및 제2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제2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2)에서, 수신한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들 중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 및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신호는, 트랙터가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이동신호 및 트랙터가 정지했음을 나타내는 정지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에 제3 단말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가 설치된 경우,
    상기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2)에서, 수신한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패킷들 중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 및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 각각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신호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상기 상태신호, 제2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제3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트레일러 관제 방법.
KR1020230095426A 2023-07-21 2023-07-21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KR10261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426A KR102617247B1 (ko) 2023-07-21 2023-07-21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426A KR102617247B1 (ko) 2023-07-21 2023-07-21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47B1 true KR102617247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426A KR102617247B1 (ko) 2023-07-21 2023-07-21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527A1 (en) * 2001-12-11 2005-08-18 Michael Knos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interchange between a tractor vehicle and a trailer vehicle
KR102040213B1 (ko) 2019-05-21 2019-12-05 최경식 샤시 관제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241253B1 (ko) 2020-10-29 2021-04-16 주식회사 씨앤티알 샤시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샤시 위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7870A (ko) * 2021-10-01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527A1 (en) * 2001-12-11 2005-08-18 Michael Knos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interchange between a tractor vehicle and a trailer vehicle
KR102040213B1 (ko) 2019-05-21 2019-12-05 최경식 샤시 관제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241253B1 (ko) 2020-10-29 2021-04-16 주식회사 씨앤티알 샤시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샤시 위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7870A (ko) * 2021-10-01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122B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和传感器设备
US20190053154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related to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1350123B (zh) 声音引导系统
US20140139354A1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KR101880715B1 (ko)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100302009A1 (en) Data exchange with an m2m device using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KR2007011175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241253B1 (ko) 샤시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샤시 위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03839414A (zh) 车辆识别装置
JP2008015750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617247B1 (ko) 트랙터-트레일러 관제용 Io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관제 방법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9403496B2 (en) Communication system, movable-body-mounte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enter server
KR20160099193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기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940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시스템
KR20100120564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2456628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을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CN116468231A (zh) 一种货物运输异常确定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2584356A (zh) 一种车载终端无线配置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28423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00268288A (ja) 移動車両位置追跡制御システム
KR101557976B1 (ko) 원격 주차 위치 확인 장치
US20220379804A1 (en) Control device, system, vehicle, and determination method
KR20180029705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US11987175B2 (en) Control device,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