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04B1 -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04B1
KR102617204B1 KR1020230066096A KR20230066096A KR102617204B1 KR 102617204 B1 KR102617204 B1 KR 102617204B1 KR 1020230066096 A KR1020230066096 A KR 1020230066096A KR 20230066096 A KR20230066096 A KR 20230066096A KR 102617204 B1 KR102617204 B1 KR 10261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jig
jig plate
mount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호
Original Assignee
(주)메코텍티타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코텍티타늄 filed Critical (주)메코텍티타늄
Priority to KR102023006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Abstract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 플레이트; 및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거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IMPLANT CLEANING JIG}
본 발명은,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인간의 턱뼈에 인공치아를 반영구적으로 매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인공치아 시술은, 소정의 드릴을 이용하여 매식위치를 천공한 후, 임플란트를 턱뼈인 치조골에 매식(식립이라고도 함)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임플란트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연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임플란트 시술에 의하면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치조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임플란트가 인공치아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생체조직에 대하여 매우 안정적인 생체 친화형 재료가 사용되어 부작용이나 다른 생화학적 반응을 보이지 않아야 하고, 반복적이거나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되거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인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에 적합한 소재로서 다양한 금속과 그의 합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티타늄(Ti, Titanium)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임상성공률을 보여 온 것이 사실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식되기 때문에 세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부피가 작은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를 하나씩 일일이 세척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한 번에 다량으로 세척할 수 있는 지그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1131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17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그 플레이트; 및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 일체로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이 상기 통공의 주변에 대응 배치되되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줄지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봉 타입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 용접되는 고정되는 고정용 보스; 및 상기 고정용 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가 끼워지면서 거치되는 거치용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보스의 단면적이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길이가 상기 고정용 보스의 길이보다 3배 내지 4배 길 수 있다.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 처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고정용 보스와 상기 거치용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형 베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얇은 봉과 굵은 봉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장변 양 사이드 영역의 중심부에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교차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플랜지의 높이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이 티타늄(Ti)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작되되 상기 티타늄(Ti) 합금은, Ti-6Al-4V, Ti-6Al-7Nb, Ti-13Nb-13Zr, Ti-15Mo, Ti-35.3Nb-5.1Ta-7.1Zr, Ti-29Nb-13Ta-4.6Z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거치유닛의 확대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지그 플레이트(110)와, 지그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는 티타늄(Ti)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지그 플레이트(110)와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을 포함해서 모든 부분이 티타늄(Ti)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티타늄(Ti) 합금은, Ti-6Al-4V, Ti-6Al-7Nb, Ti-13Nb-13Zr, Ti-15Mo, Ti-35.3Nb-5.1Ta-7.1Zr, Ti-29Nb-13Ta-4.6Z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처럼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가 티타늄(Ti)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작될 경우, 인체에 거부감이 없는 상태로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지그 플레이트(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의 외관을 이룬다. 평평한 판상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지그 플레이트(110)는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지그 플레이트(110)는 사각 형상을 비롯해서 원 형상 등 다양한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지그 플레이트(110)에는 임플란트 세척 시 발생 가능한 세척수의 통과를 위한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1)들은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그 플레이트(110)에 한 쌍의 날개 플랜지(130)가 마련된다. 한 쌍의 날개 플랜지(130)는 지그 플레이트(110)의 장변 양 사이드 영역의 중심부에서 지그 플레이트(110)에 교차하게 배치되된다.
이러한 날개 플랜지(130)들은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를 핸들링하거나 주변 장치들에 거치시킬 때 활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날개 플랜지(130)의 높이는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그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 손잡이부(120)가 마련된다. 손잡이부(120)는 얇은 봉(121)과 굵은 봉(1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지그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 마련된다. 손잡이부(120)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100)의 핸들링을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한편,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은 지그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거치유닛(150)들은 지그 플레이트(110) 상에 일체로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은 통공(111)의 주변에 대응 배치되되 지그 플레이트(110)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줄지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봉 타입을 이룬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은 지그 플레이트(110) 상에 용접되는 고정되는 고정용 보스(151)와, 고정용 보스(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임플란트가 끼워지면서 거치되는 거치용 샤프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보스(151)의 단면적이 거치용 샤프트(153)의 단면적보다 크며, 거치용 샤프트(153)의 길이가 고정용 보스(151)의 길이보다 3배 내지 4배 길게 형성된다.
또한, 거치용 샤프트(153)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 처리부(153a)를 형성한다. 때문에, 임플란트의 거치 작업이 유연해질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거치유닛(150)은 고정용 보스(151)와 거치용 샤프트(153)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형 베벨(155)을 더 포함한다. 경사형 베벨(155)로 인해 임플란트의 거치 작업이 유연해질 수 있는 이점도 추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은 도 7의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200) 역시, 지그 플레이트(110)와, 지그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거치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 플레이트(110)에 복수 개의 통공(111)이 형성되는 한편, 그 양 사이드에 한 쌍의 날개 플랜지(130)가 마련되고, 또한, 중심부에 손잡이부(120)가 마련되는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200)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거치유닛(250) 역시,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수단인데,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거치유닛(25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뿔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거치유닛의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거치유닛(350) 역시, 지그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수단으로서 지그 플레이트(310) 상에 용접되는 고정되는 고정용 보스(351)와, 고정용 보스(3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임플란트가 끼워지면서 거치되는 거치용 샤프트(353)와, 고정용 보스(351)와 거치용 샤프트(353)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형 베벨(3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치용 샤프트(353)는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뿔 형상을 이루는 원뿔형 거치용 샤프트(353)이다. 이러한 원뿔형 거치용 샤프트(353)의 상단부에는 뽀족한 단부를 가리기 위한 착탈식 캡(357)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거치용 샤프트(353)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노치홈부(353a)가 형성된다. 노치홈부(353a)들로 인해 임플란트의 거치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다량의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임플란트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110 : 지그 플레이트
111 : 통공 120 : 손잡이부
121 : 얇은 봉 122 : 굵은 봉
130 : 날개 플랜지 150 : 임플란트 거치유닛
151 : 고정용 보스 153 : 거치용 샤프트
153a : 라운딩 처리부 155 : 경사형 베벨

Claims (10)

  1. 지그 플레이트;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세척 대상의 임플란트를 개별적으로 거치하는 복수 개의 임플란트 거치유닛;
    얇은 봉과 굵은 봉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장변 양 사이드 영역의 중심부에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교차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 플랜지의 높이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 일체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이 상기 통공의 주변에 대응 배치되되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줄지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봉 타입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지그 플레이트 상에 용접되는 고정되는 고정용 보스; 및
    상기 고정용 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가 끼워지면서 거치되는 거치용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보스의 단면적이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길이가 상기 고정용 보스의 길이보다 3배 내지 4배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샤프트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 처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은,
    상기 고정용 보스와 상기 거치용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형 베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임플란트 거치유닛이 티타늄(Ti)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작되되 상기 티타늄(Ti) 합금은, Ti-6Al-4V, Ti-6Al-7Nb, Ti-13Nb-13Zr, Ti-15Mo, Ti-35.3Nb-5.1Ta-7.1Zr, Ti-29Nb-13Ta-4.6Z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1020230066096A 2023-05-23 2023-05-23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10261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096A KR102617204B1 (ko) 2023-05-23 2023-05-23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096A KR102617204B1 (ko) 2023-05-23 2023-05-23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204B1 true KR102617204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096A KR102617204B1 (ko) 2023-05-23 2023-05-23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192A (ko) 2005-04-29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21790A (ko) 2008-01-16 2008-03-07 가부시키가이샤 섬코 Simox 웨이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simox 웨이퍼
KR101650933B1 (ko) * 2015-11-25 2016-08-25 (주) 메코텍티타늄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200485195Y1 (ko) * 2016-10-27 2017-12-07 주식회사 씨포아이 임플란트용 검사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192A (ko) 2005-04-29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21790A (ko) 2008-01-16 2008-03-07 가부시키가이샤 섬코 Simox 웨이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simox 웨이퍼
KR101650933B1 (ko) * 2015-11-25 2016-08-25 (주) 메코텍티타늄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KR200485195Y1 (ko) * 2016-10-27 2017-12-07 주식회사 씨포아이 임플란트용 검사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300B2 (en) Dental implant system
CA2766927C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US5695336A (en) Dental implant fixture for anchorage in cortical bone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JP629504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650933B1 (ko)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Misch Generic root form components terminology
Warreth et al. Dental implants and single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JP5525189B2 (ja)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KR102617204B1 (ko)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Castilla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e of dental implant design on the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LU93019B1 (en) Dental implant plate
Petrie et al. Shape optimization of dental implant designs under oblique loading using the p-version finite element method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Rosenlicht et al. Immediate loading of dental implants
ES2820346T3 (es) Implante dental
JP4226609B2 (ja) 歯科コンポーネントインプラント
US20230210639A1 (en) Dental support screw
Park et al. Terminology in implant dentistry
Stamenković The biomechanics of dental implants and dentures
CN217938428U (zh) 拟牙根种植体系统
Vergara-Buenaventura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progressive loading
Misch Implant body size: a biomechanical and esthetic ration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