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097B1 -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097B1
KR102617097B1 KR1020210140724A KR20210140724A KR102617097B1 KR 102617097 B1 KR102617097 B1 KR 102617097B1 KR 1020210140724 A KR1020210140724 A KR 1020210140724A KR 20210140724 A KR20210140724 A KR 20210140724A KR 102617097 B1 KR102617097 B1 KR 10261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tadium
housing
ne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6909A (en
Inventor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097B1/en
Publication of KR2023005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2Posts; Revolvably-mounted posts ; 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on the posts, e.g. coin- or tim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1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a single central j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상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되며 경기장에 설치되는 네트가 묶어져 지지되는 폴대 및 하우징에 설치되어 폴대를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and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using the same.
The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and ha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part formed therein,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housing, and a first position that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placed on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and includes a pole to which a net installed in the stadium is tied and supported, and a driv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aise and lower the pole.

Description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Undergroun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and multipurpose stadium system using the same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육 시설에서 사용되는 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족구, 테니스, 배구, 베드민턴 등 네트를 사용하는 경기장에서 네트를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폴대 및 이를 이용한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ructure of equipment used in sports facilities, and in particular to a pole for supporting a net on both sides in a stadium using a net such as foot volleyball, tennis, volleyball, badminton, etc., and a stadium system using the same.

운동장의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족구장, 테니스장, 배구장, 배드민턴장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장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기 어렵다. 특히 위와 같이 네트를 설치해야 하는 경기장에서는 폴대를 세워야 하는데 네트의 규격과 높이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종목을 선택하여 폴대를 세우고, 해당 경기장 전용 라인을 그려 놓을 수 밖에 없다. 일반 시민들이 사용하는 운동장에서 특정 종목 전용 경기장을 설치하게 되면 다른 경기 종목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Because the space of the playground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individually install stadiums for various sports such as foot volleyball courts, tennis courts, volleyball courts, and badminton courts. In particular, poles must be erected in stadiums where nets must be installed as shown above, but since the specifications and heights of the nets are all different, there is no choice but to select one event, erect a pole, and draw a line dedicated to that stadium. There is a problem that if a stadium dedicated to a specific sport is installed in a stadium used by the general public, the diverse demand for other sports cannot be satisfied.

일부 운동장에서는 복수의 경기장에 대한 라인을 모두 그려 놓고 이동식 폴대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목 수요에 대처하기도 하는데, 지중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정적이지 못하고, 보관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미국 특허공보 US6155937(공개일 2000.12.15)
In some playgrounds, lines for multiple playing fields are drawn and mobile pole devices are used to respond to the demand for various sports, but since they are not fixed in the ground, they are not stable and storage is difficult.
[Prior art literature]
US Patent Publication US6155937 (published on December 15, 200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공간에서 네트를 사용하는 다양한 종목의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중에 매립 및 돌출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폴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ole devi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that can be buried in the ground and protrude so that various sports using a net can be played in a specific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폴대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목의 경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that can perform various sports using the above-described pol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Meanwhile, other unspecifi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s eff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대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상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경기장에 설치되는 네트가 묶어져 지지되는 폴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를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A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dispos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 pole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using and placed on the ground, and on which a net installed in the stadium is tied and supported; and a driv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aise and lower the pol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대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를 밀폐하고 지표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폴대의 상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덮개판을 더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le and fixed at a certain distance to seal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nect it to the ground surface when the pole is in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폴대부의 상면에는 경기장 네트의 줄이 거치되어 구름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ir of roll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le portion on which the string of the stadium net is mounted and in rolling contact.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폴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대의 상측에는 경기장 네트의 상부줄이 삽입될 수 있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공으로 삽입된 상기 상부줄을 양측에서 압착한 상태로 구름접촉시켜 상기 상부줄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폴대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 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폴대의 하측에는 경기장 네트의 하부줄이 삽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공 및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통공으로 삽입된 상기 하부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n uppe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upper line of the stadium net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le, and the upper line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is pressed from both sides. A pair of pressing rolle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side of the pole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upper rope can be pulled or released by rolling contact in one state. Likewise, a lower through hole and a lowe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lower line of the stadium net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le, and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lower line insert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이 상기 폴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unit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piston uni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pole.

본 발명의 이 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1피스톤부를 구비하는 제1유닛과, 상기 제1피스톤부에 결합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이 상기 폴대에 결합되는 제2피스톤부를 구비하는 제2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폴대는 제1유닛과 제유닛에 의하여 2단으로 승강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unit including a first driving part fixed to the housing, a first piston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and a first unit coupled to the first piston part. It includes a second unit including a second driving unit and a second piston unit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pole, and the pole is lifted and lowered in two stages by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It can b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의 폴대 장치를 이용한 것이다. 즉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에 마련되며 이종 종목 경기를 모두 할 수 있는 크기로 배치되는 다목적 경기장; 상기 다목적 경기장의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폴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폴대 장치는 이종 종목의 경기장 크기에 맞게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multi-purpose stadiu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ther purposes uses the pole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other words, the multi-purpose stadium system is a multi-purpose stadium that is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and is sized to accommodate all types of sports; At least two pairs of pole devic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multi-purpose stadium, and the pole devic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adium for different sports.

본 발명에서는 폴대 장치를 다목적 경기장의 지하에 매립되게 설치하고, 경기를 진행하 때에만 해당 경기 전용의 폴대 장치를 작동하여 폴대가 지중에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종 종목 경기를 하나의 경기장에서 진행할 수 있다. 운동장의 공간활용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기를 하고자 하는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device is installed buried in the basement of a multi-purpose stadium, and only when a game is played, the pole device dedicated to the game is activated so that the pole protrudes into the ground, allowing various different types of games to be played in one stadium. You can proceed. Not only does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layground improve,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et the demand for a variety of games.

또한 폴대 장치의 설치 및 네트 줄의 당김과 풀림을 모두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pole device and the pulling and loosening of the net line can all be automatically driven by a remote controller, which has the advantage of ease of use.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Meanwhile, it is to be added that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expected from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i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대 장치가 지중 매립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폴대가 지상으로 돌출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네트의 줄이 폴대 장치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5는 배구, 배드민턴 등 네트가 높게 설치되는 경우의 폴대 장치의 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e device shown in Figure 1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e protruding from the ground in the state of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how the net line is fixed to the pole device.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pole device in cases where the net is installed high, such as in volleyball and badminton.
※ The attached drawings are intended as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will be omitted if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이하 '폴대 장치'라고 함)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대 장치가 지중 매립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폴대가 지상으로 돌출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e device shown in Figure 1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and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pole protrudes from the ground in the state of Figure 2. This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300)은 실내 또는 실외에 마련되는 다목적 경기장(200)과, 복수의 폴대 장치(100)를 구비한다. 다목적 경기장(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구장(210), 배구장(220) 및 테니스장(230)과 같이 복수의 이종 종목을 진행할 수 있는 일정 면적의 장소를 말한다. 또한 네트가 설치되는 종목을 위한 경기장을 의미한다. 이 장소에는 각 종목별로 라인이 함께 그려져 있을 수도 있으며, 특정 경기를 할 때마다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3개의 종목을 수행할 수 있는 예로 도시하였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3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purpose stadium 200 provided indoors or outdoors, and a plurality of pole devices 1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purpose stadium 200 refers to a place of a certain area where a plurality of different sports can be played, such as a foot volleyball court 210, a volleyball court 220, and a tennis court 230. It also refers to a stadium for sports where a net is installed. At this location, lines may be drawn for each sport, or lines may be formed for each specific game. In this example, three items can be performed.

다목적 경기장(200)에는 복수 쌍의 폴대 장치(100)가 마련된다. 즉 네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경기장의 양측에 각각 폴대가 있어야 하므로, 3개의 이종 경기를 위해서는 3쌍의 폴대 장치가 필요하다. 물론 가장 큰 규격 경기장의 양측에 한 쌍의 폴대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각 경기마다 폴대가 설치되는 위치가 정해져 있는 바, 각 종목별로 규격에 맞게 폴대 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pairs of pole devices 100 are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stadium 200.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stall a net, there must be poles on each side of the stadium, so three pairs of pole devices are needed for three different sport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air of poles on both sides of the largest standard stadium, but since the location where the poles are installed is determined for each gam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for each event.

본 예에서는 족구장(210)을 위한 한 쌍의 폴대 장치(111,112)가 족구장 양측에 마련되며, 마찬가지로 배구장(220) 전용의 한 쌍의 폴대 장치(121,122) 및 테니스장(230)을 위한 한 쌍의 폴대 장치(131,132)가 각각 해당 경기의 규정에 정해진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네트는 경기장의 중앙부에 설치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의 폴대 장치(100)는 다목적 경기장의 중앙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일렬로 배치된다. In this example, a pair of pole devices 111 and 112 for the foot volleyball court 2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ot volleyball court, and similarly, a pair of pole devices 121 and 122 exclusively for the volleyball court 220 and a pair of pole devices 121 and 122 for the tennis court 230. The pole devices 131 and 132 are each installed at positions determined by the regulations of the corresponding game. Since the ne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tadium, as shown in FIG. 1, three pairs of pole devices 100 are arranged in a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multi-purpose stadium.

상기한 구성의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이 운용가능한 이유는 폴대 장치가 지중에 매립되기 때문이며, 이 점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폴대 또는 폴대 장치가 지상에 돌출되어 있으면, 경기장을 크게 사용하는 종목은 진행할 수 없다. 예컨대 도 1에서 테니스장(230)으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배구장 폴대 장치(121,122)가 지상에 돌출되어 있으면 테니스장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종목을 위한 폴대 장치 이외의 다른 폴대 장치는 모두 지중에 매립되게 구성하여,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종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multi-purpose stadium system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operated is because the pole device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is is 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oles or pole equipment protrudes from the ground, events that require extensive use of the playing field cannot be played. For example, if you want to use it as a tennis court 230 in FIG. 1, but the volleyball court pole devices 121 and 122 protrude from the ground, it cannot be used as a tennis court. All pole equipment other than the pole equipment for the event currently in progress is constructed to be buried in the ground, allowing various events to be performed in the same place.

이하에서는 지중 매립형 자동 폴대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Below, the underground buried type automatic pol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폴대 장치는 도 1에서 참조번호 112, 132로 표시된 폴대 장치이다. 즉 족구장(210)과 테니스장(230)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기의 차이는 있지만 구성은 동일하다. The pole devices shown in FIGS. 2 and 3 are the pole devic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112 and 132 in FIG. 1 . That is, it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ot volleyball court 210 and the tennis court 230, and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siz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폴대 장치는 하우징(10), 폴대(20) 및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The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pole (20), and a drive unit.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지중(G)에 매립설치된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수용부(19)가 형성되어, 후술할 폴대(20)가 수납된다. 하우징(10)의 높이는 해당 경기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폴대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게 형성된다. 본 예에서 하우징(10)은 중공형 파이프의 바닥을 막아서 제조하였다. The housing 1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buried in the ground (G). A receiving portion 19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to accommodate the pole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is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le specified in the relevant game regulations. In this example, the housing 10 was manufactured by blocking the bottom of a hollow pipe.

폴대(20)는 경기장에 설치되는 네트의 줄을 묶어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폴대(20)는 하우징(10) 내측의 수용부(19)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하우징(10)의 상측 즉 지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다. 본 예에서 폴대(20)는 중공형의 스틸 소재의 파이프를 사용하며, 직경은 하우징(1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The pole 20 is used to support the net installed in the stadium by tying it,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le 20 can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9 inside the housing 10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that is, toward the ground. In this example, the pole 20 uses a hollow steel pipe, and its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housing 10.

폴더(20)의 상부에는 거치대(24)가 결합되며, 거치대(24) 위에는 한 쌍의 롤러(25)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롤러(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의 상부줄(1)이 거치되며, 상부줄(1)이 당겨지거나 풀릴 때 상부줄(1)과 구름접촉되면서 상부줄(1)을 가이드한다. A holder 24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older 20, and a pair of rollers 25 are coupled to the holder 24 so that they can rotate in place. 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rollers 25 are mounted on the upper string 1 of the net, and when the upper string 1 is pulled or released, the upper string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tring 1. guide.

또한 폴대(2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덮개판(27)이 마련된다. 본 예에서 덮개판(27)은 연결대(28)에 의하여 폴대(20)에 고정된다. 덮개판(27)은 폴대(20)가 지중에 매립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0)을 밀폐한다. 그리고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며 평평하게 형성된다. Additionally, a cover plate 27 is provided spaced upward from the pole 20. In this example, the cover plate 27 is fixed to the pole 20 by the connecting rod 28. The cover plate 27 seals the housing 10 when the pole 20 is in the first position buried in the ground. And it is placed horizontally and formed flat so as to form a flat surface without protruding from the ground surfac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20)에는 네트의 상부줄(1)과 하부줄(2)이 고정된다. 본 예에서는 이를 위하여, 폴대(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관통공(21)과 하부관통공(22)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 상부관통공(21)과 하부관통공(22)은 폴대(20)의 정반대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부관통공(21)과 하부관통공(22)은 모두 경기장의 중앙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데, 하부관통공(22)은 경기장과 가까운 쪽에 형성되고, 상부관통공(21)은 경기장과 먼쪽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경우는 경기장의 우측에 배치되는 폴대 장치이므로, 하부관통공(22)이 좌측에 있고 상부관통공(21)이 우측에 있다. 그러나 경기장의 좌측에 배치되는 폴대 장치의 경우 하부관통공이 우측에 배치되고 상부관통공이 좌측에 배치될 것이다. 즉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upper rope (1) and lower rope (2) of the net are fixed to the pole 20. In this example, for this purpose, an upper through hole 21 and a lower through hole 2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le 20, respectively. In this example, the upper through hole 21 and the lower through hole 22 are disposed at opposite positions of the pole 20. That is, both the upper through hole 21 and the lower through hole 22 are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stadium. The lower through hole 22 is formed on the side closer to the stadium, and the upper through hole 21 is formed on the far side from the stadium. is formed In the case shown in the drawing, since it is a pole devic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adium, the lower through hole 22 is on the left and the upper through hole 21 is on the right. However, in the case of a pole devic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stadium, the lower through ball will be placed on the right and the upper through ball will be placed on the left. That is,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의 상부줄(1)은 한 쌍의 압착 롤러(25)에 거치된 후 상부관통공(21)을 통해 폴대(20)의 내부로 삽입된다. 폴대(20)의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압착 롤러(41,42)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줄(1)은 압착 롤러(41,42)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끼워진다. 한 쌍의 압착 롤러(41,4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네트의 상부줄(1)은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예에서는 한 쌍의 압착 롤러(41,42)에 모터 등을 설치하여 리모콘 등 원격조정수단에 의하여 상부줄(1)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부줄(1)은 압착 롤러(41,42) 사이에 고정된다. 다만, 다른 예에서 압착 롤러가 원치 않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억지되도록, 한 쌍의 압착 롤러에 스토퍼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압착 롤럭라 회전되지 않으면 상부줄(1)이 당겨지거나 풀어지지 않고 위치고정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tring 1 of the net is mounted on a pair of compression rollers 25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ole 20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21. Inside the pole 20, a pair of pressing rollers 41 and 42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can rotate in place. The upper string (1) is inserted in a pressed state between the pressing rollers (41, 42). By rotating the pair of compression rollers 41 and 42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the upper string 1 of the net can be pulled or released. Although not shown, in this example, a motor, etc. is installed on a pair of compression rollers 41 and 42 so that the upper rope 1 can be pulled or released by a remote control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 The upper string (1) is fixed between the pressing rollers (41, 42). However, in another example, a stoppe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a pair of compression rollers to prevent the compression rollers from rotating due to unwanted external force. If the compression roller does not rotate, the upper string (1) is fixed in position without being pulled or released.

네트의 하부줄(2)은 하부관통공(22)을 통해 폴대(20)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줄(2)이 묶어지거나 걸어질 수 있는 고정부(50)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고정부(50)는 하부줄(2)이 묶여지거나 걸어질 수 있는 고리가 사용된다. The lower line (2) of the net is inserted into the pole (20) through the lower through hole (22)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50) through which the lower line (2) can be tied or hung. In this example, the fixing part 50 uses a ring through which the lower string 2 can be tied or hung.

구동유닛은 폴대(2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구동유닛은 하우징(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부(31)와, 구동부(31)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이 폴대(20)에 고정되는 피스톤부(32)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구동유닛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사용되거나,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1)는 모터나 압력유체가 유출입되는 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피스톤부(32)는 모터나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되는 샤프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피스톤부(32)의 말단은 결합대(23)에 고정되며, 결합대(23)는 폴대(20)에 고정된다. 즉 결합대(23)를 매개로 피스톤부(32)가 폴대(20)에 고정된다. The driving unit is for lifting the pole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employ various means. In this example, 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 unit 31 fixed to the housing 10, and a piston unit 32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31 and whose upper end is fixed to the pole 20. In this example, the drive unit may be a linear actuator driven by a motor, or a cylinder op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may be used. Therefore, the driving part 31 can be a motor or a cylinder through which pressure fluid flows, and the piston part 32 can be a shaf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a motor or cylinder. In this example, the end of the piston portion 32 is fixed to the coupling table 23, and the coupling band 23 is fixed to the pole 20. That is, the piston part 32 is fixed to the pole 20 via the coupling table 23.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폴대 장치(100)에서는 평상시에 도 2와 같이 폴대(20)가 하우징(10)의 수용부(19)에 수용된 상태로 지중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지상에서는 덮개판(27)만 보이는 상태이며, 덮개판(27)은 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경기장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경기장을 사용할 시에는 구동유닛을 작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20)를 지상으로 돌출시킨다. 본 예에서 구동유닛은 리모콘 등 원격조정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In the pole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ole 20 is normally located in the groun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9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2. In this state, only the cover plate 27 is visible from the ground, and the cover plate 27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keeping the overall stadium in a flat state. And when using the stadium, the drive unit is activated to protrude the pole 20 from the ground as shown in FIG. 3. In this example, the driving unit can be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using a remote control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

한 쌍의 폴대 장치에서 각각 폴대(20)가 상승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의 상부줄(1)과 하부줄(2)을 각각 폴대(20)에 고정한다. 네트의 상부줄(1)은 한 쌍의 압착 롤러(41,42)에 압착시켜 고정한 후 압착 롤러(41,42)를 모터 등으로 회전시켜 상부줄을 당기거나 풀 수 있다. 상부줄(1)을 고정한 후 하부줄(2)을 고정부(50)에 고정시키면 네트의 설치가 완료된다. When each pole 20 rises in a pair of pole device, the upper rope 1 and lower rope 2 of the net are fixed to the poles 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upper rope (1) of the net is fixed by pressing on a pair of compression rollers (41, 42), and then the upper rope can be pulled or released by rotating the compression rollers (41, 42) with a motor, etc. Installation of the net is completed by fixing the upper rope (1) and then fixing the lower rope (2) to the fixing part (50).

한편, 지금까지는 네트가 낮게 설치되는 족구장(210)과 테니스장(23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배구장(220)과 같이 네트가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폴대의 높이도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폴대를 사용하는 경기, 예컨대 배구 및 배드민턴 등을 위하여 폴대를 다단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5는 2단 승강되는 폴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so far using the foot volleyball court 210 and the tennis court 230 where the net is installed low, but the net may be installed high like the volleyball court 220.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ole must also be hi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raise and lower the pole in multiple stages for games using high poles, such as volleyball and badminton. Figure 5 is for explaining a pole device that is raised and lowered in two stages.

도 5에서 하우징(10), 폴대(20)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예와 모두 동일하다. 도 5의 참조번호 중 도 2 내지 도 4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예가 앞의 예와 다른 점은 구동유닛이 다단 승강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In Figure 5, the structures of the housing 10 and the pole 20 are all the same as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mong the reference numbers in FIG. 5, all numbers that are the same as the reference numbers in FIGS. 2 to 4 have the same configur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ample of FIG. 5 and the previous example is that 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rive units to enable multi-level lifting and lowering.

도 5는 2단 승강되는 구조인데, 앞에서 설명한 구동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구동유닛이 상하로 2개(70,80) 설치된다. 제1구동유닛(70)은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71)와,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1피스톤부(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피스톤부(72)의 말단은 제2구동유닛(80)에 연결된다. 본 예에서는 제1피스톤부(72)의 선단이 중간지지판(73)에 고정되고, 제2구동유닛(80)도 중간지지판(73)에 설치된다. 제2구동유닛(80) 역시 중간지지판(73)에 결합되는 제2구동부(81)와, 제2구동부(81)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부(83)가 폴대(20)의 결합대(23)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부(82)를 구비한다. Figure 5 shows a two-stage lifting structure, in which two drive units (70, 80)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rive unit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The first driving unit 70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71 fixed to the housing 10 and a first piston unit 72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end of the first piston part 7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unit 80. In this example, the tip of the first piston unit 72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support plate 73, and the second drive unit 80 is also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plate 73. The second driving unit 80 is also raised and lower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81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upport plate 73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81, and the upper end 83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ase 23 of the pole 20. ) is provided with a second piston portion 82 fixed to the.

제1구동유닛(70)이 작동하여 폴대(20)를 1단 승강시키고, 제2구동유닛(80)이 작동하여 폴대(20)를 2단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2단 승강구조에 의하여 폴대의 높이를 길게 형성하고 네트를 높게 설치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70 operates to raise and lower the pole 20 by one stage, and the second driving unit 80 operates to raise and lower the pole 20 by two stages. This two-stage lifting structure allows the pole to be taller and the net to be installed higher.

구동유닛과 2단 승강 구조 이외의 다른 구성들은 앞에서 설명한 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driving unit and the two-stage lifting structure are the same as the example described above, so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폴대 장치를 다목적 경기장의 지하에 매립되게 설치하고, 경기를 진행하 때에만 해당 경기 전용의 폴대 장치를 작동하여 폴대를 설치한다. 이에 다양한 이종 종목 경기를 하나의 경기장에서 진행할 수 있다. 운동장의 공간활용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기를 하고자 하는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device is installed buried in the basement of a multi-purpose stadium, and the pole device dedicated to the game is operated to install the pole only when a game is played. As a result, a variety of different sports can be held in one stadium. Not only does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layground improve,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et the demand for a variety of games.

이상에서 다목적 경기장이 실외의 운동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다목적 경기장은 당연히 실내 경기장도 포함한다. 폴대 장치가 지중 매립된다고 할 때 실내 경기장의 경우라면 실내 경기장(코트) 바닥면 하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표현을 대체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multipurpose stadium is described and shown as being installed in an outdoor playgroun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stadium naturally also includes an indoor stadium. When the pole device is said to be buried underground, in the case of an indoor stadium, the expression can be replaced by saying that it is buried under the floor of the indoor stadium (court).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to be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changes or substitutions that are obviou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 폴대 장치
111,112 ... 족구장용 한 쌍의 폴대 장치
121,122 ... 배구용 한 쌍의 폴대 장치
131,132 ... 테니스장용 한 쌍의 폴대 장치
200... 다목적 경기장
210 ... 족구장, 220 ... 배구장, 230 ... 테니스장
300 ...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10 ... 하우징, 20 ... 폴대,
21 ... 상부관통공, 22 ... 하부관통공
25 ... 한 쌍의 롤러, 27 ... 덮개판
31 ... 구동부, 32 ... 피스톤부
41,42 ... 한 쌍의 압착롤러, 50 ... 고정부
70 ... 제1구동유닛, 80 ... 제2구동유닛
100 ... pole device
111,112 ... A pair of pole devices for foot volleyball court
121,122 ... A pair of pole devices for volleyball.
131,132 ... A pair of pole devices for tennis courts.
200... multi-purpose stadium
210 ... foot volleyball court, 220 ... volleyball court, 230 ... tennis court
300 ... multi-purpose stadium system
10 ... housing, 20 ... pole,
21 ... upper through hole, 22 ... lower through hole
25 ... a pair of rollers, 27 ... cover plate
31 ... driving part, 32 ... piston part
41,42 ... a pair of pressing rollers, 50 ... fixed part
70... first driving unit, 80... second driving unit

Claims (8)

삭제delete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상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경기장에 설치되는 네트가 묶어져 지지되는 폴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를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폴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대의 상측에는 경기장 네트의 상부줄이 삽입될 수 있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공으로 삽입된 상기 상부줄을 양측에서 압착한 상태로 구름접촉시켜 상기 상부줄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폴대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 housing arranged longitudi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 pole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using and placed on the ground, and on which a net installed in the stadium is tied and supported;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elevate and lower the pole,
The pol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 upper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le into which the upper row of the stadium net can be inserted,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mpression rollers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side of the pole to pull or release the upper string by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string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in a compressed state from both sides. An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상에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경기장에 설치되는 네트가 묶어져 지지되는 폴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를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폴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대의 하측에는 경기장 네트의 하부줄이 삽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공 및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통공으로 삽입된 상기 하부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 housing arranged longitudi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 pole coupled to the housing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using and placed on the ground, and on which a net installed in the stadium is tied and supported;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elevate and lower the pole,
The pol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 lower through hole and a lowe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lower row of the stadium net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le,
An underground buried type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lower rope insert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를 밀폐하고 지표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폴대의 상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덮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An underground buried type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lat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ole at a certain distance so as to seal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nect it to the ground surface when the pole is in the first posi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상면에는 경기장 네트의 줄이 거치되어 구름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An underground buried type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ole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llers on which the string of the stadium net is mounted and in rolling contac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이 상기 폴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The driving unit is an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riving part fixed to the housing, and a piston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pol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1피스톤부를 구비하는 제1유닛과,
상기 제1피스톤부에 결합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단이 상기 폴대에 결합되는 제2피스톤부를 구비하는 제2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폴대는 제1유닛과 제유닛에 의하여 2단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The driving unit is,
A first unit including a first driving part fixed to the housing and a first piston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A second unit including a second driv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piston unit and a second piston unit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pole,
The pole is an underground buried automatic stadium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e is raised and lowered in two stages by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실내 또는 실외에 마련되며 이종 종목 경기를 모두 할 수 있는 크기로 배치되는 다목적 경기장;
상기 다목적 경기장의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폴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폴대 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대 장치이며, 상기 폴대 장치는 이종 종목의 경기장 크기에 맞게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A multi-purpose stadium, either indoors or outdoors, sized to accommodate all types of sports;
Equipped with at least two pairs of pole devic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multi-purpose stadium,
The pole device is the pol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claim 3, and the pole device is a multi-purpose stadiu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e devic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adium for different sports.
KR1020210140724A 2021-10-21 2021-10-21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KR102617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24A KR102617097B1 (en) 2021-10-21 2021-10-21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24A KR102617097B1 (en) 2021-10-21 2021-10-21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09A KR20230056909A (en) 2023-04-28
KR102617097B1 true KR102617097B1 (en) 2023-12-27

Family

ID=8614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724A KR102617097B1 (en) 2021-10-21 2021-10-21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09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07B1 (en) * 2016-01-18 2017-05-17 신도산업 주식회사 Semi-automatic type retractable boll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570Y1 (en) * 1994-07-07 1998-10-01 고윤대 Electronic starter structure for lamp
JP3330056B2 (en) * 1997-04-24 2002-09-30 奥アンツーカ株式会社 Post for safety net
US6155937A (en) * 1999-06-18 2000-12-05 Alter; Troy Telescoping net po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07B1 (en) * 2016-01-18 2017-05-17 신도산업 주식회사 Semi-automatic type retractable boll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09A (en)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600A (en) Multi-purpose stadium
US5319895A (en) Activity floor changing system for multi-activity complex
EP0879333B1 (en) Multifunctional building
KR102617097B1 (en) Automatic pole apparatus of court installed in underground and multi purpose court system using the same
US5547186A (en) Limited space golf driving range
EP0338013A1 (en) Arena and facility for the playing or practising of ball games
US4969651A (en) Flexible projectile arresting device
JP4147325B2 (en) Method for suspending a suspended body such as a net and its suspension device
CN102371059A (en) Target-type golf course
KR101337711B1 (en) Golf screen structure
JP2014105448A (en) Field management device, and stadium
CN210858189U (en) Novel building structure of earthquake-resistant house
KR102223179B1 (en) Net device for mobile exercise
CN214116730U (en) Rock foundation bearing capacity detection device
JP2764625B2 (en) Semi-underground type, multi-purpose dome structure with a roof elevating type
KR200279116Y1 (en) Assembling goal net prop
JP7149921B2 (en) Field lifting device and stadium
CN211752345U (en) Volleyball frame for volleyball training
CN217124656U (en) Adjustable protective net for trailer
CN215195352U (en) Novel movable football court
JPS5818923Y2 (en) Up and down movable canopy net
CN215264360U (en) Frame-embedded lifting projection landscape board device
KR101948771B1 (en) The baseball collector for an indoor screen batting cages
KR100675910B1 (en) Golf practice field that use World Cup soccer ground
CN210597257U (en) Foundation bearing capacity detection device for architectural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