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716B1 - 스마트폰 녹음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녹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716B1
KR102616716B1 KR1020220048899A KR20220048899A KR102616716B1 KR 102616716 B1 KR102616716 B1 KR 102616716B1 KR 1020220048899 A KR1020220048899 A KR 1020220048899A KR 20220048899 A KR20220048899 A KR 20220048899A KR 102616716 B1 KR102616716 B1 KR 10261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front cover
magnet
recor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9551A (ko
Inventor
오광빈
정재학
김남영
박동규
김유화
송인정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뮨
Priority to KR102022004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716B1/ko
Priority to JP2023536850A priority patent/JP2024519239A/ja
Priority to PCT/KR2022/008255 priority patent/WO2023204348A1/ko
Publication of KR2023014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51A/ko
Priority to KR1020230172575A priority patent/KR2023016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2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녹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전면 커버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마그넷, 상기 스마트폰의 통화 중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녹음기{RECORDING DEVICE FOR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녹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기리에 출시되고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에는 제조사의 정책상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스마트폰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아이폰이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예: 회사원, 자영업자 등)에게는 통화 녹음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데, 스마트폰 자체에서 통화 녹음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스스로 복잡하고 불편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녹음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스마트폰 사용자, 즉 아이폰 사용자는 스피커폰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하면서 별도로 준비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녹음을 하거나, 서드파티 앱 또는 통화 녹음기로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화 녹음용 앱 또는 제품들의 수요는 꾸준히 존재하지만, 기존의 통화 녹음용 앱 또는 제품들은 사용성이 불편하거나 디자인이 불만족스럽다는 사용자 리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통화 녹음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스마트폰, 예를 들어 아이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복잡한 결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부착시 디자인적 미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통화 녹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녹음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1823호(이하, 선행문헌)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통신단말기 결합형 녹음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녹음단말기는 통신단말기, 즉 휴대폰에 연결 및 결합되는 구조가 복잡하여 장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을 녹음하는 방식이어서 녹음 시 외부 잡음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18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녹음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스마트폰, 예를 들어 아이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복잡한 결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부착시 디자인적 미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통화 녹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녹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전면 커버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마그넷; 상기 스마트폰의 통화 중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와,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는 피에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에조센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통화 중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으며, 녹음부는, 상기 피에조센서에서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전달 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집할 수 있다.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전면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부 면 중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부 면 중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외부에는 메탈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상부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그넷을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상부에 접착시키는 제1 마그넷 테이프와, 상기 제2 마그넷을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하부에 접착시키는 제2 마그넷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테이프는 상기 제1 마그넷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그넷 테이프는 상기 제2 마그넷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에조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밀착되는 센서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에조센서는,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에 마련된 중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에조센서는 링 형상의 제1 마그넷의 내측에서 제1 마그넷에 의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전면 커버의 내부 면을 통해 주변 노이즈의 방해 없이 직접적으로 진동을 정확하게 읽어 들일 수 있어 통화 녹음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피에조센서를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 중공부에 위치시켜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접착시키는 센서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테이프는 상기 센서 면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에조센서를 제1 마그넷의 내측 중공부에 위치시키며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피에조센서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통화 음성 녹음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피에조센서를 상기 제1 마그넷의 내측 중공부에 마련된 정위치에 정렬시켜 체결하는 센서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고정구는 상기 피에조센서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제1 마그넷의 내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제1 센서 고정구와, 상기 피에조센서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센서 고정구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센서 고정구를 포함한다.
녹음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피에조센서에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회로기판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 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부는,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저장소켓부와, 데이터저장소켓부에 장착 가능한 데이터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D 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단자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통신 단자에서 설정 거리를 두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자는 8핀 라이트닝 마운트부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규격의 통신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는,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녹음부 및 상기 피에조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는,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녹음 동작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피드백 하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유닛은 소정의 색상(예: 적색 등)으로 발광 또는 점멸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한다.
스위치부는,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어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는, 회로기판의 일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에조센서가 후면 케이스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위치부는 피에조센서와 일정 거리를 두고 후면 케이스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 녹음기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을 사용하여 손쉽게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스위치부는 후면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스위치 본체; 및 상기 경사 가이드 홀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경사 가이드 홀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녹음 을 온/오프 조작하는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면서도,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스마트폰 녹음기의 스위치를 대각선 방향으로 손쉽게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다. 만일, 슬라이드 버튼의 슬라이딩 방향이 후면 케이스의 좌우 폭 방향이거나 상하 길이 방향일 경우,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채로 한 손가락, 특히 검지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버튼을 이동시키기에 관절 구조상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슬라이드 버튼을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함에 따라 관절에 무리 없이 검지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슬라이드 버튼을 밀거나 당길 수 있어 신속한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며,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아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는, 스위치부를 회로기판의 일측 상단에 위치 고정하는 스위치 홀더;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홀더는,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길게 배치되어 스위치 본체의 일측을 구속하는 제1 홀더부; 및 제1 홀더부의 일단부에서 교차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홀더부;를 포함한다. 스위치 홀더에 의해 스위치 본체는 회로기판부에 안정적으로 구속되며, 2축 방향으로 스위치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스위치부의 반복 사용시에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케이스 본체 중 전면 커버의 외부 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의 외부 면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밀착될 수 있다.
전면 커버는 좌우 폭 길이에 비해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 커버의 상단 및 하단에는 후면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커버의 양단에는 후면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는 제1 마그넷이 제1 마그넷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며 제1 마그넷이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수용부와, 제2 마그넷이 제2 마그넷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며 제2 마그넷이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수용부가 구비된다. 또한,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는 피에조센서가 센서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며 센서 면이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밀착되는 제3 밀착수용부가 구비된다. 제1, 2, 3 밀착수용부가 제1, 2 마그넷 및 피에조센서의 센서 면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미리 마련됨으로써, 제1, 2 마그넷 및 피에조센서가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에 의한 부착력 기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후면 진동을 피에조센서에서 읽어내는 녹음 기능이 향상되어 주변 소음의 방해 없이 깨끗한 녹음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제3 밀착수용부의 외곽에는 피에조센서의 센서 면 외곽을 원주방향으로 둘러 감싸며 피에조센서의 센서 면을 원주방향으로 지지하여 움직임을 방지하는 원형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형돌기는 피에조센서가 케이스 본체 내에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움직임을 완벽히 차단하는 구조물로서, 피에조센서의 센서 면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진동을 보다 정확하게 읽어올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주변 소음의 방해 없이 깨끗한 통화 음성 녹음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케이스 본체 중 후면 케이스에는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 홀이 구비된다. 스위치 장착 홀의 외곽을 둘러 소정의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스위치를 눌러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해주어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스위치 장착 홀은 슬라이드 버튼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사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케이스 본체 중 후면 케이스에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원호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호 지지부는 링 형상을 갖는 제1 마그넷의 외경 중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여 제1 마그넷이 정해진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강력한 자기력을 통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케이스 본체를 신속하고 강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원호 지지부의 일단부는 제1 마그넷의 상단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원호 지지부의 타단부는 제1 마그넷의 일측, 예를 들어, 우측단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한 결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에 마그넷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에 부착시 스마트폰 자체의 외관 미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스마트폰과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의 후면에 탈부착 되어 스마트폰의 조작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통화 내용을 진동으로 읽어내는 센서, 즉 피에조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잡음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보다 정확하게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를 간략히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의 하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의 커버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의 커버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를 분리한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 및 케이스를 분리한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 및 케이스를 분리한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의 케이스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의 케이스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녹음기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 및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 녹음기의 하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커버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커버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를 분리한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 및 케이스를 분리한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전면도이며, 도 8은 스마트폰 녹음기에서 커버 및 케이스를 분리한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9는 케이스의 외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케이스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0)는 케이스 본체(100), 마그넷(200), 입력부(예: 피에조센서, 마이크 등)(300), 녹음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0)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전면 커버(110)와, 상기 전면 커버(110)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후면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마그넷(200)은 상기 전면 커버(110)를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300)는 스마트폰의 통화 중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300)는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와,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는 피에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부(300)는 피에조센서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피에조센서와 마이크를 동시에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녹음부(400)는 입력부(300)에 입력된 음성정보를 녹음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입력부(300)가 피에조센서인 경우, 입력부, 즉 피에조센서(300)는 전면 커버(110)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시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통화 중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녹음부(400)는 상기 피에조센서(300)에서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전달 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0)에서는 입력부(300)가 피에조센서인 경우로서, 전면 커버(110), 후면 케이스(120), 마그넷(200), 피에조센서(300), 녹음부(4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면 커버]
전면 커버(110)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경질의 부재를 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100)의 외부 면(111)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커버(110)의 외부 면(111)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110)는 좌우 폭 길이에 비해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형상으로 변경되어 실시 가능하다.
또한, 전면 커버(1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후면 케이스(120)와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결합돌기(1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 커버(110)의 양단에는 후면 케이스(120)와의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결합돌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을 보여준다. 도시된 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는 제1 밀착수용부(1121)와 제2 밀착수용부(1122)가 구비된다.
제1 밀착수용부(1121)는 후술될 마그넷(200) 중 제1 마그넷(210)이 제1 마그넷 테이프(230)에 의해 접착되며 제1 마그넷(210)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밀착되는 수용 영역을 말한다.
제2 밀착수용부(1122)는 후술될 마그넷(200) 중 제2 마그넷(220)이 제2 마그넷 테이프(240)에 의해 접착되며 제2 마그넷(220)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밀착되는 수용 영역을 말한다.
또한, 도시된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는 제3 밀착수용부(1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 밀착수용부(1123)는 피에조센서(300)가 센서 테이프(320)에 의해 접착되며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밀착되어 스마트폰의 후면으로부터 진동을 직접적으로 일어들일 수 있도록 해주는 수용 영역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제1, 2, 3 밀착수용부(1121, 1122, 1123)가 제1, 2 마그넷(210, 220) 및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미리 마련됨으로써, 제1, 2 마그넷(210, 220) 및 피에조센서(300)가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210, 220)에 의한 자기력을 이용한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후면 진동을 직접 읽어내는 피에조센서(300)의 계측 정확도가 향상되어 통화 음성을 녹음하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 소음의 방해 없이 깨끗한 녹음이 가능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제3 밀착수용부(1123)의 외곽에는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 외곽을 원주방향으로 둘러 감싸며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을 원주방향으로 지지하여 움직임을 방지하는 원형돌기(1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형돌기(1124)는 피에조센서(300)가 케이스 본체(100) 내에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움직임을 완벽히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진동을 보다 정확하게 읽어올 수 있게 해준다. 그 결과 주변 소음의 방해 없이 깨끗한 통화 음성 녹음을 할 수 있다.
[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120)는 전면 커버(110)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후면 케이스(120)의 외부 면에는 스위치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버튼(433)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 홀(125)이 구비된다.
또한, 스위치 장착 홀(125)의 외곽에는 소정의 단차부(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26)는 스위치 장착 홀(126)의 주변을 둘러싸며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슬라이드 버튼(433)을 누른 채로 슬라이드 버튼(433)을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장착 홀(125)은 슬라이드 버튼(433)이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후술할 경사 가이드 홀(4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후면 케이스(120)에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원호 지지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호 지지부(140)는 링 형상을 갖는 제1 마그넷(210)의 외경 중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여 제1 마그넷(210)이 정해진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력한 자기력을 통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케이스 본체(100)를 강력하게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원호 지지부(140)의 일단부(141)는 제1 마그넷(210)의 상단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원호 지지부(140)의 타단부(142)는 제1 마그넷(210)의 일측, 예를 들어, 우측단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원호 지지부(140)는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210)의 상단과 일측을 포함한 일부 원호 영역이 원호 지지부(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구속되어 제1 마그넷(210)의 위치 정렬 및 고정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마그넷]
마그넷(200)은 케이스 본체(100), 특히 케이스 본체(100) 중에서 전면 커버(110)를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의 경우, 마그넷(200)은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부착되는 실시예(도 1 참조)와, 전면 커버의 외부 면에 부착되는 실시예(도 11 참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마그넷(200)은 전면 커버(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210)과, 전면 커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220)을 포함한다(도 11 참조).
제1 마그넷(210)은 전면 커버(110)의 외부 면(111) 중 상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전면 커버(110)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마그넷(220)은 전면 커버(110)의 외부 면(111) 중 하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전면 커버(110)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의 외부에는 메탈 스티커(210a, 220a)가 부착될 수 있다. 메탈 스티커(210a, 220a)는 제1, 2 마그넷(210, 220)이 전면 커버(110)의 외부 면에 부착되어 외관 상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마그넷(200)은 후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210)과, 후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220)을 포함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제1 마그넷(210)은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 중 상부에 밀착되고, 전면 커버(110)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마그넷(220)은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 중 하부에 밀착되고, 전면 커버(110)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2 마그넷(210, 22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면 커버(110)를 스마트폰의 후면에 강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양에 따라 제1, 2 마그넷(210, 220)의 위치, 형상 및 크기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은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마그넷 테이프(230)와 제2 마그넷 테이프(240)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 테이프(230)는 제1 마그넷(210)을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 중 상부에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제2 마그넷 테이프(240)는 제2 마그넷(220)을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 중 하부에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그넷 테이프(230)는 제1 마그넷(210)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210)을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 상부에 손쉽게 부착시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넷 테이프(240)는 제2 마그넷(22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마그넷(210)을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 하부에 부착시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피에조센서]
피에조센서(300)는 전면 커버(110)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시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통화 내용, 즉 음성을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는 센서 장치이다.
피에조센서(300)는 압전소자 센서로서 물체 표면의 진동을 읽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에조센서(30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통화시 발생되는 음성을 진동 데이터로 읽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에 내장된 스피커의 진동을 스마트폰의 후면에 밀착된 피에조센서(300)를 이용하여 직접 읽어올 수 있다.
전술한 마그넷(200)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후면에 케이스 본체(100) 중 전면 커버(110)가 강하게 밀착되면, 전면 커버(110)에 부착된 피에조센서(300)를 통해 직접 진동을 읽어 내어 통화 내용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특히, 피에조센서(300)는 공기 중의 진동에 대해서는 둔감하기 때문에 주변 소음의 방해 없이 깨끗한 녹음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통화 녹음 품질이 기존의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다.
피에조센서(300)는 후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밀착되는 센서 면(310)을 구비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바람직하게는, 피에조센서(300)는 제1 마그넷(210)의 내측에 마련된 중공부(211)에 위치할 수 있다.
피에조센서(300)는 링 형상의 제1 마그넷(210)의 내측 중공부(211)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센서 면(310)이 제1 마그넷(210)에 의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되는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어 센서 면(310)을 통해 직접적으로 진동을 정확하게 읽어 들일 수 있다. 이로써, 주변 노이즈의 방해 없이 우수한 통화 녹음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에조센서(300)의 센서 면(310)을 전면 커버(110)에 틈새 없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 센서 테이프(320)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 테이프(320)는 피에조센서(300)를 제1 마그넷(210)의 내측 중공부(211)에 위치시키면서,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112)에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테이프(320)는 센서 면(310)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커버(110)는 제1 마그넷(210)에 의해 스마트폰의 후면에 강하게 부착되고, 피에조센서(300)는 제1 마그넷(210)의 내측 중공부(211)에 위치하는 동시에, 원형의 센서 테이프(320)에 의해 전면 커버(110)의 내부 면에 강하게 부착됨으로써, 피에조센서(300)를 이용하여 진동을 읽어내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우수한 통화 음성 녹음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센서(300)는 센서 고정구(330)를 더 포함한다. 센서 고정구(330)는 피에조센서(300)를 제1 마그넷(210)의 내측 중공부(211)에 마련된 설정된 위치에 정렬시킨 후 피에조센서(300)를 강하게 체결시켜 보다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센서 고정구(330)는 피에조센서(3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제1 마그넷(210)의 내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제1 센서 고정구(331)와, 피에조센서(30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센서 고정구(33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센서 고정구(332)를 포함한다. 제1, 2 센서 고정구(331)는 피에조센서(300)를 제1 마그넷(210)의 중공부(211) 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시켜 위치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피에조센서(300)의 흔들림이 억제되고, 센서 면(310)을 통해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진동을 보다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게 된다.
[녹음부]
녹음부(400)는 상기 피에조센서(300)에서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전달 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집할 수 있다.
녹음부(400)는 회로기판부(410), 스위치부(430), 통신 단자(460), 데이터저장부(44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부(410)는 케이스 본체(100), 예를 들어 후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며, 피에조센서(300)에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부(410)는 피에조센서(300)로부터 수집된 진동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관용적으로 알려진 앰프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430)는 회로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통신 단자(460)는 회로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440)는 회로기판부(410)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부(440)는, 회로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저장소켓부(441)와, 데이터저장소켓부(441)에 장착 가능한 데이터저장매체(442)를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매체(442)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 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단자(460)는 후면 케이스(120)의 하단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통신 단자(460)는 8핀 라이트닝 마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규격의 통신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0)는 배터리(45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450)는 케이스 본체(100), 특히 후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450)는 녹음부(400) 및 피에조센서(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0)는 피드백 유닛(420)을 더 포함한다.
피드백 유닛(420)은 회로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드백 유닛(420)은 녹음 동작 및 배터리(450)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피드백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유닛(420)은 소정의 색상(예: 적색 등)으로 발광 또는 점멸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 피드백 유닛(420)은 통신 단자(460)에서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며,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발광 또는 점멸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스위치부(430)는 회로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데,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부(430)는 회로기판부(41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피에조센서(300)가 후면 케이스(120)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위치부(430)는 피에조센서(300)와 일정 거리를 두고 후면 케이스(120)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 녹음기(10)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을 사용하여 손쉽게 스위치부(430)를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부(430)는 스위치 본체(431)와 슬라이드 버튼(433)을 포함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스위치 본체(431)는 후면 케이스(120)의 상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 가이드 홀(432)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버튼(433)은 경사 가이드 홀(432)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가이드 홀(432)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녹음을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때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스마트폰 녹음기(10)상의 슬라이드 버튼(433)를 대각선 방향으로 손쉽게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다.
만일, 슬라이드 버튼(433)의 슬라이딩 방향이 후면 케이스(120)의 좌우 폭 방향이거나 또는 상하 길이 방향일 경우,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 특히 검지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버튼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어려움이 따르며 손가락 관절 구조상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버튼(433)이 스마트폰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 버튼(433)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 가이드 홀(432)을 따라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어, 관절에 무리 없이 검지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며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위치부(430)는 스위치 홀더(13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도 8 참조).
스위치 홀더(130)는 회로기판부(410)의 일측 상단에 스위치부(43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홀더(130)는 제1 홀더부(131)와 제2 홀더부(132)를 포함한다.
제1 홀더부(131)는 슬라이드 버튼(43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길게 배치되어 스위치 본체(431)의 일측을 구속한다.
제2 홀더부(132)는 제1 홀더부(131)의 일단부에서 교차 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 홀더부(13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지지 부재로서, 제1 홀더부(131)에 의해 일측이 구속된 스위치 본체(431)의 타측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본체(431)는 스위치 홀더(130)에 의해 회로기판부(410)에 안정적으로 구속되는데, 특히, 서로 교차 연결되는 제1, 2 홀더부(131, 132)에 의해 스위치 본체(431)가 보다 견고하게 구속됨으로써, 슬라이드 버튼(433)의 반복 조작 시에도 고장 또는 불량 발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녹음기(10)의 경우, 녹음 동작의 온/오프 조작을 누름 방식으로 조작하는 스위치가 아니라, 반드시 사용자가 설정된 방향(예: 대각선 방향 등)으로 슬라이드 버튼(433)을 슬라이딩 조작해야만 녹음 동작이 온/오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스위치가 눌러져 녹음 동작이 실행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버튼(433)을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경우에만 녹음 동작이 온/오프 될 수 있어, 실수에 따른 오작동을 개선하여, 배터리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복잡한 결착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에 마그넷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의 후면에 손쉽게 부착 가능하여 스마트폰 자체의 외관 미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스마트폰과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예: 아이폰 등)의 후면에 부착 되어 스마트폰의 조작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통화 내용을 진동으로 읽어낼 수 있어 외부 잡음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보다 정확하게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스마트폰 녹음기
100: 케이스 본체
110: 전면 커버
111: 전면 커버의 외부 면
112: 전면 커버의 내부 면
1121: 제1 밀착수용부
1122: 제2 밀착수용부
1123: 제3 밀착수용부
1124: 원형돌기
113: 제1 결합돌기
114: 제2 결합돌기
120: 후면 케이스
125: 스위치 장착 홀
126: 단차부
130: 스위치 홀더
131: 제1 홀더부
132: 제2 홀더부
140: 원호 지지부
141: 원호 지지부의 일단부
142: 원호 지지부의 타단부
200: 마그넷
210: 제1 마그넷
210a: 메탈 테이프
211: 중공부
220: 제2 마그넷
220a: 메탈 테이프
230: 제1 마그넷 테이프
240: 제2 마그넷 테이프
300: 피에조센서(또는 입력부)
310: 센서 면
320: 센서 테이프
330: 센서 고정구
331: 제1 센서 고정구
332: 제2 센서 고정구
400: 녹음부
410: 회로기판부
420: 피드백 유닛
430: 스위치부
431: 스위치 본체
432: 경사 가이드 홀
433: 슬라이드 버튼
440: 데이터저장부
441: 데이터저장소켓부
442: 데이터저장매체
450: 배터리
460: 통신 단자

Claims (13)

  1.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한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전면 커버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마그넷;
    상기 스마트폰의 통화 중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녹음부는,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어 녹음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마트폰 녹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와,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는 피에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센서는,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전달된 통화 중 음성정보를 진동 데이터로 입력 받으며,
    상기 녹음부는,
    상기 피에조센서에서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전달 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집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전면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
    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부 면 중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부 면 중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외부에는 메탈 스티커가 부착되는
    스마트폰 녹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넷;
    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상부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사이즈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 중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 커버의 좌우 폭 중앙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녹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 면에 밀착되는 센서 면을 갖는
    스마트폰 녹음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피에조센서에 입력된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회로기판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 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 녹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녹음부 및 상기 피에조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녹음 동작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피드백 하는 피드백 유닛;
    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통신 단자에서 설정 거리를 두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스마트폰 녹음기.
  13. 삭제
KR1020220048899A 2022-04-20 2022-04-20 스마트폰 녹음기 KR10261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99A KR102616716B1 (ko) 2022-04-20 2022-04-20 스마트폰 녹음기
JP2023536850A JP2024519239A (ja) 2022-04-20 2022-06-10 スマートフォン録音機
PCT/KR2022/008255 WO2023204348A1 (ko) 2022-04-20 2022-06-10 스마트폰 녹음기
KR1020230172575A KR20230169900A (ko) 2022-04-20 2023-12-01 스마트폰 녹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99A KR102616716B1 (ko) 2022-04-20 2022-04-20 스마트폰 녹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75A Division KR20230169900A (ko) 2022-04-20 2023-12-01 스마트폰 녹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51A KR20230149551A (ko) 2023-10-27
KR102616716B1 true KR102616716B1 (ko) 2023-12-21

Family

ID=88420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99A KR102616716B1 (ko) 2022-04-20 2022-04-20 스마트폰 녹음기
KR1020230172575A KR20230169900A (ko) 2022-04-20 2023-12-01 스마트폰 녹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75A KR20230169900A (ko) 2022-04-20 2023-12-01 스마트폰 녹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9239A (ko)
KR (2) KR102616716B1 (ko)
WO (1) WO20232043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02B1 (ko) * 2012-08-31 2015-05-29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및 피에조 스피커를 동작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23U (ko) 2018-01-09 2019-07-17 양연식 통신단말기 결합형 녹음단말기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41189B1 (ko) * 2020-06-11 2021-04-19 주식회사 뮨 카드 홀더형 녹음 장치
US20220045398A1 (en) * 2020-08-05 2022-02-10 Apple Inc. Magnetically attachable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02B1 (ko) * 2012-08-31 2015-05-29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및 피에조 스피커를 동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9239A (ja) 2024-05-10
KR20230169900A (ko) 2023-12-18
KR20230149551A (ko) 2023-10-27
WO2023204348A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99B1 (ko) 전자기기
US6360083B1 (en) Clamping/holding device
KR101727512B1 (ko) 이동 단말기
JP2008288174A (ja)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KR20120004024U (ko) 거치기능 및 삼각대가능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JP2005142729A (ja) 腕時計型通信装置
US10263658B2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2616716B1 (ko) 스마트폰 녹음기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JPH059059U (ja) 電話機におけるマイクロホンの組付構造
KR200478291Y1 (ko) 휴대폰 거치대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KR100806940B1 (ko) 크래들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케이스
JP2009290561A (ja) 携帯電子機器
CN211237311U (zh) 多功能激光笔
KR20190001823U (ko) 통신단말기 결합형 녹음단말기
KR101489095B1 (ko) 이어폰 수납 및 정리가 가능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TWI491269B (zh) 電子裝置
KR200430647Y1 (ko) 음향기기 케이스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166528Y1 (ko)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JP2574600B2 (ja) 電話機のレシーバ取付装置
KR200237967Y1 (ko) 휴대폰용 핸즈 프리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