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651B1 -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651B1
KR102616651B1 KR1020230086681A KR20230086681A KR102616651B1 KR 102616651 B1 KR102616651 B1 KR 102616651B1 KR 1020230086681 A KR1020230086681 A KR 1020230086681A KR 20230086681 A KR20230086681 A KR 20230086681A KR 102616651 B1 KR102616651 B1 KR 10261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lass
groove
slide
glas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23008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유리 양단에 고무패킹을 끼워 공기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aluminum profil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유리 양단에 고무패킹을 끼워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 외벽에 유리부재를 시공하여 외부 빛을 실내로 유입함과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튼월(Curtain Wall)의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월은 건물의 주 구조체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유리 외벽은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커튼월의 기본구조는, 수평 프로파일과 수직 프로파일이 교차 설치되고, 거기에 유리판이 고정 설치되며, 수평 프로파일과 수직 프로파일에 따라 크게 알루미늄 커튼월과 스틸 커튼월로 구분된다.
한편, 커튼월 프로파일은 전면에 유리부재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후면에 유리부재가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커버 프레임은 속캡 및 겉캡으로 구성되는데, 유리부재 시공 시, 겉캡을 제거하고, 속캡 고정용 스크류를 통해 속캡을 연결부재에 설치한 뒤, 속캡과 겉캡을 결합한다.
이처럼, 종래의 커버 프레임은 속캡 스크류 고정 후 겉캡 시공이 필요하여, 제작 및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잇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4949호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유리와 프로파일 상의 틈을 고무패킹을 끼워 공기 밀도를 높여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유리 양단에 고무패킹을 끼워 공기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파일구조체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연결부재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프로파일부재와, 유리패널이 프로파일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리홈과,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프로파일부재의 유리홈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유리고정단과, 부재틀에 프로파일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일측이 부재틀 상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프로파일부재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프로파일연결부재와, 프로파일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부재틀과, 부재틀 상면을 마감처리하여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재틀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틀마감부재와, 프로파일부재를 프로파일연결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해 프로파일부재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프로파일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부재결합볼트와, 유리패널을 유리홈에 삽입시 프로파일부재와 밀착시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며, 유리패널과 프로파일부재 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유리고정단과 유리패널 사이에 고정 형성되는 고무패킹과, 고무패킹을 유리고정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무패킹을 관통하여 유리고정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패킹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파일구조체는,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유리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리완충부는, 수직완충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내부 상면에 형성되는 수직완충하우징과,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수직완충스프링 하측으로 형성되는 수직면접촉패드와, 유리패널의 수직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수직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수직완충스프링과, 측면완충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완충하우징과, 유리패널의 측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측면완충스프링 일측으로 형성되는 측면접촉패드와, 측면완충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시 측면완충하우징에서 측면완충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측면접촉패드에 고정되고, 타측이 측면완충하우징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측면완충바와, 유리패널의 수평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측면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측면완충스프링과, 측면완충스프링에 의해 측면완충바가 측면완충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완충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측면완충하우징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완충하우징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스토퍼 구동시 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핀홈과, 핀부재를 핀홈 측으로 전진시켜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홈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토퍼 구동시 핀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홈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프로파일에서 유리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유리와 프로파일 사이의 틈에 고무패킹을 끼워 결합함에 따라 공기밀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에 대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대한 단면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리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프로파일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연결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a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대한 단면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유리 양단에 고무패킹(160)을 끼워 공기 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는 프로파일부재(110), 유리홈(111), 유리고정단(112), 프로파일연결부재(120), 부재틀(130), 틀마감부재(140), 부재결합볼트(150), 고무패킹(160), 패킹고정볼트(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파일부재(110)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부재(110)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연결부재(120)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홈(111)은 유리패널이 프로파일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리홈(111)은 프로파일부재(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고정단(112)은 유리홈(111)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리고정단(112)은 프로파일부재(110)의 유리홈(111)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파일연결부재(120)는 부재틀(130)에 프로파일부재(110)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연결부재(120)는 일측이 부재틀(130) 상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프로파일부재(110)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틀(130)은 프로파일부재(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틀(130)은 프로파일부재(110)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틀마감부재(140)는 부재틀(130) 상면을 마감처리하여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틀마감부재(140)는 부재틀(130)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결합볼트(150)는 프로파일부재(110)를 프로파일연결부재(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결합볼트(150)는 프로파일부재(110)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프로파일연결부재(1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패킹(160)은 유리패널을 유리홈(111)에 삽입시 프로파일부재(110)와 밀착시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며, 유리패널과 프로파일부재(110) 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무패킹(160)은 유리고정단(112)과 유리패널 사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고정볼트(170)는 고무패킹(160)을 유리고정단(1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고정볼트(170)는 고무패킹(160)을 관통하여 유리고정단(1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리완충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완충부(200)는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리완충부(200)는 유리홈(111)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완충부(200)는 수직완충하우징(210), 수직면접촉패드(211), 수직완충스프링(212), 측면완충하우징(213), 측면접촉패드(214), 측면완충바(215), 측면완충스프링(216), 이탈방지단(217), 슬라이드홈(218), 슬라이드부재(219), 핀홈(220), 스토퍼(221), 핀부재(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완충하우징(210)은 수직완충스프링(212)이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완충하우징(210)은 프로파일부재(110) 내부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면접촉패드(211)는 유리홈(111)에 삽입되는 유리패널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면접촉패드(211)는 수직완충스프링(212)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완충스프링(212)은 유리패널의 수직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완충스프링(212)은 수직완충하우징(2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완충하우징(213)은 측면완충스프링(216)이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완충하우징(213)은 프로파일부재(110)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접촉패드(214)는 유리패널의 측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접촉패드(214)는 측면완충스프링(2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완충바(215)는 측면완충스프링(216)의 압축 및 이완시 측면완충하우징(213)에서 측면완충스프링(216)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완충바(215)는 일측이 측면접촉패드(214)에 고정되고, 타측이 측면완충하우징(213)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완충스프링(216)은 유리패널의 수평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완충스프링(216)은 측면완충하우징(213)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217)은 측면완충스프링(216)에 의해 측면완충바(215)가 측면완충하우징(2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217)은 측면완충바(215)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218)은 측면완충하우징(213)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219)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홈(218)은 프로파일부재(110)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19)는 슬라이드홈(218)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219)는 측면완충하우징(213)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홈(220)은 스토퍼(221) 구동시 핀부재(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홈(220)은 슬라이드홈(218)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221)는 핀부재(222)를 핀홈(220) 측으로 전진시켜 슬라이드부재(219)가 슬라이드홈(218)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221)는 슬라이드부재(21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부재(222)는 스토퍼(221) 구동시 핀홈(2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219)가 슬라이드홈(218)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부재(222)는 스토퍼(2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프로파일연장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연장부(300)는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프로파일연장부(30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프로파일부재(110)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일측의 프로파일부재(110)와 타측의 프로파일부재(110)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파일연장부(300)는 고정앵글(310), 패킹홈(311), 밀폐패킹(312), 연장관(313), 패킹누름단(314), 체결앵글(315), 앵글고정볼트(316), 클립홈(317), 고정클립(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앵글(310)은 체결앵글(315)과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앵글(310)은 프로파일부재(110) 끝단 양측으로 앵글고정볼트(316)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홈(311)은 밀폐패킹(312)이 고정되며, 패킹누름단(314)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홈(311)은 고정앵글(3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패킹(312)은 프로파일부재(110)와 연장관(313)의 결합시 패킹홈(311) 측으로 패킹누름단(314)에 의해 누름시 퍼짐으로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패킹(312)은 패킹홈(311)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관(313)은 연결을 위한 일측의 프로파일부재(110)와 타측의 프로파일부재(110) 사이에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관(313)은 프로파일부재(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누름단(314)은 밀폐패킹(312)을 패킹홈(311) 측으로 밀어 삽입시켜 패킹홈(311)에서 밀폐패킹(312)이 눌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누름단(314)은 연장관(313)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앵글(315)은 고정앵글(310)과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앵글(315)은 연장관(313) 끝단 양측으로 앵글고정볼트(316)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고정볼트(316)는 고정앵글(310)을 프로파일부재(110)에 고정시키며, 체결앵글(315)을 연장관(313)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홈(317)은 고정클립(318)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홈(317)은 고정앵글(310)과 체결앵글(3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318)은 고정앵글(310)과 체결앵글(315)에 형성된 클립홈(317)에 결합하여 고정앵글(310)과 체결앵글(315)을 당겨 고정시킴으로 밀폐패킹(312)이 눌려지도록 하며, 고정앵글(310)과 체결앵글(315)에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연결고정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부(400)는 본 발명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고정부(400)는 프로파일연결부재(120)에 프로파일부재(110)를 자동으로 당겨 고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정부(400)는 모터고정대(410), 와이어권취모터(411), 권취기어(412), 와이어고정링(413), 고정와이어(414), 연결고리(415), 인장센서(416), 밀착센서(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고정대(410)는 와이어권취모터(411)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고정대(410)는 프로파일부재(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권취모터(411)는 권취기어(4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권취모터(411)는 모터고정대(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기어(412)는 고정와이어(414)를 권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기어(412)는 와이어권취모터(411)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고정링(413)은 연결고리(415)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고정링(413)은 프로파일연결부재(120)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와이어(414)는 와이어권취모터(411)의 구동시 프로파일부재(110)를 프로파일연결부재(12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와이어(414)는 일측이 권취기어(412)에 권취되고, 타측이 연결고리(415)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리(415)는 고정와이어(414)를 당겨 프로파일부재(110)가 프로파일연결부재(1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리(415)는 고정와이어(4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센서(416)는 와이어권취모터(411)에 의해 귄취됨으로 일측으로 당겨지는 고정와이어(414)의 인장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센서(416)는 고정와이어(414)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417)는 프로파일부재(110)가 부재틀(130)에 밀착됨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센서(417)는 부재틀(130)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로파일구조체
110 : 프로파일부재 111 : 유리홈
112 : 유리고정단 120 : 프로파일연결부재
130 : 부재틀 140 : 틀마감부재
150 : 부재결합볼트 160 : 고무패킹
170 : 패킹고정볼트
200 : 유리완충부 210 : 수직완충하우징
211 : 수직면접촉패드 212 : 수직완충스프링
213 : 측면완충하우징 214 : 측면접촉패드
215 : 측면완충바 216 : 측면완충스프링
217 : 이탈방지단 218 : 슬라이드홈
219 : 슬라이드부재 220 : 핀홈
221 : 스토퍼 222 : 핀부재
300 : 프로파일연장부 310 : 고정앵글
311 : 패킹홈 312 : 밀폐패킹
313 : 연장관 314 : 패킹누름단
315 : 체결앵글 316 : 앵글고정볼트
317 : 클립홈 318 : 고정클립
400 : 연결고정부 410 : 모터고정대
411 : 와이어권취모터 412 : 권취기어
413 : 와이어고정링 414 : 고정와이어
415 : 연결고리 416 : 인장센서
417 : 밀착센서

Claims (3)

  1.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심에 형성된 홈에 유리를 고정시키며, 유리 양단에 고무패킹을 끼워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구조체는,
    유리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프로파일연결부재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프로파일부재와,
    유리패널이 프로파일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리홈과,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프로파일부재의 유리홈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유리고정단과,
    부재틀에 프로파일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일측이 부재틀 상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프로파일부재가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프로파일연결부재와,
    프로파일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부재틀과,
    부재틀 상면을 마감처리하여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재틀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틀마감부재와,
    프로파일부재를 프로파일연결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해 프로파일부재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프로파일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부재결합볼트와,
    유리패널을 유리홈에 삽입시 프로파일부재와 밀착시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며, 유리패널과 프로파일부재 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유리고정단과 유리패널 사이에 고정 형성되는 고무패킹과,
    고무패킹을 유리고정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무패킹을 관통하여 유리고정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패킹고정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파일구조체는,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유리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리완충부는,
    수직완충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내부 상면에 형성되는 수직완충하우징과,
    유리홈에 삽입되는 유리패널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수직완충스프링 하측으로 형성되는 수직면접촉패드와,
    유리패널의 수직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수직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수직완충스프링과,
    측면완충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완충하우징과,
    유리패널의 측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측면완충스프링 일측으로 형성되는 측면접촉패드와,
    측면완충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시 측면완충하우징에서 측면완충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측면접촉패드에 고정되고, 타측이 측면완충하우징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측면완충바와,
    유리패널의 수평방향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해 측면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측면완충스프링과,
    측면완충스프링에 의해 측면완충바가 측면완충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완충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측면완충하우징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부재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완충하우징 외면 상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스토퍼 구동시 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 내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핀홈과,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홈 측으로 전진시켜 핀부재가 핀홈 측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토퍼 구동시 핀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홈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6681A 2023-07-04 2023-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KR10261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681A KR102616651B1 (ko) 2023-07-04 2023-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681A KR102616651B1 (ko) 2023-07-04 2023-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651B1 true KR102616651B1 (ko) 2023-12-21

Family

ID=8932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681A KR102616651B1 (ko) 2023-07-04 2023-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6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70B1 (ko) *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101794949B1 (ko) 2016-12-02 2017-11-07 김윤옥 조립이 용이하고 단열 성능이 개선된 복층유리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도어
KR102006767B1 (ko) * 2018-12-07 2019-08-02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102071129B1 (ko) * 2018-03-07 2020-01-29 (주)혜덕 유리칸막이
KR20220005177A (ko) * 2020-07-06 2022-01-13 노승열 하중 안전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도어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70B1 (ko) *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101794949B1 (ko) 2016-12-02 2017-11-07 김윤옥 조립이 용이하고 단열 성능이 개선된 복층유리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도어
KR102071129B1 (ko) * 2018-03-07 2020-01-29 (주)혜덕 유리칸막이
KR102006767B1 (ko) * 2018-12-07 2019-08-02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20220005177A (ko) * 2020-07-06 2022-01-13 노승열 하중 안전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도어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2069502B1 (ko) 단열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KR101848857B1 (ko) 기밀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2038657B1 (ko)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노출바형 커튼월
KR101654816B1 (ko) 다중 단열 및 배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403276B1 (ko) 스틸 커튼월 장치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573060B1 (ko)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874580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JP2008525676A (ja) 安全具を備えた窓ガラス
KR101193724B1 (ko)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6471B1 (ko) 커튼월 구조
KR102236477B1 (ko) 충격 완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1178175B1 (ko)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KR101050768B1 (ko) 방폭 창호
KR10261665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 구조체
KR101848852B1 (ko) 방음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38658B1 (ko)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비노출바형 커튼월
KR20180070956A (ko) 내진보강 구조
KR20180056969A (ko) 비노출형 커튼월의 지지구조
KR102252107B1 (ko) 프로젝트 창호 결합구조
KR102228837B1 (ko) 다이캐스팅 공법을 적용한 층간변위 흡수형 커튼월 슬리브
KR101939110B1 (ko) 피난사다리용 외곽케이스의 조립구조
KR102109149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비노출바형 내진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