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49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495B1
KR102616495B1 KR1020190046079A KR20190046079A KR102616495B1 KR 102616495 B1 KR102616495 B1 KR 102616495B1 KR 1020190046079 A KR1020190046079 A KR 1020190046079A KR 20190046079 A KR20190046079 A KR 20190046079A KR 102616495 B1 KR102616495 B1 KR 10261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ub
inlet
connection su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032A (ko
Inventor
이길룡
권용덕
이득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775,9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06428B2/en
Priority to AU2020200690A priority patent/AU2020200690B2/en
Priority to EP20154951.6A priority patent/EP3690114B1/en
Priority to CN202010078394.8A priority patent/CN111519396B/zh
Publication of KR2020009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고정바디; 상기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된 제1연장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자유단이 상기 제1연장바디에 삽입된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1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상기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2연결면, 및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제3연결면이 구비된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 중에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감쇄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절연부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액체가 상기 터브 투입구를 통해 캐비닛의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터브에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다.
상기 절연부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기 터브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공간이 필요한데, 캐비닛의 부피가 정해진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절연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은 상기 터브의 부피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었다. 즉, 상기 절연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증가하면, 상기 투입구와 터브 투입구 사이의 거리가 증가(터브의 길이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터브의 부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세탁용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드럼과 터브에 의류와 물이 각각 투입되면,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처진다. 상기 터브에 처짐이 발생하면, 상기 투입구의 중심과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절연부에는 비틀림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절연부는 비틀림에 의한 파손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비틀림 또는 마찰에 의한 절연부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할 때, 세제공급부와 터브 사이에 형성된 워터트랩에서 절연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구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 터브 투입구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된 원통형상의 제1연장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를 연결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변곡면이 구비된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고정바디; 상기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된 제1연장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자유단이 상기 제1연장바디에 삽입된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1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상기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2연결면, 및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제3연결면이 구비된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연결면, 상기 제3연결면, 및 상기 제2연장바디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이격 거리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이격 거리보다는 짧고, 상기 이격 거리의 1/2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 상기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결면, 상기 제2연결면, 상기 제3연결면, 및 상기 스페이서는 고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연장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배출구; 상기 세제배출구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배출구와 상기 유입관 사이에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trap)을 형성시키는 트랩 형성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연장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터브 투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1연장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상기 가이드에 연결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저장공간을 상기 터브에 연결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터브로 이동시키는 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연결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2스페이서; 및 상기 제1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3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서와 상기 제3스페이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를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4스페이서; 및 상기 제3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5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스페이서 및 상기 제5스페이서는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4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6스페이서; 및 상기 제5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5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7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스페이서 및 상기 제7스페이서는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틀림 또는 마찰에 의한 절연부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할 때, 세제공급부와 터브 사이에 형성된 워터트랩에서 절연부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절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절연부에 구비된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3),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 상기 전방패널의 양측면과 상기 후방패널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캐비닛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과 제2측면패널, 및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후방패널은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측면패널과 제2측면패널은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캐비닛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31)는 전방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3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4)를 통해 상기 투입구(131)에 연결되는데, 상기 절연부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스프링(25),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상기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의 좌측에 위치된 제1댐퍼(26),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위치된 제2댐퍼(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하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부는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수직선(V)의 좌측에 위치하는 공간에 고정된 제1웨이트 밸런서(28), 및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고정된 제2웨이트 밸런서(2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부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의 무게를 증가시키면, 상기 터브 바디(21)가 보다 큰 진동을 흡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드럼(3)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드럼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 구동부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53),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53)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3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상기 절연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캐비닛(1)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4)는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1)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절연바디(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연바디(41)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1고정바디(411), 상기 투입구(131)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2고정바디(412), 상기 제1고정바디(411)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412)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제1연장바디(413), 상기 제2고정바디(412)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411)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제2연장바디(414), 상기 제1연장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41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지름(R1)은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지름(R2)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길이와 제2연장바디(414)의 길이는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자유단(제2고정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된 일단)이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413)와 상기 제2연장바디(414)는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디(416)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장바디(414)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변곡면(제1변곡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P1),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연장바디(413)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변곡면(제2변곡면)을 형성하는 제2연결면(P2), 및 상기 제1연결면과 제2연결면을 이어주는 제3연결면(P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면(P1), 제2연결면(P2), 및 제3연결면(P3)은 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제2연결면(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지름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1연결면(P1)과 제2연결면(P2) 모두 상기 터브 투입구(23)가 형성하는 평면에 평행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제2연결면(P2)이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지름방향에 평행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투입구(131)와 터브 투입구(23)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부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P2)이 상기 터브 투입구(23)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면(P2)과 제1고정바디(411) 사이의 거리는 짧아질 것이므로, 상기 터브(2)의 진동 시 상기 제2연결면(P2)과 상기 제1고정바디(411)는 서로 마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려면,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길이(Z축 방향에 대한 제1연장부의 길이)를 길게 설정해 상기 제2연결면(P2)과 상기 제1고정바디(411)를 이격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것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상기 투입구(131)에서 멀어지게 하는 설계이고, 이로 인해 터브의 부피는 감소(의류처리장치의 세탁용량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상기 제1연결면(P1)이 상기 투입구(13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전방패널(13)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상기 터브의 진동 시 상기 제1연결면(P1)은 캐비닛의 전방패널(13)과 마찰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과 제1연결면(P1)의 마찰에 의한 절연부(4)의 파손을 방지하려면,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길이를 길게 설정해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전방패널(13)을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설계 역시 상기 터브의 부피 감소를 동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면(P1)과 제2연결면(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 구비된다면, 제한된 부피를 가진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의 부피를 극대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제1연장바디(413), 제2연장바디(414), 및 상기 연결바디(416)의 두께가 모두 동일한 절연부(4)에 상기 제1연결면(P1)과 제2연결면(P2)이 구비되면, 상기 터브(2)의 진동은 상기 제2연장바디(414)에 집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드럼(3)의 회전 등에 의해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은 상기 제1연장바디(413), 및 S자 형상의 연결바디(416)를 거쳐 상기 제2연장바디(414)와 상기 연결바디(416)의 접점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제2연장바디(414)는 상기 터브(2)보다 작은 진동을 하는 전방패널(13)의 투입구(131)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연결바디와 같이 진동을 감쇄 가능한 별도의 구조가 없기 때문에), 터브의 진동이 상기 제2연장바디(414)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터브(2)가 진동할 때마다 상기 제2연장바디(414)로 진동이 집중하면, 상기 제2연장바디(414)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제2연장바디(414)에 진동이 집중되지 않게 할 수는 있지만,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상기 제2연장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접접(제2연결면, P2)에 진동이 집중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두께, 상기 제1연결면(P1)의 두께, 상기 제2연결면(P2)의 두께, 및 상기 제3연결면(P3)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두께는 상기 제2고정바디(412)에서 상기 제2연결면(P2)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설정(t2>t1)되면, 터브의 진동이 절연부(4)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최소 두께(t1)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두께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야만 상기 제2연장바디(414)와 제2고정바디(412)의 접점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면(P1)의 길이, 상기 제2연결면(P2)의 길이, 및 상기 제3연결면(P3)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길이가 다른 연결면으로 진동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투입구(131)에 대한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경사각(Q1)과 상기 제1연결면(P1)에 대한 상기 제3연결면(P3)의 경사각(Q3, 제2연결면에 대한 제3연결면에 대한 경사각)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경사각(Q1, Q2)이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경사각(Q1, Q2)이 110도보다 작으면 상기 연결면들의 접점(제3연결면의 양단)에 진동이 집중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경사각(Q1, Q2)이 130도보다 크면 연결바디(416)의 휘어진 정도가 작아져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절연부(4)에는 절연바디(41)의 강도를 높이는 리브(4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418)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표면 및 상기 연결바디(416)의 표면에서 돌출된 바 형상(너비나 높이보다 길이가 더 긴 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418)는 상기 절연바디(41)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리브(418)는 상기 연결바디(416)에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터브와 드럼에 물과 의류가 투입되어 상기 터브 바디(21)가 상기 베이스(11)를 향해 이동하는 처짐이 발생했을 때, 상기 연결바디(416)와 상기 제2연장바디(414)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49)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바디(416)와 제2연장바디(41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스페이서(49)는 상기 제2연결면(P2), 상기 제3연결면(P3), 및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9)의 길이가 너무 짧게 설정되면, 상기 연결바디(416)와 제2연장바디(414)가 마찰하는 것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49)의 길이가 너무 길면 상기 절연바디(41)의 탄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49)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제2연결면(P2) 사이의 거리(L1, 터브의 길이방향에 대한 두 연결면 사이의 거리)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49)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P1)과 상기 제2연결면(P2) 사이의 거리(L1)보다는 짧고, 두 연결면 사이의 거리(L1)의 1/2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 처짐이 발생하면 상기 터브 투입구(23)도 베이스(11)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2연장바디(414)는 상기 연결바디(416)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49)가 상기 제2연장바디(414)와 상기 연결바디(416)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터브 바디의 진동 시 상기 제2연장바디(414)와 연결바디(416)가 서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스페이서(49)는 상기 리브(418)와 함께 상기 절연바디(41)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도 있다.
도 5의 스페이서(49)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구비된 스페이서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49)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 상에 위치된 제1스페이서(491), 상기 제1스페이서(491)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스페이서(491)와 이격된 제2스페이서(492), 및 상기 제1스페이서(491)의 좌측과 우측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스페이서(491)와 이격된 제3스페이서(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스페이서(492)는 제1스페이서의 우측에, 상기 제3스페이서(493)는 제1스페이서의 좌측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스페이서(492)와 상기 제3스페이서(493)는 상기 제1스페이서(491)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의 위치를 대칭이 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상기 절연바디(41)의 강도를 균일하게 보강하고, 이를 통해 절연바디의 불균형적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된 스페이서(49)는 상기 제2스페이서(492)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스페이서(494), 상기 제3스페이서(493)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5스페이서(495), 상기 제4스페이서(494)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6스페이서(496), 및 상기 제5스페이서(495)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7스페이서(49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스페이서(494)는 상기 제2스페이서(49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5스페이서(495)는 상기 제3스페이서(49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6스페이서(496)는 상기 제4스페이서(49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7스페이서(497)는 상기 제5스페이서(49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스페이서(494) 및 상기 제5스페이서(495)는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스페이서 바디와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 바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연장바디(414)가 상기 연결바디(416)로 가압 될 때 스페이서 바디들이 서로 중첩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바디(41)의 강도를 높이고, 제2연장바디(414)와 연결바디(416)가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6스페이서(496) 및 상기 제7스페이서(497)는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스페이서 바디와 다른 하나의 스페이서 바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연장바디(414)가 상기 연결바디(416)로 가압 될 때 각 스페이서 바디들이 서로 중첩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4스페이서(494)와 상기 제5스페이서(495)는 상기 수직선(V)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6스페이서(496)와 상기 제7스페이서(497)는 상기 수직선(V)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61),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챔버(6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3), 상기 챔버(61)로 유입된 물을 제2배수관(67)으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67)은 상기 배수펌프(65)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배수관(67)의 최고점은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최하단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챔버(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651),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제1임펠러(655), 상기 제1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1임펠러 모터(657),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관(67)이 고정되는 제1배출구(6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탁시간을 단축하거나 세탁력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드럼 투입구(33)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는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절연바디(41)의 원주면과 상기 하중부(28, 29)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유로바디(71), 상기 유로바디(71)에 물을 안내하는 공급관(72),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공급관(72)으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71)는 상기 절연바디(41)와 상기 제1웨이트 밸런서(28) 사이의 공간, 상기 절연바디(41)와 상기 제2웨이트 밸런서(29) 사이의 공간을 따라 구비된 부채꼴 형상의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73)는 상기 챔버(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하우징(731),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제2임펠러(735), 상기 제2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임펠러 모터(737),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72)이 고정되는 제2배출구(7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71)에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부(711), 제2배출부(713), 제3배출부(715) 및 제4배출부(7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711) 및 제2배출부(713)는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의 좌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부(715) 및 제4배출부(717)는 상기 수직선(V)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711)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구비된 제1분사가이드(46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부(713)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구비된 제2분사가이드(463)에 연결되며, 상기 제3배출부(715)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구비된 제3분사가이드(465)에 연결되며, 상기 제4배출부(717)는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구비된 제4분사가이드(467)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가이드들(461, 463, 465, 467)은 각 배출부(711, 713, 715, 717)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투입구(4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연장바디(413)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브(2)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51), 상기 케이스(5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수용된 상기 드로워(52)는 전방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인출구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2)는 상부면이 개방된 다면체(육면체 등)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21), 상기 저장부(521)를 상기 케이스(51)와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5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구(523)는 상기 저장부(521)의 후방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5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벨 트랩(bell trap)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저장부(52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면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의 물을 상기 저장부(521)에 공급하는 급수관(56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56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5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61)을 통해 세제가 저장된 저장부(521)에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52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배출구(523)를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스(51)로 배출된 물과 세제는 상기 절연바디(41)를 통해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바디(41)에는 물과 세제가 유입되는 유입관(42)이 구비되고, 상기 세제공급부(5)에는 세제와 물을 상기 유입관(42)으로 안내하는 배출관(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과 상기 배출관(53)은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2) 및 배출관(53)을 통해 터브의 진동이 케이스(51) 및 전방패널(15)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42)은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장바디(414)의 내측 원주면에는 상기 유입관(4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투입구(33)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53)에는 트랩 형성관(5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랩 형성관(531)은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을 형성하는 수단이며, 상기 트랩 형성관(531)을 통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공간과 상기 케이스(51) 내부공간이 연통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터브 바디 내부의 거품 등이 배출관(53)을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35)를 개방할 때 발생하는 터브 바디(21)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트랩 형성관(531)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절연바디(4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5)가 투입구(131)를 개방하면, 터브 바디(21)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트랩 형성관(531)에 저장된 물은 급수과정이나 세제공급과정의 완료 후 상기 배출관(53) 잔류하는 물, 또는 물과 세제의 혼합액이기 때문에, 위생과 관련한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지만,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세제공급부의 파손과 같은 오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4)에는 연결유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44)는 상기 트랩 형성관(531)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연결바디(416)와 상기 제1연장바디(413)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417)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44)는 상기 제2연결면(P2)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43)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기 저장공간(417)으로 안내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기준속도 이하의 속도로 가이드(43)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액체(가이드의 표면에서 분리되는 속도 이하의 속도로 이동하는 액체)는 상기 가이드(43)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상기 연결유로(44)를 통해 저장공간(417)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어(135)를 열 때 상기 트랩 형성관(531)의 물이 상기 절연바디(41)로 배출되는 현상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절연바디(41)에는 상기 저장공간(417)을 상기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통관(47)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통관(47)은 터브 투입구(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44)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417)으로 공급된 액체는 상기 연통관(47)을 통해 상기 터브(2)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절연바디(41)에는 상기 유로바디(71)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간섭방지부가 상기 베이스(11)에 평행하되 상기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연통관(47)은 상기 수평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47)은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직선(V)에서 벗어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연통관(47)이 수직선(V)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이는 앞서 설명한 분사부(7)의 공급관(72)이 수직선(V) 상에 배치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베이스
13: 전방패널 131: 투입구 135: 도어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25: 스프링 26: 제1댐퍼 27: 제2댐퍼
3: 드럼 31: 드럼 바디 32: 드럼 관통홀
33: 드럼 투입구 4: 절연부 41: 절연바디
411: 제1고정바디 412: 제2고정바디 413: 제1연장바디
414: 제2연장바디 416: 연결바디 P1: 제1연결면
P2: 제2연결면 P3: 제3연결면 417: 저장공간
418: 리브 42: 유입관 43: 가이드
44: 연결유로 47: 연통관 49: 스페이서
5: 세제공급부 51: 케이스 52: 드로워
521: 저장부 523: 세제배출구 53: 배출관
531: 트랩형성관 561: 급수관 563: 급수밸브
6: 배수부 61: 챔버 63: 제1배수관
65: 배수펌프 67: 제2배수관 7: 분사부

Claims (12)

  1.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고정바디;
    상기 투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제2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된 제1연장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자유단이 상기 제1연장바디에 삽입된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1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상기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연장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제2연장바디의 변곡면을 형성하는 제2연결면, 및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을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제3연결면이 구비된 연결바디; 및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장바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연결면, 상기 제3연결면, 및 상기 제2연장바디를 연결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이격 거리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이격 거리보다는 짧고, 상기 이격 거리의 1/2보다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 상기 제1연장바디, 상기 제2연장바디, 상기 제1연결면, 상기 제2연결면, 상기 제3연결면, 및 상기 스페이서는 고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의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배출구;
    상기 세제배출구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배출구와 상기 유입관 사이에 P트랩, U트랩, 및 S트랩 중 어느 하나의 트랩(trap)을 형성시키는 트랩 형성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터브 투입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제1연장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상기 가이드에 연결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저장공간을 상기 터브에 연결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터브로 이동시키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연결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2스페이서; 및
    상기 제1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3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페이서와 상기 제3스페이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를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4스페이서; 및
    상기 제3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5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스페이서 및 상기 제5스페이서는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페이서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6스페이서; 및
    상기 제5스페이서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5스페이서로부터 이격된 제7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스페이서 및 상기 제7스페이서는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의 스페이서 바디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46079A 2019-02-01 2019-04-19 의류처리장치 KR10261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5,926 US11306428B2 (en) 2019-02-01 2020-01-29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0200690A AU2020200690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0154951.6A EP3690114B1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010078394.8A CN111519396B (zh) 2019-02-01 2020-02-03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34 2019-02-01
KR20190013734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2A KR20200096032A (ko) 2020-08-11
KR102616495B1 true KR102616495B1 (ko) 2023-12-26

Family

ID=7204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79A KR102616495B1 (ko) 2019-02-01 2019-04-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4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06A (ja) 2005-02-10 2006-08-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前側フランジが改良された家庭用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12B1 (ko) * 2016-02-23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06A (ja) 2005-02-10 2006-08-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前側フランジが改良された家庭用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32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2B1 (ko) 의류처리장치
US1130642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7777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26155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080275B2 (en) Drain ho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8005445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16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2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39468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86261B1 (ko) 세탁기
KR10262809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6875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519402B (zh) 衣物处理装置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US1156066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8710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96033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83620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0296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70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74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270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3000485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