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469B1 -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469B1
KR102615469B1 KR1020210057795A KR20210057795A KR102615469B1 KR 102615469 B1 KR102615469 B1 KR 102615469B1 KR 1020210057795 A KR1020210057795 A KR 1020210057795A KR 20210057795 A KR20210057795 A KR 20210057795A KR 102615469 B1 KR102615469 B1 KR 10261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getation
water
wall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1064A (en
Inventor
박유정
김태완
주소희
한승호
최일흥
송규성
이병욱
김민우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469B1/en
Publication of KR2022015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4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와, 수용부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식생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식생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 배수부와, 식생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생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보온부 및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for wall greening and a wall green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which includes a body part fixed to a structure and having a receiving part therein, and a body part installed on the body part to block heat exchange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outside. It is installed in an insulation part, a receiving part, a vegetation part where plants are planted, a drainage par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and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and between the vegetation part and the outdoor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ermal insulation part that blocks heat exchange and a heating part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supplies heat to the vegetation part.

Description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Planter for wall greening and wall recor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의 구조물 벽면에 식물을 식재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for wall greening and a wall green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lanter for wall greening and a wall green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for planting plants on the walls of indoor or outdoor structures.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많은 인구가 급속하게 도시로 집중되면서 도시의 주거환경이 점점 과밀화 되고 있다. 생활공간 주변에서 녹지가 점점 사라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 대기 오염과 소음 공해, 열섬 효과, 미세먼지 등과 같은 부작용이 심화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large populations are rapidly concentrated in cities, and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becoming increasingly overcrowded. Green spaces are gradually disappearing around living spaces, and as a result, side effects such as air pollution, noise pollution, heat island effect, and fine dust are worsening.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의 벽면과 담장, 방음벽 등과 같은 수직 구조물에 식물을 식재하여 입체적인 녹지대를 조성하는 벽면녹화(wall greening), 일명 수직정원(vertical garden)이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새로운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wall greening, which creates a three-dimensional green area by planting plants on vertical structures such as building walls, fences, and soundproof walls, has recently become a new way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It is being presented as a solution.

그러나, 종래 옥외에 설치되는 벽면녹화는 겨울철 및 봄철의 낮은 기온과 낮은 습도에 따른 결빙 및 건조 피해로 인해 식물의 녹화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경관성 및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양 내 수분, 온·습도 등에 따른 생육 환경의 모니터링이 미흡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열 및 수분을 공급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conventional green walls installed outdoors have the problem that the green state of plants is not maintained consistently due to freezing and drying damage caused by low temperatures and low humidity in winter and spring, deteriorating landscape and aesthetics. In addition, monitoring of the growth environment according to moistur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oil is insufficient, so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quickly and efficiently supply heat and moisture is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4671호(2008.01.08 등록, 발명의 명칭: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94671 (registered on January 8, 2008, title of the in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getation device for greening the exposed surface of a structure).

본 발명은 계절에 관계없이 식물의 생육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 greening planter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plant growth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a wall green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식물의 생육 환경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 recording planter and a wall recor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which can quick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through real-time monitoring using Io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는: 구조물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 상기 식생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 배수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보온부; 및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fixed to a structure and having a receiving part therein; an insulating part installed in the body to block heat exchange between the body and the outside; A vegetation section installed in the receiving section and where plants are planted; a drainage part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part and receiv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a thermal insula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and block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outside; and a heating unit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supplies heat to the vegetation unit.

또한, 상기 바디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Additionally,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또한,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연결부와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된다.Additionally, a first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verlap 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adjacent body part.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Additionally, the receiving portion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식생부와 상기 배수부의 사이에 배치된다.Additionally, the hea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drainage unit.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식생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복수개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식생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배수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ainag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part and supporting the vegetation part; and a mov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providing a drainage path for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식생부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비된다.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with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vegetation portion.

또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생부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watering unit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and supplying water to the vegetation unit.

또한, 상기 관수부는 상기 식생부와 상기 보온부의 사이에 배치된다.Additionally, the irrigat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thermal insulation unit.

또한,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한다.Additionally, the cov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and preventing outside ai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body.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Additionally, the block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요소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A drain unit that discharges water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 to the outside;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t least one environmental factor amo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wall recording plant;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data sensed from the measurement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바디부 주변의 온도와, 상기 식생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식생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body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And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humidity of the vegetation par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를 발열시킨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generates heat in the heat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이 설정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을 허용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allows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below the set humidit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을 차단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block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급수배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body unit and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pip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온도조절부를 발열시킨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generates heat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퇴수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배치되는 퇴수배관; 상기 퇴수배관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퇴수배관으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물받이부; 및 상기 물받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받이부로 전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 part includes a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at one side to the body part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dy part; a water receiv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drain pipe and receiving water from the drain pipe; and a discharge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receiver and discharges water delivered to the water receiver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물받이부는 양측이 상기 배출배관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eiver ar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는 단열부, 발열부, 보온부, 차단부 등에 의해 식생부의 보온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겨울철 외기의 차가운 온도로 인한 식생부의 결빙 및 식물의 근권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계절에 상관 없이 벽면 녹화의 경관성 및 심미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planter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vegetation area through the insulating part, heating part, warming part, blocking part, etc., thereby preventing freezing of the vegetation part and damage to the root zone of the plant due to the cold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in winter. This can be prevented and the scenic beauty and aesthetics of wall greening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seas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는 수용부가 바디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바디부 내부에 식물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er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sufficient space for plants to grow inside the body as the receiving portion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는 관수부가 보온부와 식생부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식생부로 공급되는 관수의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er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reezing of irrigation water supplied to the vegetation section as the irrigation section is disposed between the warming section and the vegetation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는 커버부에 의해 바디부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바람 및 이물질 등에 의해 보온부, 식생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er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eat insulating part and the vegetation part from being lost due to wind or foreign substances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by the cove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는 제어부가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부가 실시간으로 급수부 및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식물의 생육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a plant growth environment a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in real time based on data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는 급수부와 퇴수부가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배관구조로 인한 경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급수배관과 퇴수배관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landscape due to the piping structure as the water supply and discharge parts are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and can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supply and discharge pipe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는 물받이부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퇴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을 안정적으로 배출배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물의 고임으로 인한 물받이부의 결빙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gre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sides of the water catcher slanted,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can stably flow into the discharge pipe and prevent freezing damage to the water catcher due to stagnant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부와 커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rrigation unit and the co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unit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all recording plant and a wall recor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an “in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you can do it.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not mentioned or explain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numbers may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Additionally, even if there are parts that are not indicated by reference signs in a specific drawing, those parts can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number, shape, size, and relative differences in size of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do not limit the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1)는 벽면녹화용 플랜터(10), 급수부(20), 퇴수부(30), 측정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wall recor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recording planter 10, a water supply unit 20, a water discharge unit 30, and a measuring unit 40. , includes a control unit 50.

벽면녹화용 플랜터(10)는 실내 또는 실외의 구조물(2)에 설치되어 식물의 생육 공간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구조물(2)을 파고라(Pergola)와 같은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둥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구조물(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물의 외벽, 실내 벽면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planter (10) for wall greening is installed on an indoor or outdoor structure (2) to provide space for plants to grow. Hereinafter, the structure 2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of a pillar supporting a building such as a pergola, but the structure 2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exterior wall or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for greening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for greening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10)는 바디부(100), 단열부(200), 식생부(300), 배수부(400), 보온부(500), 발열부(600), 관수부(700), 커버부(800), 차단부(9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planter 10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n insulation part 200, a vegetation part 300, a drainage part 400, It includes a warming unit 500, a heating unit 600, an irrigation unit 700, a cover unit 800, and a blocking unit 900.

바디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1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구조물(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바디부(100)는 후술하는 식생부(300), 배수부(400), 보온부(500), 관수부(70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101)가 구비된다. 바디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구조물(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body portion 100 forms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planter 10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structure 2.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01 therein to provide space for installing the vegetation portion 300, drainage portion 400, warming portion 500, and irrigation portion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arranged in a stacked form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0)는 상측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통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전면이 구조물(2)의 전방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는 하측면이 하방에 배치된 바디부(100)에 식재되는 식물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후술하는 차단부(90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후면이 구조물(2)의 후면이 배치된 평면으로부터 구조물(2)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100)는 바디부(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후면이 구조물(2)의 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각관 형태의 수직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어 구조물(2)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바디부(100)의 후면과 수직프레임(3)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구조물(2)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각관 형태의 수평프레임(4)에 의해 구조물(2)과 수직프레임(4)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n empty interior.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extend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structure 2.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plants planted in the body portion 100 disposed below. The body portion 100 may be arranged such that its rear sid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ne on which the rear side of the structure 2 is disposed to the front of the structure 2 so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blocking portion 9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and is supported by a vertical frame 3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whose rear sid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structure 2. It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The body portion 10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3, and is formed by a horizontal frame 4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ructure 2. 2) and can be fixed to the vertical frame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01)는 바디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수용부(101)는 바디부(100)의 내부에 식물의 생육 공간이 최대한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llustrated as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00. The receiving portion 101 may be formed to continuousl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o ensure maximum space for plant growth inside the body portion 100.

바디부(100)에는 복수개의 바디부(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0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20 that connect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0 to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는 바디부(100)의 후면으로부터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바디부(100)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결부(110)는 상방에 이웃하는 바디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부(120)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수평프레임(4)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가 바디부(1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It can b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extending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0 is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100 adjacent above. .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4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The length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0 extend from the body part 100 can be changed to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lant being planted.

단열부(200)는 바디부(100)에 설치되어 바디부(100)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즉, 단열부(200)는 바디부(100)에 단열 성능을 부가하여 겨울철 외기의 냉기가 수용부(101)로 유입되거나, 수용부(101) 내부의 열기가 바디부(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200)는 스티로폼, 석고, 유리 섬유 등과 같이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어 바디부(100)에 설치된다. 단열부(200)는 바디부(1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바디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부(200)는 바디부(100)의 모든 면에 걸쳐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단열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바디부(100)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insulation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0 to block heat exchange between the body unit 100 and the outside. That is, the insulation unit 200 adds insulation performance to the body unit 100 so that cold air from the outside air in winter flows into the accommodation unit 101, or heat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1 flows to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100. Prevent leakage. The insulatio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insulation properties, such as Styrofoam, gypsum, and glass fiber, and is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0. The insulation unit 200 may be attach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may also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ody 100. The insulation unit 200 is arranged to entirely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to ensure insulation performance over all surfaces of the body unit 100. The specific shape of the insulation portion 20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body portion 100.

식생부(300)는 수용부(101)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부(300)는 식물이 식재되기에 적합한 배양토양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수용부(10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식생부(300)는 상측으로 후술하는 관수부(700)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식물에 의해 흡수되고 남은 잉여수분을 하측으로 배출한다.The vegetation section 30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ection 101, and plants are planted. The vegetation port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ulture soil suitable for planting plants and may be plac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01. The vegetation unit 300 receives water through the irrigation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ide, and discharges excess water absorbed by the plants and remaining on the lower side.

배수부(400)는 식생부(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식생부(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부(400)는 다공성의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부(101) 내부에서 식생부(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식생부(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후술하는 퇴수부(30)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The drainage unit 400 is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unit 300 and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unit 300. More specifically, the drainage part 400 is provided in a porous form to support the vegetation part 300 within the receiving part 101,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300 flows into the drainage par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encouraged to be delivered to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400)는 지지부(410), 유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unit 410 and a moving unit 420.

지지부(410)는 식생부(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식생부(300)를 수용부(101) 내에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10)는 바텀애시(Bottom ash) 또는 바텀애시와 기타 혼합물의 재질을 포함하고, 대략 5~10mm의 직경을 갖는 알갱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수용부(101)의 하측에 채워짐으로써 식생부(300)를 지지한다. 지지부(410)는 후술하는 발열부(6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생부(300)로 유도하여 식생부(300)의 보온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식생부(30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생부(300)는 0.4~204W/m·k의 열전도율을 갖고, 지지부(410)는 0.056~0.105W/m·k 0.071~0.079W/m·k의 열전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410 is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part 300 and supports the vegetation part 300 within the receiving part 101. The support portion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tom ash or a mixture of bottom ash and other materials,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granules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5 to 10 mm. The support portion 41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is fi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01 to support the vegetation portion 300. The support part 410 is made of a material with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vegetation part 300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par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guided to the vegetation part 300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efficiency of the vegetation part 300. I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vegetation portion 300 may be formed to have a thermal conductivity of 0.4 to 204 W/m·k, and the support portion 410 may be formed to have a thermal conductivity of 0.056 to 0.105 W/m·k and 0.071 to 0.079 W/m·k. there is.

유동부(420)는 복수개의 지지부(410) 사이에 구비되고, 식생부(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배수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420)는 수용부(101)의 하측에 채워진 각각의 지지부(41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예시될 수 있다. 유동부(420)는 식생부(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유로 형태로 형성된다. 유동부(420)는 후술하는 퇴수부(30)와 연통되어 식생부(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퇴수부(30)로 전달한다. 유동부(420)의 구체적인 형상은 지지부(410)의 배치 상태,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flowing part 420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410 and provides a drainage path for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300. The moving par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as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each support part 410 fi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01. The flowing part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ow path that continues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to guide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300. The flowing unit 4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elivers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unit 300 to the drainage unit 30. The specific shape of the moving part 420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us and size of the support part 410.

보온부(500)는 식생부(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생부(300)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부(500)는 바디부(100)의 상측이 개구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식생부(300)의 상측을 덮어줌으로써 식생부(300)의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생부(300) 내부의 열기또는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500)는 목재 펠릿, 비닐 등의 멀칭재의 재질로 구비되고, 식생부(300)의 상측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수용부(10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온부(500)의 하측에는 식생부(300) 상에서 보온부(5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리브가 바디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unit 5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300 and blocks heat exchange between the vegetation unit 300 and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he thermal insulation part 50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300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00 is opened, thereby preventing the vegetation part 300 from scatte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vegetation part ( 300) Prevents internal heat or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thermal insulation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ulching material such as wood pellets or vinyl, and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unit 101 to entirel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300. there is. On the lower 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unit 500, a plurality of ribs supporting the thermal insulation unit 500 on the vegetation unit 3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0.

발열부(600)는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생부(300)로 열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 저항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600)는 식생부(300)로 열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이 바디부(100)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발열부(600)는 식생부(300)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생부(300)의 하단부 또는 식생부(300)와 배수부(4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600 is provided to generate heat and supplies heat to the vegetation unit 300. The heating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rmal energy through electrical resistance. The heating unit 600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0 so that heat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vegetation unit 300. The heating unit 6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vegetation unit 300 or between the vegetation unit 300 and the drainage unit 40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oots of plants planted inside the vegetation unit 300. You can.

관수부(700)는 수용부(101)에 설치되고, 식생부(300)로 물을 공급한다. 관수부(700)는 식생부(300)와 보온부(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수부(700)는 외기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겨울철 배관의 결빙으로 인한 물 공급의 중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rrigation unit 70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101 and supplies water to the vegetation unit 300. The irrigation unit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unit 300 and the warming unit 500. Accordingly, the irrigation unit 70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reby preventing interruption of water supply due to freezing of pipes in win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부와 커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rrigation unit and the co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부(70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고, 중공형의 배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수부(700)는 식생부(300)의 상측면과 보온부(500)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관수부(700)는 양단부가 바디부(100)의 내측 후면을 통해 후술하는 급수부(20)와 연통되고, 급수부(20)로부터 물을 전달받는다. 관수부(700)는 급수부(20)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식생부(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수홀이 관통 형성된다. 관수부(700)는 중앙부가 식생부(300)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어 식생부(300)의 상측으로 공급한 물이 전방을 향해 경사자게 형성된 바디부(100)의 전면을 타고 식생부(300)의 하측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관수부(700)는 물이 식생부(30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 the irrigation uni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ximately “ㄷ”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e irrigation unit 7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section 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warming section 500. Both ends of the water supply unit 700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inner rear of the body unit 100, and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 The irrigation unit 700 has a plurality of irrigation holes formed along its length so that water receiv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unit 300. The irrigation unit 700 has a central portion disposed at the upper front of the vegetation unit 300,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300 flows along the front of the body unit 100, which is formed inclined toward the front, to the vegetation unit 300. ) is induced to be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rdingly, the irrigation unit 700 can ensure that water is uniformly supplied throughout the vegetation unit 300.

커버부(800)는 바디부(100)로부터 연장되고, 수용부(101)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커버부(800)는 바디부(100)의 전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식생부(300) 및 보온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800)는 식생부(300) 및 보온부(500)의 비산을 방지하고, 식물 줄기의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커버부(800)는 바디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수용부(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800)는 식생부(300), 배수부(400), 보온부(500) 등의 설치 작업 또는 식물의 식재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800)는 일단이 힌지 등에 의해 바디부(100)의 전방 상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800)는 수용부(101)의 폐쇄시 식생부(300)에 식재된 식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수용부(101)의 상부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부(800)는 수용부(101)의 폐쇄 시 바디부(100)의 전방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유동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전면이 바디부(100)의 전방과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cover part 800 extends from the body part 100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01. That is, the cover part 800 is provided to block wind or foreign matter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from flowing into the vegetation part 300 and the thermal insulation part 500. Accordingly, the cover part 800 can prevent the vegetation part 300 and the thermal insulation part 500 from scattering and prevent damage to plant stems. The cover part 8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100, and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art 101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ly, the cover part 800 can ensure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vegetation part 300, the drainage part 400, and the thermal insulation part 500 or the planting work of plants are performed smoothly. The cover part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plate with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0 by a hinge or the like. The cover portion 800 is formed to have an area smaller than the upper are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ion 300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1 is closed. The cover part 800 has its front face facing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wind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when the receiving part 101 is closed. It is placed.

차단부(900)는 바디부(100)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바디부(100)의 후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900)는 바디부(100)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900)는 바디부(100)의 후면과의 사이에 후술하는 급수부(20)와 퇴수부(3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900)는 평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면이 바디부(100)의 후면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차단부(900)는 전면이 수직프레임(3)의 후면에 연결되거나, 양단이 구조물(2)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900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100 and prevents outside ai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body 100. The blocking portion 90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Accordingly, the blocking unit 900 can provide a space between the rear of the body unit 100 where the water supply unit 20 and the water discharg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arranged. The blocking portion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flat shape and is arranged so that the front 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fac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front of the blocking portion 90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3, or both ends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ructure 2 to be supported.

급수부(20)는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물을 공급한다. The water supply unit 20 supplies water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20)는 저장부(21), 온도조절부(22), 급수배관(23), 구동부(24)를 포함한다.1 to 8, the water supply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1, a temperature control unit 22, a water supply pipe 23, and a drive unit 24.

저장부(21)는 외부의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은 물을 내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1)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저장 용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저장부(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녹화용 플랜터(1)의 후방에 배치된 벽면 등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지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1)의 외측에는 저장부(2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열손실이 방지되도록 스티로폼, 석고, 유리 섬유 등과 같은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1 internally stores water receiv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he storage uni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orage container with a space inside to accommodate water. As shown in FIG. 8, the storage unit 21 can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a wall disposed behind the wall greening planter 1, or alternatively, it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tyrofoam, gypsum, glass fiber, etc.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21 to prevent heat loss of water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21.

온도조절부(22)는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부(22)는 열선, 버너 등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가열 장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22)는 저장부(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저장부(21)의 외부에서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조절부(22)가 저장부(21)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온도조절부(22)는 저장부(21)의 내부로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저장부(21)와 단열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22)는 발열 상태 또는 발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is provided to generate heat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various types of heating devices that can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such as a heating wire or burne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unit 21 and can directly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In contrast,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can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from outside the storage unit 21. It is also possible to heat indirectly.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is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unit 21,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rage unit 21 and the insulation material so that heat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21. can be plac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is provided to control the heating state or degree of heating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급수배관(23)은 저장부(21)와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저장부(21)로부터 저장된 물을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배관(23)은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배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배관(23)은 바디부(100)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수배관(23)은 바디부(100)와 차단부(900)가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빈 공간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급수배관(23)은 겨울철 물의 공급 과정에서 차가운 외기에 의해 결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급수배관(23)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바디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급수배관(23)은 일측이 저장부(21)에 연결되어 저장부(21)의 내부와 연통된다. 급수배관(23)은 일측이 저장부(21) 외에도 외부의 물 공급원과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급수배관(23)은 타측이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관수부(700)와 연통된다. 바디부(10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급수배관(23)은 타측이 급수배관(23)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개의 급수분기관(23a)에 의해 복수개의 바디부(1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배관(23)은 복수개의 바디부(100)에 설치되는 식생부(300)의 수분 조건이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급수배관(23)의 내부에는 급수배관(23)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23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1 and the body unit 100 and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to the plant 10 for wall greening. The water supply pipe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with openings on both sides. The water supply pipe 23 is arrang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pipe 23 is disposed inside the empty space formed as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blocking portion 900 are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ipe 23 can be prevented from freezing due to cold outside air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in winter. The water supply pipes 23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3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1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21.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3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n addition to the storage unit 21.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3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upply portion 700. When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in plural, the water supply pipe 23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0 by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23a on the other side branch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23. there is.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ipe 23 can maintain the moisture conditions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0 at the same level. A solenoid valve, etc.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23 to control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water supply pipe 23.

구동부(24)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을 급수배관(23)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4)는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에 외력을 가해 급수배관(23)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supplies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to the water supply pipe 23. The driving unit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various types of pumps that can apply external force to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and deliver it to the water supply pipe 23.

퇴수부(30)는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수부(30)는 퇴수배관(31), 물받이부(32), 배출배관(33)을 포함한다.The water discharge unit 30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to the outside. The drainage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inage pipe 31, a water receiving unit 32, and a discharge pipe 33.

퇴수배관(31)은 일측이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후술하는 물받이부(32)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수배관(31)은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배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퇴수배관(31)은 바디부(100)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퇴수배관(31)은 바디부(100)와 차단부(900)가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빈 공간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퇴수배관(31)은 겨울철 물의 배출 과정에서 차가운 외기에 의해 결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퇴수배관(3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바디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퇴수배관(31)은 일측이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유동부(420)와 연통된다. 바디부(10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퇴수배관(31)은 일측이 퇴수배관(31)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개의 퇴수분기관(31a)에 의해 복수개의 바디부(1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퇴수배관(31)은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복수개의 바디부(100)에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퇴수배관(31)은 타측이 벽면녹화용 플랜터(10)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물받이부(3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퇴수배관(31)의 내부에는 퇴수배관(31)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drain pipe 31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deliver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ain pipe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with openings on both sides. The drain pipe 31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pipe 31 is disposed inside the empty space formed as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blocking portion 900 are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discharge pipe 31 can be prevented from freezing due to cold outside air during the discharge of water in winter.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31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31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flowing portion 420. When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in plural,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31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0 by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31a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31. there is. Accordingly, the water discharge pipe 31 can allow water discharged from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to be discharged uniformly from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0. The other side of the drain pipe 31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A solenoid valve, etc.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rain pipe 31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rain pipe 31.

물받이부(32)는 퇴수배관(31)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퇴수배관(3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다. 물받이부(32)는 전달받은 물이 후술하는 배출배관(23)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물받이부(32)는 퇴수배관(31)으로 배출되는 물이 지면으로 무분별하게 버려져 벽면녹화용 플랜터(10) 주변의 미관이 손상되고,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31 and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31. The water receiving part 32 guides the delivered water to flow into the discharge pipe 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water receiving unit 32 can preven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1 from being indiscriminately disposed of on the ground, damaging the aesthetics around the wall planter 10 and wasting wat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부(32)는 복수개의 바디부(100) 중 최하단에 배치된 바디부(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퇴수배관(31)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물받이부(32)는 상측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퇴수배관(31)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다. 물받이부(32)는 전면이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달받은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부(32)는 전달받은 물이 후술하는 배출배관(33)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양측이 배출배관(33)이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9, the water receiving part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0 dispos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0,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31 ) is placed facing the other sid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is formed with an open upper side to receiv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drain pipe 31. The front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us can prevent the delivered water from leaking out.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o be inclined upward relative to the point where the discharge pipe 33 is installed so that the delivered water can flow to the discharge pipe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배출배관(33)은 물받이부(32)와 연통되고, 물받이부(32)로 전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배관(33)은 물받이부(32)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배관(33)의 상단은 물받이부(32)의 하면을 관통하여 물받이부(32)의 내부와 연통된다. 배출배관(33)의 하단은 물받이부(32)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고, 별도의 관로에 연결되어 물받이부(32)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부(21) 또는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charge pipe 33 communicates with the water receiver 32 and discharges the water delivered to the water receiver 32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32 toward the grou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3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er 32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er 32.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3 can discharge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receiving part 32 to the ground,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pipe to discharge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receiving part 32 into the storage part 21 or external water. It is also possible to circulate it to the supply source.

측정부(40)는 벽면녹화용 플랜터(10)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요소를 측정한다. 측정부(40)가 측정하는 환경 요소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으로, 온도, 습도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The measuring unit 40 measures at least one environmental factor amo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wall recording planter 10. The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40 ar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affect plant growth, and may be exemplified by temperature, humidity, etc.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와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unit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40)는 온도센서(41), 습도센서(42)를 포함한다.1 to 10, the measur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41 and a humidity sensor 42.

온도센서(41)는 바디부(100) 주변의 온도와, 식생부(3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41)는 바디부(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41a)와, 식생부(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생부(30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4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41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around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The temperature sensor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tha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measures the outdoor temperature around the body portion 100, and a vegetation portion 300. It may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that is installed inside and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part 300.

습도센서(42)는 바디부(100) 주변의 습도와, 식생부(300)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센서(42)는 바디부(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 습도를 측정하는 제1습도센서(42a)와, 식생부(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생부(300)의 내부습도 또는 식생부(300)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제2습도센서(4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42 is provided to measure the humidity around the body part 100 and the humidity of the vegetation part 300. The humidity sensor 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umidity sensor 42a tha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measures the outdoor humidity around the body part 100, and a vegetation part 300. It may include a second humidity sensor 42b that is installed inside and measures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o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측정부(40)는 바디부(1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조명이나 태양광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대기중의 미세먼지량을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4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100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of lighting or sunlight, and a fine dust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air.

제어부(50)는 측정부(4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급수부(20) 및 발열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는 측정부(40)로부터 감지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급수부(20) 및 발열부(60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식생부(300)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는 측정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부(4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과, 발열부(600), 급수부(20)에 연결되어 통신모듈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발열부(600), 온도조절부(22)의 발열 상태, 구동부(24)의 동작 여부, 및 급수배관(23)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등이 구비되는 제어모듈과, 감지부(40) 및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감지부(4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와 제어모듈의 제어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sensed data from the measuring unit 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20 and the heating unit 600. That is,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20 and the heating unit 600 in real time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detected from the measuring unit 40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getation unit 300. Maintain within a certain range. The control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40 by wire or wirelessly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data sensed from the measuring unit 40, a heating unit 600, and a water supply unit ( 20) and controls the heating status of the heating unit 6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23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equipped with a processor, etc., and a display module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40 and the control module to display the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control modu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1)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wall recor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관모듈 양중 작업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겠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iping module lifting work method will be explained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performed together with other steps, omitted, or divided into detailed steps. It may be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by adding one or more steps not show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온도센서(41)는 바디부(100) 주변의 온도와, 식생부(300)의 온도를 측정한다(S1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의 외측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41a)는 바디부(100) 외측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고, 식생부(300)의 내측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41b)는 식생부(3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1 to 11, the temperature sensor 41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S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measures the outdoor temperature outside the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part 300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getation unit 300.

제어부(50)는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 경우, 설정 온도는 3℃로 예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S11). In this case, the set temperature may be exemplified as 3°C.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50)는 급수부(20)의 물 공급을 차단한다(S12).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구동부(24)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급수배관(23)이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급수배관(23)을 통해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공급되는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50 blocks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20 (S12).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4 and operates the solenoid valve to close the water supply pipe 23, allowing water to flow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3. Block the supply.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 can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from freezing.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50)는 발열부(600)를 발열시킨다(S13). 제어부(50)는 발열부(600)의 발열에 의해 식생부(300)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거나, 바디부(100) 주변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시점까지 발열부(600)의 발열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50 causes the heating unit 600 to generate heat (S13).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heating unit 600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unit 300 exceeds the set temperature due to heat generation from the heating unit 600 or the temperature around the body unit 100 exceeds the set temperature. Maintain fever.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50)는 온도조절부(22)를 발열시켜 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S14).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50 generates heat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22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 Prevents freezing (S14).

습도센서(42)는 바디부(100) 주변의 습도와, 식생부(300)의 습도를 측정한다(S2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의 외측에 설치된 제1습도센서(42a)는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의 습도값을 측정하고, 식생부(300)의 내측에 설치된 제2습도센서(42b)는 식생부(3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The humidity sensor 42 measures the humidity around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humidity of the vegetation portion 300 (S2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umidity sensor 42a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measures the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air around the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part 300 ( 42b) measures the humidity inside the vegetation part 300.

제어부(50)는 제2습도센서(42b)에 의해 측정된 식생부(300)의 습도값이 설정 습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이 경우, 설정 습도는 35%로 예시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humidity value of the vegetation unit 300 measur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is below the set humidity (S21). In this case, the set humidity may be exemplified as 35%.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S21).

제어부(50)는 제2습도센서(42b)에 의해 측정된 습도값이 설정 습도 이하이고,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급수부(20)의 물 공급을 차단한다(S12).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is below the set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20 is blocked (S12).

제어부(50)는 제2습도센서(42b)에 의해 측정된 습도값이 설정 습도 이하임과 동시에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부(20)의 물 공급을 허용한다(S22).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구동부(24)를 작동시키고, 급수배관(23)이 개방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급수배관(23)을 통해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어부(50)는 급수부(20)의 물 공급에 의해 식생부(300)의 습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시점까지 급수부(20)의 급수 상태를 유지한다.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is below the set humidity,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If it exceed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 is allowed (S22).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driving unit 24 and operates the solenoid valve to open the water supply pipe 23,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3. allow it The control unit 50 maintains the water supply state of the water supply unit 20 until the humidity of the vegetation unit 300 exceeds the set temperature due to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

제어부(50)는 제2습도센서(42b)에 의해 측정된 습도값이 설정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온도센서(41a) 또는 제2온도센서(41b)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과 관계 없이 급수부(20)의 물 공급을 차단한다(S23).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물이 결빙되지 않는 상태에서만 벽면녹화용 플랜터(10)로 물이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42b exceeds the set humidity,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41a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41b.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20 is blocked (S23).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 can guid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10 only when the water is not frozen.

제어부(50)는 제1습도센서(42a)에 의해 측정된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의 습도값에 따라 급수부(20)의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의 습도값이 기설정된 식생부(300)의 설정 습도보다 낮은 경우, 식생부(300)의 설정 습도를 기설정된 습도보다 높게 조정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식생부(300)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식생부(300)의 습도에 비해 바디부(100) 주변의 외기의 습도값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식생부(300)의 수분이 빠르게 바디부(100)의 외측으로 손실됨으로 인해 제어부(50)가 불필요하게 반복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may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20 according to the humidity value of the outside air around the body unit 100 measur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42a. More specifically, when the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air around the body unit 100 is lower than the preset humidity value of the vegetation unit 300, the control unit 50 adjusts the set humidity of the vegetation unit 300 to be higher than the preset humidity. This induces a greater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unit 300. Accordingly, when the humidity value of the outside air around the body part 100 is excessively low compared to the preset humidity of the vegetation part 300, the control unit 50 causes the moisture in the vegetation part 300 to quickly move to the body par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repetitiv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50 due to loss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벽면녹화 장치 2 : 구조물
3 : 수직프레임 4 : 수평프레임
10 : 벽면녹화용 플랜터 20 : 급수부
21 : 저장부 22 : 온도조절부
23 : 급수배관 23a : 급수분기관
24 : 구동부 30 : 퇴수부
31 : 퇴수배관 31a : 퇴수분기관
32 : 물받이부 33 : 배출배관
40 : 측정부 41 : 온도센서
41a : 제1온도센서 41b : 제2온도센서
42 : 습도센서 42a : 제1습도센서
42b : 제2습도센서 50 : 제어부
100 : 바디부 101 : 수용부
110 : 제1연결부 120 : 제2연결부
200 : 단열부 300 : 식생부
400 : 배수부 410 : 지지부
420 : 유동부 500 : 보온부
600 : 발열부 700 : 관수부
800 : 커버부 900 : 차단부
1: Wall recording device 2: Structure
3: Vertical frame 4: Horizontal frame
10: Planter for wall greening 20: Water supply unit
21: storage unit 22: temperature control unit
23: water supply pipe 23a: water supply pipe
24: driving part 30: discharge part
31: drain pipe 31a: drain pipe
32: water receiving part 33: discharge pipe
40: Measuring part 41: Temperature sensor
41a: first temperature sensor 41b: second temperature sensor
42: Humidity sensor 42a: First humidity sensor
42b: second humidity sensor 50: control unit
100: body part 101: receiving part
110: first connection part 120: second connection part
200: insulation part 300: vegetation part
400: drainage part 410: support part
420: moving part 500: warming part
600: heating part 700: irrigation part
800: cover part 900: blocking part

Claims (22)

구조물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
상기 식생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는 배수부;
상기 식생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와 외기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보온부;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식생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생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복수개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식생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배수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바디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식생부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 body portion fixed to the structur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therein;
an insulating part installed in the body to block heat exchange between the body and the outside;
A vegetation section installed in the receiving section and where plants are planted;
a drainage part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part and receiv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a thermal insula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unit and block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outside;
a heating unit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supplies heat to the vegetation unit; and
It includes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The drainage part,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disposed below the vegetation part and supporting the vegetation part; and
It includes a mov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providing a drainage path for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part,
The insulation portion is arrang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with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vegetation portion,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wherein the cover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er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stack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연결부와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2,
a first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body part,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adjacent body part so as to overlap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er for wall greening,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식생부와 상기 배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er for wall greening, wherein the hea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drainag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생부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er for greening a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ing unit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and supplying water to the vegetation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는 상기 식생부와 상기 보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0,
A planter for greening a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irrigat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vegetation unit and the warm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외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and preventing outside ai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body.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플랜터.
According to clause 12,
A planter for wall recording,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제 1항 내지 제 5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벽면녹화용 플랜터;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
상기 벽면녹화용 플랜터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요소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 planter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10 to 13;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ll greening planter;
A drain unit that discharges water supplied to the wall greening plant to the outside;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t least one environmental factor amo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wall recording plant;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sensed data from the measurement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바디부 주변의 온도와, 상기 식생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식생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measuring unit,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body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on; and
A wall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humidity in the vegetation area.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A wall record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heat in the heat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a set temperatur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이 설정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wall record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allows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below the set humidity.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wall record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blocks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급수배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water supply unit,
A storage unit where water is stored therein;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body unit and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body unit; and
A wall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pipe.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온도조절부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The wall record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heat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의 후면과 배치되는 퇴수배관;
상기 퇴수배관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퇴수배관으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물받이부; 및
상기 물받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받이부로 전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drainage part is,
a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dy;
a water receiv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drain pipe and receiving water from the drain pipe; and
A wall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discharge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ter receiver and discharges water delivered to the water receiver to the outsid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양측이 상기 배출배관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21,
A wall recording device, wherein both sides of the water receiver ar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ipe.
KR1020210057795A 2021-05-04 2021-05-04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102615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95A KR102615469B1 (en) 2021-05-04 2021-05-04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95A KR102615469B1 (en) 2021-05-04 2021-05-04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064A KR20220151064A (en) 2022-11-14
KR102615469B1 true KR102615469B1 (en) 2023-12-21

Family

ID=8404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795A KR102615469B1 (en) 2021-05-04 2021-05-04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4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211B1 (en) *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lowerpot using for wall fountain, and modeling process of natyral soundproof system is applied 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571B1 (en) * 2013-06-10 2015-05-12 (주)성진테크 High­bed heat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for controlling temperature
KR20200063702A (en) * 2018-11-28 2020-06-05 강예슬 Air cleaner using botan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211B1 (en) *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lowerpot using for wall fountain, and modeling process of natyral soundproof system is applied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064A (en)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4895B2 (en) House for plant cultivation
US8646205B2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CA2493642C (e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Sanford Reducing greenhouse energy consumption—An overview
JP5218777B2 (en) Rack for plant cultivation
KR101718682B1 (e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for the plants rooting area
JP5595452B2 (en) House for plant cultivation
JP2011078350A (en) Moving rack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WO2015090167A1 (en) Movable self-contained greenhouse
KR101364671B1 (en) Air green house
KR102615469B1 (en) Wall greening planter and wall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reof
CN110140557B (en) Utilize breeding room of underground earth temperature regulation
KR101074757B1 (en) Ground heat exchange apparatus for vinyl house
KR101123015B1 (en)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0396028B1 (en) solar energy hot house using condensed heat of gravels
KR20130017997A (en) Greenhouse using solar heat and geothermal heat
KR100772473B1 (en) System for culturing seeding
CN205431264U (en) Solar energy plant factory greenhouse
KR102302273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EP3636068B1 (en)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local cultivation environment
KR102296899B1 (en) Energy saving greenhouse
KR101363041B1 (en) Energy saving greenhouse
KR102272887B1 (en)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KR102327620B1 (en) Support plate of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150112206A (en) Heating System Using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