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414B1 -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 Google Patents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414B1
KR102615414B1 KR1020230092655A KR20230092655A KR102615414B1 KR 102615414 B1 KR102615414 B1 KR 102615414B1 KR 1020230092655 A KR1020230092655 A KR 1020230092655A KR 20230092655 A KR20230092655 A KR 20230092655A KR 102615414 B1 KR102615414 B1 KR 10261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haust
antibacterial
hea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김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에코
Priority to KR102023009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28F19/06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와 배기전열교환로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항균동층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Heat exchange element}
본 발명은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와 배기전열교환로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항균동층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여서,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교환소자는 전열교환기에서 배기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열교환소자는 직육면체의 전열교환소자를 형성을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복층으로 적층형성되어 배기공기와 흡입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구비되는 열교환소자, 상기 전열교환소자 사이에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하며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는 흡입전열교환로 및 상기 전열교환소자 사이에 흡입전열교환로 사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공기에 직교하여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는 배기전열교환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열교환소자는 실내에서 배기되는 공기 중의 에너지를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열교환소자는 열교환소자 사이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 결로가 발생하여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과 열교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3016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열교환소자가 열교환소자 사이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 결로가 발생하여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과 열교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전열교환소자를 형성을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와 배기전열교환로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전열교환시트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흡입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게 양측에 흡입유로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기전열교환로의 양측에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배기유로측벽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항균동층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항균전열교환로를 흡입공기가 초기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극대환된 결로수를 낙수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와 흡입공기가 중앙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초입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배기중앙전열교환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구비되는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초입 배기공기와 최소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유로의 상하 내면이 면상으로 형성되는 초입배기패스전열교환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 및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극대화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와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흡입공기가 코안다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코안다열교환돌기로 형성하고,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와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 및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와류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와류열교환돌기로 형성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전열교환로와 접하는 흡열시트층에 배기공기의 흡열을 위하여 후로킹 결속되는 흡열후로킹모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균동부를 그물망으로 형성한 동매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균동부를 열교환시트에 동분말을 도포형성한 동분말도포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전열교환소자에 식물항균제를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항균제를 베르베린과 시노메닌, 아트락티롤, 알리신, 유칼립톨, 테르펜, 플리페놀, 플라보이노이드 및 피크노제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와 배기전열교환로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항균동층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시트의 흡입항균전열교환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시트의 배기전열교환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소 예시도.
도 4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유지강선을 구비한 예시도.
도 10 및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할 수 있게 구비한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할 수 있게 구비한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0)과 동전열교환시트(2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직육면체의 전열교환소자를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열교환소자의 상부를 지지하고 하부를 지지하는 소자지지판(110)과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소자지지판(110)을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연결지지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전열교환시트(200)는 지지프레임(100)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와 배기전열교환로(400)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210)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22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항균동층(210)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흡열시트층(220)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4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흡입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게 양측에 흡입유로측벽(30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적층에 의ㅋ 하여 형성되는 배기전열교환로(400)의 양측에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측벽(401)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에는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와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313),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321),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322),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323), 초입배기패스전열교환부(331),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332) 및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33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는 흡입공기가 초기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극대환된 결로수를 낙수 배수할 수 있게 배수공(25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는 흡입공기가 중앙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배수유도로(25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313)는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배수유도로(25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321)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초입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중앙전열교환부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323)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초입배기패스전열교환부(331)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초입 배기공기와 최소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유로의 상하 내면이 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332)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333)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극대화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상기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와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332)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흡입공기가 코안다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코안다열교환돌기(230)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안다열교환돌기(230)는 완만한 곡선을 가는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와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313),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321),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322),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323) 및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333)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와류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와류열교환돌기(240)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와류열교환돌기(240)는 외부공기의 유동이 코안다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선단은 완막한 곡선을 갖게 돌출되고 후단을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와류를 유발하여 주변의 공기와 믹싱될 수 있도록 수직벽을 이루는 와류유도벽(241)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기전열교환로(400)와 접하는 흡열시트층(220)에는 배기공기의 흡열을 위하여 후로킹 결속되는 흡열후로킹모(221)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시트(200)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열교환시트(200)와 동매쉬의 결합과정은 시트절단과정(S100)과 동매쉬절단과정(S200) 및 합지과정(S30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시트절단과정(S100)은 열교환시트(200)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동매쉬절단과정(S200)은 동매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합지과정(S300)은 일정크기로 절단된 열교환시트(200)의 흡입공기 접촉면에 일정크기로 절단된 동매쉬를 40~60ton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합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합지과정(S300) 이전에 항균동부(220)의 접합면에 결속면가공과정(S210)이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면가공과정(S210)은 항균동부(220)의 표면에 스크레치를 형성하는 스크레치과정(S211)이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면가공과정(S210)은 표면을 분할하여 스크래치 방향이 엇각으로 형성되게 하는 교차스크레치과정(S212)으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면가공과정(S210)은 표면을 부식되게 하는 부식과정(S220)으로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항균동부(220)의 다른 실시예로는 열교환시트(200)에 동분말을 도포형성한 동분말도포층(230)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동전열교환소자(200)에 식물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함침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물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베르베린과 시노메닌, 아트락티롤, 알리신, 유칼립톨, 테르펜, 폴리페놀, 플라보이노이드 및 피크노제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 조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300)은 상기 동전열교환소자(200) 사이에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하며 항균이 이루어지며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전열교환(400)은 전열교환소자 사이에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 사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공기에 직교하여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전열교환소자를 형성을 위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와 배기전열교환로(400)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200)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210)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220)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흡입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게 양측에 흡입유로측벽(301)을 형성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기전열교환로(400)의 양측에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배기유로측벽(401)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항균동층(210)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220)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4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여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공기의 열교환과정에 공기의 항균, 항곰팡이가 이루어지고 결로수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소자지지판 120 : 연결지지프레임
200 : 열교환시트
210 : 항균동층 220 : 흡열시트층
230 : 코안다열교환돌기
240 : 와류열교환돌기 241 : 와류유도벽
251 : 배수공 252 : 배수유도로
300 : 흡입항균전열교환로
301 : 흡입유로측벽
311 :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 312 :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
313 :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
321 :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 322 :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
323 :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
331 : 초입배기패스전열교환부 332 :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
333 :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
400 : 배기전열교환로 401: 배기유로측벽

Claims (2)

  1. 전열교환소자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전열교환소자를 형성을 위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의하여 등 간격으로 결속되어 상하로 직교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와 배기전열교환로(400)를 각기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동전열교환시트(200)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는 일면으로는 흡입공기와 접하는 항균동층(210)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으로는 배기공기와 접하는 흡열시트층(220)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흡입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게 양측에 흡입유로측벽(301)을 형성하고, 상기 동전열교환시트(200)의 다단 적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기전열교환로(400)의 양측에는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배기유로측벽(401)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항균동층(210)면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돌기와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흡입항균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흡열시트층(220)에는 열교환을 위한 흡열이 이루어지는 흡열홈과 배기전열교환로(400)의 형성을 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배기전열교환공극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를 흡입공기가 초기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극대환된 결로수를 낙수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와 흡입공기가 중앙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 배기공기와 전열교환 과정에 발생한 결로수를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 측으로 유도 배수할 수 있게 형성되는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313),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초입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321),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322),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중앙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구비되는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323),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초입 배기공기와 최소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유로의 상하 내면이 면상으로 형성되는 초입배기패스전열교환부(331),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중앙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332) 및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의 말단으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와류유동하며 말단으로 유입된 배기공기와 극대화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333)로 구성하며;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초입배기결로전열교환부(311)와 중앙배기패스전열교환부(332)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흡입공기가 코안다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코안다열교환돌기(230)로 형성하고, 상기 흡입항균전열교환로(300)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 중 중앙배기결로전열교환부(312)와 말단배기결로전열교환부(313), 초입배기중앙전열교환부(321), 중앙배기중앙전열교환부(322), 말단배기중앙전열교환부(323) 및 말단배기집중전열교환부(333)에 형성되는 열교환돌기는 와류흐름에 의한 면접촉에 의하여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와류열교환돌기(240)로 형성하며;
    상기 와류열교환돌기(240)는 외부공기의 유동이 코안다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선단은 완막한 곡선을 갖게 돌출되고 후단을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와류를 유발하여 주변의 공기와 믹싱될 수 있도록 수직벽을 이루는 와류유도벽(24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전열교환로(400)와 접하는 흡열시트층(220)에 배기공기의 흡열을 위하여 후로킹 결속되는 흡열후로킹모(221)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KR1020230092655A 2023-07-17 2023-07-17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KR10261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655A KR102615414B1 (ko) 2023-07-17 2023-07-17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655A KR102615414B1 (ko) 2023-07-17 2023-07-17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414B1 true KR102615414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655A KR102615414B1 (ko) 2023-07-17 2023-07-17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4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550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윈드림 리버스 리턴형 환기장치
KR20190030166A (ko) 2017-09-13 2019-03-21 안병식 잠열 또는 습기 교환 기능의 윅을 구비한 전열교환소자 및 전열교환소자용 다공성 윅의 제조방법
KR20230053136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
KR20230062604A (ko) * 2020-09-04 2023-05-09 클린 파워 하이드로겐 그룹 리미티드 열 교환기
KR20230100589A (ko) * 2021-12-27 2023-07-05 주식회사 위드에코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550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윈드림 리버스 리턴형 환기장치
KR20190030166A (ko) 2017-09-13 2019-03-21 안병식 잠열 또는 습기 교환 기능의 윅을 구비한 전열교환소자 및 전열교환소자용 다공성 윅의 제조방법
KR20230062604A (ko) * 2020-09-04 2023-05-09 클린 파워 하이드로겐 그룹 리미티드 열 교환기
KR20230053136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
KR20230100589A (ko) * 2021-12-27 2023-07-05 주식회사 위드에코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8736C2 (ru) Элемент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EP2426453B1 (e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KR102615414B1 (ko)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CN104061668B (zh) 空调室内机
CN104235960A (zh) 一种窗式空调器及其后隔板
WO2020062722A1 (zh) 一种翅片及具有其的热交换器
CN205448231U (zh) 空调室内机后壳及壁挂式空调室内机
KR20230100589A (ko) 동을 함유한 전열교환소자
JP5493736B2 (ja) 空調室外機
CN110455098A (zh) 一种带折流板的缠绕管式换热器
JPWO2009110494A1 (ja) 熱交換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または加熱・冷却装置
EP2971991A1 (en) A heat exchanger device, a system comprising a heat exchanger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eat exchanger device
CN108007255A (zh) 一种折流栅支撑轴向凹槽换热管的管壳式换热器
CN210036392U (zh) 一种组装式纵向隔板结构
JP2014029221A (ja) 空気調和機
JP2013120044A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5315518A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CN208749099U (zh) 卡具
CN218442772U (zh) 一种高效率换热器及燃气壁挂炉
CN213225326U (zh) 一种用于钣金工件加工的防水罩
CN106568340A (zh) 空气换热器及干衣机
KR20090107725A (ko) 열교환기
CN115574386A (zh) 湿帘结构及具有其的换热系统
CN205066109U (zh) 一种窗式抽水泵装置及包括该装置的空调
KR20110006693U (ko) 전열교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