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409B1 -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409B1
KR102614409B1 KR1020160094661A KR20160094661A KR102614409B1 KR 102614409 B1 KR102614409 B1 KR 102614409B1 KR 1020160094661 A KR1020160094661 A KR 1020160094661A KR 20160094661 A KR20160094661 A KR 20160094661A KR 102614409 B1 KR102614409 B1 KR 10261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electrolyte
metal fuel
hydroge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997A (ko
Inventor
차원심
오준
박희환
정승교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0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with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by dissolution of metals or alloys; by dehydriding metallic substances
    • B63B2702/1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과 같은 수중함에 구비되는 수소공급장치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할 시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해액이 공급될 시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해 공급하고, 이로 인해 반응기 내부에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여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혼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지게 하는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금속연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금속연료와 반응하기 위한 전해액이 공급되는 전해액 공급부가 연결되는 반응기로 구성되되, 상기 전해액 공급부는, 상기 전해액이 반응기로 유입될 시 스월이 발생되도록 상기 반응기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해액이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Hydrogen supplement apparatus for submarine}
본 발명은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과 같은 수중함에 구비되는 수소공급장치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할 시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해액이 공급될 시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해 공급하고, 이로 인해 반응기 내부에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여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혼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지게 하는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을 포함한 수중함 등에서는 에너지 저장수단으로서 배터리 이외에 연료전지(fuel cell)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산화에 의해 생기는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수소와 같은 기체 반응물질을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전기의 생성을 도모하고 반응 후 생성물질은 연속적으로 반응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고효율의 무공해 발전장치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기술은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아직도 수소 연료를 안전하게 생산하고 저장 혹은 이동하는 기술은 수소 연료전지 분야에서 늘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수소를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기술에 많은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그 중에 금속의 부식반응을 이용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기술에는 이미 많은 선행 기술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수소 발생의 반응을 조절하거나 저장하는 기술은 개발에 어려움이 있어서 일반화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수중함에서 수소를 계속적으로 발생시켜 연료전지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계속적으로 반응하면서 반응한 금속연료는 반응기 외측으로 배출되고, 새로운 금속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해액과 금속연료를 서로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교반기가 반응기 내부에 설치되어, 이 반응기를 통해 스월(swirl)이 발생되도록 해야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교반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여 이와 같은 소음은 수중함 내에 거주하는 선원들에 소음공해를 미치는 영향이 있었으며, 교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044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잠수함과 같은 수중함에 구비되는 수소공급장치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할 시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해액이 공급될 시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해 공급하고, 이로 인해 반응기 내부에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여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혼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구성되는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금속연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금속연료와 반응하기 위한 전해액이 공급되는 전해액 공급부가 연결되는 반응기로 구성되되, 상기 전해액 공급부는, 상기 전해액이 반응기로 유입될 시 스월이 발생되도록 상기 반응기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해액이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반응기의 내측벽면을 향하여 전해액이 공급되어 보다 강력한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응기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고체인 금속연료는 보관탱크로 이송되고, 전해액은 다시 전해액 공급부로 이송되어 반응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분리기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가 배출되는 수소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와 전해액 공급부의 중간에는, 상기 반응기에서 금속연료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전해액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전해액 공급부의 중간에는 열교환되어 반응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해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외측에 PH측정부가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 내부의 촉매인 전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반응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외측에 상기 반응기 내부에서 전해액 및 금속연료가 전해액의 농도에 따라 반응할 시 발생되는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 및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부는,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로 공급되는 전해액을 펌핑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반응기 사이에는, 전해액이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연료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공급 방법에 의하면, 수소공급장치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할 시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해액이 공급될 시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해 공급하고, 이로 인해 반응기 내부에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이 용이하도록 반응기 내부에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수중함 내에 발생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 반응기의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 반응기의 평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 반응기의 측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 반응기의 평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는, 내측에 금속연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금속연료와 반응하기 위한 전해액이 공급되는 전해액 공급부(110)가 연결되는 반응기(100)가 구비된다. 상기 반응기(100)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에 금속연료 및 전해액이 서로 반응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연료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100)는,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고체인 금속연료는 보관탱크(130)로 이송되고, 전해액은 다시 전해액 공급부(110)로 이송되어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분리기(12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가 배출되는 수소 배출관(101)이 구비된다. 상기 보관탱크(130)로 이송된 금속연료는 일정량이 모아지면 다시 금속연료로 제조되거나 폐기된다. 이와 같이 소진되는 금속연료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반응기(100)의 일측에는 금속연료 공급부(160)가 연결되어 소진된 양 만큼의 금속연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해액 공급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이 반응기(100)로 유입될 시 스월(swirl)이 발생되도록 상기 반응기(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해액이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기(100)의 내측벽면을 향하여 전해액이 공급되어 보다 강력한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응기(100)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111)는 상부에서부터 전해액이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전해액이 공급되면서 반응기(100)의 내부의 전해액은 소용돌이 즉, 스월이 발생되어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혼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기(120)와 전해액 공급부(110)의 중간에는, 상기 반응기(100)에서 금속연료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전해액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1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반응기(100)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는 서로 반응하여 수소를 생성할 시 발열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해액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다시 반응기(100)로 유입시킬 시 이를 냉각하기 위하여 열교환기(140)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40)와 전해액 공급부(110)의 중간에는 열교환되어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해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반응기(100)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의 이물질을 상기 필터(150)를 통하여 걸러낸 뒤 순도 높은 전해액을 다시 반응기(100)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응기(100)는, 외측에 PH측정부(170)가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100) 내부의 촉매인 전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반응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반응기(100) 내부에는 전해액의 양 및 농도에 따라 금속연료와 반응하기 때문에 상기 PH측정부(170)를 통하여 수소의 생성량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반응기(100)는, 외측에 상기 반응기(100) 내부에서 전해액 및 금속연료가 전해액의 농도에 따라 반응할 시 발생되는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171) 및 온도 측정부(1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반응기(100) 내부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반응하면서 발생되는 열 및 압력을 측정하여 안정적으로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PH측정부(170), 압력 측정부(171) 및 온도 측정부(172)는 반응기(100) 내부에서 전해액과 금속연료가 서로 반응할 시 발생되는 발열반응, 반응 시 발생되는 반응기(100)의 내부의 압력 및 전해액의 농도 이 세 가지 사항을 모두 측정하면서 수소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보다 순도 높은 수소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수소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해액 공급부(110)는, 상기 열교환기(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100)로 공급되는 전해액을 펌핑하는 펌프(180) 및 상기 펌프(180) 및 반응기(100) 사이에는, 전해액이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냉각된 전해액이 다시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시 반응기(100) 내부에 있는 전해액의 양 및 농도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해액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 전해액 및 볼 형태의 금속연료를 투입하고, 구동시키게 되면, 반응기(100)의 내부의 전해액과 금속연료는 서로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수소는 수소 배출관(101)으로 배출되어 수중함의 연료로 사용이 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은 전해액 공급부(110)를 통하여 반응기(100)의 내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전해액 공급부(110)는 경사부(111)에 의해 상부에서부터 전해액이 낙하하면서 반응기의 내벽면을 향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전해액은 반응기(100)의 내벽면을 타고 일측벽면으로만 분사되는 형태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해액이 공급되면서 반응기(100)의 내부의 전해액은 스월이 발생되어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혼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수소 발생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밸브(181)의 개도를 조절하여 전해액이 공급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월의 정도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반응기(100)에서 전해액 및 금속연료가 서로 반응하면서 금속연료는 그 부피가 작아져 전해액과 같이 분리기(12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분리기(120)로 유입된 전해액과 금속연료 중 금속연료는 보관탱크(130)로 이송되어 모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해액은 다시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새로 투입되는 금속연료와 반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기(120)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은 반응기(100)에서 금속연료와 반응하면서 발열반응에 의해 온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전해액의 온도를 낮추고자 열교환기(140)를 거쳐 냉각되어 다시 반응기(100)로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응기(100)에서 배출된 금속연료는 금속연료 공급부(160)를 통하여 배출되는 양에 비례하여 반응기(1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반응기(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금속연료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소요된 만큼 금속연료 공급부(160)를 통하여 반응기(100)로 공급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금속연료의 소진으로 인해 수소발생장치의 구동을 멈추지 않아도 되므로 수소발생의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반응기 101 : 수소 배출관
110 : 전해액 공급부 111 : 경사부
120 : 분리기 130 : 보관탱크
140 : 열교환기 150 : 필터
160 : 금속연료 공급부 170 : PH측정부
171 : 압력 측정부 172 : 온도 측정부
180 : 펌프 181 : 조절밸브

Claims (11)

  1. 내측에 금속연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금속연료와 반응하기 위한 전해액이 공급되는 전해액 공급부(110)가 연결되는 반응기(100)로 구성되되,
    상기 전해액 공급부(110)는, 상기 전해액이 반응기(100)로 유입될 시 스월(swirl)이 발생되도록 상기 반응기(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해액이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111)는 상기 반응기(100)의 내측벽면을 향하여 전해액이 공급되어 보다 강력한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응기(100)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100)는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고체인 금속연료는 보관탱크(130)로 이송되고, 전해액은 다시 전해액 공급부(110)로 이송되어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분리기(12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전해액과 금속연료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가 배출되는 수소 배출관(101)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기(120)와 전해액 공급부(110)의 중간에는 상기 반응기(100)에서 금속연료와 반응하여 발열반응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전해액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140)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140)와 전해액 공급부(110)의 중간에는 열교환되어 반응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해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50)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100)는 외측에 PH측정부(170)가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100) 내부의 촉매인 전해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반응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반응기(100)는 외측에 상기 반응기(100) 내부에서 전해액 및 금속연료가 전해액의 농도에 따라 반응할 시 발생되는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171) 및 온도 측정부(172)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액 공급부(110)는 상기 열교환기(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100)로 공급되는 전해액을 펌핑하는 펌프(180)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180) 및 반응기(100) 사이에는, 전해액이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81)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연료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94661A 2016-07-26 2016-07-26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KR10261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61A KR102614409B1 (ko) 2016-07-26 2016-07-26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661A KR102614409B1 (ko) 2016-07-26 2016-07-26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97A KR20180011997A (ko) 2018-02-05
KR102614409B1 true KR102614409B1 (ko) 2023-12-14

Family

ID=6122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661A KR102614409B1 (ko) 2016-07-26 2016-07-26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4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502A (ja) * 2000-10-19 2002-05-09 Toyota Motor Corp 水素ガス生成システム
JP2002137903A (ja) * 2000-10-30 2002-05-14 Toyota Motor Corp 水素ガス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1782B2 (en) * 2002-09-16 2007-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as generation system
KR101336933B1 (ko) * 2011-03-31 2013-12-04 한국기계연구원 친환경적 마그네슘 수소화물을 사용한 군용 잠수함의 연료전지 시스템
KR101369891B1 (ko) * 2013-02-26 2014-03-25 박수규 흡착흡장 연료전지시스템.
KR101621615B1 (ko) 2014-07-02 2016-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502A (ja) * 2000-10-19 2002-05-09 Toyota Motor Corp 水素ガス生成システム
JP2002137903A (ja) * 2000-10-30 2002-05-14 Toyota Motor Corp 水素ガス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97A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933B1 (ko) 친환경적 마그네슘 수소화물을 사용한 군용 잠수함의 연료전지 시스템
US6945266B2 (en) Manifold for fuel cell system
KR20210010030A (ko) 암모니아의 탈수소화반응을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연료전지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CN109346746B (zh) 一种密闭空间用燃料电池的供氧装置以及供氧方法
KR101747560B1 (ko)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Gany et al. Compact electric energy storage for marine vehicles using on-board hydrogen production
KR102614409B1 (ko)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KR102579658B1 (ko) 수중운동체의 금속연료 수소발생시스템
CN211578889U (zh) 一种氢动力系统及潜航器
KR101291259B1 (ko) 소듐을 이용한 선박 추진 및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 장치
KR102589454B1 (ko) 수소 생산을 위한 금속 분말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KR102618261B1 (ko)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404B1 (ko) 수중함용 수소 공급 장치
KR102614408B1 (ko) 수중함의 수소발생장치
KR101845591B1 (ko) 수중운동체 개질시스템의 냉각장치 및 방법
KR20110099085A (ko) 전해 가연성 가스 생성 장치
US7976684B2 (en) Jacketed ultrasound system
KR102614407B1 (ko)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618262B1 (ko) 카트리지형 금속연료를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 시스템
KR102614400B1 (ko) 압력 평형이 유지되는 수중함의 수소발생장치
KR20200031847A (ko) 교반형 수소 생성 장치
KR20170047504A (ko) 수중운동체의 연료전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수중운동체
KR20170047505A (ko) 수중운동체의 이산화탄소 퍼징 시스템 및 방법
CN212503984U (zh) 一种制氢装置及电能控制系统
KR20180046817A (ko) 연료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