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560B1 -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60B1
KR101747560B1 KR1020150184303A KR20150184303A KR101747560B1 KR 101747560 B1 KR101747560 B1 KR 101747560B1 KR 1020150184303 A KR1020150184303 A KR 1020150184303A KR 20150184303 A KR20150184303 A KR 20150184303A KR 101747560 B1 KR101747560 B1 KR 10174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eawater
supplying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희
김창겸
송정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B63B2702/1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관리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 관리 유니트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관리 유니트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DRAIN MANAGEMENT UNIT AND FUEL CELL SYSTEM FOR SUBMAR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기독립추진(AIP, Air Independent Propulsion, 이하, 'AIP'라 칭함)시스템이 탑재된 잠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탄올을 개질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탄올을 개질 및 버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해수에 용해시키는 장치와 이를 함외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연료전지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 특히 군용 잠수함에 있어 에너지 저장수단으로서 배터리 이외에 AIP 시스템의 탑재가 증가하고 있다.
AIP 시스템은 크게 연료전지 방식(PEM Fuel Cell), 스털링(Sterling) 엔진 방식, MESMA(Module d'Energie Sous-Marine Autonome) 방식 및 폐회로 디젤엔진(CCD, Closed-Cycle Diesel engine) 방식을 갖는 4가지 종류가 있다.
AIP 시스템이란 대기중의 공기에 의존적이지 않는 추진체계로서, 원자력이 아니면서도 기존의 디젤잠수함 보다 잠항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추진 체계이며, AIP 시스템의 잠수함은 디젤 잠수함의 가장 취약점인 스노클 없이 임무해역에서 수 노트로 수주 동안 잠항 항해를 지속 할 수 있고 이러한 AIP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산소와 각 방식에 맞는 연료가 필요하다.
통상,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반응물(수소와 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로서 환경 조화성이 우수하고 높은 발전효율이 기대된다.
종래의 연료전지로 추진하는 시스템은 순수 수소(H2)를 금속화물에 저장하고, 산소(O2)는 액화산소(LOX Tank)탱크에 저장하여 발생되는 반응물인 물(H2O)은 함내 보상을 위해 저장하였다. 따라서, 함외부로 배출되거나 배출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 없었다.
그러나 금속화물에 저장되는 수소의 양은 한계가 있으며, 잠항 기간을 늘리는 데 제한적이었다. 이유는 잠항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소저장실린더를 설치해야 하는데, 실린더 설치로 함 길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실린더가 하부에 설치됨에 따라 착저가 불가능하며 함의 작전 운용성의 떨어짐에 따라, 단위 중량당 수소 저장량이 많은 탄화수소계 화물(에탄올, 메탄올, 가솔린,디젤 등) 을 개질하여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개질형 연료전지시스템의 개발이 대두 되었다.
개질형 연료전지시스템은 탄화수소계 화물을 개질하는데, 개질되는 연료는 보통 에탄올, 메탄올, 디젤이 있으며, 개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료가 개질 온도로 맞춰주고, 적절한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때 온도를 맞춰 주기 위해 버너가 사용되며, 버너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CO2)가 발행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이산화탄소(CO2)를 함 외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료의 개질 온도는 에탄올이 800~900도, 메탄올이 350~400도, 디젤이 850~950도 정도에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CO2)를 함외로 배출하는 방식은 나머지 스텔링엔진, 메스마, 폐회로 디젤엔진 방식도 동일하기 때문에 함께 적용이 가능하다.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특허출원 제10-2013-01531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질기(버너포함)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해수에 녹이고,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배수 관리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 관리 유니트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버너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버너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무시켜, 상기 다른 해수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기와, 상기 본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관리부는, 고압의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1팽창 탱크와, 상기 본체로부터 용해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2팽창 탱크와, 상기 제 1팽창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상기 제 2팽창 탱크로 공급하는 해수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고온 고압의 분위기에서, 에탄올을 촉매와 반응시켜 수소를 개질하도록 버너를 갖는 개질기와; 연료 전지 모듈에 수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에탄올을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에탄올 탱크와; 상기 개질기에서 개질된 수소, 이산화탄소 및 물 중, 상기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 모듈로 공급하고, 이외 수소, 이산화탄소를 분리기를 통해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수소 정화기와; 상기 버너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상기 버너에서 나온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에탄올을 가열하는 제 1에탄올 공급 열교환기와, 상기 개질기를 통해 개질된 가스를 상기 수소정화기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공급하는 제 2에탄올 공급 열교환기와, 상기 버너에서 나올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스팀으로 전환시켜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상기 연료 전지 모듈에서 생성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물을 개질기에 상기 공급하는 반응수 탱크와, 상기 연료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반응수를 저장하는 보상 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수 탱크는, 잉여 된 물을 함내 보상을 위해 상기 에탄올 탱크와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 탱크는, 상기 에탄올 탱크에 설정된 최대양으로 저장하고, 남는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상기 개질기의 내부를 퍼징하는 불활성가스탱크와, 상기 버너에서 요구되는 유량 및 압력을 공급하고, 블로어를 사용하여 상기 개질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산소공급 블로어와, 상기 반응수 탱크에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에탄올 탱크로 공급하는 제 1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의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로 공급하는 제 2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로부터 상기 개질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용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버너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버너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무시켜, 상기 다른 해수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기와, 상기 본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관리부는, 고압의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1팽창 탱크와, 상기 본체로부터 용해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2팽창 탱크와, 상기 제 1팽창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상기 제 2팽창 탱크로 공급하는 해수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버너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을 갖는 잠수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을 갖는 잠수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1)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고온 고압의 분위기에서, 에탄올을 촉매와 반응시켜 수소를 개질하도록 버너(110)를 갖는 개질기(100)와, 연료 전지 모듈에 수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에탄올을 상기 버너(100)로 공급하는 에탄올 탱크(200)와, 상기 개질기(100)에서 개질된 수소, 이산화탄소 및 물 중, 상기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 모듈로 공급하고, 이외 수소, 이산화탄소를 분리기를 통해 상기 버너(110)로 공급하는 수소 정화기(300)와, 상기 버너(110)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와,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질기(100)는 Steam reforming 방식으로 에탄올과 수증기를 적절히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여기서, 공급되는 에탄올과 수증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최대한 예열하여 효율을 높여 줄 수 있다.
상기 개질기(100)의 촉매로는 Precious metal이 사용되고, 이에 따른 예로 Palladium, platinum based 계열 혹은 Copper based 계열이 사용된다.
상기 개질기(100)의 내부 온도는 약 770~800도 사이에 운용이 된다.
개질은 크게 수증기개질(SMR), 부분산화, 자열 재질로 구분된다. 보통 수증기 개질은 개질 효율이 높으며, 높은 수소 농도(75% 이상)를 가지고 있는 반면수증기와 연료의 혼합이 필요하며, 반응 평형에 느리게 도달하는 단점이 있다.
자열개질(ATR)은 반응 평형에 빠르게 도달하고 열관리가 용이하나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잠수함과 같은 공기를 사용하지 못하는(밀폐된 장소) 연료전지의 경우 고순도의 수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증기 개질을 이용하여 개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버너(110)에서 나온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에탄올을 가열하는 제 1에탄올 공급 열교환기를 갖는다.
상기 개질기(100)를 통해 개질된 가스를 상기 수소정화기(300)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공급하는 제 2에탄올 공급 열교환기와, 상기 버너(110)에서 나올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스팀으로 전환시켜 상기 개질기(100)에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 전지 모듈에서 생성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물을 개질기(100)에 상기 공급하는 반응수 탱크와, 상기 연료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반응수를 저장하는 보상 탱크가 설치된다.
상기 반응수 탱크는, 잉여 된 물을 함내 보상을 위해 상기 에탄올 탱크(200)와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한다.
상기 보상 탱크는, 상기 에탄올 탱크(200)에 설정된 최대양으로 저장하고, 남는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질기(100)의 내부는 불활성가스탱크에 의해 퍼징된다.
상기 버너(110)에서 요구되는 유량 및 압력을 공급하고, 블로어를 사용하여 상기 개질기(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산소공급 블로어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반응수 탱크에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에탄올 탱크(200)로 공급하는 제 1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의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로 공급하는 제 2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로부터 상기 개질기(100)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용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MS Inlet 해수 펌프을 갖고, 이는 이산화탄소를 해수에 용해시키기 위해 외부의 해수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공급한다.
또한, WMS Outlet 해수 펌프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함 외부로 내 보내는 펌프이다.
또한, 본 발명은 CO2제거용 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이는 이산화탄소를 용해 시키기 전 온도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제거부(400)에 공급하는 역할과 버너(110)에서 생산 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는, 상기 버너(110)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관(411)과,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버너(110)로 배출하는 배출관(412)을 갖는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분무시켜, 상기 다른 해수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기(420)와, 상기 본체(4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430)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배수 관리부(500)는, 함 외부로 해수가 펌프에 의해 공급될 때부터 일반 해수를 제 1팽창 탱크(530)에 공급하거나, 제 2팽창 탱크(540)의 저장된 일반 해수를 이산화탄소 제거부(400)로 공급하는 해수 공급 밸브(510)와, 고압의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해수를 상기 본체(410)로 공급하는 제 1팽창 탱크(530)와, 상기 본체(41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410)로 공급하는 제 2팽창 탱크(540)와, 상기 제 1팽창 탱크(530)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본체(41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상기 제 2팽창 탱크(540)로 공급하는 해수 배출 밸브(520)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이의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버너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개질기
110: 버너
200: 에탄올 탱크
300: 수소 정화기
400: 이산화탄소 제거부
500: 배수 관리부

Claims (9)

  1. 버너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버너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버너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무시켜, 상기 다른 해수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기와,
    상기 본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 관리부는, 고압의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1팽창 탱크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2팽창 탱크와,
    상기 제 1팽창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상기 제 2팽창 탱크로 공급하는 해수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관리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고온 고압의 분위기에서, 에탄올을 촉매와 반응시켜 수소를 개질하도록 버너를 갖는 개질기;
    연료 전지 모듈에 수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에탄올을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에탄올 탱크;
    상기 개질기에서 개질된 수소, 이산화탄소 및 물 중, 상기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 모듈로 공급하고, 이외 수소, 이산화탄소를 분리기를 통해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수소 정화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해수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외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해수를 저장하고, 다른 해수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공급하는 배수 관리부;
    상기 버너에서 나온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에탄올을 가열하는 제 1에탄올 공급 열교환기;
    상기 개질기를 통해 개질된 가스를 상기 수소정화기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공급하는 제 2에탄올 공급 열교환기; 및
    상기 버너에서 나올 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스팀으로 전환시켜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상기 연료 전지 모듈에서 생성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물을 개질기에 상기 공급하는 반응수 탱크와,
    상기 연료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반응수를 저장하는 보상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반응수 탱크는, 잉여 된 물을 함내 보상을 위해 상기 에탄올 탱크와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하고,
    상기 보상 탱크는, 상기 에탄올 탱크에 설정된 최대양으로 저장하고, 남는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는,
    상기 개질기의 내부를 퍼징하는 불활성가스탱크와,
    상기 버너에서 요구되는 유량 및 압력을 공급하고, 블로어를 사용하여 상기 개질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산소공급 블로어와,
    상기 반응수 탱크에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에탄올 탱크로 공급하는 제 1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의 저장된 반응수를 상기 보상 탱크로 공급하는 제 2반응수 처리 펌프와,
    상기 반응수 탱크로부터 상기 개질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용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버너로부터 상기 물과 상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용해되지 않은 이산화탄소를 상기 버너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무시켜, 상기 다른 해수에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분무기와,
    상기 본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관리부는, 고압의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1팽창 탱크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고, 상기 다른 해수를 상기 본체로 공급하는 제 2팽창 탱크와,
    상기 제 1팽창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를 상기 제 2팽창 탱크로 공급하는 해수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KR1020150184303A 2015-12-22 2015-12-22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KR10174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03A KR101747560B1 (ko) 2015-12-22 2015-12-22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03A KR101747560B1 (ko) 2015-12-22 2015-12-22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560B1 true KR101747560B1 (ko) 2017-06-14

Family

ID=5921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03A KR101747560B1 (ko) 2015-12-22 2015-12-22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5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783A (ko) 2019-04-23 2020-11-04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 시스템의 산소라인용 보상기
KR20200129214A (ko) 2019-05-07 2020-11-18 이덕재 해수 유입 차단이 가능한 잠수함 연료전지용 산소탱크 연결 수급구
KR20200138520A (ko) * 2019-05-30 2020-12-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200138521A (ko) * 2019-05-30 2020-12-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196113B1 (ko) 2019-06-26 2020-12-30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 산소 공급장치의 선체밸브세트용 유도구
KR102196108B1 (ko) 2019-06-26 2020-12-30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용 산소 공급 시스템에서 글로브밸브를 이용한 보상기 교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07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항해중의 배기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KR100558908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응물탱크의 공유구조를 갖는 잠수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07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항해중의 배기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KR100558908B1 (ko) * 2005-02-17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응물탱크의 공유구조를 갖는 잠수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783A (ko) 2019-04-23 2020-11-04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 시스템의 산소라인용 보상기
KR20200129214A (ko) 2019-05-07 2020-11-18 이덕재 해수 유입 차단이 가능한 잠수함 연료전지용 산소탱크 연결 수급구
KR20200138520A (ko) * 2019-05-30 2020-12-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200138521A (ko) * 2019-05-30 2020-12-1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200371B1 (ko) * 2019-05-30 2021-01-0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204838B1 (ko) * 2019-05-30 2021-01-2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메탄올 개질 시스템, 이산화탄소 흡수식 탱크 시스템, 연료 및 반응수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196113B1 (ko) 2019-06-26 2020-12-30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 산소 공급장치의 선체밸브세트용 유도구
KR102196108B1 (ko) 2019-06-26 2020-12-30 이덕재 잠수함 연료전지용 산소 공급 시스템에서 글로브밸브를 이용한 보상기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560B1 (ko) 배수 관리 유니트 및 이를 갖는 잠수함용 연료 전지 발전 장치
RU25523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для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содержащее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US7264897B2 (en) Fuel cell system
KR101755379B1 (ko) 잠수함용 연료 개질 시스템
KR101225994B1 (ko) 연료전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47864B1 (ko) 선박의 연료 전지 시스템용 불활성 가스 퍼징 시스템
KR102655872B1 (ko) 고압연소시스템을 이용한 연료 개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KR101421355B1 (ko) 연료 가습기
KR101584561B1 (ko) 연료전지 잠수함의 추진 시스템 및 추진 방법
JP6486649B2 (ja) 複合発電システム及び複合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355135B2 (ja) 燃料電池発電設備
KR20200061061A (ko) 수중운동체의 연료전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KR101906183B1 (ko) 잠수함용 개질기 시스템
JP2009032406A (ja) 燃料電池装置
JP2004281393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US20090011296A1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KR102337299B1 (ko) 수중무기체계용 연료전지 시스템
KR101358129B1 (ko) 연료전지 배기가스 응축장치
KR101696550B1 (ko) 선박
KR20190130779A (ko) 팔라듐 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479710B1 (ko) 연료개질기 부산물로부터 산화제 생성이 가능한 연료전지 추진시스템
US20210184238A1 (en) Fuel cell system for submarine using selective oxidation reaction
KR102401601B1 (ko) 메탄올 수증기 개질 플랜트의 열 관리 시스템 및 열 관리 방법
KR20240055460A (ko) 모바일용 에너지공급시스템 및 방법
JP2007197271A (ja) 燃料改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