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367B1 - 다관절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관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367B1
KR102614367B1 KR1020210165534A KR20210165534A KR102614367B1 KR 102614367 B1 KR102614367 B1 KR 102614367B1 KR 1020210165534 A KR1020210165534 A KR 1020210165534A KR 20210165534 A KR20210165534 A KR 20210165534A KR 102614367 B1 KR102614367 B1 KR 10261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insertion hole
frame
fixt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103A (ko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이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형 filed Critical 이기형
Priority to KR102021016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제품을 거치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거치대의 방향 및 위치와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거치대 부품의 공용화로 호환성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대한 거치를 위한 조작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대 부품의 조립 방향을 및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 회전 및 부품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힌지핀의 지지판 형상을 변경하여 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시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의 부시를 제거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관절 거치대{A SUPPORTING DEVICE HAVING MULTI JOINTS}
본 발명은 다관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자제품을 거치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거치대의 방향 및 위치와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거치대 부품의 공용화로 호환성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대한 거치를 위한 조작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대 부품의 조립 방향을 및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 회전 및 부품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힌지핀의 지지판 형상을 변경하여 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시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의 부시를 제거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레이저 스캐너(LASER SCANNER), 데이터 스위치(DATA SWITCH), 세이프티 레이더(SAFETY RADAR) 및 부품을 거치 또는 부품을 교체할 때 거치대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로 제품들을 거치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하나의 프레임 위주의 단순한 거치 방식으로 인해 단순 거치 이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어 사용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수의 프레임을 통해 거치대를 제작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의 상호 간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 중심적인 사용은 가능하나 고정상태가 오래 유지되지 않으며, 온도 또는 습도 및 외부의 진동에 따라 각 프레임간의 고정이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금속 재질의 브라켓에 체결공의 위치가 제한되어 설치 장소 및 제품 체결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거치대 링크는 고정핀과 부시, 암으로 구성되어 고정핀의 선단부 양측에 수직면을 형성하고, 부시 내측에 고정핀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형성하여 회전을 방지하도록 사용되어 있으나 반복 작업시 고정핀의 수직면과 부시의 밀착면이 마모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그 구성이 복잡하여 원가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내구성이 향상되어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오랫동안 유지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장소에 제품 체결에 제한이 없는 거치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28873호(2015. 06. 09.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65526호(2013. 05. 13.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제품을 거치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거치대의 방향 및 위치와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한느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대 부품의 공용화로 호환성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대한 거치를 위한 조작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대 부품의 조립 방향을 및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 회전 및 부품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핀의 지지판 형상을 변경하여 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시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부시를 제거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이붙이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고정 능력을 향상시켜 거치시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다관절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브라켓 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 몸체(100)의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 삽입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120)의 브라켓 몸체(110) 일측에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볼트 머리 삽입홈(130)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 몸체(110)에 관통되어 전자제품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체결공(140)이 구비되는 거치대 브라켓(100); 원통형의 핀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핀 몸체(210)의 상부 중앙에는 핀 나사홈(220)이 구비되고, 상기 핀 몸체(210)의 하부에 핀 몸체(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 지지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핀 지지판(230)의 일측에 직선을 이루도록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구비되는 힌지핀(200);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구 몸체(310)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는 제 1핀 삽입공(3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몸체(310)의 일측면에 거치대 브라켓(100)의 복수 개의 볼트 삽입공(120)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구 나사홈(330)이 구비되어 거치대 브라켓(100)에 결합되는 브라켓 고정구(300);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몸체(410)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몸체(410)의 양측에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는 제 2핀 삽입공(420)이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400); 상기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수직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 핀 삽입공(51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평으로 삽입되는 수평 핀 삽입공(520)이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500);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수평 핀 삽입공(520)에 핀 몸체(210)가 삽입된 힌지핀(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핀 나사홈(22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힌지고정볼트(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는 제 1핀 삽입공(320)의 고정구 몸체(310) 하부에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고정구 나사홈(330) 방향으로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구 지지턱(34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400)은 일측 제 2핀 삽입공(420)의 프레임 몸체(410) 일측에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턱(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진동에 의해 연결 프레임(400)과 회동 프레임(500)이 힌지핀(200)으로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사이와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과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사이에 각각 힌지핀(20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이붙이 와셔(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는 다양한 전자제품을 거치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거치대의 방향 및 위치와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대 부품의 공용화로 호환성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대한 거치를 위한 조작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대 부품의 조립 방향을 및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 회전 및 부품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핀의 지지판 형상을 변경하여 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시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부시를 제거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이붙이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고정 능력을 향상시켜 거치시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관절 거치대 구조는 일반인들로서도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힌지핀과 힌지고정볼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브라켓 고정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연결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브라켓(100), 힌지핀(200), 브라켓 고정구(300), 연결 프레임(400), 회동프레임(500), 힌지고정볼트(60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 브라켓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브라켓 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 몸체(100)의 중앙에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 삽입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120)의 브라켓 몸체(110) 일측에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볼트 머리 삽입홈(130)이 구비되며, 도 2에서 상측에 위치한 브라켓 몸체(110)에는 관통되어 전자제품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체결공(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핀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핀 몸체(210)의 상부 중앙에는 핀 나사홈(220)이 구비되고, 상기 핀 몸체(210)의 하부에 핀 몸체(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 지지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핀 지지판(230)의 일측에 직선을 이루도록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구비된다.
또한 브라켓 고정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구 몸체(310)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는 제 1핀 삽입공(3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몸체(310)의 일측면에 거치대 브라켓(100)의 복수 개의 볼트 삽입공(120)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구 나사홈(330)이 구비되어 거치대 브라켓(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핀 삽입공(320)의 고정구 몸체(310) 하부에는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고정구 나사홈(330) 방향으로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구 지지턱(3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몸체(410)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몸체(410)의 양측에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는 제 2핀 삽입공(420)이 구비된다.
이때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은 프레임 몸체(410)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도록 실시될 수 있고,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은 프레임 몸체(410)의 일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고, 프레임 몸체(410)의 타측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실시할 수 있으며, 프레임 몸체(410)는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의 프레임 몸체(410) 일측에는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 지지턱(430)이 구비된다.
회동 프레임(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수직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 핀 삽입공(51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평으로 삽입되는 수평 핀 삽입공(5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수평 핀 삽입공(520)에 핀 몸체(210)가 삽입된 힌지핀(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핀 나사홈(220)에 나사결합되도록 힌지고정볼트(60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관절 거치대는 외부의 진동에 의해 연결 프레임(400)과 회동 프레임(500)이 힌지핀(200)으로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사이와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과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사이에 각각 힌지핀(200)이 삽입되도록 이붙이 와셔(7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관절 거치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 몸체(310)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구 나사홈(330)을 거치대 브라켓(100)의 복수 개의 볼트 삽입공(120)과 일치되도록 브라켓 몸체(1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반대편 즉 볼트머리 삽입홈(130) 방향에서 고정구 나사홈(330)에 나사결합하여 거치대 브라켓(100)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고정구 몸체(310)에 구비된 고정구 지지턱(340)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결합하며, 볼트는 볼트머리가 볼트머리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브라켓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제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브라켓(100)에도 브라켓 고정구(300)를 결합하되 고정구 지지턱(340)이 하부가 아니라 측면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 고정구(300)가 결합된 거치대 브라켓(100)을 설치 프레임(800)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브라켓 몸체(110)를 밀착시키고 브라켓 몸체(110)에 구비된 체결공(140)에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의 상부에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 몸체(410)를 이송시킨 후 고정구 몸체(310) 상부와 프레임 몸체(410) 하부 사이에 이붙이 와셔(700)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구 몸체(310)의 하부로부터 제 1핀 삽입공(320)으로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를 삽입하되 핀 지지판(230) 일측에 구비된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고정구 지지턱(340)에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핀 몸체(210)가 이붙이 와셔(700)를 관통하여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으로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상부에서 힌지고정볼트(600)를 힌지핀(200)의 나사홈(220)에 나사결합하면 브라켓 고정구(300)와 연결 프레임(400)의 프레임 몸체(410) 일측이 결합된다.
이때 힌지고정볼트(600)를 힌지핀(200) 나사홈(220)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시켜도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 일측에 구비된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브라켓 고정구(300)의 고정구 지지턱(340)에 밀착되어 핀 몸체(21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에 회전방지 지지면(240)을 구비함으로써 힌지핀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힌지고정볼트(600) 체결시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이 브라켓 고정구(300)와 결합된 연결 프레임(400)의 타측 제 2핀 삽입공(420)에 다른 연결 프레임(400)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400)은 설치 장소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1단 또는 2단, 3단 등 다단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연결된 끝단부에 위치한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의 상부에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을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시킨 후 제 2핀 삽입공(420)과 수직 핀 삽입공(510) 사이에 이붙이 와셔(700)를 삽입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핀(200)과 힌지고정볼트(600)를 결합한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500)의 수평 핀 삽입공(520)의 일측에 브라켓 고정구(300)의 고정구 지지턱(340)이 측면에 위치되도록 힌지핀(200)과 힌지고정볼트(600)로 결합하며 브라켓 고정구(300)의 고정 나사홈(300)과 거치대 브라켓(100)의 볼트 삽입공(130)을 이용하여 거치대 브라켓(100)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치대 브라켓(100)의 전면에 체결공(140)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900)을 체결하여 거치하면 된다.
한편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대 설치프레임(800)에 다관절 거치대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브라켓(100)을 거치대 설치프레임(800)에 알맞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브라켓 고정구(300)를 결합하면 용이하게 다관절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400)의 상향 계단식이 아닌 측면을 기준으로 상하 지그재그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하여 전자제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브라켓(100)의 상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관절 거치대 다양한 전자제품을 거치대 브라켓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거치대의 방향 및 위치와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거치대 부품의 공용화로 호환성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대한 거치를 위한 조작이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대 부품의 조립 방향을 및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 회전 및 부품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종래의 부시를 제거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브라켓 고정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이붙이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고정 능력을 향상시켜 거치시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100 : 거치대 브라켓
110 : 브라켓 몸체 120 : 볼트 삽입공
130 : 볼트머리 삽입홈 140 : 체결공
200 : 힌지핀
210 : 핀 몸체 220 : 핀 나사홈
230 : 핀 지지판 240 : 회전방지 지지면
300 : 브라켓 고정구
310 : 고정구 몸체 320 : 제 1핀 삽입공
330 : 고정구 나사홈 340 : 고정구 지지턱
400 : 연결 프레임
410 : 프레임 몸체 420 : 제 2핀 삽입공
430 : 프레임 지지턱
500 : 회동 프레임
510 : 수직 핀 삽입공 520 : 수평 핀 삽입공
600 : 힌지고정볼트
700 : 이붙이 와셔

Claims (6)

  1.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볼트 삽입공(120)이 구비된 복수의 거치대 브라켓(100);
    원통형의 핀 몸체(210)가 구비되며, 상기 핀 몸체(210)의 상부 중앙에는 핀 나사홈(220)이 구비되고, 상기 핀 몸체(210)의 하부에 핀 몸체(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 지지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핀 지지판(230)의 일측에 직선을 이루도록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구비되는 힌지핀(200);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구 몸체(310)가 구비되며,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는 제 1핀 삽입공(3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몸체(310)의 일측면에 거치대 브라켓(100)의 복수 개의 볼트 삽입공(120)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구 나사홈(330)이 구비되어 별도의 볼트가 상기 볼트 삽입공(120)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구 나사홈(330)에 체결됨으로써 거치대 브라켓(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 고정구(300);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몸체(410)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몸체(410)의 양측에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핀 삽입공(420)이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400);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 프레임(400)의 일측 제 2핀 삽입공(420)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 핀 삽입공(51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400)과 연결되며, 타측에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힌지핀(200)의 핀 몸체(210)가 수평으로 삽입되는 수평 핀 삽입공(520)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와 연결되는 회동 프레임(500);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수평 핀 삽입공(520)에 핀 몸체(210)가 삽입된 힌지핀(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핀 나사홈(22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힌지고정볼트(6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고정구(300)는 제 1핀 삽입공(320)의 고정구 몸체(310) 하부에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고정구 나사홈(330) 방향으로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구 지지턱(340)을 포함하며,
    외부의 진동에 의해 연결 프레임(400)과 회동 프레임(500)이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브라켓 고정구(300)의 제 1핀 삽입공(320)과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 사이와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과 회동 프레임(500)의 수직 핀 삽입공(510) 사이에 각각 힌지핀(20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이붙이 와셔(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거치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400)은
    일측 제 2핀 삽입공(420)의 프레임 몸체(410) 일측에 힌지핀(200)의 핀 지지판(230)이 밀착되어 지지되며, 회전방지 지지면(240)이 밀착되어 핀 몸체(21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턱(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400)의 제 2핀 삽입공(420)은
    프레임 몸체(410)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거치대.
  5. 삭제
  6. 삭제
KR1020210165534A 2021-11-26 2021-11-26 다관절 거치대 KR10261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34A KR102614367B1 (ko) 2021-11-26 2021-11-26 다관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34A KR102614367B1 (ko) 2021-11-26 2021-11-26 다관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03A KR20230078103A (ko) 2023-06-02
KR102614367B1 true KR102614367B1 (ko) 2023-12-19

Family

ID=8675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34A KR102614367B1 (ko) 2021-11-26 2021-11-26 다관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757A1 (en) * 2003-01-09 2004-08-19 Decade Industries, Inc. D/B/A Sanus Systems Articulated mount
US20060261228A1 (en) * 2005-05-20 2006-11-23 Chin-Jui Hung Monitor-holding device
US20170325584A1 (en) * 2016-05-10 2017-11-16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Articulating ergonomic support ar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26B1 (ko) 2011-01-13 2013-05-20 (주) 에스문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KR101528873B1 (ko) 2013-12-31 2015-06-16 (주)에이스 힌지텍 관절형 거치대
KR20160013728A (ko) * 2014-07-28 2016-02-05 (주)케이엠하이테크 영상기기용 벽걸이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757A1 (en) * 2003-01-09 2004-08-19 Decade Industries, Inc. D/B/A Sanus Systems Articulated mount
US20060261228A1 (en) * 2005-05-20 2006-11-23 Chin-Jui Hung Monitor-holding device
US20170325584A1 (en) * 2016-05-10 2017-11-16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Articulating ergonomic support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03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872B2 (en) Shelf assembly
US20020190172A1 (en) Configurable mount for a peripheral device
CN101039447A (zh) 网络机柜
EP2405089A2 (en) Door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614367B1 (ko) 다관절 거치대
JP2005323040A (ja) カメラ取付装置
CN102014699A (zh) 具有高度调节装置的家用器具
JP2006208834A (ja) 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収容構造体
EP2211081A1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display panel
CN2904505Y (zh) 电视挂架
CN217153728U (zh) 一种调节组件以及具有该调节组件的显示器支架
KR102446245B1 (ko)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200209456Y1 (ko) Pdp 텔레비젼의 벽걸이장치
KR200277264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101035539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지지장치
CN217422855U (zh) 一种单屏双节摇臂拉簧臂桌面支架
JP3708361B2 (ja) 換気扇
KR200279075Y1 (ko) 모니터용 천장걸이
US20060137185A1 (en) Frame for mounting a lift device for a video display in an article of furniture
JP4582925B2 (ja) 分電盤の内扉取り付け構造
KR200297193Y1 (ko) 냉동냉장고 도어용 상부힌지
JPH023311Y2 (ko)
JPH02218273A (ja) カメラハウジング
JPH0328686Y2 (ko)
JP2955269B1 (ja) 被支持体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