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636B1 -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636B1
KR102613636B1 KR1020210105788A KR20210105788A KR102613636B1 KR 102613636 B1 KR102613636 B1 KR 102613636B1 KR 1020210105788 A KR1020210105788 A KR 1020210105788A KR 20210105788 A KR20210105788 A KR 20210105788A KR 102613636 B1 KR102613636 B1 KR 10261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re
chain module
cha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920A (ko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21010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6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3Power-transmitting endless elements, e.g. belt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코어부를 형성하는 코어체인모듈;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케이블 수용부;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피감지체; 상기 코어부와 이격배치되며, 상기 피감지체를 감지하여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작동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예측이 가능하며, 수용되는 케이블의 수 증가에 대응하여 확장 가능한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CABLE GUIDE CHAIN POSSIBLE PREDICTING LIFE CYCLE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예측이 가능하며, 수용되는 케이블의 수 증가에 대응하여 확장 가능한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내하기 위하여 자동화 라인 등에 사용된다.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사용시에는 직선 구간을 형성하기도 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구간을 형성하면서 사용된다.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하나의 링크체가 연속하여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링크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벤드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체의 사이드밴드가 서로 연속하도록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가지면서 동작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링크체가 직선 및 곡선 구간으로 변형되면서 동작할 때, 각각의 사이드밴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마찰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체의 마찰은 실질적으로 마모를 발생시켜서 분진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이블 체인에서, 마모에 의하여 분진이 발생하게 되면, 클린룸과 같은 환경 또는 식품 등과 관련된 환경 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5193호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체가 연속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후방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홈은 판상의 연결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 가능영역을 각각 구비하며;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케이블의 수량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경우가 많아 기존의 케이블 체인의 경우 이미 지정된 공간으로 지정된 수량의 범위 내에서 케이블을 가이드할 수 밖에 없어 케이블 수량에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편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된 작동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반복적인 가이드 된 움직임이 발생하며 이는 케이블의 마모의 원인이 된다. 이 때,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의 수명이 서로 상이한 바, 각 케이블의 수명을 진단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5088호 "에너지 체인을 작동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3191호 "마모 감지 기능을 갖는 에너지 가이딩 체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41740호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위치 및/또는 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0941호 "에너지 체인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한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교체시기)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내부에 수용되어 이동이 가이드되는 케이블의 수 증가에 대응하여 확장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코어부를 형성하는 코어체인모듈;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케이블 수용부;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피감지체; 상기 코어부와 이격배치되며, 상기 피감지체를 감지하여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작동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감지체는 서로 이격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피감지체를 모두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체인모듈은, 후단 상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구;와, 전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기 제1삽입구가 삽입 체결되는 제1수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체인모듈은, 전단 하부에 형성되는 제2삽입구;와, 후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기 제2삽입구가 삽입 체결되는 제2수용구;와, 상기 제2삽입구와 상기 제1수용구 사이에 형성되며 탄력밴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삽입구와 상기 제2수용구 사이에 형성되며 탄력밴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돌출 삽입구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착탈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출 삽입구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도록,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착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착탈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착탈몸체의 상기 돌출 삽입구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확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몸체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체인모듈이 상기 착탈몸체에 삽입 시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은 연통되고,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에 걸쳐져 삽입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한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교체시기)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의 교체시기가 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감지체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센서부는 한 쌍의 피감지체 모두가 감지되어야 1회의 작동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확도가 증가된다.
또한, 케이블 수용부는 삽입 착탈을 통한 확장성을 보유하여 케이블의 수량에 대응하여 케이블 수용부의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수용구와 삽입구를 통해 코어체인모듈 간의 결합이 용이하며, 단일의 코어체인모듈 만으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을 형성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제작공정의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를 통해 코어체인모듈과 케이블 수용부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코어체인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케이블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은,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예측이 가능하며, 수용되는 케이블의 수 증가에 대응하여 확장 가능한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1000)은, 코어체인모듈(100)과, 케이블 수용부(200)와, 이탈방지부(300)와, 피감지체(400)와, 센서부(500) 및 알림제공부(6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코어체인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코어체인모듈(100)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코어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코어체인모듈(100)은 전단면과 후단면이 사선 형태로 깍여진 모습을 형성하며, 외측부가 내측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평상태의 배치와 회전각도 단속을 가능하게 한다.
코어체인모듈(100)은 제1삽입구(110)와, 제1수용구(120)와, 제2삽입구(130)와, 제2수용구(140)와,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과, 착탈홈(180)과, 제1고정홈(190)이 형성된다.
제1삽입구(110)는 코어체인모듈(10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된다. 이 때 코어체인모듈(100)이 사선형태로 깍여진 모습임에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1수용구(120)는 코어체인모듈(100)의 전단 상부에 형성된다. 제1수용구(120)는 제1삽입구(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코어체인모듈(100)의 제1삽입구(110)가 삽입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체인모듈(100)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는데, 각각의 코어체인모듈(100)의 제1삽입구(110)는 연결되는 코어체인모듈(100)의 제1수용구(120)에 삽입된다.
제2삽입구(130)는 코어체인모듈(100)의 전단 하부에 형성된다.
제2수용구(140)는 코어체인모듈(100)의 후단 하부에 형성된다. 제2수용구(140)는 제2삽입구(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코어체인모듈(100)의 제2삽입구(130)가 삽입 체결된다.
코어체인모듈(100)이 수평상태로 배치된 경우 제2삽입구(130)의 전단은 제2수용구(140)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며, 회전하는 경우 제2삽입구(130)의 전단은 제2수용구(140)의 내면과 접촉되어 코어체인모듈(100)의 회전범위를 구속시킨다.
또는 코어체인모듈(100)이 수평상태에서 회전을 하면, 제2수용구(140)의 내부로 제2삽입구(130)가 삽입되는데, 이 때 제2삽입구(130)의 후방에 제2수용구(14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간섭부재를 형성하여, 제2수용부와 간섭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회전범위를 구속시킬 수도 있다.
결합홈은 탄력밴드(700)가 삽입되어 코어체인모듈(100) 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을 포함한다.
제1결합홈(150)은 코어체인모듈(100)의 전단에 형성되며 제2삽입구(130)와 제1수용구(120) 사이에 형성된다. 제2결합홈(160)은 코어체인모듈(100)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1삽입구(110)와 제2수용구(140) 사이에 형성된다. 코어체인모듈(100)이 서로 연결되면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탄력밴드(700)가 각각 삽입된다. 즉, 탄력밴드(700)의 일단부는 제1결합홈(150)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제2결합홈(160)에 삽입되어 코어체인모듈(100)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도록 한다.
이 때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은 밴드 수용홈(170)으로부터 내측으로 더욱 파여져 형성된 것이며, 코어체인모듈(100)이 서로 연결되면 밴드 수용홈(170)이 서로 연통되어 원형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탄력밴드(700)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코어체인모듈(100)이 회전할 때 탄력밴드(700)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밴드 수용홈(170)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은 밴드 수용홈(170)과 연통하고, 탄력밴드(700)는 양단부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은 양단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에 각각 삽입되며 연결부분은 밴드 수용홈(170) 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제1결합홈(150)과 제2결합홈(1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분이 밴드 수용홈(170) 상에서 자유롭게 변형된다.
착탈홈(180)은 케이블 수용부(200)가 보다 견고하게 코어체인모듈(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코어체인모듈(10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착탈홈(180)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하단은 마감되며 상단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제1고정홈(190)은 코어체인모듈(10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1고정홈(190)은 이탈방지부(300)재가 끼워지는 영역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케이블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블 수용부(200)는 복수 개의 착탈몸체(21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착탈몸체(210)는 전후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는 가이드공(220)이 형성된다. 즉, 4면이 폐쇄되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4면의 내부에 가이드공(220)이 형성된다.
돌출삽입구(230)는 착탈몸체(210)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착탈홈(180)과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착탈홈(180)에 슬라이딩을 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착탈몸체(210)의 타측면에는 착탈홈(18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착탈몸체(210)의 돌출삽입구(230)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확장홈(240)이 형성된다. 즉, 착탈몸체(210)에 형성된 돌출삽입구(230)를 다른 착탈몸체(210)의 확장홈(240)에 결합함으로써 용이한 확장이 가능하다. 이 때 확장홈(240)은 착탈홈(18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하단은 마감되며 상단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착탈몸체(210)가 4면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케이블을 가이드공(220)에 관통 안착시킬 때 전후 방향으로만 장착이 가능함으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착탈몸체(210)를 분리 형성시켜, 제1몸체(211)는 양측면과 하부가 폐쇄되고, 제2몸체(212)는 양측면과 상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몸체(211)를 돌출삽입구(230)에 장착하고, 이후 상부의 개방면으로 케이블을 가이드공(220) 상에 위치시킨 뒤 제2몸체(212)를 돌출삽입구(230)를 통하여 장착하여 제1몸체(211)와 제2몸체(212)를 결합시킴으로써 가이드공(220)을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탈몸체(210)의 상면에는 제2고정홈(250)이 형성된다. 제2고정홈(250)은 이탈방지부(300)가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착탈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코어체인모듈(100)이 착탈몸체(210)에 삽입 시 제1고정홈(190)과 제2고정홈(250)은 서로 연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탈방지부(300)는 코어체인모듈(100)과 케이블 수용부(200)에 걸쳐서 장착되어 코어체인모듈(100)로부터 케이블 수용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300)는 제1고정홈(190) 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310)과 제2고정홈(250) 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상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홈(190)은 대략 원형으로서 상부 일영역이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고정홈(250)은 반원형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영역(310)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고정홈(190)에 끼워지며 제2영역(320)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제 제2고정홈(250)에 끼워진다.
이탈방지부(30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제1고정홈(190)과 제2고정홈(250)에 끼워지면 코어체인모듈(100)과 케이블 수용부(2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이탈방지부(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충격흡수공(33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만일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지면 등 다른 영역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외부로 돌출된 이탈방지부(300)가 먼저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이 가능해져 접촉단면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면접촉 대비 분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공(330)은 이탈방지부(300)가 지면과 접촉 시 충격 흡수공을 가압하여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면과의 접촉시 금속이나 플라스틱 보다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피감지체(400)와 센서부(500)는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 예측, 즉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피감지체(400)는 코어체인모듈(100) 또는 케이블 수용부(2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피감지체(4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코어체인모듈(100) 또는 케이블 수용부(20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500)는 피감지체(400)가 근접하는 경우 센싱하여 코어체인모듈(100) 또는 케이블 수용부(200)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 한다. 코어체인모듈(100) 또는 케이블 수용부(200)의 작동 횟수라 함은 케이블의 이동횟수 특히 케이블의 직선과 곡선으로의 변형 횟수를 의미한다.
센서부(50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고유의 저항, 정전용량, 유도용량을 가지는 전도체로 구성된 장치로 일정한 주기를 갖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면 주기적으로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게 되며,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특성 임피던스가 변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구동되는 경우, 즉 케이블 수용부(200)와 코어체인모듈(100)이 이동하는 경우 피감지체(400)의 위치도 이동하게 되고, 피감지체(400)가 센서부(500)에 근접할 때 작동횟수가 카운팅 된다. 이 때, 한 쌍의 피감지체(400) 모두가 센서부(500)에 센싱되어야 작동된 것으로 카운팅한다. 그 이유는 일정 스트로크 이상이 되어야 케이블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움직임으로 판단하고, 한 쌍의 피감지체(400)간의 거리가 설정된 스트로크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즉, 기 설정된 간격으로 한 쌍의 피감지체(400)가 서로 이격되며, 한 쌍의 피감지체(400) 모두가 센서부(500)에 감지된 경우 작동횟수로 카운팅 함으로써 보다 정확도가 높다.
센서부(500)가 센싱한 정보는 알림제공부(600)로 전송된다. 케이블 가이드 체인에 수용된 케이블의 종류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알림제공부(600)에는 각각의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교체수명(작동횟수)가 입력되어 저장된다. 알림제공부(600)는 센서부(500)가 센싱한 정보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케이블의 교체가 요구될 정도의 작동횟수가 되면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가이드 체인의 반복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의 수명예측이 가능하며, 수용되는 케이블의 수 증가에 대응하여 확장 가능한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100 : 코어체인모듈 110 : 제1삽입구
120 : 제1수용구 130 : 제2삽입구
140 : 제2수용구 150 : 제1결합구
160 : 제2결합구 180 : 착탈홈
190 : 제1고정홈 200 : 케이블 수용부
210 : 착탈몸체 211 : 제1몸체
212 : 제2몸체 220 : 가이드공
230 : 돌출삽입구 300 : 이탈방지부
310 : 제1영역 320 : 제2영역
330 : 충격흡수공 400 : 피감지체
500 : 센서부 600 : 알림제공부

Claims (7)

  1.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코어부를 형성하는 코어체인모듈;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케이블 수용부;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피감지체;
    상기 코어부와 이격배치되며, 상기 피감지체를 감지하여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작동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돌출 삽입구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착탈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출 삽입구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도록,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착탈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몸체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체인모듈이 상기 착탈몸체에 삽입 시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은 연통되고,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에 걸쳐져 삽입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서로 이격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피감지체를 모두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인모듈은,
    후단 상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구;와,
    전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기 제1삽입구가 삽입 체결되는 제1수용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인모듈은,
    전단 하부에 형성되는 제2삽입구;와,
    후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코어체인모듈의 상기 제2삽입구가 삽입 체결되는 제2수용구;와,
    상기 제2삽입구와 상기 제1수용구 사이에 형성되며 탄력밴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삽입구와 상기 제2수용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탄력밴드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착탈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상기 착탈몸체의 상기 돌출 삽입구가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확장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7. 삭제
KR1020210105788A 2021-08-11 2021-08-11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KR10261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88A KR102613636B1 (ko) 2021-08-11 2021-08-11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88A KR102613636B1 (ko) 2021-08-11 2021-08-11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20A KR20230023920A (ko) 2023-02-20
KR102613636B1 true KR102613636B1 (ko) 2023-12-13

Family

ID=8532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88A KR102613636B1 (ko) 2021-08-11 2021-08-11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66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9482U1 (de) * 2006-06-17 2007-10-11 Igus Gmbh Gelenkelement für Energieführungskette
JP6021156B2 (ja) * 2013-04-10 2016-1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16107317U1 (de) 2016-12-23 2017-03-27 Igus Gmbh Systeme zur Überwachung des Betriebs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7102410U1 (de) 2017-04-24 2017-07-31 Igus Gmbh System zur Lage- und/oder Leitungsüberwachung in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8102217U1 (de) 2018-04-20 2019-07-23 Igus Gmbh Überwachungssytem für den Betrieb einer Energieführungsket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66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20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765B2 (en) Device for guiding a hose containing at least one supply line
KR102578429B1 (ko) 에너지 체인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CN103561972A (zh) 磨损检测系统和方法
KR102613636B1 (ko) 케이블 수명 예측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US9989349B2 (en)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EP32395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ipeline entrapment prevention
JP4136905B2 (ja)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US9765852B2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KR102060298B1 (ko) 컨베이어 체인 링크,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체인을 위한 구동 휠 및 이러한 구동 휠을 포함하는 시스템
US20100050802A1 (en) Ball screw module
CN106170373A (zh) 用于更换用于机器人系统的抓持器指部的抓持器末端的组装装置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KR100876639B1 (ko) 케이블 베어 시스템
CN104369051A (zh) 具有保护罩的机床
CN112469923B (zh) 长条物的导引装置及辊子附件
ES2880574T3 (es) Unidad de sensor para monitorizar un tubular
CN109476438A (zh) 长条物的引导装置
JP7082025B2 (ja) 線状体保持構造
JPH055032B2 (ko)
JP2012514806A (ja) 弾持球を備えるフェンスの乗越え検知棒
CN214064279U (zh) 一种用于冶金设备的润滑油与设备磨损在线监测装置
EP1262757A2 (de) Überwachungsvorrichtung von Flüssigkeit führenden Rohrleitungen
CN214277007U (zh) 一种杆状构件
KR200400822Y1 (ko) 케이블 베어의 링크 플레이트
CN208367241U (zh) 浮动式工件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