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539B1 -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539B1
KR102613539B1 KR1020220189365A KR20220189365A KR102613539B1 KR 102613539 B1 KR102613539 B1 KR 102613539B1 KR 1020220189365 A KR1020220189365 A KR 1020220189365A KR 20220189365 A KR20220189365 A KR 20220189365A KR 102613539 B1 KR102613539 B1 KR 10261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virtual
display
user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육종현
권철
이영문
백승범
Original Assignee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2018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HMD 장치는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제1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아래의 실시예들은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실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가상 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하기 어려운 상황을 가상으로 제공하는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은, 현실을 기반으로 현실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현실에서의 대상체의 상태를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가상 현실 이미지로써 제공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제공 기술에는 현실에 제공되는 사용자나 오브젝트 등의 대상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 가상 캐릭터 및 가상 오브젝트 등을 생성하는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가상 현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난 훈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최근 가상 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가상 현실에서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센서를 통해 HMD 장치의 위치(방향을 포함)를 식별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를 표시하는 동안에, 기존의 추적 장치 만으로는 현실적인 사람의 동작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추적 장치에 기반하여 식별된 위치를 그대로 반영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현실적으로 사람이 동작할 수 있는 범위 외의 동작 이미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에 존재하는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기존의 추적 장치 만으로는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세밀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에 지정된 동작 조건이 설정된 경우, 종래의 추적 장치 만으로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지정된 동작 조건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상 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의 몰입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액티브 마커를 통해 보다 현실적으로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세밀하게 인식하여 캐릭터를 표시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하고, HMD 장치는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제1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하고,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및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와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HMD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재난 훈련 컨텐츠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재난을 체험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재난에 대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가상 현실에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과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을 제공함에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캐릭터가 동작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과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현실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기구들에 대한 조작을 가상 현실에서 동일하게 체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과 흥미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다양한 시나리오의 가상 현실 체험이 가능하다.
본 문서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텍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보조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대상체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이미지가 HMD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식별된 특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가상 현실에서 누출 가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가상 현실에서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스 및 캐릭터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도면으로부터 개시되는 사항은 다양한 실시 예들을 특정하거나 또는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실에서는 공간, 시간의 제약 또는 구현이나 발생의 한계 등으로 인해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을 가상 공간에서 체험하도록 가상 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현실은 현실 세계와 달리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인공적인 환경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은 통상적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현실과 분리된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이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VR,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이미지로 제공하는 AR 및 현실 세계와 가상 현실을 융합하여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MR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상 현실을 설명함에 있어서 가상 현실은 앞서 설명된 VR, AR 및 MR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디텍팅 장치(100),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HMD 장치(400) 및 입력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텍팅 장치(100)는 대상체를 추적하여 디텍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는, HMD 장치(400)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HMD 장치(400), 사용자, 입력 장치(500), 액티브 마커(600), 리얼 오브젝트(real object)와 같이 상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물체 및 기준점 또는 특징점을 갖는 물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의 추적은 현실 환경에서의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추적은 현실 환경에서 대상체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대상체에 대한 위치 정보는 획득한 미리 정해진 주기로위치 정보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디텍팅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 및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0)는 연결된 구성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로부터 디텍팅 정보, 디텍팅 장치(100)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 및 디텍팅 장치(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서버(200)는 후술할 몇몇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연결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 또는 HMD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대상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가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의 기능이 상술한 기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20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가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기능을 세분화 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와 연결되어 디텍팅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디텍팅 서버,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에 제공되는 구성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운영 서버 및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의 각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라이선스 서버 등으로 세분화되어 각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가 입력 장치(500)로부터 획득한 입력신호 또는 입력신호에 기초한 입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입력 정보는 가상 현실 내 오브젝트 등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 입력 장치(500)를 통하여 입력된 동작에 대한 정보, 입력 장치(500)의 지향 방향에 대한 지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가 액티브 마커(600)로부터 획득한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신호는 액티브 마커(600)의 지향 방향에 대한 지향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디텍팅 장치(100), 서버(2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디텍팅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디텍팅 정보를 가공하여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거나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HMD 장치(4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입력 장치(500)로부터 획득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획득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HMD 장치(400)는 HMD 장치(4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획득한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500)는 가상 현실에 반영할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5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5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5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이로 센서, MEMS,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IMU), 광 센서, 조도 센서, 포토 센서, 적외선 센서, 칼라 센서, 깊이 센서 및 전자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 조그셔틀 및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5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5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할 수 있다.
도 1에는 입력 장치(500)가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500)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연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500)는 서버(200) 및 HMD 장치(400)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과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액티브 마커(600)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어 디텍팅 장치(100)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마커(600)는 자체적으로 광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광 신호는 디텍팅 장치(1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액티브 마커(600)는 LED 모듈, 전파 발생기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에는 액티브 마커(600)가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티브 마커(600)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연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마커(600)는 서버(200) 및 HMD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마커(600)는 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및 연결 관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 및 HMD 장치(400)는 하나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서 수행하는 동작이 HMD 장치(4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 서버(200) 및 HMD 장치(400)에 포함된 컨트롤러는 하나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 서버(200) 및 HMD 장치(400)에 포함된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장치(10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텍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텍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텍팅 장치(100)는 발광 모듈(110) 및 센서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텍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발광 모듈(110)은 대상체 추적을 위해 상기 대상체 또는 그 주변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발광 모듈(110)은 가시광 및 적외선 등의 광 신호를 외부로 발신하는 발광 소자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110)은 가시광 LED 및 적외선 LED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20)은 외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20)은 발광 모듈(110)이 송출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20)은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가 반사한 광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20)은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20)은 이미지 센서, 광 센서, 조도 센서, 포토 센서, 적외선 센서, 칼라 센서, 깊이 센서 및 전자파 센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서버 통신 회로(210), 서버 메모리(220), 서버 입력 장치(230), 서버 컨트롤러(240) 및 서버 디스플레이(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서버 통신 회로(210)는 디텍팅 장치(1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통신 회로(210)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디텍팅 장치(1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망, 3G, LTE망, 5G, 로라(LoRa) 등의 이동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비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 회로(210)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메모리(22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메모리(220)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메모리(220)는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메모리(2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SSD, CD-ROM, DVD-ROM 또는 USB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입력 장치(2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클릭,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입력 장치(23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컨트롤러(240)는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컨트롤러(240)는 서버(200)에 포함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디스플레이(25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25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 TV,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 디스플레이(25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서버 디스플레이(250)는 서버 입력 장치(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보조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 보조 컴퓨팅 메모리(320), 보조 컴퓨팅 입력 장치(330) 및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는 서버(2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서버(2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는 연결된 서버(200), HMD 장치(400) ,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망, 3G, LTE망, 5G, 로라(LoRa) 등의 이동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비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유선통신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는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메모리(320)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메모리(32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메모리(320)는 사용자에게 가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입력 장치(3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클릭,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입력 장치(330)는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MD 장치(400)는 HMD 통신 회로(410), HMD 메모리(420), HMD 센서 모듈(430), HMD 컨트롤러(440), 착용형 디스플레이(450) 및 HMD 스피커(4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HMD 장치(4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통신 회로(41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HMD 통신 회로(410)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메모리(42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HMD 메모리(420)는 HMD 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HMD 메모리(420)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센서 모듈(430)은 HMD 장치(400)의 상태 및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 센서 모듈(430)은 HMD 동작 센서(431) 및 HMD 음향 센서(4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동작 센서(431)는 HMD 장치(400)의 상태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동작 센서(431)는 HMD 장치(400)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동작 센서(431)는 HMD 장치(400)의 위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동작 센서(43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이로 센서, MEMS,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IMIU), 이미지 센서, 광 센서, 조도 센서, 포토 센서, 적외선 센서, 칼라 센서, 깊이 센서 또는 전자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음향 센서(43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음향 센서(432) 마이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컨트롤러(440)는 HMD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디스플레이(45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디스플레이(450)는 가상 현실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디스플레이(450)는 3차원 가상 현실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디스플레이(4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전자 종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곡면 디스플레이, 스테레오스코피(양안 시차를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등의 이미지 출력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스피커(460)는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스피커(460)는 튜너, 재생장치, 앰프, 스피커 등의 음향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900)에게 가상 체험을 위한 추적 영역(700)이 제공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추적 영역(700)에서 사용자(900)에게, 보조 컴퓨팅 장치(300),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대상체에는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HMD 장치(400), 입력 장치(500) 및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서로 상이한 패턴의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마커(M)가 제공되는 패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추적 영역(7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텍팅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 영역(700)에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추적 영역(700)의 주변을 둘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텍팅 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텍팅 장치(100)는 추적 영역(700)을 지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텍팅 장치(100)는 미리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 영역(700) 주변에는 디텍팅 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텍팅 장치(100)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추적 영역(700)에 대한 디텍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 모듈(120)은 추적 영역(700)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디텍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디텍팅 정보를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텍팅 장치(100)는 디텍팅 정보를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표현될 수 있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전자 장치(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장치(100)는 센서 모듈(120)이 획득한 디텍팅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디텍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 영역(700)에 복수의 디텍팅 장치(100)가 제공되는 경우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100)로부터 디텍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디텍팅 정보들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대상체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사용자(900)의 현실에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좌표를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가상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보조 컴퓨팅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체험에 필요한 가상 현실을 구축하고 획득한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에서 시야 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 내 시야 범위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HMD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HMD 장치(400)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사용자(900)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연결된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가 복수의 보조 컴퓨팅 장치(300)와 연결된 경우 서버(200)는 복수의 보조 컴퓨팅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가상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연결된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서버 입력 장치(230)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 보조 컴퓨팅 장치(300) 중 가상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대한 선택을 획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가상 위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가상 현실 내 가상 카메라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연결된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니터링 디스플레이(800)는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액티브 마커(600)는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및 HMD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마커(6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마커(600)는 사용자(900)의 손등, 허리, 팔목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디텍팅 정보에 기초하여 액티브 마커(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마커(600)의 위치 정보는 추적 영역(700)에서의 액티브 마커(600) 의 위치 정보 및 액티브 마커(600)의 지향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액티브 마커(6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에서 액티브 마커(60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예: 사용자(900)의 손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지향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액티브 마커(60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지향 방향이 고려된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에서 액티브 마커(600)에 대응하는 사용자(900)의 손이, 액티브 마커(600)의 지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지향하는 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대상체 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체 추적 방법은 외부에 제공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대상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대상체가 HMD 장치(400)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체에는 대상체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마커(M)는 대상체에 제공되어 대상체를 식별하여 추적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대상체와 대상체가 아닌 구성을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대상체에 마커(M)가 제공됨으로써 대상체임을 식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상체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대상체를 식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하나의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는 다른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와 구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는 다른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와 상이한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패턴은 복수의 마커(M)가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형성되는 패턴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제공되는 광 패턴 등 다양한 의미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은 마커(M)의 마커 좌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세 개의 마커(M)가 디텍팅 장치(100)에 의해 추적되어 디텍팅 정보로 제1 마커 좌표(MP1-1), 제2 마커 좌표(MP1-2) 및 제3 마커 좌표(MP1-3)가 획득될 수 있고 제1 마커 좌표(MP1-1) 내지 제3 마커 좌표(MP1-3)는 삼각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커(M) 는 발광 모듈(110)로부터 송출된 광 신호를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패시브 마커 및 자체적으로 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액티브 마커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패시브 마커는 광 반사 물질이 부착된 입체 모형, 인식 가능한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종이, 반사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마커는 LED 모듈, 전파 발생기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하나의 대상체에 대해서만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대상체에는 하나의 마커(M)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하나의 대상체에 대해서만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대상체에는 복수의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복수의 대상체에 대해서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 복수의 대상체 각각을 식별하기 위해서 하나의 대상체에는 복수의 마커(M)가 패턴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대상체가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의 두 가지로 제공되는 경우 HMD 장치(400)에는 제1 패턴으로 마커(M)가 제공될 수 있고 액티브 마커(600)에는 제2 패턴으로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대상체로 입력 장치(50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입력 장치(500)는 제3 패턴으로 마커(M)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패턴, 제2 패턴 또는 제3 패턴은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위치 추적 시 제1 패턴이 검출된 경우 HMD 장치(400)로 식별할 수 있으며, 제2 패턴이 검출된 경우 액티브 마커(600)로 식별할 수 있고, 제3 패턴이 검출된 경우 입력 장치(500)로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대상체가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하여 복수의 대상체 각각에 제공되는 마커(M)들이 패턴을 형성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대상체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들이 패턴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에 제공되는 마커(M)의 패턴은 사용자(900)의 식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은 제1 사용자가 착용한 HMD 장치(400)로 식별될 수 있으며, 제2 패턴은 제1 사용자가 착용한 액티브 마커(600)로 식별될 수 있고, 제3 패턴은 사용자가 착용한 입력 장치(500)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제4 패턴은 제2 사용자가 착용한 HMD 장치로 식별될 수 있으며, 제5 패턴은 제2 사용자가 착용한 액티브 마커로 식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의 추적에 대해서 설명하면 서버(200)는 디텍팅 장치(100)로부터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디텍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디텍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가 서버(200)로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면 디텍팅 장치(100)의 발광 모듈(110)은 추적 영역(7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110)이 적외선 LED인 경우 발광 모듈(110)은 추적 영역(7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외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20)은 외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센서 모듈(120)이 카메라인 경우 센서 모듈(120)은 외부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신호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하나의 센서 모듈(1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2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 모듈(120) 각각은 획득한 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 내에 마커(M)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마커(M)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마커(M)의 패턴에 기초하여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제1 패턴이 포함된 경우 HMD 장치(400)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는 복수의 패턴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200)는 복수의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서버(2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200)는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된 패턴이 식별되는 경우 해당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패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패턴 각각에 대해 대표점(RP)이 설정될 수 있다. 대표점(RP)은 패턴을 대표하는 점(point)일 수 있다. 대표점(RP)은 패턴 밖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점(RP)은 제1 마커 좌표(MK1-1), 제2 마커 좌표(MK1-2) 및 제3 마커 좌표(MK1-3)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마커(M)를 통한 패턴이 제공되는 경우 패턴에 포함된 복수의 마커(M)에 대한 좌표 정보가 획득되며, 서버(200)는 패턴을 대표하는 대표점(RP)을 패턴이 제공된 대상체의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대상체를 추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대상체의 위치 추적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위치 추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120)이 이미지 센서로 제공되는 경우 센서 모듈(120)은 외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상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센서 모듈(120)이 HMD 장치(400)에 제공되는 경우 센서 모듈(120)은 HMD 장치(400)의 일측에 제공되어 HMD 장치(40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지향하여 HMD 장치(400)의 외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40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400)는 센서 모듈(120)을 통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획득한 이미지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사물을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사물 중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사물을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사물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사물 중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사물을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사물이 차지하는 픽셀 수에 기초하여 사물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사물 중 미리 설정된 유형의 사물을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 유형의 사물이 미리 설정된 경우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야구공, 축구공 및 농구공 등과 같은 공 유형의 사물을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마커를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QR 코드와 같은 마커를 식별하여 특징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특징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정보 들에 기초하여 특징점의 위치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특징점의 위치 변화 방향, 위치 변화량 및 크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HMD 장치(4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특징점의 위치 변화 방향, 위치 변화량 및 크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액티브 마커(6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정보 들에 기초하여 특징점의 위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특징점의 위치 변화량에 기초하여 HMD 장치(4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특징점의 위치 변화 방향, 위치 변화량 및 크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HMD 장치(4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특징점의 위치와 제1 시점보다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특징점의 위치를 비교한 결과 제1 이미지 정보의 특징점의 위치가 제2 이미지 정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HMD 장치(400)가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특징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특징점의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이미지 정보에서의 특징점의 위치와 제2 이미지 정보에서의 특징점의 위치 사이의 픽셀 수에 기초하여 특징점의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이미지 정보에서의 특징점의 좌표와 제2 이미지에서의 특징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특징점의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크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HMD 장치(4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특징점의 크기와 제1 시점보다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특징점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제1 이미지 정보의 특징점의 위치가 제2 이미지 정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HMD 장치(400)가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로부터 대상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것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액티브 마커(6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컴퓨팅 장치(300)가 액티브 마커(6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이미지(452)가 HMD 장치(4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HMD 장치(400)를 통하여 사용자(900)에게 가상 현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이미지(452)는 사용자(900)가 가상 현실을 체험하기 위해 HMD 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가상 현실에 대한 영상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또는 특정 순간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이미지(452)는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캐릭터 또는 가상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위치 정보는 현실에서 대상체의 위치 좌표 및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추적 영역(700) 상에 위치한 대상체의 위치 좌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추적 영역(700)에 대한 좌표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추적 영역(700)에 대한 좌표계(coordinates system)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좌표계는 평면 좌표계, 직교 좌표계, 극좌표계, 공간 좌표계, 원기둥 좌표계, 구면좌표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디텍팅 정보 및 추적 영역(700)에 대한 좌표계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추적 영역(700)에서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획득한 대상체의 추적 영역(700)에서의 좌표값을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디텍팅 정보가 적외선 이미지인 경우 적외선 이미지에서의 대상체에 대응하는 마커의 위치 및 적외선 이미지를 제공한 디텍팅 장치(100)의 설치 위치에 기초하여 마커의 추적 영역(700)에서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마커의 추적 영역(700)에서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마커가 형성하는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마커가 형성하는 패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마커가 형성하는 패턴 및 마커의 추적 영역(700)에서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대표점(RP)을 획득할 수 있으며, 대상체의 대표점(RP)의 좌표값을 대상체의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버(200)는 위치 정보를 보조 컴퓨팅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에 대한 좌표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에 대한 좌표계(coordinates system)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좌표계는 평면 좌표계, 직교 좌표계, 극좌표계, 공간 좌표계, 원기둥 좌표계, 구면좌표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위치 정보 및 가상 현실에 대한 좌표계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가상 현실에서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획득한 대상체의 가상 현실에서의 좌표값을 가상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위치 정보에 포함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에서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가상 현실에서의 좌표값을 가상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900)에게 출력할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의 가상 위치 정보를 가상 카메라의 가상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으며, 가상 카메라의 가상 위치 정보 및 가상 카메라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야 범위(451)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HMD 장치(400)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지향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카메라의 지향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을 가상 카메라의 시야 범위(451)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HMD 장치(4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야 범위(451)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900) 움직임에 따라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시야가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카메라의 시야 범위(451)는 HMD 장치(400)의 가상 위치 정보 이외에도 가상 현실 내 특정 가상 위치 정보에 의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에서 가상 카메라의 시야 범위(451)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HMD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획득한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HMD 디스플레이(450)를 통하여 사용자(900)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디텍팅 장치(100), HMD 장치(400), 액티브 마커(600) 또는 전자 장치(1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버(200) 및/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전자 장치(1000)의 동작은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 또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0)의 동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10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10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00)는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회로(120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가 메인 프로세서 및 보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와 함께, 전자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회로(12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전자 장치(10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 허브, 보조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통신 회로(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회로(1200)는 전자 장치(10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디텍팅 장치(100), HMD 장치(40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1200)는 프로세서(110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20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통신 회로(1200)를 통해 디텍팅 장치(100), HMD 장치(400) 및/또는 액티브 마커(6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과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전자 장치(1000)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HMD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전자 장치(1000)와 연관된 추적 영역(700)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예: 디텍팅 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사용자(900)의 신체에 착용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추적 영역(700)에 대한 사용자(900)의 제1 위치 정보를 통신 회로(12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900)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디텍팅 장치(100)를 통해 검출되는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예: 손, 팔목, 허리 등)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통신 회로(12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술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프로세서(11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사용자(900)의 다양한 신체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예: 도 14의 캐릭터(1410))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가상 현실 내에 표시될 위치에 대한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사용자(900)의 머리 부분에 착용되는 HMD 장치(400)에 기반한 제1 위치 정보가 제1 지정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액티브 마커(600)에 기반한 제2 위치 정보가 제2 지정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에 포함된 복수의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는, 사용자(900)가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를 착용한 이후 식별될 수 있는 위치 정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에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사용자(900)가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을 이용할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HMD 장치(4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예: 도 5의 HMD 디스플레이(450))가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900)의 HMD 장치(400) 및/또는 액티브 마커(600)의 착용이 완료되기 전 비현실적으로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현실 체험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도록(또는 기존 화면을 유지하도록) HMD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0)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 내에 가상 오브젝트(예: 도 14의 가상 오브젝트(VO))를 표시하도록 HMD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주변에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HMD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VO)가 표시되는 예시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전자 장치(1000)(예: 도 1의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도 9의 전자 장치(1000))에 의한 동작은 전자 장치(1000)의 프로세서(1100)(예: 도 2의 서버 컨트롤러(240), 도 3의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기술되는 “정보”는 “데이터” 또는 “신호”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텍팅 장치(100)는 동작 1001에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장치(100)는 HMD 장치(4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통해 획득되는 광 신호를 센싱 모듈(120)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2에서, 디텍팅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0)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통신 회로(1200)를 통해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1000)는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900)의 추적 영역(700)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텍팅 장치(100)는 동작 1004에서,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장치(100)는 액티브 마커(600)에서 방출된 광 신호를 센싱 모듈(120)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5에서, 디텍팅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0)로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통신 회로(1200)를 통해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6에서, 전자 장치(1000)는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액티브 마커(600)가 제공된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대한 추적 영역(700)에서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7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표시될 위치와 관련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008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 착용 완료에 대응하는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900)의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 착용 완료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009에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HMD 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에 포함됨에 기반하여, HMD 장치(400)가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통신 회로(120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 장치(400)는 전자 장치(1000)로부터 획득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 1010에서,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400)는 HMD 디스플레이(450)를 통해 사용자(900)에게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캐릭터가 표시된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제1 캐릭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식별된 특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전자 장치(1000)(예: 도 1의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도 9의 전자 장치(1000))에 의한 동작은 전자 장치(1000)의 프로세서(1100)(예: 도 2의 서버 컨트롤러(240), 도 3의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예: 도 9의 전자 장치(1000), 도 1의 서버(200), 도 1의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동작 1101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예: 도 6의 사용자(900))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예: 도 14의 캐릭터(1410))의 특정 일부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텍팅 장치(100)를 통해 검출된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액티브 마커(600)가 제공된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대한 추적 영역(700)에서의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103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텍팅 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900)의 추적 영역(700)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가상 현실에서의 사용자(9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캐릭터(예: 캐릭터(1410))의 특정 일부는 제1 사용자(사용자(900))의 신체 중 팔꿈치의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는 제1 사용자의 신체 중 다양한 신체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은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 및 제2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축에 의해 정의된 사분면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은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x축,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y축에 의해 정의된 제1 영역(1201), 제2 영역(1202), 제3 영역(1203) 및 제4 영역(12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105에서 식별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한 특정 영역에 기반하여,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상기 사분면 영역들 중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필요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보정 필요 영역을 제2 영역(1202)으로 미리 설정하고,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영역(1202)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상기 보정 필요 영역은,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가 실제 사람의 동작과는 달리 부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상 위치 정보가 보정 필요 영역에 포함되었음에도 보정되지 않는 경우, 실제 사람이 동작할 수 있는 손등 및 팔꿈치의 범위를 벗어나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필요 영역(예: 제2 영역(1202))임에 기반하여,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제1 캐릭터의 팔꿈치의 위치 및 방향이 달리 표시될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107에서,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HMD 장치(400)가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HMD 장치(400)가 제1 캐릭터의 팔꿈치의 위치 및 방향을 달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0)는 실제 사람이 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상 현실 내 캐릭터가 동작할 수 있도록,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HMD 디스플레이(450)가 표시하도록 하지 않고,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변경된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HMD 디스플레이(450)가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전자 장치(1000)(예: 도 1의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도 9의 전자 장치(1000))에 의한 동작은 전자 장치(1000)의 프로세서(1100)(예: 도 2의 서버 컨트롤러(240), 도 3의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301에서, HMD 장치(400)가 가상 오브젝트(예: 도 14의 가상 오브젝트(VO))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HMD 장치가 제1 사용자(예: 도 6의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예: 도 14의 캐릭터(1410))를 표시하고, 제1 캐릭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303에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현실 내에서 가상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가상 위치 정보인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1305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와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획득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예: 도 6의 사용자(900))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예: 도 14의 캐릭터(1410))의 특정 일부가 가상 오브젝트가 지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와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와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동작 1307에서, 전자 장치(1000)는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오브젝트가 활성화 되어 가상 현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0)는 가상 오브 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오브젝트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0)는 가상 오브젝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활성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은,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현실의 오브젝트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가 밸브를 나타내는 경우, 현실에서의 밸브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이 상기 활성 조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가 호스를 나타내는 경우, 현실에서의 호스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이 상기 활성 조건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현실에서의 기구들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활성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1309에서, 동작 조건과 활성 조건이 대응되는 경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가 동작 조건을 만족하고,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활성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HMD 디스플레이(450)가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제1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디텍팅 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1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액티브 마커(600)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오브젝트가 밸브인 경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가상 오브젝트인 밸브에 대한 회전 동작을 동작 조건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현실에서의 기구들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동작 조건이 식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조건과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HMD 디스플레이(450)가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가상 현실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가 밸브인 경우, 동작 조건과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HMD 디스플레이(450)가 밸브의 회전(예: 회전 각도, 회전 속도, 회전 각속도를 포함)에 따라 가스의 투명도를 달리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사용자(900)에게 가상 체험의 일환으로 제공하는 재난 훈련 컨텐츠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900)에게 재난 훈련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훈련 컨텐츠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 사고 및 문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재난에 대비하는 방법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훈련 컨텐츠는 화학 물질을 다루는 공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 사고에 대응하는 훈련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900)는 가상 현실에서 재난을 체험하고 실질적인 훈련을 함으로써 현실에서의 재난에 대비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900)에게 재난 훈련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재난 훈련에 관한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이미지(452)는 재난에 관한 배경 및 지형, 캐릭터(1410), 상대 캐릭터(1420) 및 가상 오브젝트(VO)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난에 관한 배경 및 지형은 재난을 표현하기 위한 지형 지물,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이 화학 플랜트 내 화학 사고인 경우 가상 현실 이미지(452)는 수직/수평 배관, 밸브, 저장탱크, 펌프 또는 안전 장비 등과 같은 공장 설비 및 화학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캐릭터(1410)는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1410)는 사용자(900)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획득된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사용자(90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대 캐릭터(1420)는 보조 컴퓨팅 장치(300)에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NPC 캐릭터 및 사용자(900) 외의 다른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되는 재난 훈련 컨텐츠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사용자는 협업하여 가상 현실에서 재난에 대한 훈련을 체험할 수 있고,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900) 본인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캐릭터(1410) 및 각 사용자(900) 본인을 제외한 다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캐릭터로 상대 캐릭터(142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대 캐릭터(1420)는 사용자(900)(예: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제2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추적 영역(700) 내의 제2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에 대한 제3 위치 정보를, 통신 회로(120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제3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대 캐릭터(1420)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4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제4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캐릭터(1410)와 함께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대 캐릭터(1420)를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오브젝트(VO)는 가상 현실 내에 구현되어 캐릭터가 이용할 수 있는 가상의 물체로 도구나 장비,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VO)는 현실에서 사용자(900)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동작하도록 가상 현실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오브젝트(VO)는 재난 훈련 컨텐츠에서 화학 설비,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스패너, 계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오브젝트(VO)는 전자 장치(1000)(예: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전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 현실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오브젝트(VO)는 전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현실에서의 리얼 오브젝트에 대응되도록 생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900)에게 몰입도 높은 재난 훈련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가상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5는 가상 현실에서 누출 가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전자 장치(1000)(예: 도 1의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도 9의 전자 장치(1000))에 의한 동작은 전자 장치(1000)의 프로세서(1100)(예: 도 2의 서버 컨트롤러(240), 도 3의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이 사용자(900)에게 재난 훈련 컨텐츠의 일환으로 화학 사고 대응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900)에게 화학 사고의 대표적인 경우 중 하나로 가스 누출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가상 환경에서 가스 확산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HMD 디스플레이(450)가 누출 가스의 확산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누출 가스 표시 방법은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을 획득하고, 가상 환경에서 가스 확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확산 모델은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가 확산하는 형상이나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은 화학 사고에서 누출되는 가스가 이동하는 방향이나 속도 등을 나타내는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누출 가스는 전자 장치(1000)가 사용자(900)에게 제공하는 재난 훈련 컨텐츠의 성질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출 가스는 고압가스, 액화 가스, 압축가스 및 가연성 배출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기체 확산에 관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획득한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을 단순화하거나 누출 가스의 종류에 상관 없이 공통된 유체 유동 모델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가스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에 누출 가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현실에서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재난 훈련 컨텐츠의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누출 가스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0)는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로부터 획득한 누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내 누출 가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503에서, 전자 장치(1000)는 가스 누출이 차단되는 이벤트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재난 훈련 컨텐츠의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현실 내 캐릭터(1410)의 동작에 의해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에서 가스 누출이 발생된 후 사용자(900)에 대응되는 캐릭터(1410)가 가스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를 작동시키거나 가스 누출 부위를 임시로 막으면 전자 장치(1000)는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일부에 제공되는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 각각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캐릭터(1410)가 가상 오브젝트(VO)인 밸브를 회전시켜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의 수행에 기반하여,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동작 1505에서, 가스 누출 이벤트가 감지되면(동작1503-예) 가스 누출 차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현실에서 가스 누출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가스 누출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동작 1503-아니오) 계속하여 가상 현실에서 누출 가스의 확산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누출 가스 차단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표시되는 누출 가스의 밝기나 투명도를 조절하여 누출 가스를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등으로 누출 가스가 차단되었음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를 감지하면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가스 누출이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나 음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가스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에 누출 가스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가상 현실에서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스 및 캐릭터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상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0)(예: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 전자 장치(10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900)에게 제공될 가상 현실과 유사한 환경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확산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재난 훈련 컨텐츠가 복수 개의 저장 탱크를 갖는 화학 플랜트를 배경으로 하고 특정 저장 탱크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가 시나리오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화학 플랜트와 동일/유사한 환경을 가정한 가스 확산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확산 모델은 누출 가스의 성질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모델은 누출 가스의 누출속도, 누출농도, 가스의 분자량 또는 밀도 및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나 주위 온도 등의 가스가 누출되는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보다 정밀한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을 획득하기 위해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유체 흐름을 관측한 결과 값 또는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확산 모델은 2차원 모델 또는 3차원 모델로 획득될 수 있고 2상 유동(2-phase flow), 다상 유동(multi-phase flow)으로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또는 기체 확산 모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확산 모델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LACS(Flame Acceleration Simulator), CA(Consequence Analysis) 또는 PHAST(Process Hazard Analysis Software) 등을 이용하여 확산 모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로부터 가상 현실에 가스 누출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누출 가스의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에서 누출되는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출 가스 확산 모델은 시계열적으로 변화하는 공간 좌표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시변하는 공간 좌표들의 집합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내 누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누출 가스 확산 모델은 2차원 또는 3차원에서 그래프로 나타날 수 있는 함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함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내 누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누출 가스 확산 모델로부터 획득한 누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900)에게 제공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확산 모델로부터 획득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 및 누출 가스의 종류에 따른 색, 투명도 등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누출 가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면 가상 현실에 누출 가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900)에게 재난 훈련 컨텐츠가 제공된 후 경과 시간에 따라 누출 가스가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내 캐릭터(1410)가 가상 현실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미리 설정된 행위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누출 가스가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7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누출 가스와 가상 현실 내 물체를 같은 위치에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내에서 누출 가스의 가상 위치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VO), 캐릭터(1410) 또는 상대 캐릭터(1420)의 가상 위치 정보가 중첩될 수 있다. 이 때,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중첩된 가상 위치 정보 사이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가상 현실에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에서 누출 가스가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상 현실에서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오브젝트(VO) 동작에 의한 가스 차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0)는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1410) 및 가상 오브젝트(VO)의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스 누출 차단 이벤트를 감지하고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가스가 누출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누출 차단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900)에게 가스 누출이 차단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452)를 제공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1410)가 가상 오브젝트(VO)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상태에서,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캐릭터(1410)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누출 차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1410)가 밸브를 돌리는 동작을 하는 경우 누출 가스가 차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움직임에 따라 HMD 장치(400) 및 액티브 마커(600)로부터 획득되는 가상 위치 정보의 변경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누출 가스 차단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캐릭터(1410)의 오른손의 가상 위치 정보(1901) 및 왼손의 가상 위치 정보(1903)의 변화량 및 변화 속도에 기초하여 누출 가스가 사라지는 속도 누출 가스의 투명도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900)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액티브 마커(600)로부터 획득되는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VO)인 밸브(1905)에 대한 회전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가상 현실에서 캐릭터(1410)가 밸브의 핸들을 빠르게 회전시킬수록 가스 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밸브의 핸들의 회전량에 따라 가스 누출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0)는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1410)의 오른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1) 및 캐릭터(1410)의 왼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3)가 제1 각도 또는 제1 거리만큼 변경되면 누출 가스를 제1 비율만큼 제거하거나 누출 가스의 투명도를 제1 값으로 설정하고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1410)의 오른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1) 및 캐릭터(1410)의 왼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3)가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 또는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변경되면 누출 가스를 제1 비율보다 큰 제2 비율만큼 제거하거나 누출 가스의 투명도를 제1 값보다 큰 제2 값으로 설정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사용자(90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가스가 누출을 표시하도록 HMD 디스플레이(4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액티브 마커(600)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1410)의 오른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1) 및 캐릭터(1410)의 왼손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1903)의 변화량 및 변화 속도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452)에 누출 가스가 더 빠르게 증가하도록 표시하거나 누출 가스의 투명도를 감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10)은 액티브 마커(600)를 추가로 이용함에 따라, 가상 현실 내에 제공되는 가상 오브젝트(예: 밸브(1905))에 대한 사용자(900)에 대응하는 캐릭터(1410)의 동작을 보다 세밀하게 인식하고, 캐릭터(141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이벤트 발생 화면을 HMD 디스플레이(4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9의 전자 장치(1000), 도 1의 서버(200), 보조 컴퓨팅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예: 도 9의 통신 회로(1200), 도 3의 서버 통신 회로(210), 도 4의 보조 컴퓨팅 통신 회로(3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9의 프로세서(1100), 도 3의 서버 컨트롤러(240), 도 4의 보조 컴퓨팅 컨트롤러(3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예: 도 1의 디텍팅 장치(100))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예: 도 1의 HMD 장치(4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HMD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며,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예: 도 1의 액티브 마커(600))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특정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 중 팔꿈치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상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 및 제2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축에 의해 정의된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필요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보정 필요 영역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및 상기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캐릭터의 주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상기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와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하고,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현실의 오브젝트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에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가상 현실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가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스는 미리 설정된 기체 확산 모델에 기초하여 확산되고, 상기 기체 확산 모델은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LACS(Flame Acceleration Simulator), CA(Consequence Analysis) 및 PHAST(Process Hazard Analysis Softwar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가스의 투명도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HMD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HMD 마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HMD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제3 위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제3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4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4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릭터와 함께 상기 제2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예: 도 1의 HMD 장치(400))와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예: 도 9의 전자 장치(1000), 도 1의 서버(200), 도 1의 보조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HMD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특정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중 팔꿈치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상 위치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상 위치에 기반하여 제1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 및 제2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축에 의해 정의된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분면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필요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보정 필요 영역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캐릭터의 주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상기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와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가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가스의 투명도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10
디텍팅 장치 100
서버 200
보조 컴퓨팅 장치 300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400
입력 장치 500
액티브 마커(600)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광 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된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됨에 기반하여,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HMD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의 착용을 완료함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범위와 관련되며,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분할된 복수의 위치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대상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보정 대상 영역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신체 중 팔꿈치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위치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 및 제2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축에 의해 정의된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보정 대상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보정 대상 영역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팔꿈치의 일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주변 영역에 가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상기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와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하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하고,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현실의 오브젝트가 동작하기 위한 조건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변경된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조건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가상 현실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가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산되어 표시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미리 설정된 기체 확산 모델에 기초하여 확산되고,
    상기 기체 확산 모델은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LACS(Flame Acceleration Simulator), CA(Consequence Analysis) 및 PHAST(Process Hazard Analysis Softwar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전자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가스의 투명도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HMD 마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HMD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마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마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상기 제1 사용자와 구별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제3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4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4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릭터와 함께 상기 제2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와 연결되어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특정 실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HMD 장치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특정 실제 공간 내의 사용자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디텍팅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에 대한 광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각각 제1 지정 범위 및 제2 지정 범위 내에 포함됨에 기반하여 상기 HMD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지정 범위 및 상기 제2 지정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HMD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마커의 착용을 완료함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범위와 관련되며;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캐릭터의 특정 일부의 가상 위치를 지시하는 제2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분할된 복수의 위치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보정 대상 영역에 대응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는 동작; 및
    변경된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삭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중 팔꿈치의 일부에 대응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위치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축 및 제2 기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축에 의해 정의된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을 포함하며;상기 사분면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 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보정 대상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보정 대상 영역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팔꿈치의 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캐릭터의 주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한 제3 가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 및 상기 제3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캐릭터의 상기 특정 일부와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동작 조건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활성 조건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캐릭터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가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조건과 상기 활성 조건이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가스의 투명도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189365A 2022-12-29 2022-12-29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KR10261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365A KR102613539B1 (ko) 2022-12-29 2022-12-29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365A KR102613539B1 (ko) 2022-12-29 2022-12-29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539B1 true KR102613539B1 (ko) 2023-12-14

Family

ID=8916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365A KR102613539B1 (ko) 2022-12-29 2022-12-29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5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62A (ko) * 2018-12-03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12510B1 (ko) * 2019-10-21 2021-02-04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KR102250869B1 (ko) * 2020-09-09 2021-05-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중 광학식 카메라를 이용한 가상현실 플랫폼에서의 다중 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62A (ko) * 2018-12-03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12510B1 (ko) * 2019-10-21 2021-02-04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KR102250869B1 (ko) * 2020-09-09 2021-05-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중 광학식 카메라를 이용한 가상현실 플랫폼에서의 다중 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7312B2 (en) Fiducial marker patterns, their automatic detection in image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0115838B (zh) 虚拟环境中生成标记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61609B2 (en) Virtual reality control system
CN106662925B (zh) 使用头戴式显示器设备的多用户注视投影
US10037627B2 (en) Augmented visualization system for hidden structures
US10650600B2 (en) Virtual path display
US10818088B2 (en) Virtual barrier objects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US10134197B2 (en) Computer graphics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8275834B2 (en) Multi-modal, geo-tempo communications systems
US20140225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nd interacting with geo-located markers
KR102182079B1 (ko) 화학 사고 대응 훈련용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1798223B2 (en) Potentially visible set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40083015A (ko) 휴대용 디바이스, 가상 현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3539B1 (ko)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KR20230073336A (ko) 가상 아이웨어 빔들을 사용한 증강 현실 게이밍
US202301415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202300138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on of objects
KR102165807B1 (ko) 우세안을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17666852A (zh) 虚拟现实空间中的目标对象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075771A (zh) 基于虚拟现实空间的画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