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225B1 -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225B1
KR102613225B1 KR1020230088572A KR20230088572A KR102613225B1 KR 102613225 B1 KR102613225 B1 KR 102613225B1 KR 1020230088572 A KR1020230088572 A KR 1020230088572A KR 20230088572 A KR20230088572 A KR 20230088572A KR 102613225 B1 KR102613225 B1 KR 10261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raining
circular
trainee
circula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외태
손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갤로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갤로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갤로핑
Priority to KR102023008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8Ball cover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4Frequency, e.g. of vibration osc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평가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촬영 데이터로부터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의 평가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이용하는 복수의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를 센싱함에 따라, 훈련자의 갤로핑 자세, 드리블 능력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결과적으로 훈련자의 축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EVICE FOR EVALUATING TRAIN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드리블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원형 라인을 따라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을 평가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자의 운동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축구 공격수 선수들은 공을 점유하는 순간부터 유효슈팅을 수행하는 순간까지의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함에 있어 일정한 공식에 따라 순서대로 이어지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수들은 공이 발에서 떨어지지 않도 록 점유 동작을 수행하고, 점유와 동시에 몸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빠 른 속도로 질주하는 전진 동작을 수행하고, 상대측을 돌파하는 도중에도 가속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상대와 가까워지기 전에 미리 방향을 전환하여 드리블을 이어나가며 탄력적으로 방향 변화를 주고 밸런스를 잡는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선수들은 드리블의 마지막 단계로서 슈팅을 수행하는 빈도가 높으며 이러한 슈팅은 지면과 인접하여 진행되는 유효 슈팅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점유 내지 유효슈팅의 특징들은 마치 공식과 같이 순서대로 이어져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적인 축구 선수들은 기본적으로 낮은 자세와 빠른 방향 전환 및 돌파를 수행할 수 있는 운동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반적인 훈련생 및 선수들은 방향성과 속도감의 인지 부재로 위와 같은 점유부터 유효슈팅의 공식을 적용하지 못할 수 있으며, 세계적인 선수들의 높은 실력과 운동 자세를 함양하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드리블 훈련은 원형 뿔 모양의 부재들을 지면에 세워두고 부재의 주위를 돌며 드리블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드리블 훈련은 발로 공을 터치하는 볼 감각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정확한 기준 라인이 없어 공을 드리블하는 거리, 각도, 세기가 불규칙한 문제점을 가질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훈련생들의 축구 드리블 훈련이 수행됨에 있어, 일률적인 평가 기준과 훈련 방법이 적용되지 못할 수 있어 문제되며, 따라서, 일반적인 선수들 및 훈련생들과 같은 훈련자들의 드리블 능력 등 운동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운동 자세의 습득을 돕고 이러한 운동 자세를 기초로 효과적인 드리블 훈련이 수행될 수 있는 훈련의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면에 설치된 부재의 주위를 도는 방식의 기존의 훈련이 아닌,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이루어지는 드리블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를 센싱하고, 이러한 훈련은 다양한 크기, 탄성도, 형태, 갯수의 공을 이용하여 수행됨으로써, 세계적인 선수들의 드리블 능력의 ?t양을 효과적으로 돕고, 이러한 훈련 과정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 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평가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촬영 데이터로부터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의 평가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탄성도,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공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크기, 탄성도, 형태, 수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공을 이용하는 복수의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를 센싱함에 따라, 훈련자의 갤로핑 자세, 드리블 능력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결과적으로 훈련자의 축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 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 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 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 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시스템 (1000) 및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드리블 동작을 통하여 공을 발로 이동시키는 훈련자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여, 복수의 훈련을 평가함에 따라,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의 드리블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 평가 시스템(1000) 및 장치(100)이다. 훈련 평가 시스템(1000)은 훈련 평가 장치(100) 및 훈련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훈련 평가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 (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센싱부(130)에 의하여 센싱된 훈련자, 훈련자의 발, 원형 라인,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공 및 발의 상대적 위치, 발의 속도, 공의 속도, 훈련자의 신체구성의 위치, 훈련자의 자세 등을 산출하고, 산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자가 진행하고 있는(또는 이미 진행한) 하나 이상의 훈련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훈련 평가 장치(100)와 훈련자 단말(200)과 같은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훈련자 단말(200), 나아가 외부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훈련자 단말(200)로부터 훈련자의 키, 몸무게, 나이 등의 훈련자 특징 데이터, 및 훈련자의 기존의 훈련 데이터 등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훈련이 수행된 이후의 훈련 평가 데이터를 훈련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는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훈련자의 발, 훈련에 이용되는 공 각각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 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센싱부(130)는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30)의 카메라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 전체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센싱부(130)의 진동센서는 훈련자의 신체구성(예를 들면, 머리, 어깨, 팔, 손목, 손, 가슴, 등, 허리, 배, 골반, 허벅지, 무릎, 발목, 발 등)에 부착되어 각각의 신체구성의 진동을 센싱하는 구성이다.
또한, 센싱부(130)의 가속도 센서는 상기 훈련자의 신체구성에 부착되어 신체구성 각각의 실시간 속도 및 가속도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센싱부(130)의 압력센서는 훈련자가 지면에 서있는 상태에서 발과 지면의 접촉면(발바닥)의 복수의 지점에 부착되거나, 훈련자가 착용한 신발의 내측의 훈련자의 발바닥과의 접촉면의 복수의 지점에 부착되거나, 또는, 신발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훈련자의 발의 복수의 지점과 지면 사이의 실시간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출력부(140)는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산출된 평가 데이터를 훈련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평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고, 프린터는 평가 데이터를 종이 등에 출력하여 훈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저장부(150)는 훈련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훈련자 데이터, 훈련자의 훈련의 평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RT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RT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RT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위와 같은 구성요소는 서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가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훈련 평가 장치(100)의 구성요소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외부 기기로 구현되어 훈련 평가 장치(10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 과 통신을 통하여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시스템(1000)의 훈련자 단말(200)은 훈련 평가 시스템(100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훈련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훈련자 단말(200)은 평가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고 평가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및/또는 PC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드리블 훈련 평가 장치(100) 및 시스템(1000)이 수행하는 평가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훈련 평가 장치(100)는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한다(S110).
이어서, 훈련 평가 장치(100)는 프로세서(110)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한다(S120).
구체적으로, 훈련 평가 장치(100) 및 시스템(1000)이 수행하는 평가 방법은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자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계적인 축구 공격수 선수들은 공이 발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점유), 어느 방향에서 볼을 잡든 잡자마자 1초안에 상대측 골대방향으로 풀 스피드로 질주하는 등, 방향성인지와 움직임의 속도가 빠른 것(전진), 돌파하다 상대가 앞에 있어도 속도를 멈추지 않고 상대와 가까워지기 전에 미리 제치는 것과 같이 탄력적으로 방향 변화를 주고 밸런스를 잡는 것(전환), 상대선수가 촘촘하게 있어도 좁은 공간을 뚫고 지나가는 것 (전환), 슈팅으로 마무리 짓는 횟수가 월등 히 많고 골대 앞에서 슈팅 텀이 매우 짧은 것(슈팅), 및 땅으로 슈팅을 많이 하는 것(유효슈팅)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유 내지 유효슈팅의 특징들은 마 치 공식과 같이 순서대로 이어져야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선수들은 방향성과 속도감의 인지 부재로 위와 같은 점유부터 유효슈팅의 공식을 적용하지 못할 수 있다. 즉, 공을 점유할지라도 1 초 이상 머뭇거리고 상대선수가 공을 뺏으려 달려올 경우 압박으로 인하여 회피하 듯 백 패스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적인 선수들이 점유부터 유효슈팅까지 세계적인 선수들과 같이 원활한 움직임을 습득하기 위하여, 갤로핑 자세의 훈련과 원형 라인을 이용한 훈련을 각각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훈련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자세에 대한 훈련 및 이에 대한 평가를 설명한다. 갤로핑 자세는 공과 발의 거리가 가깝고 공을 차는 힘이 세지 않아 공이 튀어나가지 않는 것(볼키핑), 앞으로 쏟아지는 듯한 추진력을 가짐으로써 공에 대한 빠른 반응 속도를 보일 수 있는 것(추진력), 및 가속도를 상승시킬 경우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것(밸런스, 바디 컨트롤)을 모두 포함하는 자세로서, 아래의 <표 1> 의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의 내용 각각을 대응되는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함으로써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표 1>
상기 표 1의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의 항목 1 내지 항목 14 각각은 도 4(a) 내지 도4(m)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 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후술하는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자세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훈련 각각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원형 라인을 이용한 훈련자의 드리블 자세에 대한 평가는 원형 라인, 공 등을 다양하게 설정한 복수의 훈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훈련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에는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는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자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어서, 훈련 평가 장치(100) 및 시스템이 수행하는 평가 방법의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자세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100), 시스템(1000)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상이한 기존의 드리블 훈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의 드리블 훈련은 지면에 설치된 두 개의 물건 사이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의 형상으로 이동하면서 공을 드리블하며 진행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훈련의 경우, 훈련자는 발에 닿는 공의 감각은 익힐 수 있었으나, 두 개의 물건의 위치만이 설정되어 있을 뿐 정확한 드리블의 기준선이 없을 수 있었다. 이에, 훈련자는 공을 드리블하는 거리, 각도, 세기에 대하여 훈련할 수 없었으며 불규칙한 드리블 거리, 각도, 세기만이 습득될 수 있어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100),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 6과 같이 지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훈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 로, 도 6(a)를 참조하면, 복수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CL1) 내지 제5 원형 라인(CL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2 원형 라인(CL2)은 서로 크기(지름)이 동일하고 하나의 지점에서 외접하고 있다. 그리고 제3 원형 라인(CL3) 및 제4 원형 라인(CL4)은 제1 원형 라인(CL1)보다 크기(지름)이 작고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나의 지점에서 서로 외접하고 있다. 이때, 제3 원형 라인(CL3)과 제4 원형 라인(CL4)의 외접점은 제1 원형 라인(CL1)과 제2 원형 라인(CL2)의 접점(외접점)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원형 라인(CL3)과 제4 원형 라인(CL4)은 제1 원형 라인(CL1)과 제2 원형 라인(CL2)의 접점에서 서로 외접할 수 있다.
또한, 제3 원형 라인(CL3)은 제1 원형 라인(CL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원형 라인(CL1)과 내접하고, 제4 원형 라인(CL4)은 제2 원형 라인(CL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형 라인(CL2)과 내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형 라인(CL1) 내 지 제4 원형 라인(CL4)의 중심은 모두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2 원형 라인(CL2)의 지름은 예를 들 면, 80cm일 수 있고, 제3 원형 라인(CL3) 및 제4 원형 라인(CL4)의 지름은 예를 들면, 제1 원형 라인(CL1)의 지름의 절반인 40cm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는 않는다.
그리고, 제5 원형 라인(CL5)의 크기(지름)은 제1 원형 라인(CL1) 내 지 제4 원형 라인(CL4)의 크기(지름)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5 원형 라인(CL5)은 제1 원형 라인(CL1)과 외접할 수 있다. 이때, 제5 원형 라인(CL5)의 중심은 제1 원형 라인(CL1) 내지 제4 원형 라인(CL4)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원형 라인(CL1) 내지 제4 원형 라인(CL4)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5 원형 라인(CL5)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원형 라인(CL1)의 반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5 원형 라인(CL5)의 중심과 제1 원형 라인 (CL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5 원형 라인(CL5)과 제2 원형 라인(CL2) 내지 제4 원형 라인(CL4) 각각의 중심 사이의 거리 모두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내지 제5 원형 라인(CL5)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6(b)와 같 이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2 원형 라인(CL2)(기본 세트)만이 선택되어 하나의 드리블 훈련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100),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 및 원형 라인을 이용한 드리블 훈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발의 아웃사이드 라인(발의 내측면과 외측면 중 외측면)을 이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탄성도,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공에 의하여 수행되는 복수의 훈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리블 훈련 및 이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계(S110)의 하나 이상의 훈련은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훈련은 '윗아웃볼(Without ball) 훈련'으로서, 훈련자가 공 없이 원형 라인을 따라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훈련은 도 7(a)와 같이 양 발을 모두 사용하여 원형 라인을 따라 걷는 제1-1 훈련, 및 도 7(b)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 (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걷는 제1-2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리고, 드리블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2>의 제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1 훈련을 평가할 수 있다.
<표 2>
제1 훈련이 포함하는 제1-1 훈련 및 제1-2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1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1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제2 훈련은 '일반 공 훈련'으로서 국제 규격에 대응되는 일반적인 축구공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훈련은 도 8(a)와 같이 양발을 모두 사용하여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는 제2-1 훈련, 도 8(b)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 과 접촉시키며 공을 드리블하는 제2-2 훈련, 및 도 8(c)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내측면(인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 며 공을 드리블하는 제2-3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3-1>, <표 3-2> 및 <표 3-3>의 제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2 훈련을 평가할 수 있다.
<표 3-1>
<표 3-2>
<표 3-3>
제2 훈련이 포함하는 제2-1 훈련 내지 제2-3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2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2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을 참조하면, 제3 훈련은 '탄성이 큰 공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과 비교하여 탄성도가 더 큰 제2 공(B2)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훈련은 도 9(a)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 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2 공(B2)을 드리블하는 제3-1 훈련, 및 도 9(b)와 같이 추가훈련으로서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1 공 (B1)을 드리블하는 제3-2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훈련으로서 일반 공 인 제1 공(B1)을 이용한 제3-2 훈련이 제3 훈련에 포함됨으로써 제3-1 훈련을 통하여 훈련자가 습득한 기술을 제1 공(B1)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4>의 제3-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3-1 훈련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3-2 훈련의 경우, 앞서 설명한 <표 3-2>의 제2-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표 4>
제3 훈련이 포함하는 제3-1 훈련 및 제3-2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3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3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드리블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3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를 참조하면, 제4 훈련은 '작은 공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과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제3 공(B3)(예를 들면, 테니 스공)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훈련은 도 10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3 공 (B3)을 드리블하는 제4-1 훈련, 및 추가훈련으로서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1 공 (B1)을 드리블하는 제4-2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훈련으로서 일반 공 인 제1 공(B1)을 이용한 제4-2 훈련이 제4 훈련에 포함됨으로써 제4-1 훈련을 통하여 훈련자가 습득한 기술을 제1 공(B1)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5>의 제4-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4-1 훈련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4-2 훈련의 경우, 앞서 설명한 <표 3-2>의 제2-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표 5>
제4 훈련이 포함하는 제4-1 훈련 및 제4-2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4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4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4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5 훈련은 '크기가 크고 탄성이 큰 공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과 비교하여 크기가 크고 탄성도가 더 큰 제4 공(B4)(예를 들면, 테니스공)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훈련은 도 11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4 공(B4)을 드리블하는 제5-1 훈련, 및 추가훈련으로서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1 공(B1)을 드리블하는 제5-2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훈련으로서 일반 공인 제1 공(B1)을 이용한 제5-2 훈련이 제5 훈련에 포함됨으로써 제5-1 훈련을 통하여 훈련자가 습득한 기술을 제1 공(B1)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6>의 제5-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5-1 훈련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5-2 훈련의 경우, 앞서 설명한 <표 3-2>의 제2-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표 6>
제5 훈련이 포함하는 제5-1 훈련 및 제5-2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5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때, 제5 훈련은 하나의 원형 라인에서 훈련자의 발이 제4 공(B4) 에 접촉하는 횟수가 3회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평가 항목(항목 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공(B4)은 제1 공(B1)과 비교하여 크기가 클 수 있고, 탄성도가 클 수 있 으며, 이러한 제4 공(B4)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반 공인 제1 공(B1)의 터치횟수가 6 회 내지 7회인 것과 달리, 접촉 횟수를 3회 이하로 제한한 것이다.
또한, 제5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5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을 참조하면, 제6 훈련은 '다른 형태의 공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과 비교하여 반지름이 일정한 구형이 아닌, 구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상이한 제5 공(B5)(예를 들면, 럭비공)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6 훈련은 도 12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5 공(B5)을 드리블하는 제6-1 훈련, 및 추가훈련으로서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제1 공(B1)을 드리블하는 제6-2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훈련으로서 일반 공인 제1 공(B1)을 이용한 제 6-2 훈련이 제6 훈련에 포함됨으로써 제6-1 훈련을 통하여 훈련자가 습득한 기술을 제1 공(B1)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7>의 제6-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6-1 훈련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6-2 훈련의 경우, 앞서 설명한 <표 3-2>의 제2-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표 7>
제6 훈련이 포함하는 제6-1 훈련 및 제6-2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6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6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6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7 훈련은 '복수의 공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의 수가 복수개(예를 들면, 2개 또는 3개)인 제6 공 (B6)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며 걷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훈련은 도 13(a)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2개의 일반 공인 제6 공(B6)을 드리블하는 제7-1 훈련, 3개의 일반 공인 제6 공(B6)을 드 리블하는 제7-2 훈련, 및 추가훈련으로서 양 발 중 한 발(예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키며 한 개인 제1 공 (B1)을 드리블하는 제7-3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훈련으로서 한 개의 제1 공(B1)을 이용한 제7-3 훈련이 제7 훈련에 포함됨으로써 제7-1 훈련 및 제7-2 훈련을 통하여 훈련자가 습득한 기술을 하나의 공을 드리블 하며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8>의 제7-1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제7-1 훈련 및 제7-2 훈련 각각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7-3 훈련의 경우, 앞 서 설명한 <표 3-2>의 제2-2 훈련에 대한 평가가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표 8>
제7 훈련이 포함하는 제7-1 훈련 내지 제7-3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 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7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7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7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을 참조하면, 제8 훈련은 '다양한 원형 라인 훈련'으로서 제2 훈련에서 사용하였던 일반 공을 이용하여 도 6(a)에서 설명한 제1 원형 라인(CL1) 내지 제5 원령 라인의 다양한 조합에 의한 라인을 따라 공을 드리블하는 훈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8 훈련은 도 14와 같이 양 발 중 한 발(예 를 들면, 오른발)만을 사용하고 발의 외측면(아웃사이드면)을 원형 라인과 접촉시 키며 제1 공(B1)을 드리블하는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8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포함하는 훈련, 제1 원형라인, 제2 원형 라인 (CL2)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포함하는 훈련, 제1 원형 라인(CL1), 제4 원형 라 인(CL4)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포함하는 훈련,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4 원형 라인(CL4)을 포함하는 훈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8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훈련(상이한 원형 라인을 이용한 훈련) 각각은 갤로핑 자세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갤로핑 자세에 대한 평가는 제8 훈련에 대한 평가시에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제8 훈련의 복수의 항목은 훈련 평가 장치(100)의 센싱부(130)의 카메라,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 각각의 평가 내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항목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항목 각각의 산출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훈련자의 제8 훈련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 각각에 대한 평가는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 중 일부는 평가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의 순서는 차례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공(제1 공(B1) 내지 제6 공(B6))의 순서대로 복수의 훈련이 진행 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공(B1) 내지 제6 공(B6)의 순서대로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갤로핑 자세를 기반으로 점유, 전진, 전환, 슈팅, 유효슈팅의 전체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훈련 내 지 제8 훈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훈련의 흐름에 따라 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점유'의 경우 발의 힘, 발의 높이, 잔 발을 통하여 공이 발에서 떨어지지 않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전진'의 경우, 민첩성, 반응속도, 순간스피드의 향상으로 공을 발에 붙인 상태에서 몸의 움직임을 빠르게 하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전환'의 경우, 두 원형 라인 사이의 접점인 8자 대각선에서의 탄력, 볼 키핑(점유)이 향상되어 방향 전환시 탄력적인 움직임과 몸의 균형이 향상될 수 있 다. 그리고, '슈팅'의 경우 훈련 평가로 향상된 갤로핑 자세에 기초하여 공과 발 사이의 거리가 좁혀질 수 있고 드리블이 끝남과 동시에 따른 시간내에 슈팅을 수행하고 슈팅시의 발과 공의 접촉점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유효슈팅' 의 경우, 갤로핑 자세의 향상으로 훈련자의 두 무릎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슈팅시 의 공의 이동이 지면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제2 공(B2) 내지 제6 공(B6)을 이용하는 훈련 각각이 제1 공(B1)을 이용하는 추가훈련을 일부 또는 모두 포함함으로써 일반 공(제1 공(B1))이 아닌 특수한 공을 이용한 훈련에 의하여 획득한 기술을 훈련자가 일반 공(제1 공(B1))을 이용한 추가훈련을 통하여 시험해 볼 수 있어, 기술의 안정적인 습득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서, 훈련 평가 장치(100)는 프로세서(110)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의 평가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한다 (S130).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1 훈련 내지 제8 훈련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며 각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O/X로 평가할 수 있고, 복수의 항목 각각에 대한 이러한 평가결과는 합산되어 각각의 훈련의 평가 점수로서 산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 및/또는 출력부(140)로 평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 통신부(120)는 훈련자 단말(200)로 평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출력부 (140)는 디스플레이부 등을 이용하여 드리블 훈련 평가 장치(100)의 훈련자에게 평가 데이터를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 평가 장치(100)는 제8 훈련(다양한 원형 라인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훈련 각각의 점수를 산출하고, 복수의 서브 훈련 각각의 점수에 기초하여 제9 훈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8 훈련은 서로 다른 원형 라인을 이용하는 복수의 서브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8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4 원형 라인(CL4)을 이 용하는 제1 서브 훈련,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이용하는 제2 서브 훈련, 및 제1 원형 라인(CL1), 제2 원형 라인(CL2)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이용하는 제3 서브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훈련의 평가 점수는 10 점, 제2 서브 훈련의 평가 점수는 3점, 제3 서브 훈련의 평가 점수는 5점일 수 있다.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제1 서브 훈련 내지 제3 서브 훈련을 평가 점수가 높은 훈련에서 낮은 훈련의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제8 훈련의 서브 훈련들 각각은 제9 훈련의 복수의 서브 훈련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8 훈련의 제1 내지 제3 서브 훈련들은 평가 점수의 내림차 순에 따라 제1 서브 훈련, 제3 서브 훈련, 및 제2 서브 훈련의 순서로 정렬될 수 있고, 제9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훈련 각각은 정렬된 이와 같은 서브 훈련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9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훈련 각각은 제8 훈련 중 대응되는 서브 훈련에서 이용되는 원형 라인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9 훈련의 제1 서브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4 원형 라인(CL4)을 이용하고, 제2 서브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제2 원형 라인(CL2) 및 제5 원형 라인(CL5) 을 이용하며, 제3 서브 훈련은 제1 원형 라인(CL1) 및 제5 원형 라인(CL5)을 이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8 훈련 이후에 수행되는 제9 훈련을 구성하는 서브 훈련들 이, 제8 훈련이 포함하는 서브 훈련들을 각각의 평가 점수의 내림차순의 순서대로 정렬하고, 대응되는 원형 라인을 적용한 서브 훈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원형 라인들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제8 훈련의 평가 결과에 따라, 쉬운 난의도의 원형 라인부터 높은 난의도의 원형 라인의 순서로 재배치한 훈련들을 제9 훈련 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8 훈련 이후에 훈련자의 실력에 맞춘 제9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 평가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훈련자 단말(200)로부터 훈련자의 키, 몸무게, 체형, 나이, 훈련 기록 등을 포함하는 훈련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훈련자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자 맞춤형 훈련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원형 라인(CL1) 내 지 제5 원형 라인(CL5)의 크기(지름), 제5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의 하나의 원형 라 인에서 발이 공과 접촉하는 횟수 등은 훈련자의 키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훈련자의 키가 증가할수록 원형 라인의 크기 및 제5 훈련에서의 발과 공이 접촉하는 횟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 평가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는 라크리코스타 훈련, 투터치 훈련, 드래그 훈련, 스템오브 훈련, 노라인 훈련, 360도 탈압박(우측 탈압박, 좌측 탈압박, 직진 탈압박) 훈련, 공중볼을 지면과 인 접한 땅볼로 전환하는 훈련, 훈련자가 골대를 인지하는 속도를 평가하는 훈련, 직 접적으로 돌파하는 훈련, 전환시 거리감을 향상시키는 훈련, 갤로핑 슈팅 자세 훈련, 슈팅 훈련, 패스 훈련(패스앤 투런, 트라이앵글), 공간 훈련(패스 앤 페이스 정지 및 이동, 주변 확인, 라인 컨트롤) 등을 더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방법은 (a) 센싱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단계, (b)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c)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항목의 평가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탄성도,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 한 공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갤로핑 (Galloping) 자세 부합 여부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원형 라인과 제2 원 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제1 공, 제1 공보다 탄성도가 큰 제2 공, 제1 공보다 크기가 작은 제3 공, 제1 공보다 크기가 크고 탄성도가 큰 제4 공, 구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상이한 제5 공, 복수 개의 제6 공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공 내지 제6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복수의 훈련 각각은, 제2 공 내지 제6 공을 이용한 훈련 이후에 수행되는 제1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추가 훈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센싱부는,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 구성, 공 및 원형 라인을 촬영하는 카메라, 복수의 신체구성에 배치된 진동센서, 복수의 신체구성에 배치된 가속도센서, 및 지면이 접촉하는 훈련자의 발의 복수의 지점과 지면 사이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 평가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훈련자 단말과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항목의 평가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 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탄성도, 크기, 형태 중 적 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공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 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을 이용하여 드리볼 훈련을 할 때,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및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직접적으로 볼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훈련자가 가상의 볼이 있는 것처럼 상정하여 마치 볼을 드리블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및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의 상대적 위치, 발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직접적으로 볼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훈련자가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볼이 훈련자 앞에 있는 것처럼 상정하여 마치 볼을 드리블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및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의 상대적 위치, 발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훈련자의 발위치에서 일정 간격 떨어지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훈련자의 발위치에 동적으로 반응하여 위치 설정되어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직접적으로 볼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훈련자가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볼이 훈련자 앞에 있는 것처럼 상정하여 마치 볼을 드리블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직접적으로 볼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훈련자가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볼이 훈련자 앞에 있는 것처럼 상정하여 마치 볼을 드리블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직접적으로 볼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훈련자가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볼이 훈련자 앞에 있는 것처럼 상정하여 마치 볼을 드리블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장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지면에 투사되어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부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형 라인, 발 및 공의 상대적 위치, 발 및 공의 속도, 및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훈련 장치들은 축구 선수 이외에도 다른 스포츠 종목 선수들의 체력 단련 및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훈련 장치들은 축구 선수 이외에도 일반인들의 체력 단련 및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훈련 장치들은 축구 선수 이외에도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의 재활을 돕기 위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훈련 장치들은 축구 선수 이외에도 군인들의 대인 전투 훈련시에 반응 속도 및 반응 자세를 향상시키 위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훈련 장치들은 축구 선수 이외에도 일반인들의 여가 활동이나 친목활동을 위한 신체 활동을 돕기 위한 놀이 활동을 위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훈련 평가 시스템
100: 훈련 평가 장치
200: 훈련자 단말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센싱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CL1: 제1 원형 라인
CL2: 제2 원형 라인
CL3: 제3 원형 라인
CL4: 제4 원형 라인
CL5: 제5 원형 라인
B1: 제1 공
B2: 제2 공
B3: 제3 공
B4: 제4 공
B5: 제5 공
B6: 제6 공

Claims (19)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및 상기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3.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훈련자의 발위치에서 일정 간격 떨어지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훈련자의 발위치에 동적으로 반응하여 위치 설정되어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4.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상기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5.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6.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지면에 투사되어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갤로핑(Galloping) 자세 부합 여부에 대한 항 목을 포함하는 훈련 평가 방법.
  8. 삭제
  9.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및 상기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탄성도,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서 로 상이한 상기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훈련 평가 방법.
  11.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제1 공, 상기 제1 공보다 탄성도가 큰 제2 공, 상기 제1 공보다 크기가 작은 제3 공, 상기 제1 공보다 크기가 크고 탄성도가 큰 제4 공, 구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상이한 제5 공, 복수개의 제6 공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훈련 평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 내지 상기 제6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복수의 훈련 각각은, 상 기 제2 공 내지 상기 제6 공을 이용한 훈련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제1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추가 훈련을 더 포함하는 훈련 평가 방법.
  13.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및 상기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훈련자 단말과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 및 제2 원형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형 라인과 상기 제2 원형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외접하는 훈련 평가 장치.
  14.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공,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및 상기 공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훈련자 단말과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장치.
  15.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16.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훈련자의 발위치에서 일정 간격 떨어지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훈련자의 발위치에 동적으로 반응하여 위치 설정되어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17.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AR 장치를 착용하고 AR 장치를 통해 AR 장치가 표시해주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AR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상기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AR 장치를 통해 훈련자에게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18.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19.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지면에 투사되어 지면에 배치되고 서로 접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투사되는 가상의 볼을 보면서 가상의 공을 발을 통하여 이동시킨다는 상상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훈련을 진행하는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촬영하여 훈련자의 복수의 신체구성, 원형 라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 상기 발 각각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테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 라인,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상대적 위치, 상기 발 및 상기 공의 속도, 및 상기 훈련자의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훈련 각각은, 지름 및 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되는 가상의 볼은 가상의 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훈련자의 발의 속도 및 가속도를 반영하여 볼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계산되고, 계산되어 설정된 볼의 위치는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지면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원형 라인은, 제1 원형 라인과 외접하는 제5 원형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원형 라인의 지름은 상기 제1 원형 라인의 지름보다 작은 훈련 평가 방법.
KR1020230088572A 2023-07-07 2023-07-07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61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572A KR102613225B1 (ko) 2023-07-07 2023-07-07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572A KR102613225B1 (ko) 2023-07-07 2023-07-07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225B1 true KR102613225B1 (ko) 2023-12-13

Family

ID=8915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572A KR102613225B1 (ko) 2023-07-07 2023-07-07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710A (ja) * 2012-10-25 2015-12-24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チームスポーツ環境におけるアスレチックパフォーマンスをモニタするシステムと方法
JP2019506200A (ja) * 2015-12-29 2019-03-07 ヴィーアール フィジオ リミテッド 治療及びフィジカルトレーニングデバイス
KR101959079B1 (ko) * 2018-10-08 2019-03-18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신체 측정 및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710A (ja) * 2012-10-25 2015-12-24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チームスポーツ環境におけるアスレチックパフォーマンスをモニタするシステムと方法
JP2019506200A (ja) * 2015-12-29 2019-03-07 ヴィーアール フィジオ リミテッド 治療及びフィジカルトレーニングデバイス
KR101959079B1 (ko) * 2018-10-08 2019-03-18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신체 측정 및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9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exergaming
US11836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jectories of basketball shots for display
US8503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Buttussi et al. Bringing mobile guides and fitness activities together: a solution based on an embodied virtual trainer
Hughes et al. Notational analysis of sport: Systems for better coaching and performance in sport
US63085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20110270135A1 (en) Augmented reality for testing and training of human performance
US20060204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performance improvement
EP1059970A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20130282155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movement data of an athlete
Yamaoka et al. Feedback of flying disc throw with Kinect and its evaluation
Masai et al. Virtual reality sonification training system can improve a novice's forehand return of serve in tennis
US20170312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ort Performance Monitoring, Analysis, and Coaching
KR102613225B1 (ko)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Shin et al. A smartphone-based golf simulation exercise game for supporting arthritis patients
Woźniak et al. Health, fun, and engagement: Computing technologies that support physical activity
KR20230105455A (ko) 드리블 훈련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377754B1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Hoang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Immersive Technologies for Physical Training in Fitness and Sports
Singh Relationship of selected biomechanical variables with performance of jump shot in basketball
Fitzgerald et al. Integration of kinematic analysis into computer games for exercise
Dametto A classification of sport simulators
KR20240013019A (ko) 골프 트레이닝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트레이닝 방법
Dai et al. Technical analysis of basketball players' shooting movements through video images
Tamura et al. Feedback of Flying Disc Throw with Kinect: Improved Exper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