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151B1 - 무선 구강 세정기 - Google Patents

무선 구강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151B1
KR102613151B1 KR1020217029870A KR20217029870A KR102613151B1 KR 102613151 B1 KR102613151 B1 KR 102613151B1 KR 1020217029870 A KR1020217029870 A KR 1020217029870A KR 20217029870 A KR20217029870 A KR 20217029870A KR 102613151 B1 KR102613151 B1 KR 10261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irrigator
tip
cap
latch assembly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983A (ko
Inventor
토마스 에이. 본듀런트
Original Assignee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5Container fill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4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consta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몸체, 저장소, 몸체에 커플링된 캡 및 캡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는 팁을 포함할 수 있는 구강 세정기가 제공된다. 구강 세정기는 팁을 몸체에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 팁 및 래치 어셈블리는 모두 몸체에 대해 정의된 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회전 가능하다.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젝터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젝터 버튼은 캡의 상부 표면을 통해 연장한다.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은 팁의 회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젝터 버튼의 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강 세정기의 저장소는 펌프와 커플링된 튜브의 입구 주위에 유체의 체적을 집중시키는 테이퍼링 체적 섹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구강 세정기
이 출원은 2019년 2월 22일에 출원되고 제목이 "무선 구강 세정기(water flosser)"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809,41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현재 개시는 건강 및 개인 위생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개시는 무선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 세정기(oral irrigator)라고도 하는 치실은 사용자의 구강 내로 가압된 맥동 유체 흐름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을 세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체는 치아와 잇몸에 영향을 주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강 세정기들은 AC 콘센트로 전원이 공급되는 카운터톱(countertop) 모델들뿐만 아니라, 저장소를 포함한 모든 컴포넌트들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에 포함되거나 즉시 연관됨을 의미하고, 배터리로 작동되고 독립형인 휴대용 모델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들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현재 개시는 구강 세정기와 관련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는 몸체 및 몸체와 커플링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캡의 개구부를 통해 팁이 연장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는 팁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캡, 팁 및 래치 어셈블리는 모두 몸체에 대해 정의된 축을 중심으로 한 단위로 회전할 수 있다.
현재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는 몸체,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커플링된 캡 및 정의된 축을 따라 캡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는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는 팁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래치 어셈블리는 캡의 상부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이젝터 버튼을 포함한다.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에는 정의된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젝터 버튼의 변위가 포함된다.
개시내용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는 몸체, 몸체와 연관된 저장소, 몸체에 배치된 배터리, 및 몸체에 배치된 펌프를 포함한다. 펌프는 저장소와 유체 소통하며 튜브를 통해 저장소에서 유체를 끌어오고 유체를 가압하며 몸체에 커플링된 팁에서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소는 플로어를 향해 수렴하는 테이퍼진 체적을 갖는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튜브의 입구는 플로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현재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발명은 현재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측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도 1은 현재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세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구강 세정기의 캡의 저면 사시도 및 저면 평면도이다.
도 5는 캡이 제거된 도 1의 구강 세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캡이 제거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세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하우징 부분들이 제거된 도 1의 구강 세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캡이 제거된 도 8에 도시된 래치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캡이 제거된 도 8에 도시된 래치 어셈블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팁 홀더가 제거된 도 10에 도시된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래치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구강 세정기의 저장소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라인 14-14을따라 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저장소의 저면 사시도이다.
현재 개시내용은 구강 세정기(water flosser)(구강 세척기(oral irrigator )로도 지칭될 수 있음) 및 연관된 컴포넌트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구강 세정기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무선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구강 세정기는 디바이스의 인체 공학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디바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특징들 및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강 세정기는 몸체 및 재충전 가능한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펌프는 하나 이상의 밸브 및 적절한 도관 및 튜브와 같이 저장소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출구가 있는 팁은 물 또는 다른 유체가 원하는 압력, 유속, 펄스 주파수 또는 기타 흐름 특성으로 팁을 통해 전달되도록 펌프와 유체 소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강 세정기는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캡은 팁의 출구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몸체에 대해 팁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몸체의 위치에 대해 유체 배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강 세정기는 서로 다른 팁이 구강 세정기에 선택적으로 부착 및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는 팁의 선택적 유지 및 해제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젝터 버튼은 이젝터 버튼의 작동 시 래치 어셈블리가 제거를 위해 팁을 해제하도록 캡 상에 또는 캡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젝터 버튼은 캡의 상부 표면을 따라 위치하거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어셈블리는 캡에 고정된 팁 홀더와 팁 홀더에 고정된 콜릿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팁 홀더와 연관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파지 핑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형 부재는 파지 핑거(grasping finger)들과 맞물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파지 핑거들의 측방향 변위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젝터 버튼은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경사진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콜릿은 정의된 축을 중심으로 펌프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지만 펌프 출구에 대해 정의된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위에 표시된 컴포넌트들, 캡 및 팁을 포함하는 래치 어셈블리는 구강 세정기의 몸체에 대해 정의된 축을 중심으로 한 유닛으로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래치 어셈블리, 캡 및 팁은 펌프 출구에 대해 하나의 유닛으로 회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강 세정기의 저장소는 펌프 입구와 커플링된 튜브의 입구 주위에 유체의 부피를 집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소의 하부는 튜브의 입구에 인접한 플로어로 이어지는 테이퍼진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 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를 따라 만곡된 표면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벽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플로어와 결합하는 만곡된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특징들 및 컴포넌트들은 다른 것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외하고 구강 세정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특징들 및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제한 없이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강 세정기가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구강 세정기(100)는 몸체(102) 및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재충전 가능한 저장소(104)를 갖는다. 몸체(102) 및 저장소(104)는 가느다란 상부(108) 및 상대적으로 확대된 하부(110)를 갖는 인체 공학적으로 형상화된다. 몸체(102)는 사용자가 상부(108) 주위에서 구강 세정기(100)를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반면, 확대된 하부(110)는 저장소(104) 내의 유체의 저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구강 세정기(100)가 테이블이나 카운터톱과 같은 지지면에 놓일 때 구강 세정기(100)를 수직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구강 세정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동안 가압 유체가 통과하는 출구(114)를 갖는 팁(112)을 더 포함한다. 팁(112)은 회전 가능한 캡(116)과 커플링될 수 있다. 팁(112)은 팁(112)과 캡(116)이 방향 화살표(120)로 표시된 축(118)을 중심으로 몸체(102)에 대해 일제히(예를 들어, 단일 유닛으로서) 회전하도록 캡(1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팁(112)의 회전은 출구(114)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여 출구(114)를 나가는 유체 스트림의 방향이 사용 중에 변경되고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질 수 있도록 한다.
리드(124)는 저장소(104)와 연관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저장소(104)를 유체로 채울 수 있게 하는 저장소에 개구부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소(104)가 원하는 레벨로 채워지면, 리드(124)는 개구부를 밀봉하고 구강 세정기(100)가 사용 동안 다양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될 때 유체가 저장소(104)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드(124)는 저장소(104) 또는 몸체(102)에(예를 들어, 힌지 또는 랜야드(lanyard) 구조를 통해) 커플링되어 유체를 채우기 위해 개구부가 노출될 때 구강 세정기(100)와 함께 리드(124)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 부재(130)들은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 내에 위치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디바이스(예를 들어, 충전 크래들 또는 충전 베이스, 미도시)와 접촉하고 이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몸체(10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접촉 부재(130)들은 몸체(102)의 상향 연장 표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재(130)들은 몸체(102)의 저면 벽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진 몸체(102)의 각진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접촉 부재(130)들은 몸체(102)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일 수 있다.
이젝터 버튼(140)은 캡(116)의 일부 내에 위치되며 래치 메커니즘(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을 작동시켜 구강 세정기(10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팁(112)을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젝터 버튼(140)은 캡(116)의 상부 표면(141)에 위치될 수 있고 회전축(118)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일반적으로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캡(116)의 저면 측은 현재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예시된다. 캡(116)은 상부 디스크 또는 벽(141) 및 원주방향 측벽(142)을 포함한다. 복수의 교차하는 릿지(144)들 및 홈(146)들과 같은 사용자 맞물림 특징부가 원주 측벽(142)의 방사상 외부(외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릿지(144)들 및 홈(146)은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에 대해 캡(116) 및 팁(112)을 회전할 때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원주방향 측벽(142)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은 캡(116)을 통해 팁(112)을 회전시키려는 사용자에 의한 캡(116)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체(102)의 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있거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12)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엄지와 같은 핑거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릿지(144)들과 맞물리고 캡(116)을 회전시켜 팁(112)을 회전시키면서 다른 핑거들로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젝터 버튼(140)은 캡(116)의 상부 표면(141)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할 수 있고 래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팁(112)을 해제할 수 있다.
복수의 교차하는 릿지(148)들 및 홈(150)들이 원주 측벽(142)의 방사상 내부(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홈(142)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몸체(102)의 상부에 위치된 멈춤쇠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116)은 디스크(140)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고 구강 세정기(100)의 래치 어셈블리와의 커플링을 위해 팁(112)(도 4a 및 4b에 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하는 개구부(154)를 둘러싸는 환형 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환형 벽(160)은 제1 환형 벽(15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환형 벽(160)은 이젝터 버튼(140)의 샤프트를 수용하는 다른 개구부(162)를 둘러쌀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스(164)들은 제1 환형 벽(15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패스너들을 수용하고 래치 어셈블리와 커플링하기 위한 나사 구멍(16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추가로 참조하여 도 4a 및 4b를 계속 참조하면, 다양한 밀봉 특징부들이 캡(116)과 연관되어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링(168) 또는 다른 밀봉 부재(도 5 및 6 참조)는 래치 어셈블리의 스템 부분(170)의 단부에 또는 그 둘레에 위치될 수 있고, 스템 부분(170)은 제1 환형 벽(152)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O-링(168)은 개구부(154)를 통해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로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스템 부분(170)과 캡(116) 사이에 밀봉을 제공한다. 잔해, 유체 또는 기타 오염물로부터 구강 세정기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밀봉하기 위해 다른 밀봉 부재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제2 환형 벽(162) 및 연관된 개구부(164)와 연관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더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칼라(172)는 몸체(102)의 상부 단부에 위치되고 한 쌍의 정반대 멈춤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멈춤쇠 부재는 캔틸레버식 핑거(176)의 단부에 위치한 반구형 또는 반원통형 돌출부와 같은 돌출부(17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4)들은 돌출부는 캡(116)의 내부 홈(150)과 맞물리고 지정된 크기의 회전력이 몸체(102)에 대해 캡(116)에 가해질 때까지 몸체(102)에 대한 축(118)을 중심으로 한 캡(116)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크기가 지정되고 구성된다. 캡(116)에 지정된 크기(또는 그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캔틸레버식 핑거(176)는 돌출부(174)가 다른 쌍의 내부 홈(148)들과 다시 맞물릴 때까지 캡(116)이 회전할 때 돌출부(174)가 내부 릿지(148)들을 따라 활주하도록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캡(116)은 몸체(102)에 대해 원하는 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대응하는 한 쌍의 내부 홈(148)들과 돌출부(174)들의 맞물림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몸체(102)의 외부 하우징이 제거된 구강 세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세정기(100)는 모터(182)와 같은 구동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하나 이상의 교체 가능한 배터리들(예를 들어, AAA, AA, C, D 또는 9볼트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82)는 펌프(184)와 기계적으로 커플링되고 펌프(184)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펌프(184)는 저장소(104)와 유체 소통하는 펌프 입구(186)를 포함하고, 저장소(104)로부터 유체를 끌어오고, 유체를 가압하고, 가압된 유체를 펌프 출구(188)를 통해 통과시키고, 팁(112)(도 7에 도시되지 않음)의 출구(114)를 통해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강 세정기(100)는, 유체 흐름의 압력, 유량 또는 맥동 패턴을 변경하거나, 구강 세정기(100)의 일부 다른 작동 매개변수를 변경하기 위해, 구강 세정기(100)를 켜거나 끄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22)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집적 회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190)와 전기적으로 그리고 작동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제어기(19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22)의 사용자 작동에 기초하여 모터(182)의 속도 및 이에 따른 펌프(184)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세정기(100)는 팁(112)을 선택적으로 유지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 래치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12는 래치 어셈블리(200)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래치 어셈블리(200)는 나사(204) 또는 다른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 캡(116)과 커플링된 팁 홀더(202)를 포함한다. 팁 홀더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8)을 따른 위치에서 팁(112)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콜릿(206)은 나사(208), 다른 적절한 패스너 또는 다양한 결합 기술(예: 초음파 용접, 접착제 또는 스테이킹)에 의해 팁 홀더(202)와 커플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콜릿(206) 및 팁 홀더(202)는 몰딩, 3D 프린팅 또는 다른 적절한 제조 기술에 의해 통합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콜릿(206)은 개별 벽 부분(212)을 정의하는 콜릿(206)의 몸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 또는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어셈블리(200)는 관련 팁(112)의 릿지, 숄더 또는 홈과 맞물림하여 래치 어셈블리(200)가 작동될 때까지 팁 홀더(202) 내에 팁(11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파지 핑거(216)를 갖는 래치(214)를 포함한다. 경사진 부재(220)는 래치(214)의 경사진 표면(222)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젝터 버튼(140)이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방향 화살표(224)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은 경사진 부재(220)를 통해 경사진 표면(222)들로 전달되어, 파지 핑거(216)들이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팁 홀더(202) 내에 위치된 팁(112)의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226)는 경사진 부재(220)와 래치 어셈블리(200)(예: 팁 홀더(202)의 일부 또는 콜릿(206)의 일부)의 일부 다른 부분 사이에 위치되어 경사진 부재(220) 및 관련 이젝터 버튼(140)을 작동되지 않은 위치로 다시 바이어스할 수 있다. 경사진 부재(220)가 비작동 위치로 다시 변위될 때, 팁(11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환형 홈 내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팁 홀더(202) 내에서 파지 핑거(216)들은 래치 핑거(216)가 팁(112)을 파지하고 유지할 수 있는 "폐쇄" 상태로 래치를 되돌리기 위해 서로를 향해 측방향으로 후방으로 변위된다. 파지 핑거(216)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14)의 형상으로 인해, 또는 외부 바이어싱 부재들을 통해 서로를 향해 다시 변위될 수 있고, 이는 이젝터 버튼(140)이 작동될 때 파지 핑거(216)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젝터 버튼(140)이 해제될 때 자연적인 닫힌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통합된 바이어싱 부재 또는 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핑거(216)들이 팁(112)의 샤프트에 위치한 릿지, 숄더 또는 기타 특징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테이퍼진 또는 경사진 표면(232)들을 포함할 수 있어, 팁(112)이 팁 홀더(202)에 삽입될 때, 팁(112)의 릿지는 파지 핑거(216)들의 테이퍼진 또는 경사진 표면(232)들과 접하고 팁(112)이 설치 동안 팁 홀더(202) 내로 추가로 변위됨에 따라 파지 핑거(216)들이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팁 부재(114)의 릿지가 래치(214)의 파지 핑거(216)들 아래를 통과하면, 파지 핑거(214)들은 통합된 바이어싱 부재(230) 또는 다른 바이어싱 부재들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싱 힘으로 인해 서로를 향해 다시 변위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콜릿(206)은 일반적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된 복수의 부분적으로 분할된 벽 부분(2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벽 부분(212)들은 내부 방사상 립(234) 또는 렛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상 립(234)들은 펌프 출구(188)에 형성된 견부(23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될 때, 콜릿(206)은 전체 래치 어셈블리(200)와 함께 콜릿(206)이 펌프 출구(188)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펌프 출구(188)에 대해 축(11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펌프 출구(188)와 커플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지 클립(237), 밴드, 또는 다른 유지 디바이스는 벽 부분(212)을 보유하고 벽 부분(212)이(축(118)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우발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콜릿(206)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유지 클립(237)은 콜릿(206)으로부터 보유 클립(237)의 설치(및/또는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 클립(237)의 자유 단부를 걸거나 잠그는 맞물림 특징부들(238, 239)(예를 들어, 짝짓기 립)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펌프 출구(236)에 대한 잠금 위치에서 콜릿(206)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유지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될 때, 캡(116), 팁(112)(설치된 경우) 및 래치 어셈블리(200)는 펌프(184)에 대해 그리고 몸체(102)에 대해 축(118)에 대해 일제히(예를 들어, 단일 유닛으로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구강 세정기(100)의 보다 콤팩트하고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구강 세정기(100)의 작동 동안 사용자에 의한 부주의한 작동의 기회가 적을 수 있는 위치로 이젝터 버튼(140)이 이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를 이제 참조하면, 저장소(104)의 다양한 양태들이 예시된다. 저장소(104)는 상부 하우징(240) 및 하부 하우징(24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부재(244)들은 구강 세정기(100)의 몸체(102)의 나머지 부분과 커플링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240), 하부 하우징(242) 또는 둘 다에 형성되거나 커플링될 수 있다. 개구부(246)는 저장소(104)로부터 펌프(184)(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지 않음) 내로 유체를 끌어들이는데 사용되는 튜브(248)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24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104)의 저면 섹션(250)은 플로어(254)로 연장될 때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테이퍼진 체적을 정의하는 기울어진 벽(2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면 섹션(250)의 테이퍼진 체적은 기울어진 벽(252)들이 플로어(254)를 향해 그들의 최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튜브(248)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취함)을 초래한다. 나머지 유체 레벨이 저면 섹션(250) 내에 대부분 포함되도록 저장소(104)로부터 유체가 소비될 때, 테이퍼진 구성은 펌프(184)가 튜브(248)의 입구(256) 주위에 유체의 잔여 부피를 집중시킴으로써 더 작은 잔여 부피로부터 유체를 계속 끌어들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저장소(104)의 저면 섹션(250)은 상부 하우징(240) 및 하부 하우징(242)이 저장소(104)의 외부를 형성하도록 하부 하우징(24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저면 섹션(250)은 상부 하우징(240)과 저면 섹션(250)이 저장소(104)의 전체 내부 체적을 집합적으로 정의하도록 상부 하우징(240)에 기밀하게 밀봉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42)은 상부 하우징(240)에 부착되어 저면 섹션(250)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저면 섹션(250)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부 부분을 갖는 제1 벽(252A) 및 하나 이상의 만곡된 표면(260)을 포함할 수 있는 상부 부분을 갖는 다른 벽(25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252A, 252B)들의 하부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원형 기하학을 나타내는 플로어(254)와 결합하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튜브(248)의 입구(256) 주위에 즉시 유체를 집중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평면 및 만곡된 벽 표면들의 다른 조합이 고려되고, 타원형 및 다각형과 같은 다른 기하학적 구조가 플로어(254)에 대해 고려된다.
전술한 설명은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임의의 예에 대한 논의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개시내용의 범위가 이러한 예에 제한된다는 것을 제안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의 특징들, 컴포넌트들 또는 양태들은 제한 없이 다른 실시예의 특징들, 컴포넌트들 또는 양태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현재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발명은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3)

  1. 몸체;
    상기 몸체에 커플링된 캡;
    상기 캡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는 팁; 및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캡, 상기 팁 및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에 대해 정의된 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모두 회전 가능한 구강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 부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연관된 이젝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 버튼의 작동 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팁을 해제하는 구강 세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버튼은 상기 캡의 상부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구강 세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버튼의 작동은 규정된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캡과 커플링되고 상기 팁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팁 홀더;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된 펌프 몸체; 및
    상기 팁 홀더와 고정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펌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 된 콜릿
    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한 쌍의 파지 핑거들을 갖는 래치; 및
    상기 이젝터 버튼 및 상기 한 쌍의 파지 핑거들 사이에 배치된 경사형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버튼의 작동 시, 상기 경사형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파지 핑거들을 서로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강 세정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커플링 된 칼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캔틸레버식 핑거 상에 위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멈춤쇠 메커니즘을 갖는 구강 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홈들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연관된 저장소;
    상기 몸체에 배치된 모터;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소와 유체 소통하는 펌프;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입구와 유체 소통하고 상기 저장소에 배치된 입구 단부를 갖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플로어로 이어지는 테이퍼진 벽을 갖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상기 튜브의 상기 입구 단부 주위에 유체 체적을 집중시키는 구강 세정기.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규정된 축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캡의 상부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이젝터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작동은 상기 규정된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이젝터 버튼의 변위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된 펌프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펌프 몸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강 세정기.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연관된 저장소;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된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저장소와 유체 소통하고 튜브를 통해 상기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끌어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 커플링된 팁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소는 플로어를 향해 수렴하는 테이퍼진 체적을 갖는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입구는 상기 플로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구강 세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섹션은 제 1 기울어진 벽 및 제 2 기울어진 벽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울어진 벽은 평면형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기울어진 벽은 곡면을 나타내는 상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울어진 벽 및 상기 제 2 기울어진 벽은 곡면을 나타내는 하부들을 각각 갖는 구강 세정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는 원형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구강 세정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부착된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섹션이 상기 저장소의 전체 체적을 집합적으로 규정하도록, 상기 하부 섹션은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부착된 구강 세정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캡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유닛의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구강 세정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회전은 상기 팁이 상기 몸체에 대한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되게 하는 구강 세정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상기 팁 및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구강 세정기 사용 중에 상기 몸체에 대한 규정된 축에 대해 하나의 유닛으로 모두 회전 가능한 구강 세정기.
KR1020217029870A 2019-02-22 2020-02-21 무선 구강 세정기 KR102613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9412P 2019-02-22 2019-02-22
US62/809,412 2019-02-22
PCT/US2020/019201 WO2020172519A2 (en) 2019-02-22 2020-02-21 Cordless water flos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983A KR20210127983A (ko) 2021-10-25
KR102613151B1 true KR102613151B1 (ko) 2023-12-13

Family

ID=698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870A KR102613151B1 (ko) 2019-02-22 2020-02-21 무선 구강 세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18429B2 (ko)
EP (1) EP3927280B1 (ko)
JP (1) JP7344972B2 (ko)
KR (1) KR102613151B1 (ko)
CN (1) CN113677294B (ko)
AU (1) AU2020226871B2 (ko)
CA (1) CA3129675A1 (ko)
WO (1) WO20201725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8936S1 (en) * 2019-02-22 2020-06-30 Water Pik, Inc. Cordless water flosser
USD944973S1 (en) * 2020-04-16 2022-03-01 Shenzhen Yuxinyuan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Oral irrigator
USD948032S1 (en) * 2020-06-15 2022-04-05 Shenzhen Fortunecome Technology Co., Ltd. Oral irrigator
USD978336S1 (en) * 2020-06-19 2023-02-14 Nicefeel Medical Device Technology Co., Ltd. Portable oral irrigator
USD959648S1 (en) * 2020-07-29 2022-08-02 Shenzhen Jianke Industrial Co., Ltd Water flosser
USD966498S1 (en) * 2020-09-15 2022-10-11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USD1012278S1 (en) * 2020-12-23 2024-01-23 Zhiwei Wang Oral cleaning tool
USD1010809S1 (en) * 2020-12-23 2024-01-09 Zhiwei Wang Oral cleaning tool
USD1016274S1 (en) 2021-02-16 2024-02-27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USD1006218S1 (en) * 2021-12-13 2023-11-28 Shenzhen Quncheng Electronics Co., Ltd Tooth cleaning implement
USD1017027S1 (en) * 2023-06-20 2024-03-05 Nature Lab Corporation Water flosser
USD1028223S1 (en) * 2023-07-05 2024-05-21 Guangzhou Winpower Network Technology Co., Ltd Handheld bid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7749A1 (en) * 2009-07-30 2011-02-03 Syed Seemie N Water Floss Pick
CN108742910A (zh) * 2018-07-24 2018-11-06 舒可士(深圳)科技有限公司 洗牙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062A (en) * 1973-11-30 1975-03-25 Jerry Lynn Johnson Air hose quick coupler
US5489205A (en) 1988-09-06 1996-02-06 Davis; Warren Syringe tip locking assembly
US5306146A (en) * 1988-09-06 1994-04-26 Warren Davis Syringe tip locking assembly
US7147468B2 (en) * 2002-12-31 2006-12-12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US20070203439A1 (en) * 2006-02-24 2007-08-30 Water Pik, Inc. Water jet unit and handle
US20060144868A1 (en) * 2006-03-30 2006-07-06 Michael Brisbois Polymeric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US7670141B2 (en) * 2006-07-07 2010-03-02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US9061096B2 (en) 2009-12-16 2015-06-23 Water Pik, Inc. Powered irrigator for sinus cavity rinse
KR101337692B1 (ko) * 2012-01-06 2013-12-06 이영훈 구강 세정기
WO2014059362A2 (en) * 2012-10-11 2014-04-17 Water Pik, Inc. Interdental cleaner using water supply
CN203953860U (zh) * 2014-01-06 2014-11-26 洁碧有限公司 口腔卫生装置
USD772396S1 (en) 2014-12-01 2016-11-22 Water Pik, Inc. Handheld oral irrigator
CN205586102U (zh) * 2014-12-01 2016-09-21 洁碧有限公司 防水无线口腔冲洗器
USD780908S1 (en) 2015-11-03 2017-03-07 Water Pik, Inc. Handheld oral irrigator
USD804016S1 (en) 2016-02-05 2017-11-28 Water Pik, Inc. Handheld oral irrigator
JP2018070243A (ja) * 2016-11-01 2018-05-10 株式会社江商 ポンプ付き液体容器用容器本体およびポンプ付き液体容器
CN206603830U (zh) * 2016-11-09 2017-11-03 广东罗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冲牙头可拆卸式冲牙器
CN108732910A (zh) 2017-04-17 2018-11-02 枣阳市第三实验小学 太阳能供电使用的挂钟
CN209847430U (zh) * 2019-02-01 2019-12-27 绍兴市爱牙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的喷嘴锁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7749A1 (en) * 2009-07-30 2011-02-03 Syed Seemie N Water Floss Pick
CN108742910A (zh) * 2018-07-24 2018-11-06 舒可士(深圳)科技有限公司 洗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1021A (ja) 2022-04-04
CA3129675A1 (en) 2020-08-27
WO2020172519A2 (en) 2020-08-27
JP7344972B2 (ja) 2023-09-14
WO2020172519A3 (en) 2020-10-01
KR20210127983A (ko) 2021-10-25
AU2020226871A1 (en) 2021-09-16
CN113677294A (zh) 2021-11-19
EP3927280B1 (en) 2023-07-12
US20200268490A1 (en) 2020-08-27
CN113677294B (zh) 2023-10-27
EP3927280A2 (en) 2021-12-29
US11918429B2 (en) 2024-03-05
AU2020226871B2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151B1 (ko) 무선 구강 세정기
RU2713966C2 (ru)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KR102576326B1 (ko) 자기 부착부를 갖는 구강 세척기
RU2708366C2 (ru)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RU2675677C1 (ru)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US4803974A (en) Oral lavage apparatus
US9980793B2 (en) Oral hygiene system
CN108013940B (zh) 清洁器具
US5573020A (en) Dental flo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7997841B (zh) 清洁器具
CN107981949B (zh) 清洁器具
US7147468B2 (en) Hand held oral irrigator
US6159006A (en) Portable oral irrigator
CN114504184A (zh) 清洁器具
CN107890378B (zh) 清洁器具
CN117679198A (zh) 清洁器具
CN108013941B (zh) 清洁器具
CN111494044A (zh) 护理设备用的充电座
JPWO2018101113A1 (ja) ディスペンサ
AU2003249468B2 (en) Electric interdental brush
CN108013939B (zh) 清洁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