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09B1 - 오디오 기기 - Google Patents

오디오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09B1
KR102612709B1 KR1020227013689A KR20227013689A KR102612709B1 KR 102612709 B1 KR102612709 B1 KR 102612709B1 KR 1020227013689 A KR1020227013689 A KR 1020227013689A KR 20227013689 A KR20227013689 A KR 20227013689A KR 102612709 B1 KR102612709 B1 KR 10261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sound wave
wave sensor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478A (ko
Inventor
빙옌 옌
펑윈 랴오
신 치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7Circuits for combin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Abstract

본 출원은 소정된 범위내의 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고 상기 예정범위 외의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에 대하여 확대작용이 있는 오디오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디오 기기는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음파센서; 상기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음파센서; 및 상기 제1음파센서 및 상기 제2음파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에 근거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전기회로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오디오 기기의 상기 음파에 대한 근거리음장 감도는 상기 음파에 대한 원거리음장 감도보다 현저히 낮다.

Description

오디오 기기
본 발명은 소리수집 디바이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 예를 들면 마이크 모듈에 있어서, 부동한 응용 장면에서 근거리음장음원과 원거리음장음원의 소리전파 효과에 대한 요구는 부동하다. 예를 들면, 전화통화 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핸드폰에 더 가까운 사람의 음성을 확대하고, 주변환경의 소리를 약화시켜 통화하는 상대방이 핸드폰 사용자의 음성을 더 명확히 들을 수 있게 할 것을 희망한다. 반대로 일부 응용 장면에서는 사람들은 오디오 기기가 근거리음장음원의 감도를 약화시키고 원거리음장음원의 감도를 증가시킬 것을 희망한다.
예를 들면 보청기 분야에서 사람들은 보청기의 기능에 대하여 현재는 간단히 사용자로 하여금 소리를 듣게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청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주위 사람의 소리를 명확히 듣고 알아 들을 수 있게 할 것을 요구한다. 음성 식별도에 영향을 주는 관건적인 요소의 하나로는 음성신호 중의 목표 음성과 간섭 소리의 비율이다. 음성신호 중에 포함된 간섭 소리의 비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목표 음성신호의 식별률이 높다.
그런데 일반적인 보청기의 확대효과는 선택성이 없어서 목표 음성신호를 확대하는 동시에(원거리음장음원) 사용자 자신의 음성신호도 함께 확대한다(근거리음장음원). 일반적으로 사용자 음원은 대화 상대방보다 보청기에 가까우므로, 보청기를 착용시 사용자의 소리의 강도가 대화 상대방의 소리의 강도보다 크다. 그러므로 사용자 자신의 음성신호는 소음으로 되어 목표 발성자 음성의 식별도를 하강시켜, 의사소통 및 보청기의 사용 체험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근거리음장음원신호를 억제하는 동시에 원거리음장음원신호를 확대하는 일종 새로운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가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여 본 출원의 일부 방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아래 부분의 내용은 본 출원의 관건적이거나 중요한 부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그 목적은 단지 간단한 형식으로 본 출원 중의 일부 개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더 많은 세부 내용은 본 출원의 기타 부분에서 상세히 해석한다.
본 출원은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기기는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음파센서; 상기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음파센서; 및 상기 제1음파센서 및 상기 제2음파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에 근거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전기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기기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상기 음파(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목표근거리음장 감도가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상기 음파(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한 원거리음장 감도보다 현저히 낮으며,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상기 제1음파센서까지의 제2목표거리가 상기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상기 제1음파센서까지의 제1목표거리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음장 감도가 상기 원거리음장 감도보다 낮다는 것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 감도와 상기 원거리음장 감도의 비율이 소정의 치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음파센서는 제1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센서는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로부터 상기 제2마이크까지의 거리는 사전에 설정한 거리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 사이에서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1음압역치보다 크도록 하는 위치이며;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 사이에서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2음압역치보다 작도록 하는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기기는 전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음파센서와 상기 제2음파센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운행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공간위치자세는 고정되며, 상기 제1음파센서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거리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2거리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음파센서의 감도는 제1감도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의 감도는 제2 감도이며, 상기 제1감도와 제2 감도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비율에 의하여 확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음파센서의 감도는 제1감도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의 감도는 제2 감도이며, 상기 제1감도와 상기 제2 감도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음파센서는 진폭값조절전기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제2음파센서으로부터 출력하는 최초 제2신호에 대하여 진폭값조절을 진행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댑트버튼을 포함하며,상기 어댑트버튼은 눌리울 때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를 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기기가 운행시,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의 진폭값조절폭은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동적변화에 따라 실시적으로 변화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음파센서는 위상조절전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조절전기회로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차동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음파센서로부터 출력한 최초 제1신호에 대하여 위상조절을 진행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는 차동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기기는 상기 차동회로의 출력신호를 확대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의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확대전기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음파센서와 상기 제1음파센서 사이의 사전에 설정한 거리는 조절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를 포함하며,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을 포함하며,적어도 상기 제1음파센서의 일부분과 적어도 상기 제2음파센서의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중의 각 이어폰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 중의 각 신호전환기는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중의 각 이어폰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 중의 각 신호전환기는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골격을 통하여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상기 스피커의 장착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신호는 n개의 제1자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신호는 n개의 제2자신호를 포함하며,제i개 제1자신호와 제i개 제2자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대응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i는 1~n 중의 임의의 정수이며;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는 매쌍의 순열이 동일한 제1자신호와 제2자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신호로 재합성시킨다.
아래의 도면은 본 출원에서 공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각 도면에서 유사한 구조를 의미한다. 본 분야의 통상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는 한정적이 아니며, 예시적인 것임을 잘 요해할 것이며, 도면은 설명과 기술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기타 방식의 실시예도 본 출원의 발명 의도를 구현할 수 있음을 요해할 것이다. 도면은 비례에 따라 제작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디바이스의 응용장면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디바이스의 근거리음장음원신호 억제 원리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진폭값조절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호확대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위상조절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자주파수대분해모듈을 구비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도 8a와 도 8b는 오디오 기기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 및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의 방향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도 9a와 도 9b는 오디오 기기의 부동한 실시예에서 0° 방향의 주파수반응을 표시한다.
본 출원은 소리전파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를 공개한다. 상기 오디오 기기는 예정범위내의 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있으며, 지정된 근거리음장음원 이외의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에 대하여 확대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분야의 기술자로 하여금 본 출원의 내용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특정된 응용장면과 요구를 제공하였다. 아래의 기술에 따르면, 본 공개의 이러한 특징과 기타 특징, 및 구조의 관련 구성의 동작과 기능 및 구성의 조합과 제조의 경제성을 뚜렷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각 구성은 본 공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하지만 도면은 단지 설명과 기술의 목적에 의한 것이며, 본 공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 있어서 여기서 공개되는 실시예의 각 종 국부적인 수정은 용이한 것이며 본 공개의 요지와 범위 내에서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를 기타 실시예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공개는 아래에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는 청구항의 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의 오디오 기기(100)의 일부 실시예에 표시되는 사용 장면도이다. 오디오 기기(100)는 음파센서(110), 신호처리전기회로(120)와 신호전환기(120) 중의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음파센서(11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세트일 수 있으며; 상기 신호전환기(130)는 특정된 기능을 구비하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신호처리전기회로(12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전기부품, 회로 및/또는 하드모듈일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전기부품, 회로 및/또는 하드모듈은 상기 음파센서(110)가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신호전환기(120)에 전송하여 소리로 전환시킨다.
상기 오디오 기기(100)는 단지 상기 음파센서(1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기기는 단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세트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기기(100)는 동시에 음파센서(110), 신호처리전기회로(120)와 신호전환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기기(100)는 상기 마이크 세트를 설치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임의의 소리수집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보청기(100-1), 스마트 텔레비전(100-2)와 스마트 오디오(100-3) 및 기타 스마트 오디오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마트 오디오 기기(100)는 주변환경의 소리를 수집하고 환경 소리 중의 특정된 소리를 식별하여 특정된 처리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텔레비전(100-2)와 스마트 오디오(100-3)는 사람의 음성을 수집하고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식별하여 내부 응용프로그램의 운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오디오(113)는 사람의 음성을 수집하고 음성 중의 가요신청명령을 식별하여 상응한 가요를 방송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오디오 기기(100)는 특정된 위치에서 발사하는 음성에 대하여 특별한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된 위치로부터 발사한 음성에 대하여 특별히 민감하거나 민감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에 장착한 음파센서(110)는 그와 부동한 거리에 있는 음원신호에 대하여 부동한 감도로 반응한다. 도 1에서 근거리음장음원(140)는 원거리음장음원(150)보다 디바이스(110)에 더 가깝다. 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발사하는 음성신호와 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발사하는 음성신호는 전부 오디오 기기(100)에 의하여 수집되고/거나 전기신호로 전환된다. 오디오 기기(100)의 음성신호에 대한 감도는 출력 전기신호의 공률과 수신된 음성신호의 공률의 비율이다. 감도가 크면 클 수록 단위 공률을 표시하는 음원신호가 오디오 기기(100)에 의하여 전화된 후의 전기신호의 공률치도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근거리음장음원(140)과 원거리음장음원(150)은 동시에 소리를 발사하며, 오디오 기기(100)에 의하여 수집되고/거나 탐측되고, 오디오 기기(100)의 원거리음장음원(150)에 대한 감도는 현저히 근거리음장음원(140)에 대한 감도보다 크다. 이는 근거리음장음원(140)과 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발사한 음성이 오디오 기기(100)에 전파된 공률이 동일한 경우, 오디오 기기(100)가 출력한 전기신호에서 원거리음장음원(150)과 관련되는 부분의 신호의 공률이 근거리음장음원(140)과 관련되는 부분의 신호의 공률보다 현저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디오 기기(100)는 근거리음장음원(140)과 원거리음장음원(150)의 각자의 감도를 적당히 설정하여 근거리음장음원신호를 억제하는 동시에 원거리음장음원신호를 확대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가 보청기(100-1)에 탑재된 경우, 근거리음장음원(140)은 보청기(100-1)를 착용한 사람의 성대일 수 있으며, 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는 상기 성대의 위치일 수 있으며; 원거리음장음원(150)은 주변환경의 음원, 예를 들면 보청기 착용자 주위의 사람의 성대일 수 있다. 이때 보청기 착용자 자체의 음성은 억제되고 타인의 음성을 포함한 주변환경 음원의 소리는 증강되어 보청기 착용자는 주변환경 소리와 타인의 소리를 더 쉽게 분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 중의 오디오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디오 기기는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에는 오디오 기기(100)의 각종 원자재를 배열하여 탑재할 수 있다. 기판(200)은 오디오 기기(10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디바이스(100)의 기타 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 데이터 교환, 신호의 입력/출력, 또는 유사한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100)는 외부 전원모듈을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자체에 전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오디오 기기(100)가 음성을 수집한 후 출력하는 전기신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100) 위의 상기 기타 부품을 통하여 후속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기판(200)에는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에는 제1음파센서(하나 또는 복수의 음파센서로 구성된 센서어레이요소)(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음파센서모듈(210)은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전기연결된 기타 전기회로부품(예를 들면, 공률확대전기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음파센서(211)는 음파를 수신하여 제1최초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기타 전기회로 부품은 상기 제1최초신호를 수신하여 제1신호로 처리한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은 제1최초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최초신호와 상기 제1신호는 전부 전기신호이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은 제1음파센서(211) 외에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신호가 상기 제1최초신호이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은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상기 제1신호는 상기 제1최초신호가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거쳐 처리된 후 출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2음파센서모듈(220)은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음파센서모듈(220)은 음파를 수신하여 제2최초신호를 출력하는 제2음파센서(하나 또는 복수의 음파센서로 구성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유사하게 제2음파센서모듈(220)은 제2최초신호를 수신하고 제2최초신호를 제2신호로 처리하는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전기회로 부품은 공률증폭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음파센서(211)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즉 제1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음파센서(221)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즉 제2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마이크와 제2마이크는 음파를 수신/감지/수집하여 전기신호로 전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는 기판(200)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거리는 제1예정치(사전에 설정한 거리)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거리는 조절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전기회로(250)도 기판(200)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처리전기회로(250)는 제1음파센서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신호와 제2음파센서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제2신호를 수신하고,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처리전기회로(250)는 상기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1음파센서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신호는 전기회로(230)를 통하여 신호처리전기회로(250)로 전송되고, 제2음파센서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제2신호는 전기회로(240)를 통하여 신호처리전기회로(250)로 전송될 수 있다. 신호처리전기회로(250)는 전기회로(260)를 통하여 출력신호를 외부로(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100)의 기타 전자부품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의 주변환경에서 복수의 음원이 발성 시,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는 전부 이 소리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음원은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와 목표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은 보청기를 착용자의 성대 즉 근거리음장음원일 수 있으며; 목표근거리음장음파는 보청기의 착용자 자체의 음성일 수 있으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은 보청기의 착용자를 제외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3 화자 즉 원거리음장음원일 수 있으며; 목표원거리음장음파는 제3화자가 발사한 음성일 수 있다. 상응하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소리를 수신한 후,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은 각각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개시한 오디오 기기(100)를 간단히 기술하기 위하여, 하기의 기술에서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와 목표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완전히 일치하며 제1음파센서(211)에 전파된 소리의 강도도 동일하다고 가설한다.
제1신호와 제2신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음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전기회로(250)의 처리를 거친 후,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응되는 신호의 강도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대응되는 신호의 강도보다 현저히 낮다.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100)가 보청기(100-1)일 때, 보청기 착용자의 성대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이고, 주위의 타인의 성대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일 수 있다. 보청기(100-1)는 착용자의 소리에 대한 확대가 착용자 주위의 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소리(예를 들면, 제3화자의 소리)에 대한 확대보다 현저히 작다. 목표원거리음장음원에 비교하여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이 오디오 기기(100)에 더 가깝다. 따라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은 근거리음장음원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은 원거리음장음원라고 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음파센서(211) 주위의 예정범위내의 음원은 전부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이고, 예정범위 외의 음원은 전부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일 수 있다. 보청기를 예로 들면, 상기 예정범위는 사용자 성대로부터 보청기 사이의 거리범위이고, 상기 예정범위는 사용자 두 귀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정범위는 보청기가 귀측을 향하여 10cm, 11cm, 12cm, 13cm, 14cm, 15cm, 16cm, 17cm, 18cm, 19cm, 20cm, 21cm, 22cm, 23cm, 24cm와 25 cm 중의 임의의 하나를 반경으로 하는 반구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예정범위는 또한 사용자 두 귀 사이의 거리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두 귀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청기를 예로 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음장거리는 대략 사용자 머리 또는 성대와 보청기 위치의 상대적 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예정범위 내에 있고,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예정범위 외에 있다.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오디오 기기(100)까지의 거리(“제1목표거리”)는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오디오 기기(100)까지의 거리(“제2목표거리”)보다 크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목표거리는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원과 상기 제1음파센서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목표거리는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과 상기 제1음파센서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처리전기회로(250)는 차동회로일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차동회로를 거쳐 출력신호로 전환된다. 차동회로는 오디오 기기(100)로 하여금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타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가 목표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보다 현저히 낮게 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100)는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의 비례가 역치보다 크다. 상기 역치는 2, 3, 4, 5, 6, 7, 8, 9, 10 등 수치일 수 있다. 역치의 값은 실제 응용장면의 수요에 따라 경험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의 상세한 원리는 도 3 및 이에 대한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 중의 오디오 기기의 근거리음장음원신호 억제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거리는 d이다. 동일한 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는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까지 전파될 때 진폭차 및 위상차가 존재한다.
상기 목표원거리음장음원 위치는 상기 예정범위 외에 있다. 다시 말하면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은 두 센서어레이요소로부터 충분이 멀다. 즉 R>>d. 여기서 R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부터 오디오 기기(100)까지의 거리이다. 이 때,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비교하여,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의 목표원거리음장음파가 오디오 기기(100)까지 전파될 때의 파면은 평면에 유사하므로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음압 진폭치는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에서 거의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는 제1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의 위치는 제2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제1조건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1음압역치보다 큰 것이다. 제2조건은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제1음파센서(211)에서의 음압진폭치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2음압역치보다 작은 것이다.
음압진폭경도가 음원 및 측량점 사이의 거리와 양상관되며, 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구체적인 응용 장면 및 도달하려는 결과에 따라 경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상기 음압역치는 거리의 정의에 근거하여 각각 상기 근거리음장음원과 원거리음장음원 과 일일이 대응될 수 있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상기 예정범위 내에서 오디오 기기(100)와 가깝다. 목표원거리음장음원(12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가 오디오 기기(100)까지 전파될 때의 파면은 구면에 더 유사하므로 그 음압진폭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전파거리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쇄된다.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 또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 위치의 음압은 PS이고, 제1음파센서(211)에서 형성된 음압은 P1, 제2음파센서(221)에서 형성된 음압은 P2이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과 제1음파센서(211)의 협각은 θ이다. 각도 θ는 제2센서어레이로부터 제1센서어레이에 향하는 축과 참조음원 (120)로부터 제1센서어레이(211)로 향하는 벡터 사이의 각도이다. 유사하게,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과 제1음파센서(211)의 협각은 α이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제1음파센서(211)까지의 거리는 r1이고,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제2음파센서(221)까지의 거리는 r2이다.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제1음파센서(211)까지의 거리는 R이다. 이 때,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이 두 센서어레이요소에서 형성된 음압진폭치는 로 표시할 수 있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이 두 센서어레이요소에서 형성된 음압진폭치는 , 로 표시할 수 있다.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과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으로부터 발사하는 음파가 두 센서어레이요소에 도달할 때 각각의 위상차는 음원 신호의 각 주파수
Figure 112022043597286-pct00004
및 두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간격 d와 관련된다. 음속을 c라고 하면,
목표원거리음장음파가 두 센서어레이요소에서 형성된 위상차는 이고,
목표근거리음장음파가 두 센서어레이요소에서 형성된 위상차는 이다.
따라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 또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의 주파수가 작을 때, 이에 대응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 또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가 두 센서어레이요소에 전파될 때 위상차가 작으며, 심지어 무시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가 보청기(100-1)에 장착되었을 때,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은 보청기의 착용자 자체의 성대이다. 전형적인 성년 남성은 85~180Hz의 기본 주파수, 및 165~255Hz의 전형적인 성년 여성의 기본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사람의 음성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고, 사람 음성의 음파가 두 센서어레이요소에서 형성된 위상차도 작으며 심지어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는 동일하다(센서어레이요소의 감도는 그로부터 출력한 전기신호의 에너지진폭치와 수신한 음파신호의 에너지진폭치의 비율을 표시한다).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는 각각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파를 전기신호로 전화시킨다. 위상차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에서 수신한 음파신호진폭치가 부동하기 때문에 상기 두 전기신호의 진폭치도 부동하다.
도 3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은 제1음파센서(211)에 보다 가까우므로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은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에서 구형파에 가깝다. 따라서 제1음파센서(211)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음파에 반응하여 전환된 제1최초신호의 진폭치(또는 강도라고 부른다)는 제2음파센서(221)로부터 출력되는 제2최초신호의 진폭치보다 크다.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이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1최초신호는 제1신호이고, 제2최초신호는 제2신호이며, 신호처리전기회로(250)에 전송된다. 신호처리전기회로모듈(250)이 차동회로를 포함할 때, 제1신호와 제2신호의 두 신호의 차를 취한다. 제1신호와 제2신호의 차는 출력신호로서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응된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과 비교하여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은 제1음파센서(211)에서 더 먼 곳에 위치하므로, 목표원거리음장음파는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에서 평면파에 더 가깝다. 소리전도장치(100)가 목표원거리음장음파를 수신 및/또는 검측 및/또는 수집한 후,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에서의 음압의 진폭은 상호 근접하거나 기본상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차동회로를 통하여 차를 취한 후 거의 전부 소거된다.
본 출원의 목적의 하나는 출력신호 중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대응되는 신호의 강도를 억제하고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에 대응되는 신호의 강도를 증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대하여 일정한 조절을 진행하여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반응할 때 제1신호와 제2신호의 진폭치가 충분히 접근하여 차동회로의 처리를 거친 후 출력신호를 현저히 약화시키거나 소거시킨다. 이와 동시에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에 반응할 때, 제1신호와 제2신호의 진폭치의 차이를 증가시켜 차동회로를 경과한 후 대응되는 출력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래의 각 실시예에서는 이 목표를 둘러싸고 오디오 기기(100)의 전기회로 구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기기(100)의 전기회로구조에 대하여 조절하는 것은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증강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반응할 때 제1신호와 제2신호의 진폭치를 동일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하여, 상기 차동회로에서 상호 상쇄시켜 출력신호를 약화시키거나 또는 소거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증강시킨다는 것은 단지 오디오 기기(100)의 전기회로 구조를 조절하는 한가지 수단이며,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이 도 3 중의 오디오 기기(100)의 좌측에 있는 경우,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하강시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동시에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조절하여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음파센서모듈(210)의 감도를 향상시키거나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저하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를 증강시키는 경우,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할 때, 대응되는 제2신호는 증강되어 제1신호와의 차이가 증가되며, 차동회로의 처리를 거친 후 출력신호가 증강된다.
계수B로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감도의 조절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표시한 장면에서, 계수B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대한 증강폭을 표시한다. 제1음파센서(221)와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가 동일한 경우, 오디오 기기(100)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반응하여
Figure 112022043597286-pct00007
일 때, 제1신호의 진폭치와 제2신호의 진폭치가 동일하며, 차동회로를 거쳐 출력신호가 거의 0이 되어 근거리음장음원 신호의 억제 효과가 비교적 좋다. 보청기(100-1)의 사용환경과 유사하게, 오디오 기기(100)를 디바이스(110)에 설치한 후,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과 디바이스(110)의 공간 위치자세는 상대적으로 고정된다(예를 들면, 사람의 성대 위치와 보청기 중의 제1음파센서와 제2음파센서의 상대적 위치관계는 고정된다). 따라서 r1, r2는 사전에 확정할 수 있으며, 계수B도 따라서 확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112022043597286-pct00008
이면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대응신호를 완전히 제거한다. 즉 보청기(100-1)는 사용자 자체의 소리에 대하여 완전히 반응하지 않고 출력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경우, 보청기의 착용자 자체의 소리도 자신의 음성을 명확히 듣는데 도움이 된다. 이 경우,
Figure 112022043597286-pct00009
좌우에서 B의 값을 조절하면 보청기(100-1)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반응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신호를 완전히 소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오디오 기기(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 또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을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0
라 하고, 파수를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1
라고 하면,오디오 기기(100)는 각각 두 음원의 출력신호Joutput(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대응한다), Youtput(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에 대응한다)에 반응하여 아래와 같이 유도할 수 있다.
a)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 시, 제1음파센서(211)의 제1최초신호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2
제1신호와 제1최초신호는 동일하며, k는 상기 파수이고; 제2음파센서(221)의 제2최초신호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3
이고, 제2신호는 제2최초신호에 계수B: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4
를 곱한 값이며;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차동회로를 거쳐 아래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5
(1)
b)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할 때, 제1음파센서(211)의 제1최초신호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6
이고, 제1신호는 제1최초신호이고, 그 중 k는 상기 파수이며, 제2음파센서(221)의 제2최초신호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7
이고, 제2신호는 제2최초신호에 계수 B를 곱한 값이고; 제1신호와 제2신호는 차동회로를 거친 후 아래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8
(2)
상기 유도 분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원 신호주파수가 낮은 경우, 계수B를 조절하여 제1음파센서모듈(210)이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할 때의 제1신호와 제2음파센서모듈(220)이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할 때의 제2신호진폭치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끔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는 0 또는 0에 근사하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이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하는 제1신호와 제2음파센서모듈(220)이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할 때의 제2신호진폭치의 차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는 0이 아니다. 상응하게,오디오 기기(110)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대하여 발생한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감도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감도보다 현저히 낮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수B는 예정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계수B를 조절할 때,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서 발생한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는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한 감도보다 현저히 낮으며, 구체적으로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 위치의 공률이 A0인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하여는 상응한 제1신호공률이 B1이고, 상응한 제2신호공률이 B2이며;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의 공률이 A0'인 목표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하여는 상응한 제1신호공률이 B1'이고, 상응한 제2신호의 공률이 B2'이다. 계수B를 용허하는 범위 내에서 조절할 때 (A0'|B1-B2|)/(A0|B1'-B2'|)가 신호역치보다 작다. 신호역치는 사전에 설정한 것일 수 있으며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억제 정도를 표시하는 값이다.
계수B의 조절방식은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로는 제1음파센서(211)와 / 또는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 (원래의 두 센서어레이요소의 감도가 동일하다)를 조절하는 것이다.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외에 기타 전기회로 부품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1최초신호는 제1신호이고, 제2최초신호는 제2신호이다. 도 3을 예로 들면,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증대시키면 제2신호의 진폭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증대시키는 범위는 증대시키는 계수B의 용허 범위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신호를 완전히 억제하는 것일 겨우, 계수B의 값은
Figure 112022043597286-pct00019
일 수 있다.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조절하여 제2음파센서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제2신호의 진폭치를 조절하기 전의 진폭치에 계수B를 곱한 값이 되게끔 한다. 이러한 계수B의 조절방식은 보청기(100-1)의 어댑트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착용자가 보청기(100-1)를 몸에 맞출 경우, 그의 성대의 위치와 제1음파센서(211) 및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거리도 확정되며, 이에 근거하여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조절/또는 설치할 수 있다.
도 3에 표시한 오디오 기기(100)에서 제2음파센서(221) 감도의 조절은 오디오 기기(100)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 사이의 위치관계에 근거하여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의 증감을 결정하여야 한다. 도 3에서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는 오디오 기기(100)의 좌측에 있는 경우,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 일치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감소시킨다. 도 3 에서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가 오디오 기기(100)의 외측에 있는 경우,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 일치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증가시킨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조절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가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하여 반응시의 출력신호 진폭치의 상호관계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 기타 조절방식은 전부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를 들면, 단독으로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증가하는 것은 제1음파센서(211)의 감도를 절감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제1음파센서(211)의 감도를 절감시키고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에 포함된 진폭값 조절회로의 오디오 기기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4에서는 계수B를 조절하는 다른 방식을 표시한다.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의 감도가 동일할 때, 계수B를 조절하는 방식은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진폭값 조절회로를 추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표시한 실시예를 예로 들면, 제2음파센서모듈(220)에는 제2음파센서(221)의 뒤에 연결된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음파센서(221)로부터 출력되는 제2최초신호는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에 의하여 신호진폭치가 조절된 후 제2신호로써 출력될 수 있다.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가 제2최초신호에 대한 조절진폭(즉 계수B)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과 두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100)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반응을 제거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진폭B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0
일 수 있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대 대한 반응을 일부분 보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절진폭B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1
근접구간에서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의 제2최초신호에 대한 조절은 신호진폭치 게인과 신호진폭치 억제를 포함하거나 도입할 수 있다. 도 4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이 오디오 기기(100)의 좌측에 있는 경우,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제2최초신호의 진폭치를 약화시켜, 생성된 제2신호와 제1신호의 진폭치가 매칭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의 조절진폭B는 동적으로 변화/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보청기가 아닌 종류의 디바이스인 경우,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는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두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거리도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목표근거리음장음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계수B의 값이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2
인 경우, B의 값은 실시적으로 r1과 r2의 변화에 적응해야만 오디오 기기(100)로 하여금 항상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r1과 r2의 값은 이에 따라 변화하며, 대응되는 제1최초신호의 진폭치와 제2최초신호의 진폭치도 이에 따라 변화한다.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제1최초신호의 진폭치와 제2최초신호의 진폭치의 변화 추세에 근거하여 그 진폭치의 조절 진폭B를 실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제1음파센서모듈(2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동시에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진폭치 조절원리는 도 4에 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서 독립되어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신호확대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근거리음장신호를 억제하는 오디오 기기에서는 제1신호와 제2신호에 대하여 차동처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하는 출력신호와 상응한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출력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진폭치 전체가 작아진다. 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오디오 기기(100)는 신호확대전기회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확대전기회로(270)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예를 들면, 차동회로를 포함) 뒤에 연결되어 신호처리전기회로(250)가 생성한 신호를 확대한다. 차동회로 뒤에는 신호확대전기회로(270)가 연결되어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에 대한 감도를 증강시킨다. 오디오 기기(100)가 보청기(100-1)에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가 먼 거리의 소리를 똑똑히 들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확대전기회로(270)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와 일체로 또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의 일부분으로 집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확대전기회로(270)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에서 독립하여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확대전기회로는 신호처리전기회로(250) 앞에 연결되어 각각 전기회로(230)와 전기회로(240)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위상조절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앞의 분석에 따르면 음원 주파수가 낮은 경우, 예를 들면 사람의 소리인 경우 위상차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를 응용하는 경우,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위상조절전기회로를 추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목표근거리음장음파가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에 전파될 때의 위상차를 소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제1음파센서모듈(210)에는 제1음파센서(211)와 신호처리전기회로(250) 사이에 연결된 위상조절전기회로(212)를 포함한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가 제1음파센서(211)에 도달하는 시간은 제2음파센서(221)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3
초 앞선다.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반응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설치된 경우, 위상조절전기회로(212)는 제1최초신호를 T초 동안 늦춰 제1신호로써 출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목표근거리음장음파가 제2음파센서(221)에 도달하는 시간과 제1음파센서(211)에 도달하는 시간차에 의한 위상차는 완전히 보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상조절전기회로(212)가 제1최초신호에 대한 지연은 T초 상하로 조절되어 오디오 기기(100)로 하여금 목표근거리음장음파 출력의 반응에 대한 불완전한 억제를 구현하고,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반응을 일부분 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상조절전기회로(212)는 제2음파센서모듈(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동시에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상조절전기회로(212)는 제1음파센서모듈(210)와 / 또는 제2음파센서모듈(220)에서 독립하여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 중의 자대역분해모듈을 포함하는 오디오 기기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다. 도 6에서 위상조절전기회로(212)를 추가하여 제1최초신호를 T초 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경우,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하는 출력신호는 완전히 소거된다.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신호를 완전히 소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 위상조절전기회로(212)의 제1최초신호에 대한 지연은 조금 앞서거나 또는 T초 동안 지연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조절전기회로(212)는 부동한 주파수의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하여 부동한 지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소리가 공기 중에서 전파되는 속도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와는 관계없이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고저주파수신호의 두 센서어레이요소에 전파되는 시간차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4
는 변하지 않는다. 위상차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5
에 근거하면 신호주파수의 향상과 더불어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가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반응하는 위상차는 증가되며 따라서 상응한 제1신호와 제2신호의 차동치도 점차 증가되어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신호에 대한 억제 효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균일한 주파수 반응을 얻으려면, 제1음파센서모듈(210)과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자대역분해모듈을 추가하여 제1최초신호와 제2최초신호를 복수의 자대역으로 분해하고 각각 단독의 위상조절전기회로에 어댑트시켜 각 주파수대에 대한 두 센서어레이요소모듈의 출력신호의 위상차를 동일하게끔 보증할 수 있다.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제1음파센서모듈(210)에 자대역분해모듈(213)을 추가하여 제1음파센서(211)로부터 출력되는 제1최초신호를 복수의 주파수대로 분해한다. 동일한 원리에 따라, 제2음파센서모듈(220)에 추가한 자대역분해모듈(223)은 제2최초신호를 자대역분해모듈(213)과 동일한 분해방법을 통하여 복수의 주파수대로 분해할 수 있다. 제1음파센서모듈(210)에서 위상조절전기회로(212)는 각 주파수대에 대하여 단독의 위상조절자전기회로를 구비하며, 복수의 위상조절자전기회로는 각각 상호 독립되어 각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부동한 정도의 시간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6
지연을 가하며, 여기에서 n은 주파수대의 서열번호이다.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각 주파수대에 진폭치조절자전기회로를 설치하여, 각 주파수대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진폭(치)가 동일하도록 진폭치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250)에는 각 주파수대에 대하여 단독의 차동회로가 설치되고, 각 차동회로는 어느 한 조의 모 주파수대에서의 제1음파센서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제2음파센서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된다.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250)는 신호합성전기회로(251)를 포함하여 각 차동회로의 출력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로써 출력할 수 있다.
제1음파센서(211)의 반응신호를 예로 들면, 제n개 주파수대의 위상차를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7
라고 하면,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가 각각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제n개 주파수대에 반응하여 출력하는 신호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8
,
Figure 112022043597286-pct00029
의 위상은 각각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0
,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1
(3)이고,
위상차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2
(4)이다.
상기 공식에 따르면 부동한 주파수대 n에 대응하는 시간지연은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3
(5)로 설치하여야 한다.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4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5
범위 내에서의 변화는 위상차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6
가 작으면 작을 수록 오디오 기기(100)가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신호에 대한 억제효과가 더 훌륭하다. 각 주파수대에 대하여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7
는 동일한 값을 취할 수 있으며, 그러하면 주파수대가 부동한 주파수에 대응되므로, 대응되는 위상조절자전기회로가 신호에 대한 지연시간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8
도 부동한다. 이러한 부동한 주파수대에 대하여 각각 신호 지연을 조절하는 방법은 출력신호 중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신호에 대한 억제효과가 각 주파수대에서 균일하도록 한다.
도 1에 표시한 디바이스 응용장면에서 오디오 기기(100)는 보청기(100-1)에 응용할 수 있는 외에, 유사한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면 골전도 에어폰 및 기타 음성수집기능을 구비한 이어폰에 응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에는 거리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오디오 기기의 부동한 주파수 음원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을 포함하는 귀 내 보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에는 오디오 기기(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1음파센서(211)와 제2음파센서(221)가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내에는 오디오 기기(100)의 출력신호(예를 들면 전기회로(260) 및 기판(200)에 설치한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귀속 달팽이관이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람의 귀속 달팽이관이 감지할 수 있는 신호는 소리신호일 수 있으며, 신호전환기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람의 귀속 달팽이관이 감지하는 신호는 골전도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신호전환기는 오디오 기기(100)가 출력한 전기신호를 진동신호로 전화시켜 착용자의 면부 골격을 통하여 귀속 달팽이관에 전도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10)에는 어댑트버튼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어댑트버튼을 누르면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현재 시각 제1음파센서(211)로부터 출력되는 제1최초신호와 제2음파센서(221)로부터 출력되는 제2최초신호에 대하여 그 진폭치의 조절진폭(원리는 도 3 및 관련 기술을 참조)을 조절한다. 보청기를 예로 들면, 부동한 착용자의 성대가 귀로부터의 거리는 부동하며, 귀는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착용위치이다. 만약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의 진폭치 조절진폭을 사용자가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착용자는 보청기 착용맞춤을 진행하여야만 자기의 성대위치에 근거하여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의 조절진폭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보청기의 대량 생산에 불리하다. 만약 설치버튼을 추가 설치한다면 메이커들은 대량으로 보청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품을 획득한 후 착용맞춤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청기를 착용한 후, 어댑트버튼을 눌러서 비교적 조용한 환경에서 자아 발성하면, 이 때의 음원위치는 곧 착용자의 성대의 위치이다.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가 이때 확정한 진폭치 조절진폭은 해당 착용자에 대한 값이다. 기타 착용자가 상기 보청기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기타 착용자에 맞출 수 있으므로, 이는 보청기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귀 내 보청기와 달리, 골전도 기술을 보청기 분야에 사용할 경우 이러한 맞춤 방법을 사용한다. 귀 내 보청기는 사람의 귀 내 이도구조에 대응하여 제조하여야 하므로, 공동 사용에 불리하다. 그러나 골전도 기술은 사람의 귀 내 이도구조에 대하여 특별히 맞춤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누구나 다 착용할 수 있다.
오디오 기기(100)를 스마트 텔레비전(112)과 유사한 스마트 오디오(113)에 이용할 때,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음성명령을 통하여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가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해 말하면 사용자의 음원 위치가 비교적 멀고, 스피커 자체의 위치가 가까우며, 스피커의 소리는 사용자의 소리를 덮어버려, 사용자의 명령을 식별하는데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100)를 설치한 후 스마트 디바이스는 먼 곳의 사람의 소리를 더 잘 식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음성 명령에 대한 식별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스피커의 위치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의 위치이며 스피커는 디바이스 자체에 고정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출원 중의 오디오 기기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근거리음장)와 목표원거리음장음원(원거리음장)에 대한 방향 반응을 표시한다. 보청기를 예로 들면, 착용자의 발성 부위와 두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거리 r 1 , r 2 사전에 확정할 수 있으며, 계수B도 따라서 확정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r 2 는 음원과 제1음파센서(211)의 거리, 센서어레이요소 사이의 거리d 및 음원과 제1음파센서의 협각θ로
Figure 112022043597286-pct00039
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신호의 억제효과는 이하의 조건하에서 진행된다. 음원 신호는 주파수 범위가 0~2000Hz인 순음,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과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의 제1음파센서(211)에서의 음압P1=1Pa. 여기서 R =1m,d =0.01m,r 1 =0.1m, r 2 =0.11m,B =1.1.
도 8a와 도 8b에 대응되는 실시예는 도 4에서의 실시예이며, 진폭값조절전기회로(222)는 진폭치 게인 기능만 포함하며, 제1음파센서모듈(210)은 위상조절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8a와 도 8b 중의 동심원은 신호의 진폭치를 표시하며 외측의 출력신호에 접근할 수록 진폭치가 크다. 도 8a에서 주파수가 낮은 경우(f =400이하),오디오 기기(100)은 θ가 -90°~90°인 목표근거리음장음원신호에 대하여 전부 선명한 억제효과가 있다. 상기 진폭값 조절회로가 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 90°~-90°의 범위 내에서 유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8b에서 오디오 기기(100)는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에 비교하여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발생하지 않는다.
도 9a, 도 9b와 도 9c는 본 출원 중의 오디오 기기의 부동한 실시예에서의 0° 방향 주파수의 반응을 표시한다. 도 9a는 도 3에 표시한 실시예에 대응된다. 도9b는 도 6에 표시한 실시예, 도 8a와 도 8b 중의 가로축은 음원 신호의 주파수를 표시하고 세로축은 오디오 기기(100) 출력신호의 강도를 표시한다.
도 9a에서 주파수가 낮을 수록(예를 들면 400Hz이하),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140)(즉 도면에서 근거리음장음원)에 대한 반응은 선명히 목표원거리음장음원(150)(즉 도면에서 원거리음장음원)에 대한 반응보다 낮으며, 즉 음원 주파수가 낮으면 낮을 수록 오디오 기기(100)의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신호에 대한 억제효과가 더 좋다.
도 9b에서 각 주파수대에 대하여 위상조절 전기회로가 부동한 시간지연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센서어레이요소모듈 중의 각 주파수대의 출력신호의 위상차는 고정되어 주파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b에서 오디오 기기(100)는 더 넓은 주파수 구역 내에서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신호에 대한 억제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c에서는 실제 수요에 따라 오디오 기기의 부동한 주파수대에 대한 출력신호진폭을 조절하는 것을 표시한다. 특정된 주파수대의 시간지연
Figure 112022043597286-pct00040
을 조절하여 두 센서어레이요소의 부동한 주파수대신호에 대한 위상차
Figure 112022043597286-pct00041
를 변화시켜 부동한 주파수대의 출력신호진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9c에서 0Hz~1700Hz 및 2300Hz이상의 각 주파수대 위상차는 전부
Figure 112022043597286-pct00042
이고, 2000Hz주파수대의 위상차는
Figure 112022043597286-pct00043
이고, 대응되는 주파수대 시간지연은
Figure 112022043597286-pct00044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수요에 따라 시간지연을 변화시키면 필요한 주파수 반응곡선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세한 공개내용에 의하여 본 분의 기술자는 상기 상세한 공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닐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확이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의도는 실시예의 각 종 합리적인 변경, 개진과 수정을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개진 및 수정은 본 공개에서 제출하고 본 공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 내에 속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된 실시예를 기술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하문에서 명확히 설명하지 아니한 한 여기에서 사용한 단수표달방식 "하나", "일", "상기" 및 "이" 등은 복수의 형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포괄", "포함" 및/ 또는 기타 특징, 정수, 절차, 조작, 원소, 부품과/또는 세트의 존재 또는 그 시스템/방법에는 기타 특징, 정수, 절차, 조작, 원소, 부품과/또는 세트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용어 "A가 B위에서"는 A가 직접 B와 인접(위 또는 아래)함을 표시할 수도 있고, A가 간접적으로 B와 인접(A와 B 사이에 어떤 물질이 개재되어 있음)함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용어 "A가 B내에서"는 A가 전부 B안에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고, A의 일부분이 B에 포함됨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일 실시예", "실시예"와/또는 "일부 실시예"는 그 실시예에 기술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공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각 부분에서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대체 실시예"의 2 이상의 인용은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공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적당히 조합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이를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상기 기술에서 하나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본 공개를 간략화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는 어떤 부분에서는 각 종 특징을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 기술에 조합하였다. 또는 본 출원은 각 종 특징을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에 분산시켰다. 하지만 이는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필수적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을 읽을 때 완전히 그 중 일부분 특징을 추출하여 단독의 실시예로 이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에서 실시예는 복수의 차급실시예의 종합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각 차급실시예의 내용은 하나의 삭기 공개 실시예의 전부 특징보다 적을 시 성립된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본 출원의 일부 실시방안의 수량 또는 성질을 기술하거나 보호를 요구하는 숫자는 일부 상황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 수식어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기술의 값이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방안에서 서면 기술과 청구범위에서 열거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특정된 실시방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의 유효 숫자의 수량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사사오입 기술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을 기술하는 일부 실시방안에서 광범위의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정확한 수치를 될수록 제공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각 특허는 특허출원, 특허출원의 출판물과 기타자료, 예를 들면 문장, 서적, 명세서, 출판물, 서류, 물품 등은 인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결합된다. 모든 목적을 위한 전부의 내용은 이에 관련되는 임의의 소송 역사, 기타 부분에서 본 명세서와 불일치하거나 상호 충돌되는 임의의 동일하거나 임의의 청구범위의 최대 범위에 대하여 한정적 영향이 있는 임의의 동일한 소송서류 역사를 포함한다. 현재 또는 이 후 본 명세서와 상호 관련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포함된 자료와 관련되는 용서의 기술, 정의와/또는 본 명세서와 관련되는 용어의 기술, 정의와/또는 사용 사이에 임의의 불일치 또는 충돌이 존재하는 경우, 본 명세서의 용어를 기준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공개의 출원의 실시방안은 본 출원의 실시방안의 원리에 대한 설명임을 이해해야 한다. 기타 수정 후의 실시예도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이 개시하는 실시예는 단지 예를 드는 것이며, 한정적이 아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서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대체적인 설치를 통하여 본 출원의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출원에서 정확히 기술한 어느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음파센서;
    상기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파에 근거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음파센서; 및
    상기 제1음파센서 및 상기 제2음파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에 근거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전기회로를 포함하되,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목표근거리음장음파에 대한 목표근거리음장 감도가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발사하는 원거리음장음파에 대한 원거리음장 감도보다 낮으며,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상기 제1음파센서까지의 제2목표거리가 상기 원거리음장음원으로부터 상기 제1음파센서까지의 제1목표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은 오디오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 감도가 상기 원거리음장 감도보다 낮다는 것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 감도와 상기 원거리음장 감도의 비율이 소정의 치보다 작음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음파센서는 제1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센서는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로부터 상기 제2마이크까지의 거리는 사전에 설정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파의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 사이에서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1음압역치보다 크도록 하는 위치이며;
    목표원거리음장음원의 위치는 목표원거리음장음파의 상기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마이크 사이에서의 음압진폭경도의 절대치가 제2음압역치보다 작도록 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음파센서와 상기 제2음파센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운행시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공간위치자세는 고정되며, 상기 제1음파센서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의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1거리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와 상기 목표근거리음장음원 위치 사이의 거리는 제2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제1음파센서의 감도는 제1감도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의 감도는 제2 감도이며,
    상기 제1감도와 제2 감도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비율에 의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제1음파센서의 감도는 제1감도이고,
    상기 제2음파센서의 감도는 제2 감도이며,
    상기 제1감도와 상기 제2 감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8. 청구항5에 있어서,
    제2음파센서는 진폭값조절전기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제2음파센서로부터 출력하는 최초 제2신호에 대하여 진폭값조절을 진행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어댑트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트버튼은 눌리울 때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를 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착용 오디오 기기가 운행시, 상기 진폭값조절전기회로의 진폭값조절폭은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동적변화에 따라 실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0.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제1음파센서는 위상조절전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조절전기회로는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의 차동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음파센서로부터 출력한 최초 제1신호에 대하여 위상조절을 진행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는 차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오디오 기기는 상기 차동회로의 출력신호를 확대하여 상기 착용 오디오 기기의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확대전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2.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제2음파센서와 상기 제1음파센서 사이의 사전에 설정한 거리는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3.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제1음파센서의 일부분과 적어도 상기 제2음파센서의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중의 각 이어폰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 중의 각 신호전환기는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4.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착용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제1음파센서의 일부분과 적어도 상기 제2음파센서의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중의 각 이어폰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환기 중의 각 신호전환기는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골격을 통하여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는 n개의 제1자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신호는 n개의 제2자신호를 포함하며,제i개 제1자신호와 제i개 제2자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대응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i는 1~n 중의 임의의 정수이며;
    상기 신호처리전기회로는 매쌍의 순열이 동일한 제1자신호와 제2자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신호로 재합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전파 기능을 위한 착용 오디오 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27013689A 2019-10-10 2019-10-10 오디오 기기 KR102612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10430 WO2021068167A1 (en) 2019-10-10 2019-10-10 Audio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478A KR20220070478A (ko) 2022-05-31
KR102612709B1 true KR102612709B1 (ko) 2023-12-12

Family

ID=7543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689A KR102612709B1 (ko) 2019-10-10 2019-10-10 오디오 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62975B2 (ko)
EP (1) EP4042716A4 (ko)
JP (1) JP2022552657A (ko)
KR (1) KR102612709B1 (ko)
CN (1) CN114556970B (ko)
AU (1) AU2019469665B2 (ko)
CA (1) CA3156121C (ko)
CO (1) CO2022004449A2 (ko)
MX (1) MX2022003882A (ko)
PE (1) PE20220875A1 (ko)
WO (1) WO20210681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5031A1 (de) * 1983-07-11 1985-01-24 Sennheiser Electronic Kg, 3002 Wedemark Infrarot-kopfhoerer
JPH071959B2 (ja) 1986-09-26 1995-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音装置
JPH0490298A (ja) 1990-08-02 1992-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補聴器
JPH04175099A (ja) * 1990-11-08 1992-06-23 Sony Corp 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
US5473684A (en) 1994-04-21 1995-12-05 At&T Corp. Noise-canceling differential microphone assembly
DE19854373B4 (de) * 1998-11-25 2005-0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Empfindlichkeit eines Mikrofons
RU2159099C1 (ru) 2000-02-09 2000-11-20 Кочергин Анатолий Васильевич Слуховой аппарат для тугоухих и глухих с остатками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US6714654B2 (en) * 2002-02-06 2004-03-30 George Jay Lichtblau Hearing aid operative to cancel sounds propagating through the hearing aid case
US7720236B2 (en) * 2004-10-15 2010-05-18 Lifesize Communications, Inc. Updating modeling information based on offline calibration experiments
US7564979B2 (en) * 2005-01-08 2009-07-21 Robert Swartz Listener specific audio reproduction system
DE102005032274B4 (de) 2005-07-11 2007-05-10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r Eigenstimmendetektion
EP1830348B1 (en) * 2006-03-01 2016-09-28 Nuance Communications, Inc. Hands-free system for speech signal acquisition
US8180067B2 (en) * 2006-04-28 2012-05-1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selectively extracting components of an audio input signal
JP2007300513A (ja) 2006-05-01 2007-11-15 Ari:Kk マイクロフォン装置
US20080152167A1 (en) 2006-12-22 2008-06-26 Step Communications Corporation Near-field vector signal enhancement
WO2009025090A1 (ja) 2007-08-22 2009-02-26 Panasonic Corporation 指向性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409169B1 (ko) * 2007-09-05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억제 폭 조절을 통한 사운드 줌 방법 및 장치
EP2286600B1 (en) * 2008-05-02 2019-01-02 GN Audio A/S A method of combining at least two audio signals and a microphone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microphones
US9202456B2 (en) * 2009-04-23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automatic control of active noise cancellation
JP5452158B2 (ja) * 2009-10-07 2014-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響監視システム、及び音声集音システム
US9025782B2 (en) * 2010-07-2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ulti-microphone location-selective processing
US9037458B2 (en) * 2011-02-23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patially selective audio augmentation
KR101232357B1 (ko) * 2011-07-18 2013-02-1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이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US8903108B2 (en) 2011-12-06 2014-12-02 Apple Inc. Near-field null and beamforming
US9020163B2 (en) 2011-12-06 2015-04-28 Apple Inc. Near-field null and beamforming
CN104168529B (zh) * 2013-05-17 2018-08-28 上海耐普微电子有限公司 多模式的微机械麦克风
DK2843971T3 (en) * 2013-09-02 2019-02-04 Oticon As Hearing aid device with microphone in the ear canal
EP2882203A1 (en) 2013-12-06 2015-06-10 Oticon A/s Hearing aid device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CN103702258B (zh) * 2013-12-27 2017-02-22 深圳泰山在线科技有限公司 麦克风装置及消除近场声源干扰的麦克风设置方法
CN105679356B (zh) 2014-11-17 2019-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录音方法、装置及终端
EP3222057B1 (de) 2014-11-19 2019-05-08 Sivantos Pte.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erkennen der eigenen stimme
DE102015204639B3 (de) 2015-03-13 2016-07-07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geräts sowie Hörgerät
US9930447B1 (en) * 2016-11-09 2018-03-27 Bose Corporation Dual-use bilateral microphone array
DK3328097T3 (da) 2016-11-24 2020-07-20 Oticon As Høreanordning, der omfatter en egenstemmedetektor
CN108630220A (zh) 2017-03-23 2018-10-09 傅慧忠 一种基于传声器阵列的近场声源信号拾取系统
JP6978888B2 (ja) * 2017-10-12 2021-12-08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感度調整装置、車載システム、車用ヘッドレスト及び信号処理装置
EP3713253A1 (en) * 2017-12-29 2020-09-23 Oticon A/s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adapted to be located at or in the ear canal of a user
US10885907B2 (en) * 2018-02-14 2021-01-05 Cirrus Logic, Inc. Nois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device with multiple microphones
US10708702B2 (en) * 2018-08-29 2020-07-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JP7283652B2 (ja) * 2018-10-04 2023-05-30 シーイヤー株式会社 聴覚サポートデバイス
US20220345814A1 (en) * 2019-09-26 2022-10-27 Audio Zoom Pte Ltd Transducer apparatus: positioning and high signal-to-noise-ratio microphones
US20220408180A1 (en) * 2019-10-04 2022-12-22 Soundskrit Inc. Sound source localization with co-located sensor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56121C (en) 2024-03-19
MX2022003882A (es) 2022-04-20
US11962975B2 (en) 2024-04-16
KR20220070478A (ko) 2022-05-31
JP2022552657A (ja) 2022-12-19
AU2019469665A1 (en) 2022-04-28
CO2022004449A2 (es) 2022-04-29
PE20220875A1 (es) 2022-05-26
WO2021068167A1 (en) 2021-04-15
US20210297790A1 (en) 2021-09-23
CA3156121A1 (en) 2021-04-15
EP4042716A1 (en) 2022-08-17
CN114556970A (zh) 2022-05-27
CN114556970B (zh) 2024-02-20
EP4042716A4 (en) 2023-07-12
AU2019469665B2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572B2 (en) Hearing aid including a vibrator touching a pinna
US9949048B2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CN105848078B (zh) 双耳听力系统
US11956603B2 (en) Sound-output device
CN107426660B (zh) 包括定向传声器系统的助听器
EP3883266A1 (en) A hearing device adapted to provide an estimate of a user's own voice
US10199029B2 (en) Speech enhancement for headsets with in-ear microphones
CN112995825A (zh) 声音输出装置
KR102612709B1 (ko) 오디오 기기
EP4099724A1 (en) A low latency hearing aid
RU2794912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2653968B (zh) 用于传声功能的头戴式的电子设备
CN110636425B (zh) 适于使用听力装置佩戴者的话音匹配输入变换器的听力装置
EP4297436A1 (en) A hearing aid comprising an active occlusion cancell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