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84B1 -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84B1
KR102612284B1 KR1020210100751A KR20210100751A KR102612284B1 KR 102612284 B1 KR102612284 B1 KR 102612284B1 KR 1020210100751 A KR1020210100751 A KR 1020210100751A KR 20210100751 A KR20210100751 A KR 20210100751A KR 102612284 B1 KR102612284 B1 KR 10261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code
weight
produc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804A (ko
Inventor
박지호
Original Assignee
박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호 filed Critical 박지호
Priority to KR102021010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8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42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입구 카트레일(CartRail)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및 카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발행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카트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가상카트에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단계, 출구 카트레일에 연동된 QR 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카트의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 PAYMENT SERVICE USING CARTRAIL}
본 발명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QR 코드로 상품을 가상카트에 누적시키고 카트레일에서 감지된 무게와 상품의 무게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자동결제를 수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코로나(COVID19)가 산업 환경에 일으키고 있는 변화 중 주목받는 하나는 비대면 서비스의 확장이다. 고객들은 대면 접촉을 꺼려하고 기업들은 직원 고용을 꺼려한다. 이에 맞추어 급부상한 비대면 경제는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지능, 로봇, 자동화 기계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이다. 결국 노동력을 대체하는 급속한 자동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발 빠른 기업들은 이미 이 같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강구책을 세우고 있다. 특히 아마존고(Amazon Go)에 의해 처음 제시되어 발전 중이었던 무인점포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무인점포란 개념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현대적인 의미의 무인점포는 그저 사람이 없는 점포가 아니라 사람의 역할을 기술이 대신하는 점포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종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통해 직원, 대기시간, 별도의 결제과정 없이 고객이 구매할 제품을 들고 나가기만 하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아마존고는 가장 완전한 의미의 무인점포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카트에 무게센서 및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무게를 합산하고 영상정보와 결합하여 자동결제를 진행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82988호(2020년03월02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994205호(2019년09월30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120554호( 2020년06월16일 공고)에는, 무게검증이 가능한 바코드 인식 쇼핑 카트에서 구매물품이 적재되면 바코드를 스캔하고 계산대의 POS로 일괄전송하고 무게센서를 통하여 카트의 무게변화를 측정하고 스캔된 물품이 정확하게 카트에 적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구성과, 카트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품의 영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식별된 상품의 무게와 카트 내 상품의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영상 및 무게를 조합한 결과로 상품의 목록을 표시하는 구성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이 누적 및 집계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무게검증이 가능한 쇼핑 카트의 경우에는 여전히 POS를 없애지 못했으므로 긴 줄이 생길 경우 여전히 적체가 발생하게 된다. 카메라로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 또한 카트에 상품이 쌓임에 의해 상품이 서로 포개어지는 경우에는 인식누락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스마트폰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QR 코드를 스캔하지 않으면 도난을 방지할 방법이 없다. 아마존고는 인건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더 큰 편익까지 전달할 수 있는 모델로 평가받고 있지만, 한국 유통업계의 관심은 오로지 무인판매를 통한 비용절감 뿐이다. 실제로 이마트24 또는 세븐일레븐 시그니처는 완벽하게 기계를 통하여 자동화를 이루어냈다기 보다는 캐셔나 아르바이트생의 행위를 소비자에게 무임노동으로 전가시킨 것 이상의 의미가 없다. 이에, 사용자 경험이나 품질 경험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무인매장으로 입장할 때 사용자의 고유코드로 사용자를 식별하며, QR 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가상카트 내에 상품을 누적시키고, 출구에 마련된 카트레인(Cart Lane)으로 사용자나 카트가 통과할 때 합산된 상품의 무게와 측정된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경우 자동결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계산을 위한 줄을 서지 않고 즉시 나갈 수 있고 매장에서도 도난의 염려를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사용자 경험품질(Quality of Experience)을 높일 수 있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입구 카트레일(CartRail)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및 카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발행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카트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가상카트에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단계, 출구 카트레일에 연동된 QR 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카트의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부면에 무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부면에 대향되는 방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Cart Lane), 사용자 인증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하여 고유코드를 발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한 후,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격을 합산한 총 결제금액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한 경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 상품명 및 상품가격을 추출하여 누적시키는 누적부,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 또는 리딩한 상품의 누적무게와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에서 감지한 무게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확인부에서 일치를 확인한 경우 누적된 상품가격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결제처리하는 결제부를 포함하는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인매장으로 입장할 때 사용자의 고유코드로 사용자를 식별하며, QR 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가상카트 내에 상품을 누적시키고, 출구에 마련된 카트레인(Cart Lane)으로 사용자나 카트가 통과할 때 합산된 상품의 무게와 측정된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경우 자동결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계산을 위한 줄을 서지 않고 즉시 나갈 수 있고 매장에서도 도난의 염려를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사용자 경험품질(Quality of Experience)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무빙워크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가 움직이면서 그 내부에 무게를 측정하는 카트레일(Rail)을 이용하고, 제 2 실시예에서는, 지면 내에 무게센서가 포함되고 카트가 지나갈 수 있는 카트레인(Lane)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두 가지의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나, 두 가지의 구성이 동일한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것들은 제 2 실시예의 것들로 갈음될 수 있고,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제 2 실시예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로 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Rail, 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쇼핑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입구 카트레일(400(1))로 빈 카트를 실어보내고, 자신은 그 옆 레인(Lane)으로 지나가면서, 입구 카트레일(400(1))의 끝에서 카트 QR 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카트에 부착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카트 QR 코드를 스캔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100)과 카트 QR 코드가 매핑되어, [카트 QR 코드-사용자 단말(100)]과 같이 저장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여 가상카트(Virtual Cart)에 상품을 누적시키는 단말일 수 있고, 쇼핑이 완료되면 출구 카트레일(400(2))로 카트를 진입시킨 후, 결제버튼을 눌러 결제를 완료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구 카트레일(400(1)), 출구 카트레일(400(2)), CCTV(미도시), 카트 QR 코드를 출력하는 스티커 출력기(미도시), 모니터(미도시) 등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구 카트레일(400(1))로부터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카트의 무게를 잰 후, 카트 식별정보 및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모니터에서 카트 QR 코드를 카트에 부착하는 메시지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가상카트에 상품의 무게, 가격 등을 누적시키고, 카트 내 무게센서로부터 수신된 상품의 무게를 비교하여 오차는 없는지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구 카트레일(400(2))에서 카트가 진입하는 경우, 역시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무게를 확인하고, 전체 무게에서 카트의 무게를 뺀 나머지인 상품의 무게와, 가상카트 내 상품의 무게를 비교하고, 기 설정된 수치 이상 또는 미만으로 차이가 난 경우, 또는 이상으로만 차이가 난 경우 CCTV로 물품을 촬영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는 아이템을 재확인하라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두 상품의 무게가 동일하거나 오차범위 내인 경우에는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버튼을 활성화되도록 하고,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영수증 출력기(미도시)에서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주차장의 출차 서비스와 연동시켜 차단바(Bar)를 올려 차량이 통과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구 카트레일(400(1))에서는 빈 카트의 무게를 재고, 출구 카트레일(400(2))에서는 상품이 실린 카트의 무게를 재며, 이 정보를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은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카트가 완전히 레일 위로 안착했을 때, 레일의 움직임을 멈추고 무게를 재는 장치일 수 있고, 무게측정이 완료되면 레일을 다시 움직여 카트가 레일 밖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행부(310), 저장부(320), 카운트부(330), 인식부(340), 활성화부(350), 출력부(360), 업데이트부(370), 촬영부(380) 및 완료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로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일(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행부(310)는,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입구 카트레일(CartRail, 400(1))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및 카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발행되도록 할 수 있다. 카트 QR 코드에는 [카트 QR 코드-카트 무게-카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스티커 출력기에서 출력된 카트 QR 코드를 카트에 부착하라는 음성 또는 메시지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될 수도 있고,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는 입구 카트레일(400(1))의 진입하는 일측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카트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100) 고유식별코드-카트 QR 코드-카트 식별정보]와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카운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가상카트에 누적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카트 내에도 무게센서가 포함되고, 각 카트는 카운트부(3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AP로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카운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캔한 상품의 무게와, 카트에서 수신된 상품의 무게를 계속하여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인식부(340)는, 출구 카트레일(400(2))에 연동된 QR 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카트의 카트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출구 카트레일(400(2))에서는 감지된 무게를 카트 QR 코드와 함께 전송하게 되는데, 이 무게는 카트의 무게가 포함된 무게이므로, 입구 카트레일(400(1))에서 측정한 카트 무게를 빼야 순수한 상품의 무게가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활성화부(350)는, 출구 카트레일(400(2))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400(1))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360)는, 저장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카트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을 매칭하여 저장한 후, 카트 QR 코드가 출력된 스티커를 카트에 부착하라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카트 QR 코드를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고, 무게오차범위를 줄이는 역할 및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무게오차범위를 줄이는 역할은, 카트별로 자체 무게가 다르고 카트가 아닌 바구니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카트나 바구니 간 무게가 다른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70)는, 카운트부(33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누적하여 카운트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의 가격 및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촬영부(380)는, 활성화부(350)에서 출구 카트레일(400(2))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400(1))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킨 후, 출구 카트레일(400(2))을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출구 카트레일(400(2)) 내 카트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에서 측정한 카트 무게는 X 이고, 출구에서 측정한 카트 무게는 Y이며, 그 차이는 Y-X가 되어야 하는데, Y-X와 가상카트의 무게인 Z가 동일하지 않거나 더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 많은 물건을 담았지만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으므로 상품을 재확인하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CCTV를 활성화시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오차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카트의 진입으로 무조건 또는 지속적으로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완료부(390)는, 활성화부(350)에서 출구 카트레일(400(2))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400(1))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킨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버튼을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한 경우, 영수증 출력기를 통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결제를 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오프라인 증서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하여 주차확인증을 받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완료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주차확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의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입장>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입장할 때, 하나의 레인은 입구 카트레일(400(1))의 레일, 하나의 레인은 사용자가 무빙워크 또는 일반 바닥면으로 걷는 레인이다. (b) 이때, 사용자는 카트를 입구 카트레일(400(1))로 진입시키고, 자신은 그 옆 레인으로 지나가면서 입구 카트레일(400(1))에서 카트의 무게를 재도록 한다. 입구 카트레일(400(1))의 끝 쪽에 다다른 사용자는, 끝 쪽에 배치된 화면(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으로 스티커 출력기로부터 카트 QR 코드를 받아서 부착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보거나 듣고, 카트에 카트 QR 코드를 부착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스캔하게 된다.
<쇼핑>
쇼핑을 할 때에 (c)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게 되고, 가상카트에 상품의 무게, 가격 등의 정보를 누적시키며, 카트 내 무게센서로 잰 상품의 무게는 카트에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되고, 가상카트 내 상품의 무게와 비교할 수 있다. (d)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품의 무게 뿐만 아니라, 이미지, 가격 등을 누계하여 출력해줄 수 있고 자신이 여지껏 담은 상품을 리스트업해줄 수도 있다.
<퇴장>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시 출구 카트레일(400(2))로 카트만 진입시키고 자신은 그 옆 레인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가상카트 내 상품 무게의 합산 값과, 출구 카트레일(400(2))에서 출력한 무게(상품+카트)에서 입구 카트레일(400(1))에서 출력한 무게(카트)를 뺀 나머지, 즉 상품 무게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입구에서 측정한 카트 무게는 카트 QR 코드에 담겨있으므로 입구 카트레일(400(1))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하지 않아도 된다. 비교한 차이가 일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 더 많은 상품이 담겼을 경우에는 CCTV를 통하여 출구 카트레일(400(2)) 내 카트를 촬영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아이템을 재확인하라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 만약 두 값의 차이가 오차범위 내라면, 결제버튼을 활성화해주고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통하여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b) 결제가 완료된 후에는 영수증 출력기로부터 영수증을 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출차 시스템과 연계되어 차량번호판 인식으로 통과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4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입구 카트레일(CartRail)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및 카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발행한다(S5100).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카트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여 저장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가상카트에 누적하여 카운트한다(S5300).
또,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출구 카트레일에 연동된 QR 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카트의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고(S5400),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카트레인을 이용하여 상품의 무게를 재는 방법이다. 제 3 실시예는 카트 내에 구비된 카메라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품을 식별하고 무게를 재는 방법인데, 제 2 실시예를 설명할 때에는 제 2 실시예와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제외한 나머지만을 서술한다.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을 등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카트에 카메라와 무게센서를 장착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코드를 스캔한 후, 카트 내 담긴 상품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가상카트에 누적하고 계산을 진행하도록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카트 내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 2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카트레인(400)의 경우에는, 하부면에 무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게센서(430)를 포함하고, 상부면에 대향되는 방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드스캐너(500) 및 RFID 스캐너(600)도 각 매장별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RFID 스캐너(600)는, RFID 태그(Tag)를 스캔하고, RFID 태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의 가격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기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결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RFID 스캐너(600)는, 가볍고 부피가 작은 상품에 대해서 카트레인(400)이나 카트(미도시)에서 무게가 감지되지 않거나 영상으로 판독이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RFID 태그를 스캔하는 RFID 스캐너(600)를 통하여 상품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상카트에 상품을 누적시켜 자동결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RFID 태그의 가격이 점차 떨어지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개당 가격으로 상품의 단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 및 RFID 스캐너(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6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6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 및 RFID 스캐너(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RFID 스캐너(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카트레인(400),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인매장 또는 무인점포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등록을 할 때 사용자 인증을 받는데,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하면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신분증의 사진, 이름, 결제수단의 명의자 이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되는 객체의 얼굴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 후 등록을 받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등록시 실시간으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영상통화가 진행되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상통화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한 얼굴의 특징점과 신분증 상 얼굴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등록을 받을 수 없고, 결과적으로 무인점포에 입장을 위한 고유코드를 받지 못하게 된다. 만약, 유용하거나 도난한 경우를 제외하고 얼굴도 일치하고 카드의 명의자 및 핸드폰의 명의자가 일치하는 등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회원으로 가입되고 고유코드를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무인매장 입구에서 고유코드를 출력하여 사용자를 식별받고, 상품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카트레인(400)을 지나가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동으로 계산 및 결제처리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코드스캐너(500) 및 RFID 스캐너(600)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고 고유코드를 발급해주며, 코드스캐너(500)로 고유 코드가 인식 및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가상카트에 상품을 누적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카트레인(400)을 지나가는 경우, 카트레인(400)에서 측정된 상품의 무게와 기 저장된 상품의 무게 합계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일치하면 즉시결제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무게가 차이가 나는데 측정된 무게가 더 적은 경우, 이미지를 기반으로 재계산하거나 측정된 무게가 더 무거운 경우,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집었던 상품의 목록을 추출한 후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상품의 조합을 파악하고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스캔을 요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무게가 일치하지 않는데 사용자가 출구로 나가버린 경우, 재결제 및 확인요청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향되는 방향을 촬영하고 무게를 감지하는 CCTV(410) 및 무게센서(430)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카트(미도시)에 카메라와 무게센서가 장착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카트레인(400)이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고유코드를 스캔하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스캐너(600)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RFID 태그를 감지하고, RFID 태그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태그 데이터를 전송하여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상품의 가격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RFID 스캐너(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ID 스캐너(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RFID 스캐너(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전송부(320), 누적부(330), 확인부(340), 결제부(350), 요청부(360), 증거저장부(370), 도난방지부(380), 무단통과방지부(390), 동선파악부(391), 신분확인부(393) 및 진입방지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 및 적어도 하나의 RFID 스캐너(600)로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 및 적어도 하나의 RFID 스캐너(600)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 적어도 하나의 코드스캐너(500) 및 적어도 하나의 RFID 스캐너(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카트레인을 이용하여 상품의 무게를 재는 방법이다. 제 3 실시예는 카트 내에 구비된 카메라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품을 식별하고 무게를 재는 방법인데, 제 3 실시예를 설명할 때에는 제 2 실시예와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제외한 나머지만을 서술한다.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을 등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카트에 카메라와 무게센서를 장착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코드를 스캔한 후, 카트 내 담긴 상품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가상카트에 누적하고 계산을 진행하도록 상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카트 내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 2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카트레인(400)의 경우에는, 하부면에 무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게센서(430)를 포함하고, 상부면에 대향되는 방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드스캐너(500) 및 RFID 스캐너(600)도 각 매장별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RFID 스캐너(600)는, RFID 태그(Tag)를 스캔하고, RFID 태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의 가격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기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결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RFID 스캐너(600)는, 가볍고 부피가 작은 상품에 대해서 카트레인(400)이나 카트(미도시)에서 무게가 감지되지 않거나 영상으로 판독이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RFID 태그를 스캔하는 RFID 스캐너(600)를 통하여 상품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상카트에 상품을 누적시켜 자동결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RFID 태그의 가격이 점차 떨어지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개당 가격으로 상품의 단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전송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증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코드는 1차원 바코드나 2차원 QR 코드 또는 생체인증데이터인 지문, 홍채 등일 수 있다. 고유코드를 발급하는 이유는 입장을 허용할 수 있는 회원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고, 상품을 계산할 때 각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함이다. 코드스캐너(500)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되어 고유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고유코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도어의 폐쇄모드를 유지하고 고유코드가 입력된 후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도어의 폐쇄모드를 개방모드로 변경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누적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 상품명 및 상품가격을 추출하여 누적시킬 수 있다. 고객인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각 상품의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100)을 들고다니면서 스캔해야 하는데, 잠금화면을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QR 코드 스캔 모드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는 과정이 존재한다. 한 개의 상품만 산다면 스캔을 하고 나오면 되지만, 장을 보는 경우와 같이 많은 상품을 사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반복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누적부(330)는 각 진열대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나 충격감지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배치하고, 각 진열대에서 상품을 집는 것을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품을 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고유코드에 자동으로 매핑하여 저장하여 누적할 수도 있다. 만약, 진열대에 다시 상품이 놓여졌다면 누적된 상품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객체 인식>
예를 들어, 냉장고 측면에 설치된 광각 카메라에서 관찰된 카메라에 대해 YOLOv3를 사용하여 객체를 인식하고, 그 뒤에 프레임의 연속성과 객체의 변위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추론하여 최종적으로 재고의 변화를 판단한다. 객체의 인식하기 위하여, 각 무인점포에서 판매할 대상을 시스템 환경에서 이동시키는 모습을 촬영하고 라벨을 생성하여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학습 데이터를 한 개인이 추출하고 생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동종의 무인점포에서 유사사례로 도난 또는 탈취되는 경우나, 각 객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키프레임이란, 동영상 응용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시작 프레임과 마지막 프레임 중에서 전체 정보를 갖고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프레임을 키 프레임이라고 한다. 이때 다양한 키프레임 추출 알고리즘이 공개 및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고 어느 특정한 알고리즘에 한정하지 않는다.
<객체 추적 및 재고 관리>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인식된 객체의 위치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연속된 프레임에서 인식된 객체의 위치 변화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두 프레임에서 인식한 객체를 같은 물체로 판단하고, 물체의 이동 경로를 저장한다. 인식되던 객체가 완전히 냉장고로 들어가거나 빠져나간 후 일정 기간 동안 인식되지 않으면, 객체가 거쳐온 경로의 첫 좌표와 마지막 좌표를 이용하여 냉장고 선반을 기준으로 냉장고 출입 여부를 추론한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이 냉장고로 들어가는 장면을 가정하면, 아이스크림이 완전히 냉장고로 들어가서 보이지 않게 될 경우, 아이스크림이 지나간 경로의 마지막 좌표, 경로의 반대 끝에 위치한 마지막 좌표 및 출입기준선을 고려하여 아이스크림이 냉장고에 들어갔다고 추론한다.
확인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캔 또는 리딩한 상품의 누적무게와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400)에서 감지한 무게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카트를 이용하지 않고 에코백이나 비닐봉투를 이용하는 경우, 에코백의 무게를 먼저 잰 후, 그 차분을 상품의 누적 무게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코백인 경우 바코드를 바로 발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형 마트에서 할인20% 바코드 발행시 바로 포스기에 연결되는 것인데, 야채 및 채소를 담을 때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결제부(350)는, 확인부(340)에서 일치를 확인한 경우 누적된 상품가격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결제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하여 고유코드를 발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한 후,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격을 합산한 총 결제금액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다.
요청부(360)는, 확인부(340)에서 확인한 무게가 일치하지 않고, 카트레인(400)에서 감지한 무게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캔 또는 리딩한 상품의 총 무게 이상인 경우, 차이가 나는 무게에 대응하는 상품의 종류를 리스트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스캔 또는 리딩을 요청할 수 있다. 무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2 가지가 있는데, 측정된 무게가 적은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다른 것도 함께 QR 코드를 찍은 경우이고, 측정된 무게가 많은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과실로 또는 고의로 QR 코드를 찍지 않은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가면서 어떠한 상품을 집고(Pick) 놓았는지, 집고 제자리에 두지 않은 상품이 모두 QR 코드가 스캔이 되었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무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모두 꺼내서 하나하나 스캔 및 재확인 하는 것도 고객 경험 퀄리티를 떨어뜨리게 만든다. 이에, 무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집었다가 다시 제자리에 두지 않은 상품 리스트와 QR 코드가 스캔된 상품 리스트를 분석한 후, 빠진 상품이 있는지 확인하며, 빠진 상품의 무게가 차분에 대응하는 무게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재스캔을 요청하지 않고 바로 해당 상품에 대응하는 가격을 포함시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UX로 결제 확인을 누를 경우 구매 수량 및 물품을 체크 함으로써 재확인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증거저장부(370)는, 카트레인(400)의 적어도 하나의 무게센서(430)에서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 CCTV(410)를 활성화시켜 카트레인(40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촬영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코드 및 결제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난방지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부를 촬영하는 지능형 CCTV(410)로부터 기 설정된 도난행위가 감지되는 경우, 도난행위의 대상이 된 상품을 식별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즉시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난행위는 음료수나 음식을 먹은 후 다시 제자리에 두거나, 출구에 있는 카트레인(400)을 거치지 않은 매장 내에 한 사람이, 코드스캐너(500)를 기준으로 매장 외부의 다른 사람에게 상품을 던져 물건이 계산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람의 바지주머니나 셔츠주머니와 같은 옷 속에 물건을 숨겨 나오거나 하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이를 가상카트에 담아 결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난방지부(380)는, 사용자가 이동 중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할 때, 마트 내 복수의 장소에 구비된 비콘(Beacon)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확인 신호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스캔하는 상품이 해당 위치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상품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즉, QR 코드 바꿔치기 등의 부정 수단 차단용인데 예를 들어, A 진열대에 위치한 주스에 부착된 QR 코드 인식 시, 해당 지점의 위치 정보를 함께 확인하여, 해당 A 진열대에 해당 주스가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패스하고, 해당 주스가 C 진열대에 위치한 상품으로 확인되면 알람 출력하는 것이다. 또, 실제 제품의 QR 코드 대신, 사용자가 미리 준비한 더 싼 상품의 QR 코드로 부착하는 등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QR 코드 인식 시, QR 코드 주변의 이미지를 함께 획득하고, 획득된 QR 코드 주변의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해당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를 대조하여, 획득된 QR 코드와 관련한 상품이 실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무단통과방지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CCTV(410)를 통하여 카트레인(400)을 무단통과하는 모션이 감지된 경우, 무단통과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금액을 자동결제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금액은 벌금과 같은 고정금액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품을 집은 것만을 담아 결제를 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동선파악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CCTV(410)를 통하여 카트레인(400)을 무단통과하는 모션이 감지된 경우, 모션을 발생시켰던 사용자가 매장에 출입한 시각부터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사용자가 집었던 상품을 식별한 후, 식별된 상품의 가격을 누적시켜 자동결제할 수 있다.
신분확인부(393)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할 때,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등록된 명의자와 신분증 상의 이름을 대조하고, 신분증 상의 얼굴과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얼굴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고유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비대면 통장이나 계좌개설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사용자의 신분증 상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와, 사용자 단말(100)의 명의자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바로 계좌를 개설해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대포통장이 다수 개설되고 있다. 즉, 대면 서비스에서는 직원이 현재 신청하는 사람의 얼굴과 신분증 상의 얼굴을 확인하지만, 비대면 서비스에서는 이 두 얼굴을 비교하는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명의도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분증 상의 얼굴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신청하는 사람의 얼굴을 영상통화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명의도용의 가능성을 줄이고, 본인이 아닌 타인이 무인매장에 들어가서 절도를 하는 사례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무인매장이 아니더라도 대형마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진입방지부(395)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코드가 인식되는 입구에서, 고유코드를 스캔한 사용자의 얼굴과, 신분확인부(3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이 다른 경우, 입장이 가능하지 않도록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떠한 상품을 몇 번을 집었다 놓았는지, 또는 한 번에 집었는지, 해당 물건 앞에서 얼마나 고민을 했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모두 기록이 된 후에는 이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몇 시에 야식을 사러 오는지, 주로 사는 제품은 무엇인지, 어떤 물건을 정기적으로 사는지 등을 알 수 있게 되며,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제품이라면 미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집 또는 직장과 무인매장이 멀지 않은 위치에 있다면 자율주행카트를 이용하여 알아서 미리 배송을 해줄 수도 있다.
협력 필터링 알고리즘(Collaborative Filtering)은, 사용자 기반(User-Based) 또는 아이템 기반(Item-Based)의 콘텐츠 기반(Contents-Based) 필터링으로 대체가능하다. 즉, 개인화 맞춤형 추천을 위해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Item-based Collaborat ive Filte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템 기반 방식은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의 개선된 방법이다. 두 방법은 잠재적 사용자 예측에 사용되는 유사도(Similarity)를 계산하는 부분이 사용자인가, 아이템인가에 따라 다르다. 단순히 사용자를 비교하는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의 단점은 신규 유저에게 추천 정확도가 떨어지고 장기간 사용자의 경우 분산된 선호도를 갖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은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과 비슷한 아이템을 참조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기반 협업필터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본인의 선호도에 가장 적합한 클러스터를 찾기 위해 원하는 속성의 값 또는 범위를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정보 기입이 끝난 속성들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인데, 유사도 측정을 위해서는 표준화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 속성(Attributes) 대조 및 표준화 과정이 필요한데, 시스템 내에는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각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대조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데, 이때 유클리드 거리를 이용하여 각 속성의 값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준화를 시행한 후 대조할 수 있다. 속성이 이산적인지 연속적인지에 따라 차등화 된 방법을 적용한다.
i) 이산적인 속성에는 나이, 성별 등이 있다. 이산적인 속성의 유사도(Similarity)는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의 포함 유무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정해진다.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 포함이 된다면, 범위 내 값들은 수치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범위 내의 포함 유무만을 고려하여 유사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이산적인 속성의 유사도는 연속적인 속성의 유사도 값과 표현의 통일을 위해 유클리드 거리 형태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와 다른 사용자 b가 속성(Attribute) n 개를 가지고 있고 이 속성은 모두 이산이라고 가정하자. 여기서의 목적은 0 또는 1로 구해지는 유사도를 통일성을 위해 유클리드 거리로 표현하는 것이다. 각 이산 속성들의 값은 0 또는 1이기 때문에 유클리드 거리는 일치 시 0, 그렇지 않으면 1이다. a와 b의 각 속성(at)들의 유클리드 거리의 합은 이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21088471016-pat00001
ii) 연속적인 속성에는 거리 등이 있다. 연속적인 속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 포함되는 속성값끼리 동등하지 않다. 범위 내에 속한 값들을 수치적으로 구분해야 한다. 또한 이산적인 속성과의 형평성을 위해 연속적인 속성들은 0과 1사이의 값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연속적인 속성의 사용자가 원하는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들은 0과 1 사이의 차등 된 값을 가지게 한다. 연속적인 속성 값들을 표준화하기 위해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사용한다. 속성값 val을 가진 이산적인 속성의 유클리드 거리는 다음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이때, D_ER의 값은 0 이상 1 이하의 값이다.
Figure 112021088471016-pat00002
세 번째 단계로 다른 사용자-사용자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구한 유클리드 거리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사용자의 각 속성 간 유사도를 측정한다. 유클리드 거리는 0에 가까울수록 더욱 밀접한 유사도를 가진다. 따라서 각 속성의 유사도 점수는 1에서 유클리드 거리를 뺀 값으로 한다. 만일 각 속성이 불균등한 가중치를 가질 경우, 가중치를 부여한 유사도 값의 합을 총 유사도 값으로 정한다. 이산 속성의 경우 간단히 전체 이산 속성의 개수에 이산 속성들의 유클리드 거리를 더한 값을 뺀다. 이때, 유사도(Similarity)는 S로 표기하며 이를 정리하면 이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21088471016-pat00003
네 번째 단계는, 다른 사용자 추천인데, 사용자와 모든 다른 사용자 사이에서 얻은 총 유사도 값들을 비교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는 수 많은 다른 사용자들 사이에서 본인의 요구사항에 맞는 맞춤 개인화 다른 사용자를 추천 받을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다른 사용자-다른 사용자 유사도 측정인데, 사용자가 특정 다른 사용자를 선택할 경우, 아이템 기반(Item-based)한 유사도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용자와 유사도 값이 높은 다른 다른 사용자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추가로, 기존 방식에 평점을 도입하여 다른 필터링 후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라 차등화 된 점수를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단순히 다른 필터링 시행 여부만으로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로 다른 사용자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선택된 다른 사용자와 다른 다른 사용자들 간의 유사도 값을 구하고, 이 유사도 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유사도 값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는 카트레인(400)이 카트로 변경된 것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사항들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카트(Cart)는 실시간 상품 인식을 위한 카메라와 라즈베리파이, 트리거 역할을 하는 초음파 센서, 상품이 쇼핑카트에 들어온 것인지 나간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게 센서, 가상의 장바구니에 대한 UI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이션, 학습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딥러닝 서버로 구성된다. 각 모듈 간의 통신은 TCP/IP 네트워크 및 HTTP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며, 서버의 상품 인식을 위해서는 객체탐지 기술이 구현된 YOLO darknet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 카트에 넣은 물건들의 목록을 점검하고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다.
카트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쇼핑 카트와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을 연결함으로써 쇼핑이 시작된다. 연결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상품을 담거나 꺼내게 되면 쇼핑 카트의 초음파 센서가 이를 인식하여 카트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7초 동안 촬영한 영상을 라즈베리 파이의 특정 포트에서 송출한다. 이어서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송신한다. 라즈베리파이는 MJPG Streamer를 이용하여 자신의 8090번 포트에서 영상에 대한 웹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있는데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해당 URL을 내용에 실어 보낸다.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라즈베리파이로부터 전달받은 URL로부터 영상을 읽어온 후에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품의 종류, 수량, 출입 여부를 판단하고 이 정보를 TCP/I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한다. TCP/IP 메시지를 수신한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가상 장바구니(가상 카트)에 상품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한다. 쇼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하고 쇼핑 카트를 원래 위치로 반납한 후 마트에서 퇴장하며 쇼핑이 종료되고 쇼핑 카트는 충전이 시작된다.
<카트>
카트에는 라즈베리파이 보드가 부착될 수 있다. 해당 보드에 내장된 Wi-Fi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TCP/IP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를 구현한다. 영상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파이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파이 카메라와 MJPG Streamer를 이용하여 jpg 형식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후에 라즈베리파이 호스트의 특정 포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해당 URL을 이용하여 영상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
<전력 절약>
카트는 배터리를 부착하여서 동작하므로 전력의 소비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때, 초음파 센서를 카트의 상단에 부착하여 영상 스트리밍의 트리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은 쇼핑시간 내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카트에 물건을 담거나 꺼낼 때만 영상 촬영 및 전송을 시행하고, 이를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알리도록 하는 비동기 방식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탐지 범위가 쇼핑 카트의 면적에 비하여 다소 좁은 편이므로 초음파 센서의 개수를 늘려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무게 센서>
상품이 카트 안으로 들어오는 것인지 밖으로 나가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무게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무게 센서를 카트의 바닥에 설치하고, 이전 무게 대비 현재 무게를 비교하여 증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자신이 고른 쇼핑 카트에 적혀진 단말기 고유 번호를 입력하거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코드와 카트의 고유코드가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매핑되면서 쇼핑을 시작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자동계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인식한 상품의 번호와 수량, 출입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마트의 상품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상품번호로 해당 상품을 조회하는 쿼리문을 보내고 응답으로 조회된 상품과 관련된 세부 정보들이 담긴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 단말(100)의 가상 카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한다. 쇼핑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총 구매내역과 산정된 금액을 보여주며 결제로 이어지거나, 상술한 카트레인(400)을 지나가면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객체 탐지>
카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카트에 담기는 상품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카트는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받은 후에 이미지 안의 객체를 탐지하고 객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또, 사용자가 카트로 동시에 여러 개의 상품을 담는 상황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그리드 기반의 객체 탐지를 제공하는 YOLO 라이브러리(You Only Look Once, 이하 YOLO)를 사용할 수 있다. YOLO는 분류기역할 뿐 아니라 위치 알고리즘도 내장되어, 한 이미지 안에서 여러 객체를 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
YOLO는 이전까지의 객체 탐지 신경망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며, 파일 형식의 영상 데이터 뿐 아니라 웹캠을 통한 영상에 대해서도 실시간 탐지까지 지원하는 강력한 실시간 객체 탐지 라이브러리이다. YOLO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이하 CNN)에 기반을 두고 있어 합성곱 계층과 서브샘플링 계층을 거치는 등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점차 다운샘플링하는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YOLO에 내장된 네트워크의 완전 연결 신경망(Fully Connected Network, 이하 FCN)의 앞단, 즉 합성곱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YOLO는 하나의 CNN을 사용하여 이미지 전체에서 다수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예측하고, 동시에 각 바운딩 박스에서 클래스 확률(Class Probability)을 계산하는 통합된 모델을 사용한다. YOLO는 기존의 R-CNN보다는 약 1000배, Fast R-CNN보다는 약 100배, 가장 최근에 나온 Faster R-CNN보다도 약 10배 이상 빠른 성능을 보인다.
<YOLO 학습>
YOLO도 지도학습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레이블링이 잘 된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필요하다. 객체 탐지 문제의 경우, 정답 레이블은 각 객체의 레이블명과 바운딩 박스의 쌍으로 구성되며 이를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라고 부른다. 이 학습 데이터는 어노테이션 툴(Annotation Tool)인 YOLO-Mark을 이용하여 학습용 데이터의 리사이징 및 레이블링 등의 전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어노테이션을 위한 이미지 어노테이션 시스템은 학습 데이터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한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어노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때, 어노테이션 및 라벨링을 위해서는 다양한 오픈소스(Open source) 도구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도구들은 웹 기반으로 구성되어 직원 또는 담당자가 직접 ①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② 이미지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며, ③ 분류를 위한 태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미지 어노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A 매장에서 B 직원이 어노테이션 및 라벨링을 한 결과물이 있다면 이를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공유하거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nnotorious라는 어노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① addPlugin 함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특징 영역을 선택하는 플러그인 모듈을 변경하여, rectDragSelector 플러그인 모듈을 autoSelector 플러그인 모듈로 변경할 수 있다. ② addUIModule을 이용하여 특징을 나타내는 태그 이름을 입력하는 UI를 변경할 수 있고, changeLabelBoxUI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autoSelector 플러그인 모듈은 마우스 클릭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지정한 사각형 크기(e.g. 64 x 64 etc.)로 이미지의 특징 영역을 선택하는 모듈이다. 단순히 클릭만으로 균일한 크기의 서브 이미지 추출을 보장할 수 있다. changeLabelBoxUI 모듈은 특징을 나타내는 태그 이름을 미리 입력한 태그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매번 타이핑하는 과정 없이 단순히 클릭만으로 태그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서버 없이 AWS(Amazon Web Service) 기반 서버리스(Serverless)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축한다면, 별도로 서버를 구매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어 오직 시스템 구축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그리고 AWS CloudWatch 서비스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사용량과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AWS 코그니토(Cognito) 서비스를 활용하여 임의의 직원들에게 허용된 범위 내에서 AW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임시 자격 권한을 제공한다. ② AWS Lambda는 서버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이며, AWS DynamoDB는 클라우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그리고 AWS S3(Simple Storage Service)는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이다. DynamoDB에는 전체 이미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미지 정보는 S3 Browser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실제 이미지 경로와 이미지 어노테이션 작업 완료 여부 정보이다. 웹 브라우저는 직원의 임시 자격 권한으로 Lambda에게 DynamoDB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이미지 정보를 요청한다. ③ WebBrowser는 이미지 정보를 가지고 S3 Browser 저장소로부터 이미지들을 로드(Load)한 후 이를 썸네일로 보여준다. 작업 완료된 이미지는 썸네일에서 흐릿하게 보여진다. ④ 직원은 이미지 어노테이션을 수행할 이미지를 썸네일로부터 선택한 후 어노테이션을 수행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DynamoDB에 결과를 반영한다. 그리고 어노테이션 정보는 JSON 포맷으로 S3 Browser 저장소에 저장한다. ⑤ 람다는 주기적으로 ④ 번에서 생성한 JSON 파일을 참조하여 원본 이미지들로부터 특징을 추출한 서브 이미지를 생성한 후 S3 Crop 저장소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된 JSON 파일은 모두 압축되어 S3 Backup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객체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Negative training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즉, 카트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추론한 객체인식 결과가, 조명이나 주변환경에 따라 지속적으로 또는 빈번하게 발생되는 다양한 오탐 이미지들만 일괄적으로 수집해 추가 학습시킨 다음, 딥러닝 모델을 업데이트해 적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탐지하려고 하는 객체들에 대한 탐지 정확도를 높여 줄 수 있다. 즉, 딥러닝 모델에 상기 객체 인식의 결과가 비정상으로 출력되는 오탐 이미지만을 일괄 수집 및 획득하여 추가학습하는 네가티브 트레이닝(Negative Training)을 적용하여 딥러닝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테스트>
학습이 종료되면 학습된 가중치 파일을 이용하여 실시간 탐지를 테스트해볼 수 있다. 평균 탐지 정밀도를 계산하여 한 회차의 결과로 기록하고, 각 상품 클래스별로 반복하여 시행할 수 있으며, 각 클래스별 평균 예측 값들로부터 시스템 전체의 평균 예측 정밀도(mean Average Precision, 이하 mAP)를 산정할 수 있다. YOLO는 다른 탐지시스템과 비교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실시간 객체 탐지를 제공한다는 강력한 장점을 지녔지만, 이전의 탐지 시스템에 비하여 작은 물체에 대해서는 검출률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물체에 대해서는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별도 계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YOLO의 장점과 이전의 객체 탐지 시스템의 장점을 모두 고려한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SSD는 YOLO와 비교하여 속도가 떨어지므로 바운딩 박스로 인식된 큰 물체를 제외한 나머지를 SSD로 분석하는 등의 하이브리드 결합이 요구될 수는 있다.
무인 상점의 대표주자로 알려진 아마존고의 정확도는 합격점이라는 평가가 잇따르며, 아마존고의 아이디어와 기술력은 인정받았지만, 널리 확산시키기엔 상당한 비용이 든다. 또 입장할 수 있는 고객의 수가 한정적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는 다른 무인점포 솔루션에 비해 높은 가성비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용인원이 증가하더라도 별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낮은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을 소모하고, 모든 상품에 RFID를 부착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일일이 QR 코드를 스캔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술한 도 7의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8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품, 무게, 부피, QR 코드, 가격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b)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인증 및 결제수단 등록을 통하여 고유코드를 받은 경우, 고유코드를 코드스캐너(500)에서 인식하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또 해당 사용자가 어느 매장에 들어왔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c)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d) 모든 상품의 스캔이 끝난 경우, 도 9의 카트레인(400)으로 RFID 스캐너(600) 및 코드스캐너(500)를 통과하여 나가게 되는데, 카트레인(400)에서 무게가 일치하는 경우 코드스캐너(500)의 도어가 개방되어 외부로 나갈 수 있고 이때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누적된 상품을 자동으로 결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영수증을 발급해줄 수 있다. 만약 측정된 무게가 QR 코드를 스캔한 상품의 무게보다 더 많은 경우,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집었던 상품의 무게를 추출한 후, 차분만큼의 무게가 나가거나 합산하는 경우 차분만큼의 무게가 되는 상품들을 추출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를 하거나 이 상품들을 자동으로 포함시켜서 결제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 7 및 도 8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6을 통해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0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0를 참조하면,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을 등록하고(S110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증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등록한 경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1200).
그리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 상품명 및 상품가격을 추출하여 누적하고(S1300),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 또는 리딩한 상품의 누적무게와 적어도 하나의 카트레인에서 감지한 무게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S1400).
마지막으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치를 확인한 경우 누적된 상품가격을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결제처리한다(S1500).
상술한 단계들(S1100~S1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1100~S1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10의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행부에서,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입구 카트레일(CartRail)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및 상기 카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QR 코드를 스티커 출력기에서 발행되도록 하는 단계;
    저장부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카트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카운트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기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상기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가상카트에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단계;
    인식부에서, 출구 카트레일에 연동된 QR 코드 인식기를 통하여 상기 카트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카트의 카트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활성화부에서, 상기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상기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상기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부에서, 상기 카트 QR 코드가 출력된 스티커를 카트에 부착하라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누적부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 상품명 및 상품가격을 추출하여 누적시키는 단계; 및
    도난방지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부를 촬영하는 지능형 CCTV로부터 기 설정된 도난행위가 감지되는 경우, 도난행위의 대상이 된 상품을 식별한 후,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즉시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입구 카트레일로 빈 카트를 실어보내고 사용자 자신은 그 옆 레인(Lane)으로 지나가면서 입구 카트레일의 끝에서 상기 스티커 출력기를 통해 카트 QR 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출력된 상기 카트 QR 코드를 카트에 부착하는 사용자의 단말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카트 QR 코드에는 카트 QR 코드, 카트 무게 및 카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카트 QR 코드를 자동으로 스캔함으로써 카트별로 자체 무게가 다르고 카트가 아닌 바구니인 경우 카트와 바구니 간 무게가 다른 점을 인식하여 무게오차범위가 줄어들도록 하고,
    상기 누적부는,
    고객인 사용자가 다수 상품을 살 때에 각 상품의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을 들고다니면서 스캔의 수행시 잠금화면을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QR 코드 스캔 모드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각 진열대에 카메라, 압전센서, 충격감지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각 진열대에서 상품을 집는 것을 추출하는 객체의 인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품을 집은 경우 사용자의 고유코드에 자동으로 매핑하여 저장해 누적시키되, 진열대에 다시 상품이 놓여진 경우 누적된 상품 리스트에서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의 인식 수행시, 냉장고 측면에 설치된 광각 카메라에서 관찰된 카메라에 대해 YOLOv3를 사용하여 객체를 인식하고, 그 뒤에 프레임의 연속성과 객체의 변위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추론하여 재고의 변화를 판단하고, 객체의 인식을 위해, 각 무인점포에서 판매할 대상을 시스템 환경에서 이동시키는 모습을 촬영하고 라벨을 생성하여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되, 상기 학습 데이터의 생성시 클라우드 기반으로 동종의 무인점포에서 유사사례로 도난 또는 탈취되는 경우나, 각 객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을 이용하고, 프레임들 중 가장 중심이 되는 프레임인 키프레임을 추출하는 키프레임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객체의 추적을 위해,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인식된 객체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되, 연속된 프레임에서 인식된 객체의 위치 변화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두 프레임에서 인식한 객체를 같은 물체로 판단하고, 물체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인식되던 객체가 완전히 냉장고로 들어가거나 빠져나간 후 일정 기간 동안 인식되지 않으면, 객체가 거쳐온 경로의 첫 좌표와 마지막 좌표를 이용하여 냉장고 선반을 기준으로 냉장고 출입 여부를 추론함으로써, 상기 재고의 변화의 판단 및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도난행위는, 음료수나 음식을 먹은 후 다시 제자리에 두는 행위, 출구에 있는 카트레인을 거치지 않은 매장 내에 한 사람이 코드스캐너를 기준으로 매장 외부의 다른 사람에게 상품을 던져 물건이 계산되지 않도록 하는 행위, 사람의 바지주머니나 셔츠주머니와 같은 옷 속에 물건을 숨겨 나오는 행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스캐너는, 사용자의 고유코드를 스캔하고,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고,
    상기 도난방지부는,
    사용자가 실제 제품의 QR 코드 대신 미리 준비한 더 싼 상품의 QR 코드로 부착해 인식하는 QR 코드 부정 사용 방지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QR 코드 인식 시, QR 코드 주변의 이미지를 함께 획득하고, 획득된 QR 코드 주변의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해당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를 대조하여, 획득된 QR 코드와 관련한 상품이 실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카트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상품 무게와 상기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고, 상기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 무게를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상품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품의 가격 및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상기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상기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출구 카트레일을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상기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출구 카트레일 내 카트를 촬영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에서 상기 입구 카트레일 내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카트 무게 간 차이가, 상기 가상카트에 누적된 상품 무게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버튼을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한 경우, 영수증 출력기를 통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주차확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00751A 2021-07-30 2021-07-30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1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51A KR102612284B1 (ko) 2021-07-30 2021-07-30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51A KR102612284B1 (ko) 2021-07-30 2021-07-30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804A KR20230018804A (ko) 2023-02-07
KR102612284B1 true KR102612284B1 (ko) 2023-12-11

Family

ID=852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51A KR102612284B1 (ko) 2021-07-30 2021-07-30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81892A (ja) * 2019-11-18 2021-05-2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決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989A (ko) * 2016-03-22 2017-10-10 백남웅 장보기펜을 이용한 무인계산 활용방안
KR102070036B1 (ko) * 2018-06-28 2020-01-29 신한카드 주식회사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200076124A (ko) * 2018-12-19 2020-06-29 조성권 스마트 쇼핑 카트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2289B1 (ko) * 2019-02-08 2021-03-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이 장착된 쇼핑카트를 이용한 쇼핑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81892A (ja) * 2019-11-18 2021-05-2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決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804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70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заказе
KR101779094B1 (ko)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을 이용한 통합 매장관리시스템
CN109414119B (zh) 用于在环境内计算机视觉驱动应用的系统和方法
CN110462669B (zh) 自动化购物环境内的动态顾客结账体验
US11790433B2 (en) Constructing shopper carts using video surveillance
US20150208043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store aisle
CN108876504B (zh) 一种无人售卖系统及其控制方法
JP7038543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99486A1 (en) Customer behavior recording device, customer behavior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779096B1 (ko)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기반 통합 매장관리시스템에서의 객체 추적방법
US11176597B2 (en) Associating shoppers together
US20130030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te abnormality recording and notification
CN111597999A (zh) 一种基于视频检测的4s店销售服务管理方法和系统
US11669738B2 (en) Context-aided machine vision
CN111222870B (zh) 结算方法、装置和系统
WO2019033635A1 (zh) 结算方法、装置和系统
EP3901841A1 (en) Settl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0689389A (zh) 基于计算机视觉的购物清单自动维护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AU2017231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sitor tracking at a POS area
US11488400B2 (en) Context-aided machine vision item differentiation
CN109934569A (zh) 结算方法、装置和系统
CN108171286B (zh) 无人售货方法及其系统
Satheesan et al. Enhancement of supermarket using smart trolley
KR102612284B1 (ko) 카트레일을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237871B2 (ja) 対象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