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510B1 -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 Google Patents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510B1
KR102611510B1 KR1020210106477A KR20210106477A KR102611510B1 KR 102611510 B1 KR102611510 B1 KR 102611510B1 KR 1020210106477 A KR1020210106477 A KR 1020210106477A KR 20210106477 A KR20210106477 A KR 20210106477A KR 102611510 B1 KR102611510 B1 KR 10261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terminal
code blue
code
broadca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557A (ko
Inventor
김동연
최선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5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eth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통신부, TTS 엔진 및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현장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제공됨으로서, 코드 블루 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차분하게 대응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METHOD FOR RESPONDING CODE BLUE SITU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병원 내 코드 블루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코드 블루 현장에 위치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이고, 기술되는 내용들이 당연하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심장 질환은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2위로, 2009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 45.1에서 2020년에는 60.4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심정 지 발생 시, 4분 내지 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 손상이 일어나므로 대상자가 발생한 현장에서의 목격자가 시행하는 조기 심폐소생술의 시행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의료 코드는 병원에서 긴급 또는 공지 사항 발생 시 쓰는 코드로, 색깔을 통하여 상황을 알리며, 이 중에서 코드 블루는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 필요한 환자가 생길 경우에 대응하는 의료 코드로 종합 병원 급 이상에서는 빈번하게 발생되며, 코드 블루 발생 시 의사나 간호사들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 뛰는 소리가 다른 장소에서도 울려퍼질 정도로 전력으로 달려간다. 하지만 코드 블루가 해제될 때의 생존율은 30~40% 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코드 블루 상황이 발생되면, 병원 방송 시스템을 통해 필요 조치를 알림으로 제공하는데, 긴급 상황에서 방송 발화자의 감정이 격해져서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미국 공개 US2021-0006961A(공개일 : 2021.01.07.)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코드 블루 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차분하게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코드 블루 상황을 대응하기 위한 방송에서 방송 발화자의 감정 상태와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코드 블루 상황을 알리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은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현장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수행 여부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이동 단말에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TTS(Text to Speech) 엔진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기기의 통신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및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상기 방송 멘트의 맨 앞에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 및 높은 볼륨으로 세팅하여 출력하고,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느리게 세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은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이 도과한 경우,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이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신속 이동하도록 독려하는 방송 멘트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가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와 소정 범위 내에 배치된 스피커의 볼륨을 병원 내 다른 스피커의 볼륨보다 더 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은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된 시점부터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이 도착하기까지 점진적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은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진이 도착한 경우, 상기 방송 멘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을 통해 도착 알림을 수신하여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장치는 통신부, TTS 엔진 및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현장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이동 단말에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로 제공하고,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TS 엔진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기기의 통신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및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상기 방송 멘트의 맨 앞에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복적으로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 및 높은 볼륨으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느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이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신속 이동하도록 독려하는 방송 멘트를 추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가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와 소정 범위 내에 배치된 스피커의 볼륨을 병원 내 다른 스피커의 볼륨보다 더 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된 시점부터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이 도착하기까지 점진적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반복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고, 상기 의료진이 도착한 경우, 상기 방송 멘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을 통해 도착 알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현장 단말은 단말 통신부, 식별 코드 인식부,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선택 아이템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선택 아이템이 선택되고, 환자의 식별 코드가 상기 식별 코드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자마자 자동으로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상기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코드 블루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차분하며 정확하게 대응함으로써, 심정지 환자가 생존할 확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에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및 현장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1000)은 코드 블루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심폐소생술(CPR)이 신속하고, 차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1000)은 환자의 생존률을 높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앞서가는 병원, 고객 안전에 대한 환자 만족도가 상승하는 병원 및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병원이 되게 할 수 있다.
"코드 블루"는 심정지를 알려 도움을 요청하는 방송인 "코드 블루 방송", 기도삽관을 하려는데 기도삽관이 되지 않을때 도움을 요청하는 방송인 "코드 에드웨이", 심정지 상황이 종료되었다는 방송인 "코드 클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드 블루는 코드, 위치 및 임상과의 내용을 통일하는 방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 블루 방송은 병원 내의 CVR(Critical Value Report) 프로세스를 통하여 방송될 수 있다.
CVR(Critical Value Report) 프로세스는 환자 이상결과 검사보고에 따라 문자, C-talk, Nu 문자를 동시에 발송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 내 확인이 안되면 ARS call을 발송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환자(Pa)의 심정지가 발생되면, 코드 블루 상황이 발생된 것이며, 제1 간호사(N1)는 심폐 소생술(CPR)을 환자(Pa)에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간호사(N2)는 환자(Pa)의 손목 부위(AA)에 위치한 밴드(BA) 상에 위치한 식별 코드(QR1)를 현장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는데, 제2 간호사(N2)가 소지한 현장 단말(200)은 디스플레이(230)의 정해진 영역(PZ)에 식별 코드(QR1)가 표시(QR1A)되면, 식별 코드(QR1)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코드(QR1)는 QR 코드일 수 있으나, 다른 식별 문자, 코드 등이 구현시에 이용될 수 있다.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상기 현장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QR1)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제1 간호사(N1)의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에 코드 블루 상황을 알리며, 병원 내부(또는 외부 포함)의 스피커(SP)를 통해 코드 블루 상황을 방송 멘트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한 후, TTS(Text to Speech) 방식을 통해 기계적으로 방송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화자의 감정 동요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방송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1000)의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 및 현장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대 블록도이다.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코드 블루 상황의 컨트롤 타워이며, 선택적 실시 예로, 서버, 클라우드 시스템, 단말,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통신부(110), TTS(Text to Speech) 엔진(120), 메모리(14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구성은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필수적 구성들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 상의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더 많은 구성 또는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프로세서(19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TTS 엔진(120)은 텍스트를 스피치로 변환하는 모듈이며, 선택적 실시 예로, 메모리(14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소를 통칭하는 모듈이며, 메모리(140)는 인공 지능, 머신 러닝,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다양한 학습 모델을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학습 모델들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학습 모델들은 레이블(Label)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이 수행될 수 있으며, 학습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손실 함수가 목표의 값을 갖도록, 다양한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수로 표현하더라도 복수로 간주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의 구성들을 컨트롤하는 모듈이며, 프로세서(19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90)는 인공 지능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러닝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자체적으로 러닝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200)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현장 단말(200)로부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식별 코드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성명, 입원 장소 정보, 병명 정보, 치료/수술 경과 정보, 담당 의료진(주치의, 간호사 등) 정보, 매칭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 정보, 병원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 예로,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현장 단말(200)로부터 환자의 식별 코드 전체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식별 코드에 포함되거나 매핑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현장 단말(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현장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하는 기기의 통신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90)는 병원 내 여러 비콘(Beacon) 통신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 비콘 통신 기기는 각각의 통신 커버리지(가령, 70 미터 내외)에 기초하여 현장 단말(200)과 통신하고, 통신 관련 정보를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현장 단말(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프로세서(190)는 WLAN, WPS(Wi-Fi Positioning System), UWB, RFID 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현장 단말(200)의 실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이동 단말에 현장 단말(200)의 위치 정보,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및 상기 현장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하는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상기 방송 멘트의 맨 앞에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가령,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코드 블루" 일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되면, "코드 블루 코드 블루"로 표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90)는 TTS 엔진(120)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방송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반복적으로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 및 높은 볼륨으로 세팅하여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현장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느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방송 청자의 집중을 유도하기 위해,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가령, 코드 블루)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며,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코드 블루라는 의료 코드는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의료진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으므로, 빠른 템포로 세팅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높은 볼륨으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출력하여, 청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코드 블루 상황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주요 텍스트(가령, 의료진 명칭, 현장 발생 장소 등)를 출력할 때는 기준 방송 멘트보다 느리게 세팅하여 청자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방송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이 현장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로 신속 이동하도록 독려하는 방송 멘트를 추가로 생성하고, 생성된 추가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200)에 의해 인식된 시점부터 현장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이 도착하기까지 점진적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하여 방송 멘트를 반복하여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되는 방송의 볼륨이 점점 커지거나 반복방송메트는 2번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추가시 필요시 추가로 코드블루 원콜 기능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현장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와 소정 범위 내에 배치된 스피커의 볼륨을 병원 내 다른 스피커의 볼륨보다 더 크게 세팅하여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는 현장 단말(200)과 위치한 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의료진이 신속하게 환자를 치료하게 하기 위함이다.
프로세서(190)는 의료진이 현장 단말(200)의 위치로 이동할 때, 필요 장비(가령, 자동 심장 충격기)를 습득해서 이동하도록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고, 의료진이 도착한 경우, 방송 멘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관련 의료진(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현장 도착을 인식할 때, 현장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을 통해 도착 알림을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현장 단말(200)은 단말 통신부(210), 식별 코드 인식부(220), 디스플레이(230), 단말 메모리(240) 및 단말 프로세서(290)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며, 식별 코드 인식부(220)는 환자의 손목 부위의 밴드에 위치한 식별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모듈이다.
디스플레이(230)는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선택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290)는 선택 아이템이 선택되고, 환자의 식별 코드가 식별 코드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되자마자 자동으로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CPR 수행 여부 정보를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블루 방송 멘트(CB)는 "코드 블루"신호(301), 위치(302) 및 임상과(30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멘트에는 "코드블루, 코드블루"의 코드블루(30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멘트에는 해당 상황 발생 위치(30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코드블루 상황 발생 위치가 "111병동"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코드 블루 멘트(CB)에는 임상과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해당 임상과가 소아청소년과(303)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에서 제시한 코드블루 멘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코드 블루 멘트의 형태에는 그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의 프로세서(190)는 코드 블루 방송 멘트 (CB)를 생성 및 출력하는데, 프로세서(190)는 방송 멘트의 맨 앞에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301)를 반복적으로 배치하고, 텍스트 중에서 임상과(303) 및 환자의 위치를 알리는 부분(302)만 기준 방송 템포보다 느리게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190)은 소정 타임 경과 후에도 관련 의료진이 현장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 추가 방송 멘트(320)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방송 멘트의 맨 앞에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301)를 반복적으로 배치하고, 텍스트 중에서 의료진 정보 부분 및 환자의 위치를 알리는 부분만 기준 방송 템포보다 느리게 출력하되, 볼륨을 높게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다른 텍스트들을 기준 템포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먼저, 코드 블루 상황이 발생되어,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200)에 의해 인식되면(S410), 현장 단말(200)은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로 제공한다(S420).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S430),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연락처 정보를 획득한다(S440).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시지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300)로 전송한다(S450).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한다(S460).
그 후에,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는 TTS 엔진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방송 멘트를 출력한다(S470).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전송 단계(S450 단계)와 상기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는 단계(S460)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앞에서 설명한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100)일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Python,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 코드 블루 원콜 시스템
100 :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장치, 200 : 현장 단말
110 : 통신부, 120 : TTS 엔진, 140 : 메모리 및 190 : 프로세서

Claims (18)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현장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수행 여부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이동 단말에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TTS(Text to Speech) 엔진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기기의 통신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및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상기 방송 멘트의 맨 앞에 반복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으로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 및 높은 볼륨으로 세팅하여 출력하고,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느리게 세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이 도과한 경우,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이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신속 이동하도록 독려하는 방송 멘트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가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와 소정 범위 내에 배치된 스피커의 볼륨을 병원 내 다른 스피커의 볼륨보다 더 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된 시점부터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이 도착하기까지 점진적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진이 도착한 경우, 상기 방송 멘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을 통해 도착 알림을 수신하여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방법.
  9.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
  10.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TTS(Text to Speech) 엔진; 및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현장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에 따른 CPR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의 이동 단말에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식별 코드에 매핑된 정보 및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로 제공하고,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송 멘트를 텍스트 기반으로 생성하며,
    상기 TTS 엔진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송 스피커를 통해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는 기기의 통신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 및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멘트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는 상기 방송 멘트의 맨 앞에 반복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반복적으로 포함된 코드 블루 상황 발생 알림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빠른 템포 및 높은 볼륨으로 세팅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현장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 방송 멘트 대비 느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멘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 또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팀이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신속 이동하도록 독려하는 방송 멘트를 추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추가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와 소정 범위 내에 배치된 스피커의 볼륨을 병원 내 다른 스피커의 볼륨보다 더 크게 세팅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가 현장 단말에 의해 인식된 시점부터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이 도착하기까지 점진적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하여 상기 방송 멘트를 반복하여 상기 방송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로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고, 상기 의료진이 도착한 경우, 상기 방송 멘트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장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한 관련 의료진의 이동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을 통해 도착 알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련 의료진의 도착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코드 블루 상황 대응 장치.
  18. 삭제
KR1020210106477A 2021-08-12 2021-08-12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KR10261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77A KR102611510B1 (ko) 2021-08-12 2021-08-12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77A KR102611510B1 (ko) 2021-08-12 2021-08-12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57A KR20230024557A (ko) 2023-02-21
KR102611510B1 true KR102611510B1 (ko) 2023-12-06

Family

ID=853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477A KR102611510B1 (ko) 2021-08-12 2021-08-12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5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6961A1 (en) * 2019-07-03 2021-01-07 Rapidsos, Inc. Systems & methods for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28B1 (ko) *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KR20160050992A (ko) * 2014-10-31 2016-05-11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구조정보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90099550A (ko) * 2018-02-19 2019-08-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폐소생술 보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6961A1 (en) * 2019-07-03 2021-01-07 Rapidsos, Inc. Systems & methods for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57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mergency response
JP6770981B2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US20230379681A1 (en) Pre-alert System for First Responders
CN107590953B (zh) 一种智能穿戴设备的报警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11743703B2 (en) Personal help button and administrator system for a low bandwidth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PERS)
KR102611510B1 (ko) 코드 블루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기록 매체 및 단말
US20240105041A1 (en) Remote distress monitor
JP6362567B2 (ja) 緊急の医療カウンセリング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943490B1 (ja) 見守り支援装置、見守り支援システム、見守り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64049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US9554261B1 (en) Responding to a message generated by an event notification system
CN212413313U (zh) 一种隔离病房监护系统
US20220005338A1 (en) Personal safety assurance system and safety monitoring method
Woo et al. Complete and resilient documentation for operational medical environments leveraging mobile hands-free technology in a systems approach: Experimental study
US20220246011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ound-the-clock health and wellbeing monitoring of incarcerated individuals and/or individuals under twenty-four-hour-seven-day-a-week (24/7) supervision
US20240048657A1 (en) Alarm triggered communications
US11967221B2 (en) Emergency device
US11475891B2 (en) Low delay voice processing system
Byrsell Race against time: performance of emergency medical dispatch centre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US9942733B1 (en) Responding to a message generated by an event notification system
Rao et al. A survey on technologies used during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KR20230055572A (ko) 응급 상황 감지 디바이스 및 응급 상황 감지 방법
CN113706330A (zh) 一种生产线安全管理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3810545A (zh) 呼叫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Du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Future of Telecom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