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98B1 -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398B1
KR102611398B1 KR1020220070921A KR20220070921A KR102611398B1 KR 102611398 B1 KR102611398 B1 KR 102611398B1 KR 1020220070921 A KR1020220070921 A KR 1020220070921A KR 20220070921 A KR20220070921 A KR 20220070921A KR 102611398 B1 KR102611398 B1 KR 102611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information
storage unit
noi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진기업
Priority to KR102022007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 G06K19/02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the material being suitable for use as a textile, e.g. woven-based RFID-like labels designed for attachment to laundry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며 나아가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의 분실, RFID 리더기 또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장 여부를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더 나아가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APPARATUS FOR SORTING MEDICAL LAUNDRY}
본 발명은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의 분실, RFID 리더기 또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장 여부를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나아가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환자복뿐만 아니라 환자와 접촉하는 종사자의 근무복도 '의료기관 세탁물'로 지정되어 임의세탁이 금지된다. 또한, 적정한 감염 예방과 관리를 위해 사용한 의료기관 세탁물의 수집장소를 다른 시설과 분리하고, 세탁이 끝난 의료기관 세탁물은 일반적인 세탁물 수집장소와 분리된 곳에 보관하도록 하는 규정도 마련했다. 이는 의료기관 세탁물은 용도의 특성상 환자의 혈액, 고름, 분비물, 배설물, 병원균 등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세탁물에 비해 특별한 취급을 요하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세탁물은 의료진 또는 환자가 사용하였던 침구류, 의류, 리넨류, 커튼, 씌우개류, 수거자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의료기관 세탁물에 세탁물정보가 저장된 세탁물정보매체, 예컨대 RFID 태그를 부착하였고, 세탁소 작업자는 의료기관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확인한 후 필요한 세탁 공정을 수행하였다. 세탁물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세탁물을 사용하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세탁물이 사용된 기간, 용도, 세탁물의 재사용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은 많은 세탁물을 린넨실에 입고하고 세탁소로 출고할 때마다 세탁물정보매체에 기록된 세탁물정보를 판독하여 기록한다. 세탁소는 입고되는 여러 의료기관의 세탁물을 세척, 세탁, 건조, 그리고 세탁물정보에 따라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분류한 후 해당 병원으로 이송해 준다.
그런데 종종 세탁소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세탁물 분실과 관련된 불만사항을 접수하게 된다. 이는 의료기관이 관리하는 세탁물정보와 세탁소에서 관리하는 세탁물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리고 세탁소에서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세탁물이 상의와 하의가 세트로 분류되어야 하는데, 상의 또는 하의가 별개로 분류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37536호(등록일 : 2018년03월06일)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37530호(등록일 : 2018년03월06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면서 세탁물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의 분실, RFID 리더기 또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장 여부를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맡긴 병원 직원이 언제든지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세탁물 관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로서 사용자 입력부와; RFID 리더기와; 통신부와; 표시부와; 라벨 프린터와; 저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세탁물 관리장치로부터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탁의뢰정보 수신부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수신하는 판독정보 수신부와;
상기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노이즈 처리부와;
세탁 후에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트 또는 단품인지 확인한 후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되 세트인 세탁물에는 동일한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에 대한 라벨출력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세탁물정보를 상기 라벨 프린터로 출력하는 세탁물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이즈 처리부는 상기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발견되면 상기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ID 리더기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로 구성되며, 상기 노이즈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판독정보를 결합한 후 중복된 세탁물정보를 제거하고, 중복이 제거된 상기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탁물정보 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선택 입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의 세탁물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세탁물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세탁물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로부터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포함하는 세탁물 상태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세탁의뢰정보에 해당하는 세탁물 상태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를 RFID 리더기로 판독하여 세탁물을 분리하는 방식하기 때문에,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의복에 부착된 RFID 태그도 판독된다. 이러한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의복은 병원에서 세탁 의뢰한 세탁물이 아니기에 세탁물을 정확하게 분류하는데 방해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세탁소에서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의복에 부착된 RFID 태그가 판독되더라도 병원에서 세탁 의뢰한 세탁물만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병원 의복은 상의와 하의가 세트로 된 것이 많으며, 이에 세탁 후 병원별, 부서별, 세트별로 정확하게 분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세탁 후에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트 또는 단품인지 확인한 후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되 세트인 세탁물에는 동일한 위치 넘버를 할당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병원별, 부서별, 세트별로 정확하게 세탁물을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판독정보를 결합한 후 중복된 세탁물정보를 제거하고, 중복 데이터가 제거된 세탁물정보와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포함하는 세탁물 상태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세탁의뢰정보에 해당하는 세탁물 상태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세탁물을 맡긴 병원 직원이 언제든지 세탁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도 1를 참조하면, 복수의 병원 내에 설치되는 세탁물 관리장치(100)와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세탁물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병원 내에 설치되는 세탁물 관리장치(100)는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의 입고, 출고대기, 그리고 출고된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세탁물 관리장치(100)는 노트북, 데스크탑PC, 또는 태블릿PC로 구현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세탁물은 의료진 또는 환자가 사용하였던 침구류, 의류, 리넨류, 커튼, 씌우개류, 수거자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세탁물에는 세탁물정보가 저장된 세탁물정보매체, 예컨대 RFID 태그가 부착된다. 세탁물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세탁물을 사용하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세탁물이 사용된 기간, 용도, 세탁물의 재사용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소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료기관 세탁물은 외관상으로 많이 유사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이 세탁되므로, 세탁소는 세탁물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분류하여야 한다.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는 한번에 많은 세탁물을 처리하더라도 정확하게 분류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는 세탁소 직원에게 세탁의뢰정보, 세탁 전 세탁물정보, 세탁 후 세탁물정보, 분류된 세탁물을 걸어둘 위치 정보, 및 라벨을 제공한다.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의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서버(300)는 병원 내 세탁물 관리장치(100)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세탁물 관리서버(300)는 세탁소에서 입고되고, 세탁되고, 분류되고, 출고되는 세탁물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세탁물 관리서버(300)는 병원 직원에게 세탁물의 현재 상태 예를 들어, 세탁 전, 세탁 중, 세탁완료, 분류완료, 출고대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서버(300)의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내에 설치되는 세탁물 관리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10)와 RFID 리더기(120)와 통신부(130)와 표시부(140)와 저장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수단,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RFID 리더기(120)는 태그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거나 태그에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블루투쓰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과 3/4/5G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LED,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하드디스크 또는 SSD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와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기능적으로 판독정보 수신부(161)와 세탁물정보 처리부(16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판독정보 수신부(161)는 RFID 리더기(120)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의료기관 세탁물에 부착된 세탁물정보매체, 예컨대 RFID 태그를 판독한 정보를 수신한다. RFID 리더기(120)는 일정한 거리에 있는 복수의 RFID 신호를 모두 식별할 수 있다.
세탁물정보 처리부(162)는 RFID 태그 판독정보로부터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및 총 세탁물의 갯수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162)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세탁물정보를 포함하는 세탁물 출고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와 세탁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와 RFID 리더기(220)와 통신부(230)와 표시부(240)와 라벨 프린터(250)와 저장부(260)와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수단,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RFID 리더기(220)는 태그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거나 태그에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일례로, RFID 리더기(220)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221, 22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의 RFID 리더기(221, 222)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수의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통신부(230)는 와이파이, 블루투쓰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과 3/4/5G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LED,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라벨 프린터(250)는 세탁 후 분류된 세탁물에 붙일 라벨을 인쇄한다. 라벨에는 의료기관, 부서, 및 사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하드디스크 또는 SSD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와 세탁물 분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세탁물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기능적으로 세탁의뢰정보 수신부(271)와 판독정보 수신부(272)와 노이즈 제거부(273)와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세탁의뢰정보 수신부(271)는 복수의 병원 내에 설치되는 세탁물 관리장치(100)로부터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세탁물정보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및 총 세탁물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의뢰정보는 실제 세탁물이 세탁소에 입고된 후, 세탁 전과 후에 세탁물 수량 파악, 세탁물 분실여부, RFID 리더기 및 RFID 태그 고장으로 인한 인식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된다.
판독정보 수신부(272)는 RFID 리더기(220)로부터 의료기관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수신한다.
노이즈 제거부(273)는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노이즈 제거부(273)는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발견되면 상기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있다는 것은 RFID 리더기(220) 또는 해당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가 고장으로 인해 인식이 안되었거나 해당 세탁물이 분실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세탁소 직원은 세탁물이 분실되었는지 또는 RFID 태그가 고장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탁소 직원은 고장난 RFID 리더기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노이즈 제거부(273)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221, 222)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판독정보를 결합한 후 중복된 세탁물정보를 제거한다. 노이즈 제거부(273)는 중복 데이터가 제거된 세탁물정보와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세탁 후에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트 또는 단품인지 확인한 후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되 세트인 세탁물에는 동일한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표시부(240)에 도 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작업은, 예를 들어 세탁 전, 세탁 중, 세탁완료, 세탁물 분류 중, 세탁물 분류완료, 세탁물 출고대기, 및 세탁물 출고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세탁의뢰정보’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물 상태정보 예컨대, 세탁 전, 세탁 중, 세탁완료, 세탁후 세탁물 분류 중, 세탁후 세탁물 분류완료, 세탁물 출고대기, 또는 세탁물 출고완료를 표시부(240)에 출력한다.
세탁물 상태정보 중‘세탁 전’은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을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세탁의뢰정보와 세탁물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의 고장 여부 확인 및 세탁물 분실 여부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에 따라 저장부(26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의 세탁물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세탁물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세탁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세탁소 직원은 세탁완료된 세탁물의 RFID 태그를 RFID 리더기(220)로 판독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세탁의뢰정보와 ‘세탁물 분류중’이라는 작업정보가 입력된 후 RFID 리더기(220)로부터 판독정보를 수신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현재 세탁물이 세트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세트이면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위치 넘버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긍정이면 현재 세탁물에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부여된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저장한다. 세탁소 직원은 세탁물에 부여된 위치 넘버를 확인하고 세탁봉에 걸어서 세트로 보관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현재 세탁물이 세트가 아니거나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위치 넘버가 없다면, 현재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저장한다.
세탁물정보 처리부(274)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출력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세탁물정보를 라벨 프린터(250)로 출력한다. 세탁물정보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또는 단독물품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관리서버(3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물 관리서버(300)는 저장부(310)와 세탁의뢰정보 처리부(320)와 세탁물 상태정보 처리부(330)와 문자 알림부(3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세탁의뢰정보는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다. 세탁물정보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및 총 세탁물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 상태정보는 세탁 전, 세탁 중, 세탁완료, 분류 중, 분류완료, 출고대기, 및 출고완료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의뢰정보 처리부(320)는 병원 내 세탁물 관리장치(100)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세탁물 상태정보 처리부(330)는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200)로부터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문자 알림부(34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의 세탁물 상태정보를 해당 병원 직원 통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세탁물 상태정보 처리부(330)는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포함하는 세탁물 상태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310)로부터 세탁의뢰정보에 해당하는 세탁물 상태정보를 검출한 후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소 내에 설치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1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병원 내에 설치되는 세탁물 관리장치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세탁의뢰정보는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한다. 세탁물정보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단독물품 여부, 및 총 세탁물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RFID 리더기로부터 세탁소에 입고된 세탁물의 세탁 전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13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판독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 및 인식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정보 중 세탁의뢰정보에 없는 정보가 포함되었다면 해당 정보는 노이즈이다. 반면에 세탁의뢰정보 중 판독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세탁물정보가 있다면, 해당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가 고장으로 인해 인식이 안되었거나 해당 세탁물이 분실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세탁소 직원은 노이즈 제거 작업이 끝난 후 세탁물이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14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노이즈가 제거된 세탁 전 세탁물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노이즈가 제거된 세탁 전 세탁물정보는 세탁의뢰정보와 동일해야 한다.
단계 S515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세탁 후 세탁물을 분류한다. 단계 S515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521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22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세탁물이 현재 세탁물이 세트인지 판단한다.
단계 S523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현재 세탁물이 세트이면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위치 넘버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524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현재 세탁물에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부여된 위치 넘버를 할당한다.
단계 S525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세탁소 직원은 세탁물에 부여된 위치 넘버를 확인하고 세탁봉에 걸어서 세트로 보관한다.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단계 S522에서 현재 세탁물이 현재 세탁물이세트인지 판단한 결과 현재 세탁물이 세트가 아니거나 단계 S523에서 세트인 나머지 세탁물에 할당된 위치 넘버가 없다면, 현재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S531)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저장한다(S532).
단계 S526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현재 세탁물이 마지막인지 확인한다. 예컨대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일정 시간동안 RFID 태그 판독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더이상 세탁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27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출력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세탁물정보를 라벨 프린터을 통해 출력한다. 세탁물정보는 의료기관, 부서, 사번, 상하의 세트 여부 또는 단독물품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6에서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세탁 후 세탁물 분류가 완료되면 세탁물 출고대기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세탁물 관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로서, 상기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사용자 입력부; RFID 리더기; 통신부; 표시부; 라벨 프린터;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세탁물 관리장치로부터 세탁물정보와 세탁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탁의뢰정보 수신부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수신하는 판독정보 수신부와;
    상기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노이즈 처리부와;
    세탁 후에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 판독정보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트 또는 단품인지 확인한 후 세탁물에 위치 넘버를 할당하되 세트인 세탁물에는 동일한 위치 넘버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할당된 위치 넘버를 포함하는 세탁물정보에 대한 라벨출력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세탁물정보를 상기 라벨 프린터로 출력하는 세탁물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처리부는,
    상기 RFID 태그 판독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가 발견되면 상기 판독되지 않은 세탁물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로 구성되며,
    상기 노이즈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판독정보를 결합한 후 중복된 세탁물정보를 제거하고, 중복이 제거된 상기 세탁물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정보를 비교하여 노이즈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노이즈가 발견되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없는 세탁물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정보 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선택 입력된 세탁의뢰정보와 세탁작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의뢰정보의 세탁물 상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세탁물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세탁의뢰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세탁물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로부터 세탁의뢰정보에 포함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물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부터 세탁의뢰정보를 포함하는 세탁물 상태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세탁의뢰정보에 해당하는 세탁물 상태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병원 직원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KR1020220070921A 2022-06-10 2022-06-10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KR10261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21A KR102611398B1 (ko) 2022-06-10 2022-06-10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21A KR102611398B1 (ko) 2022-06-10 2022-06-10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398B1 true KR102611398B1 (ko) 2023-12-07

Family

ID=8916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921A KR102611398B1 (ko) 2022-06-10 2022-06-10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3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017A (ko) * 2006-07-19 2008-01-23 장문석 세탁소의 자동화 시스템
KR20100026859A (ko) * 2008-09-01 2010-03-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시스템
KR20120058640A (ko) * 2010-08-19 2012-06-0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Rfid를 활용한 세탁전문점의 세탁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37530B1 (ko) 2017-04-03 2018-03-12 김영호 의료용 세탁물 분류장치
KR101837536B1 (ko) 2017-04-03 2018-03-13 김영호 의료용 세탁물 분류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017A (ko) * 2006-07-19 2008-01-23 장문석 세탁소의 자동화 시스템
KR20100026859A (ko) * 2008-09-01 2010-03-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시스템
KR20120058640A (ko) * 2010-08-19 2012-06-0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Rfid를 활용한 세탁전문점의 세탁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37530B1 (ko) 2017-04-03 2018-03-12 김영호 의료용 세탁물 분류장치
KR101837536B1 (ko) 2017-04-03 2018-03-13 김영호 의료용 세탁물 분류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1600B2 (en) Tagging and logical grouping of items in source code change lists
US937848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of data center equipment contained in server racks
JPS60234685A (ja) 生産工程の出来高管理システム
US20160342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ractional rfid inventory tracking and management
US202000579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ractional rfid inventory tracking and management
CN108563445A (zh) 应用程序代码检测方法及服务器
US20200356544A1 (en) False positive detection for anomaly detection
KR102611398B1 (ko) 의료기관 세탁물 분류장치
US20090256682A1 (en) Product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technology
CN104463056A (zh) 基于物联网技术的设备点检装置及其控制方法
EP2897089A1 (en) A garment dispenser assembly
CN111161862A (zh) 医院综合管理系统及方法
JP2008293137A (ja) 個体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96282B2 (ja) ユニフォーム着替え自動管理システム
KR20120058640A (ko) Rfid를 활용한 세탁전문점의 세탁물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CN105139494A (zh) 防异物区物项遗留自动记录及报警探测系统和方法
US11113105B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tform agnostic digital worker
CN103197961A (zh) 一种基于rfid的物联网数据处理流程自动生成方法
JP2011008308A (ja) 個品情報管理装置及び方法
EP1563425B1 (en) Automated structuring of data
CN112200281A (zh) 医用织物生命周期管理系统、方法及服务器
JP2015131035A (ja) 衣類管理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21744B2 (ja) リース繊維製品の業務管理システム
CN205839402U (zh) 具有衣服识别管理功能的洗衣机
Lu et al. A flexible architecture for RFID based laundry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