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84B1 -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84B1
KR102611284B1 KR1020230020315A KR20230020315A KR102611284B1 KR 102611284 B1 KR102611284 B1 KR 102611284B1 KR 1020230020315 A KR1020230020315 A KR 1020230020315A KR 20230020315 A KR20230020315 A KR 20230020315A KR 102611284 B1 KR102611284 B1 KR 102611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charging
support fram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오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오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오힘
Priority to KR102023002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2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와 차량을 동시에 눈, 비, 안개 등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부스를 주차 시설로 함께 사용가능하도록,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과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 및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tect the charger and the vehicle from contaminants such as snow, rain, and fog at the same time, and to enable the charging booth to be used together as a parking facility, with the pair facing each other and placed in the center. A cover frame 100 provided on the inside with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from both sides; and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 and has an upward and downward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so that a vehicle space 2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 support frame 200; and a base frame 300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fix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a charging box 410 tha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inside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a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nd the charger. A charging cable 420 is placed inside the enclosure 410 and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uilt into the charging enclosure 410, and the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unit 400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420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out pressure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Provi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including a It's about something.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 {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와 차량을 동시에 눈, 비, 안개 등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부스를 주차 시설로 함께 사용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 지지 프레임, 기초 프레임 및 전기충전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tect the charger and the vehicle from contaminants such as snow, rain, and fog at the same time, and to enable the charging booth to be used as a parking facility, including a cover frame, support frame, and foundation. It relates to provi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including a frame and an electric charging unit.

최근에는 다양한 전기차량이 출시되어 충전소가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데, 최근의 전기차는 완충하여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300 내지 500여 km 밖에 안 되는 현실이라 충전소 설치가 더욱 증대되어야 하는 실정이다.Recently, with the release of various electric vehicles, the demand for charging stations is increasing.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distance that recent electric vehicles can run when fully charged is only about 300 to 500 km, so the installation of charging stations needs to be further increased.

따라서 공공기관 등에 설치되는 개방형 충전소와 개인이 소지하는 차량을 수시로 충전할 수 있는 홈 충전소의 인프라가 활발히 설치되고 있다.Therefore, infrastructure for open charging stations installed in public institutions and home charging stations where individuals can frequently charge their vehicles is being actively installed.

이러한 충전소 설치에 있어서 전기적 안정성과 장기적인 수명 유지가 필요하며, 충전소 사용 편의성을 위한 야간 시인성의 개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When installing these charging station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lectrical stability and long-term lifespan, and work is being done to improve nighttime visibility for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charging stations.

또한, 풍압 및 우수에 대비한 캐노피의 안정성도 고려되어야 하며, 충전장치에 있어서도 전력설비의 성능 유지를 위한 전자파의 억제와 접지저항은 저저항으로 설계되여야 하는 등의 충전소의 요구 사항이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증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canopy against wind pressure and rain must be considered,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harging station, such as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power facilities and design of low ground resistance, are required for charging devices. It is increasing as it increases.

한편, 종래의 일 실시 충전 장치는 연료전지 발전기를 포함한 충전소에서 다수의 전기차를 충전할 때 보조 전력원인 연료 전지의 효율을 최적화하고 수명저하를 최소화하도록 다수 자동차의 충전시간을 스케줄링하고 연료전지 발전기의 작동 및 출력을 제어하는데, 종래 기술은 전력의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외부의 외력, 차양 및 낙수물 등으로부터 충전소의 전기차 충전기를 보호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노출되고 있다.Meanwhile, 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schedules the charging time of multiple vehicles to optimize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which is an auxiliary power source, and minimize the decrease in lifespan when charging multiple electric vehicles at a charging station including a fuel cell generator. In controlling operation and outpu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imed at managing power, and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protec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t the charging station from external forces, awnings, and falling water.

특히, 차량 주차를 겸용으로하여 주차된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차량에 안정적으로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기에는 구성이 복잡하고, 사방이 막힌 구조를 채택하여 작은 바람에도 큰 풍압이 발생되어 구조 안정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is complex to safely protect parked vehicles while also providing a stable charging infrastructure for vehicles, and the structure is closed on all sides, which creates a problem in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large wind pressure generated even by small winds. is occurring.

또한, 전기차 충전 구조는 차량의 폭과 높이가 규격화된 이유로 대개가 일정한 규격을 이루는데 반하여, 전기차 충전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품이 표준화되지 못하여, 설치 현장마다 설계, 재단 및 설치를 다르게하여 숙련 작업자가 필요하고, 생산 및 설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i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ructure is generally of a certain standard becaus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vehicle are standardized, each component that makes up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ructure is not standardized, so the design, cutting, and installation are different at each installation site, requiring skilled workers. is needed, and the problem of reduced production and installation efficiency is being raised.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63529호 "연료전지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차충전소와 충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63529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charger equipped with a fuel cel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기와 차량을 동시에 눈, 비, 안개 등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부스를 주차 시설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r need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electric vehicle charging that simultaneously protects the charger and the vehicle from pollutants such as snow, rain, and fog, and allows the charging booth to be used as a parking facility. The goal is to provide a carport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과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을 이용하여 주차가 가능한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er frame 100 with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provided on the inside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in the center from both sides, with the pair facing each other, and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t a first position (P1) and has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thereby forming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 support frame 200 is provided to form a vehicle space 210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is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form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 is provided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capable of parking using a basic frame 300 provided to fix the car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로 주차된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충전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a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harg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charging cable 420 that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housing 410 and the charging housing 410,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to the charging housing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uilt into the charging housing 410. )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420, and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for providing a pull-out press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The goal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that stably charges electri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운전자 시야가 확보되고 전후좌우가 개방되어 풍압 파괴가 방지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ver frame 100 is dispos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from the front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e frame 300 ) is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P1, P2), so that the support frame 200 progresses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to ensure the driver's field of vis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that is open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to prevent wind pressure destru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ver frame 100 is formed with a front slope 220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and at the bottom in front of the first position P1. An upper auxiliary frame 130 is disposed, the upper part of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100 and the rear part of which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The cover frame 100 and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fixing hole 150 so as to be fastened to a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and the cover fram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200.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so that (100) is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thereby provi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with high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로 지면 기초에서 지붕 커버재까지 견고하게 지지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It is fastened and fixed, and the basic frame 300 is coupled with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that is firmly supported from the ground foundation to the roof covering material b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0.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어 지면 기초 결합력이 높은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ar end of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support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 160 and a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 231 at a position where they meet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part 310 has a coupling inner hole 311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00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coupling inner hole ( 311)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to f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fix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support frame is locat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square-shaped support piece 313 surrounding the 200 is disposed, and the support piece 3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with a high ground-based bonding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침수가 원천 차단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harging box 410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The aim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that is fixed on the inside and floating on the ground, preventing flooding at the source.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는 먼저,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on the inside so that the pair faces each other and fixes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t the center from both sides. It may include a cover frame 100 provided.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t a first position (P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and has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It may include a support frame 200 provided to support the vehicle space 210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여기에,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 foundation frame 300 is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secure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there is.

여기에,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charging box 410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on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uilt into the charging enclosure 410,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420 may include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provided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out press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여기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cover frame 100 is arranged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e frame 300 are positioned at the first, By being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two positions (P1 and P2),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gresses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ver frame 100 is formed with a front slope 220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and at the bottom in front of the first position P1, the upper part of the cover frame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auxiliary frame 130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100 and the rear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이때,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frame 100,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coupled to the fixing hole 150 so as to be fastened with the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cover frame 100 is inserted into it and temporarily fixed thereto.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and the foundation The frame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한편,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support frame 200,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s 160 and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s 23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y meet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 310) has a coupling inner hole 311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to f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200 and fix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quare shape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200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shaped support piece 313 is disposed, and the support piece 31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이때,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box 410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so as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provided in a floating form.

이에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제공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첫째, 충전기와 차량을 동시에 눈, 비, 안개 등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부스를 주차 시설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charger and vehicle from pollutants such as snow, rain, and fog, and allowing the charging booth to be used as a parking facility.

둘째,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과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을 이용하여 주차가 가능하다.Second, a pair of cover frames 100 facing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on the inside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in the center from both sides, and a first position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 I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t P1) and has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creating a vehicle space below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 support frame 200 is provided to form (210) and is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fix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Parking is possible using the basic frame 300.

셋째,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로 주차된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충전되는 효과가 있다.Third, a charging box 410 tha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on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a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charging enclosure 410, At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420, there is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equipped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which stably charges electricity to a parked vehicle. It works.

넷째,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운전자 시야가 확보되고 전후좌우가 개방되어 풍압 파괴가 방지된다.Fourth, the cover frame 100 is arranged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e frame 300 are positioned at the first, It is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two positions (P1, P2), so that the support frame 200 moves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ensuring the driver's field of vision and opening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to reduce wind pressure. Destruction is prevented.

다섯째,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높다.Fifth, the cover frame 100 is formed with a front slope 220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upper part of the cover frame (220) is formed at the bottom in front of the first position (P1). An upper auxiliary frame 130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100 and the rear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cover frame 100,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 is provided with a coupling fixing hole 150 to be fastened to a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and the cover frame 100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00.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for temporary fixation, so structural stability is high.

여섯째,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로 지면 기초에서 지붕 커버재까지 견고하게 지지된다.Sixth,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and the foundation The frame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 so it is firmly supported from the ground foundation to the roof covering material.

일곱째,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어 지면 기초 결합력이 높다.Seventh,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are provided with a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 160 and a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 231 at a position where they meet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 310) has a coupling inner hole 311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to f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200 and fix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quare shape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200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shaped support piece 313 is disposed, and the support piece 3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so that the ground-based bonding force is high.

여덟째,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침수가 원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Eighth, the charging box 410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so as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It is provided in a floating form and has the effect of blocking flooding at the source.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커버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전기충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커버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지지 프레임 및 기초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way.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ver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ic charging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a cover frame and a support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a support frame and a base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커버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전기충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커버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지지 프레임 및 기초 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shows the cover fram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ic charging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to 8 ar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frame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port structure, and Figures 9 to 12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basic fram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는 먼저,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100)이 구성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200)으로 카포트 구조체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frame 100 in which a pair faces each other and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inside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in the center from both sides. This configuration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and has an upward and downward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ver frame 1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1). ) to form the basic frame of the carport structure with the support frame 200 in which the vehicle space 2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여기에,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기초 프레임(300)이 배치되는 것이다.Here, the foundation frame 300 is disposed to be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fix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이때,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금속 재질로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철근이 내부에 포함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and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the base frame 300 is preferably made of concrete with reinforcing bars included therein.

여기에,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배치되는 전기충전부(400)가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다.Here, a charging box 410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on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side the charging enclosure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uilt into the charging enclosure 410, At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420,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including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on one or both sides.

여기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전단부에 기중이 없애 운전자 시야를 확보하고, 전단 기둥이 배제된 카포트 구조체의 지지 안정성을 확보한다.Here, the cover frame 100 is arranged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e frame 300 are positioned at the first, It is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two positions (P1, P2), so that the support frame 200 moves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thereby eliminating the presence of air at the front end and securing the driver's field of view. , Secure the support stability of the carport structure excluding shear columns.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으로 지지력을 확보한다.Meanwhile, the cover frame 100 is formed with a front slope 220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and at the bottom in front of the first position P1, the upper part of the cover frame ( Supporting force is secured by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0 and the rear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어 설치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ver frame 100,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have a coupling fixing hole 150 so as to be fastened with a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nd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allow the cover frame 100 to be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to increase installation convenience for installation workers.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결합 편의성을 높이고, 결합 후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and the foundation The frame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 is form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oupling and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fter coupling.

한편,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어 기초 지지력이 확대되도록 한다.Meanwhile,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support frame 200,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s 160 and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s 23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y meet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 310) has a coupling inner hole 311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to f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200 and fix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quare shape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200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shaped support piece 313 is disposed, and the support piece 3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to increase the basic support force.

또한,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면으로 부터의 침수 피해를 사전 예방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box 410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below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so as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It is provided in a floating form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flood damage from the ground.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를 이용하면, 충전기와 차량을 동시에 눈, 비, 안개 등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부스를 주차 시설로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과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을 이용하여 주차가 가능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게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로 주차된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충전 공급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운전자 시야가 확보되고 전후좌우가 개방되어 풍압 파괴가 방지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로 지면 기초에서 지붕 커버재까지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어 지면 기초 결합력을 높이고,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침수가 원천 차단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By us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harger and the vehicle can be simultaneously protected from pollutants such as snow, rain, and fog, and the charging booth can be used together as a parking facility. The cover frame 100 is provided on the inside with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in the center from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I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nd has an upward and downward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thereby creating a vehicle space 210 below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 base frame ( Parking is possible using 300), and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possible charging enclosure 410 and a charging cabl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enclosure 410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to the charging enclosure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charging enclosure 410. (42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420), and is parked with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provided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out press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It stably charges and supplies electricity to the vehicle, and the cover frame 100 is arrang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from the front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e frame (300) is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P1, P2), so that the support frame (200) progresses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to improve the driver's field of view. It is secured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opened to prevent wind pressure destruction, and the cover frame 100 is formed with a front slope 220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first position ( P1) An upper auxiliary frame 130 is disposed at the front lower end, the upper part of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100, and the rear part of which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The cover frame 100 and the upper The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fixing hole 150 to be fastened with a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and the support frame 200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at the top to allow the cover frame 100 to be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and a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at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ic frame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firmly supports the roof covering material from the ground foundation, and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s 160 and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s 23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y meet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200. A coupling inner hole 311 is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is engaged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200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to fix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quare-shaped support piece 313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200 is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The support piece 3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to increase ground-based bonding force, and the charging box 410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below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is provided in a floating form on the ground, which has the effect of blocking flooding at the source.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not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corresponding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커버 프레임
110 ... 상부 커버재
120 ... 커버 수용홈
130 ... 상부 보조 프레임
140 ... 고정재
150 ... 결합고정공
160 ... 제 1 미세마찰돌기
200 ... 지지 프레임
210 ... 차량공간
220 ... 전방 경사
230 ... 커버 가이드 홈
231 ... 제 2 미세마찰돌기
240 ... 제 2 보조프레임
300 ... 기초 프레임
310 ... 제 1 결합부
311 ... 결합 내입공
311a ... 전방경사면
311b ... 후방경사면
312 ... 고정돌출
313 ... 지지편
313a ... 삽입통공
320 ... 제 2 결합부
400 ... 전기충전부
410 ... 충전함체
420 ... 충전케이블
430 ... 연결커넥터
440 ... 파지수단
P1 ... 제 1 위치
P2 ... 제 2 위치
P3 ... 제 3 위치
100 ... cover frame
110 ... top cover material
120 ... Cover receiving groove
130 ... upper auxiliary frame
140 ... fixing material
150 ... combination fixing hole
160 ... 1st micro friction protrusion
200 ... support frame
210 ... vehicle space
220 ... forward slope
230 ... cover guide groove
231 ... 2nd micro friction protrusion
240 ... 2nd auxiliary frame
300 ... foundation frame
310 ... first coupling part
311 ... combined inner hole
311a ... front slope
311b ... rear slope
312 ... fixed protrusion
313 ... support side
313a ... insert hole
320 ... second coupling part
400 ... Electric charging unit
410 ... Charging enclosure
420 ... charging cable
430 ... connection connector
440 ... Gripping means
P1 ... first position
P2 ... second position
P3 ... third position

Claims (6)

한쌍이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상부 커버재(110)를 양측에서 고정하도록 커버 수용홈(120)이 내측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100);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후단인 제 1 위치(P1)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을 상기 제 1 위치(P1)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에 차량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200);
지면에 일부 또는 전체가 매립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300); 및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공간(210)에 위치한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도어락으로 개폐가능한 충전함체(410)와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충전함체(410)에 내입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충전함체(410) 내부로 권취 가능한 충전케이블(420)이 배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420) 종단에는 차량 연결커넥터(430)와 상기 충전케이블(420)에 인출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지수단(440)이 구비되는 전기충전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전방인 제 2 위치(P2)에서 상기 제 1 위치(P1)까지 점차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제 1,2 위치(P1,P2) 사이인 제 3 위치(P3)에서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은,
상기 제 2 위치(P2) 근처에 상부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경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P1) 전방 하단에는 상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100)의 하부와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부 보조 프레임(13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100), 상기 상부 보조 프레임(1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외측에서 상기 차량공간(210) 방향으로 회전 내입되는 고정재(140)로 체결되도록 결합고정공(15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100)이 내입되어 임시로 고정되도록 커버 가이드 홈(23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는 제 2 보조프레임(240)이 후방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후단에 상기 제 2 보조프레임(240)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가이드 홈(23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서로 만나는 위치에 제 1 미세마찰돌기(160)와 제 2 미세마찰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상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하단 일부가 내입되도록 결합 내입공(311)이 전방경사면(311a)과 후방경사면(3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 중앙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하도록 고정돌출(312)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내입공(311)의 외부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감싸는 사각 형상의 지지편(313)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편(313)에는 복수의 삽입통공(313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
A pair of cover frames 100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cover receiving groove 120 on the inside to fix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t the center from both sides;
I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at a first position (P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over frame 100, and has an upward and downward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cover frame 100 at the first position (P1). , a support frame 200 provided to form a vehicle space 210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 foundation frame 300 partially or entire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to fix the cover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A charging box 410 that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00 on the inside of the cover fram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electricity to a vehicle located in the vehicle space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door lock. A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inside the charging box 410,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and can be wound inside the charging box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uilt into the charging box 410, and the charging cable 420 is disposed. (420) At the end, an electric charg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 vehicle connection connector 430 and a gripping means 440 that provides a pulling force to the charging cable 420,
The cover frame 100 is dispos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from the forward second position (P2) to the first position (P1),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basic frame 300 are coupled at the third position P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P1 and P2, so that the support frame 200 moves from the top to the ground.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The cover frame 100 is,
A front slope 220 is formed near the second position P2, protruding from the top toward the ground, and at the front bottom of the first position P1, the upper part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100, and the rear part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100. An upper auxiliary frame 130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00 is disposed,
The cover frame 100, the upper auxiliary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fixing hole 150 to be fastened with a fixing member 140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pace 210 from the outside. And
A cover guide groove 23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200 to allow the cover frame 100 to be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is fasten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extends rearward,
The basic frame 300 is,
A first coupling portion 31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frame 240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guide groove 230 and the support frame 200, first micro friction protrusions 160 and second micro friction protrusions 23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y meet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is,
A coupling internal hole 311 is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surface 311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311b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0 is internalized at the upper part,
A fixing protrusion 31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to engage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fix the support frame 200,
A square-shaped support piece 313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200 is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upling inner hole 311, and the support piece 3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3a.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함체(410)는,
상기 상부 커버재(110)의 하부인 상기 차량공간(210)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재(110)와 상기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면에서 떠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카포트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box 410 is,
It is disposed in the vehicle space 2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aterial 110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is provided in a form floating on the ground. do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KR1020230020315A 2023-02-15 2023-02-15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KR102611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315A KR102611284B1 (en) 2023-02-15 2023-02-15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315A KR102611284B1 (en) 2023-02-15 2023-02-15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284B1 true KR102611284B1 (en) 2023-12-07

Family

ID=8916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315A KR102611284B1 (en) 2023-02-15 2023-02-15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28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29B1 (en) 2010-04-22 2010-06-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lectric station and charging system with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85074Y1 (en)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Canopy for two-wheeled vehicle
JP2021055487A (en) * 2019-10-02 2021-04-08 株式会社ダイヘン And portable rechargeable parking lot and method of transporting portable rechargeable parking
US20210182919A1 (en) * 2019-12-11 2021-06-17 Vcp Llc Customer facing media and renewable technology integrator assembly
KR200494204Y1 (en) * 2020-12-01 2021-08-26 주식회사 월드브랜드 Canop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29B1 (en) 2010-04-22 2010-06-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lectric station and charging system with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85074Y1 (en)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Canopy for two-wheeled vehicle
JP2021055487A (en) * 2019-10-02 2021-04-08 株式会社ダイヘン And portable rechargeable parking lot and method of transporting portable rechargeable parking
US20210182919A1 (en) * 2019-12-11 2021-06-17 Vcp Llc Customer facing media and renewable technology integrator assembly
KR200494204Y1 (en) * 2020-12-01 2021-08-26 주식회사 월드브랜드 Canop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818B1 (en) Electric vehicle charger
EP1270842B1 (en) Solar cell module and roof equipped with power generating function using it
KR100709571B1 (en) Cable protecting unit of an apartment house
EP2668063B1 (en) Foundation system for charging poles
KR10193606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olar energy collecting modules
US20200191346A1 (en) Battery storage vault and utility pole system
JP5420667B2 (en) Solar cell module
KR102611284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rport structure
KR20170057700A (en) Solar power type bench
CN108189684A (en) A kind of outdoor battery truck charging pile overhauled convenient for the rainy day
KR20140040871A (en) Assembling typ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951720B1 (en) Photovoltaic devices
JP6801992B2 (en) Power storage system
JP6220623B2 (en) building
CN111186329B (en) Fill electric pile based on infrared range finding detection technique
KR102255354B1 (en) Solar panel system and constructing method for solar panel
KR20190129436A (en) Shelter Integ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211548945U (en) Solar canopy and mobile charging pile
KR101552883B1 (en) Cable duct frame coulpe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857739B1 (en) Solar energy generation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JP3236290U (en) Outdoor warehouse
CN219360856U (en) Ground hidden type charging pile
KR20240064396A (en) Stand typ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N216153605U (en) A shield assembly for electric automobile fills electric pile
CN212277884U (en) Assembled temporary cable pipeline protection device that passes by 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