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55B1 -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 Google Patents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55B1
KR102611255B1 KR1020210106002A KR20210106002A KR102611255B1 KR 102611255 B1 KR102611255 B1 KR 102611255B1 KR 1020210106002 A KR1020210106002 A KR 1020210106002A KR 20210106002 A KR20210106002 A KR 20210106002A KR 102611255 B1 KR102611255 B1 KR 10261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oor lock
face
doo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426A (en
Inventor
손라성
Original Assignee
손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라성 filed Critical 손라성
Publication of KR2022002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은, 현관문본체; 상기 현관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 상기 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현관문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주문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ront door that allows non-face-to-face product reception and a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will be launched. The disclosed front door that allows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includes the front door main body; At least one g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body to enable receiving ordered goods deliver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rage box configured to the front do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gate and storing the ordered product through the gate.

Description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본 발명은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 음식 배달시 현관문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현관문에 구비된 소형 게이트만을 오픈하여 비대면으로 물품을 받거나 줄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non-face-to-face and a non-face-to-fac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small gate provided at the front door without opening the entire front door when delivering parcels or food. This relates to a front door that allows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by opening the door to receive or give goods non-face-to-face, and a non-face-to-fac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일반적으로 아파트, 건물, 주택 등의 출입구에는 현관문이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In general, front doors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s of apartments, buildings, houses, etc. to restrict the entry of outsiders.

이러한 기존 현관문은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없어, 방문자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외부인의 칩입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These existing front doors had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outside from the inside, making it difficult to check visitors and being easily exposed to intrusion by outsider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20-0193652호, 공개실용신안 20-2020-0001031호 등에는 현관문에 투시창이 구비되어 있어, 방범창을 통해 외부의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현관문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3652 and Open Utility Model No. 20-2020-0001031 disclose a front door equipped with a see-through window so that outside visitors can be checked through the security window.

하지만, 이러한 투시창을 구비한 현관문도 택배물품, 음식의 배달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현관문 자체를 개방해야만 해당 주문물품을 수령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배달원을 가장하여 칩입하려는 범죄자 등에 범죄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front door equipped with such a viewing window can also be exposed to crime, such as criminals intentionally trying to break in by posing as a delivery person, because when delivery of courier goods or food is made, the front door itself must be opened to receive the ordered goods. There was a problem outside of it.

특히, 최근 코로나 등의 전염병으로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비단 범죄자에 대비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전염병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현재의 현관문은 현관문을 개방해야만 주문 물품을 수령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비대면으로 주문물품을 수령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transactions are becoming more active due to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it is not only a matter of preparing for criminals, but also preparing for infectious diseases. The current front door is structured so that orders can only be received by opening the front door. It was disappointing that I could not receive my order non-face-to-face.

등록실용신안 20-0193652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3652 공개실용신안 20-2020-0001031호Public Utility Model No. 20-2020-00010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현관문에 소형게이트를 구비하여 현관문을 개방할 필요 없이 소형게이트를 오픈하여 택배나 배달음식 등과 같은 주문물품을 비대면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한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mall gate at the front door to open the small gate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front door to receive ordered items such as parcels or delivered food non-face-to-f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ront door that allows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and a non-face-to-fac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또한, 본 발명은 현관문에 소형게이트를 구비하되, 소형게이트가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록킹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주문시 소형게이트의 비밀번호가 랜덤하게 생성되어 배달원 단말에 제공됨으로써 소형게이트에 대한 보안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개선된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mall gate at the front door, and the small gate is configured to be unlockable by entering a password. When ordering, the password for the small gate is randomly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delivery person's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the small gat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improved front door that allows for non-face-to-face product reception and a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purposes or effects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r the embodiment are also inclu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은, 현관문본체; 상기 현관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 상기 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현관문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주문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ont door capable of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ront door body; At least one g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body to enable receiving ordered goods deliver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rage box configured to the front do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gate and storing the ordered product through the gate.

상기 수납박스의 말단을 개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에서 상기 수납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수납박스 도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box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end of the storage box, and configured to open the storage box indoors.

상기 게이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 시키는 도어록장치; 및, 상기 수납박스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 시키는 제2도어록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록장치는 상기 도어록장치가 록킹상태인 경우에만 언록킹상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door lock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the gate; and a second door lock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the storage box door. The second door lock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unlocked state only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in a locked state.

상기 수납박스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주문물품의 수납을 감지하는 로드셀로 이루어진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물품수납상태를 알리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로 이루어진 물품도착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product arrival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box and consisting of a load cell that detects storage of the ordered goods, and an alarm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notifying the storage status of the goods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알람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로 수신되더라도 상기 도어록장치가 잠긴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larm un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notification signal only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locked even if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상기 수납박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에 수납된 주문물품을 살균시키는 살균수단;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부에 냉기를 제공하여 신선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냉각수단;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부에 온기를 제공하여 음식이 쉽게 식지 않도록 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현관문 앞쪽 영역에 위치하는 외부인을 촬영하여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steriliz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sterilize the ordered items stored in the storage box; Cool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provide cold air inside the storage box to prevent fresh food from spoiling; Heat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provide warmth inside the storage box to prevent food from easily cooling dow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door to allow the outsider to be identified by filming the outsider located in the area in front of the front door.

또한, 본 발명의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은 현관문본체와, 상기 현관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현관문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주문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박스와, 상기 게이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를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부에 입력되면 상기 게이트를 언록킹시키도록 하는 언록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현관문; 통신망을 통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온라인 주문을 진행하고, 주문시 주문정보와 함께 도어락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door main body and at least one or mo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to enable receiving delivered ordered goods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main body. A gate, a storage box configured in the front do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gate and storing the ordered goods through the gate, and a keypad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gate and entering a password, and receiving a password from a user terminal. a front door configured to include an unlocking device that unlocks the gate when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is entered into the keypad unit; A user terminal that processes online orders for specific produc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order information when ordering; and a sell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on a screen.

해당 주문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이 소지한 단말기로서, 상기 판매자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배달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erminal possessed by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ordered product, and receiving the door lock passwor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outputting the door lock password on the screen.

판매자와 배달원의 배달중계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판매자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에 전송하는 배달중계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elivery relay server that provides a delivery relay service between the seller and the delivery person, and receives the door lock passwor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특정 물품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문부와, 상기 주문부를 통해 이루어진 물품주문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결제부;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완료시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비밀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ordering unit that allows an order for a specific product to be placed, and a payment unit that allows payment for the product order made through the order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ssword generator that randomly generates a door lock password for the door lock upon completion of payment through the payment unit.

상기 현관문에 복수의 게이트가 구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중 특정의 게이트를 선택하기 위한 게이트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는 상기 게이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에 대한 도어락비밀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gates are configured at the front door,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gat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specific gate among the plurality of gates, and the password generator generates a door lock for the gate selected by the gate selection uni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assword.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관문본체에 별도로 개폐가능한 게이트가 구성되어, 현관문본체를 직접적으로 개방하지 않고서도 게이트를 개방하여 주문물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하므로,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배달원에 의해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안전하고도 비대면으로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gat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eparately is configured in the front door body, and delivery of ordered goods is possible by opening the gate without directly opening the front door body, thereby preventing intruders from entering and preventing the delivery person from entering.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receive ordered goods delivered safely and non-face-to-face.

또한, 현관문본체의 내면에는 게이트와 연결되는 수납박스가 구성되어, 배달원이 주문물품을 수납박스에 수납시켜 놓고 갈수 있어, 배달원과 대면하는 일을 완전히 차단하고 완벽하게 비대면으로 주문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storage box connected to the g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door body, so that the delivery person can store the ordered items in the storage box and leave them, completely preventing face-to-face contact with the delivery person and receiving the ordered items completely non-face-to-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아울러, 수납박스의 개방된 말단부에 개폐가능한 수납박스도어가 구성되어, 배달원이 주문물품을 수납박스(15)에 집어넣는 과정에서도 실내를 확인할 수 없게 하여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게 하며, 더욱 완벽한 비대면 물품수령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able storage box door is provided at the open end of the storage box, preventing the delivery person from checking the interior during the process of putting the ordered items into the storage box (15), thereby protecting privacy and providing a more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ence. Goods may be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에 설치된 도어락장치가 고정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물품주문시 매번 랜덤하게 바뀌는 도어락 비밀번호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비밀번호가 주문한 판매자 단말에 제공되며, 이 판매자 단말에 제공된 도어락 비밀번호에 의해 도어락장치가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형 비밀번호의 노출에 의한 침입자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비대면 배달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at the gate uses a fixed password, but a door lock password that changes randomly every time the user orders a product is generated, and this generated password is provided to the seller terminal that placed the order, and this seller terminal By configuring the door lock device to be unlocked by the door lock password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ruders by exposing the fixed password,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afer non-face-to-face delivery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배달원에 의해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안전하고도 비대면으로 수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박스 내부에 살균기능, 냉장기능, 온장기능이 구비되어, 외부의 바이러스가 집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신선식품등이 쉽게 상하지 않게 해줄 수 있으며, 따뜻한 국물음식, 요리등을 식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safe and non-face-to-face receipt of ordered goods delivered by a delivery person, but also has a sterilization function, a refrigeration function, and a warming function inside the storage box, preventing external viruses from entering the house. It prevents fresh foods from spoiling easily and prevents warm soups and dishes from getting cold.

아울러, 본 발명은 현관문에 감시카메라 기능이 구성되어, 수납박스에 물품을 배달하는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어, 범죄예방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rveillance camera function at the front door, so that outsiders delivering goods to the storage box can be identified, thereby preventing crime and safety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현관문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현관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현관문에 대한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에 대한 제어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은 도 8의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door enabling non-face-to-face product receip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ront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user terminal of FIG. 8.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front door that allows non-face-to-face product receip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etch area shown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written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whe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bu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관문에 대해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현관문은 현관문본체(10), 게이트(11), 도어록장치(12), 수납박스(15), 수납박스 도어(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door body (10), a gate (11), a door lock device (12), a storage box (15), and a storage box door (16).

게이트(11)는 현관문본체(10)를 개방하지 않고도 택배, 배달음식 등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현관문본체(10)의 중앙, 측부 등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gate 11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open at least one on one side, such as in the center or on the side of the front door body 10, so that orders such as couriers and food delivery can be receiv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body 10. .

도어록장치(12)는 통상의 비밀번호 입력식 도어록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잠금수단(122)에 의해 게이트(11)의 닫힘상태를 록킹하거나 록킹해제(언록킹)하여 게이트(11)의 개방이 허락되도록 한다. 도어록장치(12)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패드부(124)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에 따라 전자잠금수단(122)의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을 제어하는 잠금제어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oor lock device 12 may be configured as a normal password input type door lock device, and opens the gate 11 by locking or unlocking the closed state of the gate 11 by the electronic locking means 122. Let this be allowed. The door lock device 12 is provided with a keypad unit 124 for entering a password, and a lock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locking means 122 according to the password entered through the keypad unit 124. (126) can be provided.

배달원은 도어록장치(12)의 키패드부(12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게이트(11)의 잠금상태를 록킹해제하여 게이트(11)를 개방시켜 주문물품을 게이트(11)를 통해 배달할 수 있다. The delivery person can unlock the gate 11 by entering the password through the keypad unit 124 of the door lock device 12, open the gate 11, and deliver the order through the gate 11. .

수납박스(15)는 게이트(11)와 연결되도록 현관문본체(10)의 내면에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배달원에 의해 배송되는 주문물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배달원이 수납박스(15) 내에 주문물품을 놓고 가면, 사용자가 실내에서 수납박스(15)에 수납된 배달물품을 가져올 수 있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일 없이 비대면으로 주문물품에 대한 수령이 가능하게 된다. The storage box 15 is configured to exte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door body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ate 11, and is configured to store order items delivered by a delivery person, so that the delivery person places an order within the storage box 15. If the product is left behind, the user can bring the delivery item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indoors, making it possible to receive the ordered item non-face-to-face without the delivery person and the user having to face each other directly.

수납박스(15)의 내측 말단부에는 수납박스 도어(16)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배달원이 게이트(11)를 열더라도 실내가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박스(15)에 주문물품을 놓고 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달원이 가고 난 후에 수납박스 도어(16)를 개방하여 수납박스(15)에 놓여진 주문물품을 가져 감으로써 더욱더 완벽하게 비대면으로 물품수령이 가능해진다. The storage box door 16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ed at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box 15, so even if the delivery person opens the gate 11, the order can be placed in the storage box 15 without being able to see the interior. , the user opens the storage box door 16 after the delivery person leaves and takes the ordered goods placed in the storage box 15, making it possible to receive the goods more completely non-face-to-face.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11)가 현관문본체(10)에 복수개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게이트(11) 중 하나를 통해 배달원이 주문물품을 전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tes 11 are formed on the front door body 10, so that a delivery person can deliver an order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gates 11.

이처럼, 본 발명은 현관문본체(10)에 별도로 개방가능한 게이트(11)가 구성되어, 현관문본체(10)를 직접적으로 개방하지 않고도서도 게이트(11)를 개방하여 주문물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하므로, 칩입자의 칩입을 방지하면서도 배달원에 의해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안전하고도 비대면으로 수령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a gate 11 that can be opened separately in the front door body 10, so that delivery of ordered goods is possible by opening the gate 11 without directly opening the front door body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non-face-to-face receive ordered goods delivered by a delivery person while preventing intruders from entering.

특히, 현관문본체(10)의 내면에는 게이트(11)와 연결되는 수납박스(15)가 구성되어, 배달원이 주문물품을 수납박스(15)에 수납시켜 놓고 갈수 있어, 배달원과 대면하는 일을 완전히 차단하고 완벽하게 비대면으로 주문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storage box 15 connected to the gate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door body 10, so that the delivery person can store the ordered items in the storage box 15 and leave, eliminating the need to face the delivery person. You can completely block it and receive your order completely non-face-to-face.

아울러, 수납박스(15)의 개방된 말단부에 개폐가능한 수납박스 도어(16)가 구성되어, 배달원이 주문물품을 수납박스(15)에 집어넣는 과정에서도 실내를 확인할 수 없게 하여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게 하며, 더욱 완벽한 비대면 물품수령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able storage box door 16 is provided at the open end of the storage box 15 to protect privacy by preventing the delivery person from checking the interior during the process of putting ordered items into the storage box 15. This can enable more perfect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문물품이 수납박스(15)에 수납되어 물품이 도착되었다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물품도착 알림장치(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duct arrival notification device 20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status of the ordered product being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and the product having arrived.

물품도착 알림장치(20)는 감지센서(21)와 알람부(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product arrival notification device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on sensor 21 and an alarm unit 22.

감지센서(21)는 로드셀로 이루어져 수납박스(15)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수납박스(15)에 주문물품이 수납되면, 주문물품의 하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알람부(22)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The detection sensor 21 consists of a load cell and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box 15. When an order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it detects the load of the order item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alarm unit 22. It is designed to deliver.

알람부(22)는 감지센서(2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알람부(22)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알람부(22)는 램프부를 구비하여 알람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larm unit 22 is configured to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21. The alarm unit 22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and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sound, and the alarm unit 22 may be provided with a lamp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etc.

사용자는 알람부(22)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신호를 통해 물품도착상태를 인지하여 신속하게 수납박스(15)에 수납된 주문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The user can recognize the arrival status of the goods through a notifica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alarm unit 22 and quickly receive the ordered goods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한편, 알람부(22)는 잠금제어부(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제어부(126)를 통해 게이트(11)의 록킹 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를 감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알람부(22)는 감지센서(2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더라도 게이트(11)가 언록킹 상태로 판단되면, 배달원이 돌아가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알림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감지센서(2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게이트(11)가 록킹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배달원과 게이트(11)를 통해 대면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larm unit 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ck control unit 126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gate 11 through the lock control unit 126. In this case, if the gate 11 is determined to be unlocked even if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21, the alarm unit 22 determines that the delivery person has not returned and does not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detection sensor 21 By configuring a notification signal to be output only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21) and the gate (11) is determined to be in a lock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ncountering a delivery person through the gate (11). You can.

한편, 본 발명의 현관문은 수납박스 도어(16)를 록킹 또는 언록킹 하기 위한 도어록장치(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수납박스 도어(16)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는 제2도어록장치(13)라 한다.)Meanwhile,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oor lock device 13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storage box door 16. (Hereinafter, 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on the storage box door 16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제2도어록장치(13)는 도어록장치(12)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식 도어록장치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수납박스 도어(16)를 잠금해제해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like the door lock device 12,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unlock and open the storage box door 16 by entering a password.

특히, 본 발명에서 제2도어록장치(13)는 잠금제어부(136)는 도어록장치(12)의 잠금제어부(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제어부(126)를 통해 게이트(11)의 록킹 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를 감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도어록장치(13)의 잠금제어부(136)는 키패드부(134)를 통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게이트(11)가 언록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잠금수단(132)을 언로킹하지 않고 수납박스 도어(16)가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ontrol unit 136 of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ck control unit 126 of the door lock device 12, so that the gate 11 is locked through the lock control unit 126.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unlocking state. In this case, the lock control unit 136 of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unlocks the electronic lock means 13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te 11 is in an unlocked state even if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through the keypad unit 134. The storage box door 16 is configured to remain locked without locking.

반면, 제2도어록장치(13)의 잠금제어부(136)는 키패드부(134)를 통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게이트(11)가 록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잠금수단(132)을 언로킹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배달원과 게이트(11)를 통해 대면하는 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 control unit 136 of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operates the electronic locking means 13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ate 11 is in a locked state while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through the keypad unit 134. By controlling it to be unlocke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user from meeting the delivery person through the gate 11.

또한, 다른 형태로서, 제2도어록장치(13)는 키패드부(134)의 구성이 없도록 구성되고, 제2도어록장치(13)의 잠금제어부(136)는 감지센서(2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도어록장치(12)의 잠금제어부(126)를 통해 게이트(11)가 잠금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자잠금수단(132)을 언록킹되게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form,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is configured without a keypad unit 134, and the lock control unit 136 of the second door lock device 13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21. When the gate 11 is determined to be locked through the lock control unit 126 of the door lock device 12, the electronic lock means 132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unlocked.

한편, 도어록장치(12)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 와이파이, 유무선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어록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를 저장하며, 잠금제어부(126)는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가 키패드부(124)를 통해 입력된 경우에 전자잠금수단(122)을 언록킹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lock device 12 receives the door lock password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wned by the user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or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stores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and controls the lock control unit ( 126)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unlocking of the electronic lock means 122 when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unit 124.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관문은 수납박스(15)의 수납용량을 가변하도록 수납박스(15)에서 실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또는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된 보조수납함(17)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보조수납함(17)의 내측단에 수납박스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box 17 configured to be slidably withdrawn or retracted from the storage box 15 to the indoor side so as to vary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box 15. In this case, a storage box door 16 may be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auxiliary storage box 17.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은 현관문(10), 사용자 단말(110), 판매자단말(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door 10, a user terminal 110, and a seller terminal 130.

현관문(10)은 상술한 현관문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현관문(10)에 설치된 도어록장치(12)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 와이파이, 유무선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어록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를 저장하며, 잠금제어부(126)는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가 키패드부(124)를 통해 입력된 경우에 전자잠금수단(122)을 언록킹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ront door 10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front door described above, and the door lock device 12 installed on the front door 10 is connected to the user's smartphone, etc.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or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door lock passwor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is stored, and the lock control unit 126 controls the unlocking of the electronic lock means 122 when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unit 124. It can be configured.

사용자 단말(110)은 배달통,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온라인 음식주문서비스, 지마켓, 옥션, 11번가 등의 오픈마켓, 쿠팡, 위메프, 티몬 등의 소셜커머스와 같은 온라인 상품주문서비스 등의 주문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문중계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주문중계서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주문서비스를 통해 물품을 주문하는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부(112)와, 주문된 물품에 대한 전자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114)와, 결제부(114)를 통한 결제완료시 도어락 비밀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user terminal 110 is used for online food ordering services such as Baedaltong, Baedal Minjok, and Yogiyo, open markets such as G Market, Auction, and 11th Street, and online product ordering services such as social commerce such as Coupang, WeMakePrice, and Timon. An ordering unit 112 that connects to an order relay server that provides an ordering service and transmits order information for ordering products through the online ordering service provided by the order relay server, and a payment system that makes electronic payments for the ordered produc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114 and a password generator 116 that randomly generates a door lock password upon completion of payment through the payment unit 114.

사용자 단말(110)은 물품 주문시, 주문중계서버에 해당 물품을 주문하는 주문정보와 함께 생성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전송하며, 주문중계서버는 판매자단말(130)에 주문정보와 함께 도어락비밀번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When ordering a product, the user terminal 110 transmits the generated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order information for ordering the product to the order relay server, and the order relay ser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130. do.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어락장치(12)의 잠금제어부(126)에 전송하고, 잠금제어부(126)는 수신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전자잠금수단(122)의 언록킹을 위한 비밀번호로 설정하여, 키패드부(124)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잠금제어부(126)가 전자잠금수단(122)을 언록킹 제어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10 transmits the generated door lock password to the lock control unit 126 of the door lock device 12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ock control unit 126 stores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and the electronic lock means 122 ) is set as a password for unlocking, so that when the door lock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keypad unit 124 is input, the lock control unit 126 controls the unlocking of the electronic lock means 122. do.

판매자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달된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도어락비밀번호를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The seller terminal 13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display the door lock password on the screen.

음식주문을 예로 들면, 사용자 단말(110)이 온라인 음식주문서비스를 통해 소정 음식점에 음식주문을 하면, 음식점에 구비된 판매자 단말(130)에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가 전달되며, 판매자 단말(130)에 표시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배달원에게 제공되며, 주문된 음식의 배달시 현관문(10)에 설치된 도어락장치(12)의 록킹 해지를 위한 비밀번호로 사용될 수 있다. Taking food ordering as an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places an order for food at a certain restaurant through an online food ordering service, the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are transmitted to the seller terminal 130 provided in the restaurant, and the seller terminal 130 The door lock password displayed in is provided to the delivery person, and can be used as a password to unlock the door lock device 12 installed on the front door 10 when delivering ordered food.

이처럼, 본 발명은 현관문의 게이트(11)를 열기 위한 도어락장치(12)가 고정된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물품 주문시 매번 랜덤하게 도어락 비밀번호가 바뀌면서 생성되어, 이 생성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판매자 단말(130)에 제공되어 도어락장치(12)를 록킹해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배달원에게 고정된 비밀번호가 노출되어 사생활 침해나 범죄에 사용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device 12 for opening the gate 11 of the front door does not use a fixed password, but is generated by randomly changing the door lock password each time the user orders an i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The generated door lock password is provided to the seller terminal 130 to unlock the door lock device 12, thereby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fixed password being exposed to the delivery person and being used for invasion of privacy or crime.

한편, 본 발명은 배달원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배달원 단말(150)을 더 포함하며, 판매자 단말(130)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배달원 단말(150)에 전송하도록 하여 배달원 단말(150)에 도어락 비밀번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배달원이 별도로 도어락 비밀번호를 외울필요 없이 배달원 단말(150)에 표시되는 도어락비밀번호를 확인하여 배달시 현관문의 도어락장치(12)를 록킹해제하여 배달을 진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livery person terminal 150, such as a smartphone carried by the delivery person, and causes the seller terminal 130 to transmit the door lock password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150, By having the door lock password displayed on the screen at (150), the delivery person does not have to memorize the door lock password separately, but checks the door lock password displayed on the delivery person's terminal (150) and unlocks the door lock device (12) of the front door at the time of delivery to enable delivery. You can proceed.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와 배달원의 배달중계서비를 제공하며, 판매자 단말(130)가 전송한 도어락비밀번호를 수신하여 배달원단말(150)에 전송하는 배달중계서버(1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livery relay service between the seller and the delivery person, and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elivery relay server 170 that receives the door lock password transmitted by the seller terminal 130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150. there is.

최근에는 음식점과 같은 상점에 배달원이 직접 고용되는 형태를 벗어나 주문음식을 배달해주는 전문 배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판매자 단말(130)을 배달중계서버(170)를 통해 전문 배달업체와 연계하여 물품의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professional delivery companies that deliver ordered food is increasing, rather than having delivery workers directly employed by stores such as restaurants, and the seller terminal (130) is linked to a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through the delivery relay server (170) to deliver goods. Delivery can be made.

이 경우, 판매자 단말(130)은 배달중계서버(170)을 통해 해당 물품에 대한 배달을 전문 배달업체에 요청할 때, 배달중계서버(170)에 도어락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하고, 배달중계서버(170)는 전문 배달업체의 배달원 단말(150)에 도어락 비밀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전문 배달업체의 배달원이 도어락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현관문의 도어락장치(12)를 록킹해제해 배달을 진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eller terminal 130 requests delivery of the product to a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through the delivery relay server 170, it transmits the door lock password to the delivery relay server 170, and the delivery relay server 170 By transmitting the door lock password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150 of the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the delivery person of the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can check the door lock password, unlock the door lock device 12 of the front door, and proceed with delivery.

한편, 본 발명에서 현관문에는 복수개의 게이트(11)가 구성되고, 이 복수개의 게이트(11) 마다 도어락장치(12)가 설치되어 게이트(11)의 록킹 및 언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게이트(11)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게이트선택부(11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비밀번호 생성부(116)는 게이트 선택부(118)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11)의 도어락장치(12)에 대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판매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door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gates 11, and a door lock device 12 i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ates 11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gate 11. In this case, , the user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ate selection unit 118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gates 11, and the password generation unit 116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gate selected by the gate selection unit 118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door lock password for the door lock device 12 of 11) and provide the generated door lock password to the seller terminal 130.

이때, 복수의 게이트(11)에는 게이트 번호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게이트 선택부(118)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의 게이트 번호와 함께 도어락 비밀번호를 판매자 단말(130)에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달원이 게이트번호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11)의 도어락장치(12)를 록킹해제하여 선택된 게이트(11)의 수납박스(15)에 주문물품을 배달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gates 11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gate numbers, and the user terminal 110 provides the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the gate number of the gate selected by the gate selection unit 118 to the seller terminal 130. By configuring it to do so, the delivery person checks the gate number and door lock password, unlocks the door lock device 12 of the gate 11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nd delivers the order to the storage box 15 of the selected gate 11. It becomes possibl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관문은 살균수단(30), 냉각수단(40), 가열수단(50) 및 감시카메라(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fro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means 30, a cooling means 40, a heating means 50, and a surveillance camera 60.

살균수단(30)은 수납박스(15)의 내부 천정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수납박스(15) 내부로 조사하는 UV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달원이 수납박스(15)에 주문물품을 수납한 경우, 살균수단(30)에 의해 수납박스(15)에 수납된 주문물품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됨으로써 최근 코로나와 같은 외부의 여러 바이러스나 세균들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The sterilizing means 30 may be a UV lamp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of the storage box 15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x 15. When the delivery person stores the ordered goods in the storage box 15, the ordered goods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are sterilized by being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by the sterilizing means 30, thereby eliminating various external viruses or bacteria such as the recent coronavirus. It fundamentally prevents water from entering the room.

냉각수단(40)은 수납박스(15) 내부에 냉기를 제공하도록 수납박스(15)의 일 측벽부에 구성된다. 서 냉각수단(40)은 열전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 및 부품에 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냉각수단(40)은 열전소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납박스(15) 내부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으면, 냉장고, 에어컨 등에 구비되는 냉각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ooling means 40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box 15 to provide cold air inside the storage box 15. The cooling means 4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since this configuration is based on known technology and components,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though the cooling means 40 has been described above as being comprised of a thermoelectric element, it may also be comprised of a cooling devic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air conditioner, etc., as long as it can provide cold air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5.

본 발명은 수납박스(15)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수단(40)을 구비하여 수납박스(15)에 냉장기능을추가한 것으로, 수납박스(15)에 신선식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박스(15)에 냉기를 제공하여 신선식품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refrigeration function to the storage box 15 by providing a cooling means 40 for providing cold air to the storage box 15. When fresh food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the storage box ( 15) It can prevent fresh food from spoiling by providing cold air.

아울러, 본 발명은 수납박스(15)에 배달되는 주문물품이 따뜻한 음식일 경우, 주문음식이 쉽게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박스(15)에는 온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50)을 일 측벽부에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수단(50)을 전기히터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dered product delivered to the storage box 15 is warm food, the storage box 15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 for providing warmth on one side wall in order to prevent the ordered food from cooling down easily. can do. Here, the heating means 50 may be comprised of an electric heater module.

사용자가 수납박스(15)에 온기를 제공하는 가열수단(50)을 구비하여 온장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수납박스(15)에 따듯한 음식이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박스(15)에 온기를 제공하여 음식이 쉽게 식지 않고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The user adds a heating function by providing a heating means 50 for providing warmth to the storage box 15, and provides warmth to the storage box 15 while warm food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15. Food can be kept warm without getting cold easily.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가열수단(50) 및 냉각수단(40)은 통상의 냉난방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수납박스(15)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의 냉난방기는 냉기와 온기를 동작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means 50 and the cooling means 40 can be integrated into a storage box 15 like a typical air conditioner, and this integrated air conditioner controls cold and heat according to operation control.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selectively.

한편, 본 발명은 현관문(10)에 설치되어, 냉각수단(40)과 가열수단(50)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제어박스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box installed at the front door 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40 and the heating means 50 on and off, and this control box can be controll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 received control signal.

사용자 단말(110)은 주문부(114)가 온라인 주문서비스를 통해 물품(음식,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부(114)에 의해 주문결제가 완료된 경우, 해당 주문 상품이 따뜻한 음식을 주문한 경우라면, 제어박스에 가열수단(50)의 동작을 온시키는 가열수단동작신호를 전송하고, 신선식품과 같이 냉장온도의 유지가 요구되는 물품을 주문한 경우라면, 제어박스에 냉각수단(40)의 동작을 온시키는 냉각수단동작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ordering unit 114 orders goods (food, products) through an online ordering service and the order payment is completed by the payment unit 114, the user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order warm food. , a heating means operation signal that turns on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x, and if an item requiring maintenance of a refrigerated temperature, such as fresh food, is ordered,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x.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oling means operation signal to turn it on.

즉, 냉각수단(40) 및 가열수단(50)은 항시 켜져서 소비전력을 낭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이 온라인 주문서비스를 통해 물품을 주문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10)이 주문한 물품을 파악하여 따뜻한 음식의 경우 제어박스에 가열수단(50)을 온시키는 신호를 전송하고, 신선식품 등의 냉장요구식품의 경우 제어박스에 냉각수단(40)을 온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낭비를 줄이고 필요시에만 가열수단(50)이나 냉각수단(40)이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cooling means 40 and the heating means 50 are not configured to be turned on at all times to waste power consumption, but at the same time that the user terminal 110 orders the product through the online ordering service, the user terminal 110 By identifying the ordered product, a signal to turn on the heating means (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warm food, and a signal to turn on the cooling means (40) to the control box is sent to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food requiring refrigeration such as fresh food.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configuring the heating means 50 or the cooling means 40 to operate only when necessary,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별도로 냉각수단(40)과 가열수단(50)의 동작을 오프(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제어박스에 전송하여, 냉각수단(40)과 가열수단(50)을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separate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urn off (stop)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40 and the heating means 50 to the control box, thereby turning off the cooling means 40 and the heating means 50.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은 현관문(10)에 감시카메라 (60)를 구성하고, 현관문(10) 앞쪽 영역에 위치하는 외부인(배달원 등)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현관문(10)에 감시카메라(60)를 구성함으로써, 배달원이 돌아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어 배달원과 게이트(11)를 통해 대면하는 일 없이 보다 완벽하게 비대면으로 주문물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surveillance camera 60 at the front door 10, and can be configured to photograph outsiders (delivery workers, etc.) located in the area in front of the front door 10, and can be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through the surveillance camera 60. The acquired image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By configuring the surveillance camera 60 at the front door 1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elivery person has returned, making it possible to receive orders more completely non-face-to-face without having to face the delivery person through the gate 11. do.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a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현관문본체
11...게이트
12...도어락장치
15...수납박스
16...수납박스 도어
110...사용자 단말
112...주문부
114...결재부
116...비밀번호 생성부
118...게이트선택부
122...전자잠금수단
124...키패드부
126...잠금제어부
130...판매자 단말
150...배달원 단말
170...배달중계서버
10... Entrance door body
11...Gate
12...Door lock device
15...storage box
16...Storage box door
110...User terminal
112...Order Department
114...Approval Department
116...Password creation section
118...Gate selection unit
122...Electronic locking means
124...Keypad part
126...lock control unit
130...Seller terminal
150...Deliveryman terminal
170...Delivery relay server

Claims (11)

현관문본체;
상기 현관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
상기 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현관문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주문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박스;
상기 수납박스의 말단을 개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에서 상기 수납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수납박스 도어;
상기 게이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 시키는 도어록장치;
상기 수납박스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 시키는 제2도어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록장치는 상기 도어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록킹 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를 감지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도어록장치는 키패드부에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게이트가 언록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납박스 도어가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록장치가 록킹상태인 경우에만 언록킹상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납박스 내에서 실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납박스의 수납용량을 가변시키며 내측단에 상기 수납박스 도어가 구비되는 보조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Entrance door body;
At least one g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body to enable receiving ordered goods deliver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body;
a storage box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gate and configured to store the ordered product through the gate;
a storage box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end of the storage box, so as to open the storage box from inside;
A door lock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the gate;
It includes a second door lock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the storage box door,
The second door lock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gate, and the second door lock device locks the gate even if a password is entered by the user on the keypad unit. If it is determined to be in an unlocked state, the storage box door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unlocked state is possible only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in the locked state,
Non-face-to-face receipt of goods is possi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torage box that is configured to be slidingly withdrawn or retracted from the storage box to the indoor side, change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box, and is provided with the storage box door at an inner end. Main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주문물품의 수납을 감지하는 로드셀로 이루어진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물품수납상태를 알리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로 이루어진 물품도착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According to claim 1,
A product arrival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box and consisting of a load cell that detects storage of the ordered goods, and an alarm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notifying the storage status of the goods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non-face-to-face goods, further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로 수신되더라도 상기 도어록장치가 잠긴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According to claim 4,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non-face-to-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notification signal only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locked even if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에 수납된 주문물품을 살균시키는 살균수단;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부에 냉기를 제공하여 신선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냉각수단;
상기 수납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박스 내부에 온기를 제공하여 음식이 쉽게 식지 않도록 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현관문 앞쪽 영역에 위치하는 외부인을 촬영하여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According to claim 1,
A steriliz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sterilize the ordered items stored in the storage box;
Cool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provide cold air inside the storage box to prevent fresh food from spoiling;
Heating mean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to provide warmth inside the storage box to prevent food from easily cooling down; and,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non-face-to-face, further comprising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door to capture outsiders located in the area in front of the front door and allow the outsider to be identified.
현관문본체와, 상기 현관문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배달되는 주문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현관문본체에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해 상기 주문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박스와, 상기 수납박스의 말단을 개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에서 상기 수납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수납박스 도어와, 상기 게이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를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부에 입력되면 상기 게이트를 언록킹시키도록 하는 도어록장치와, 상기 수납박스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 시키는 제2도어록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현관문;
통신망을 통해 특정 물품에 대한 온라인 주문을 진행하고, 주문시 주문정보와 함께 도어락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 및 도어락 비밀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판매자 단말;
해당 주문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이 소지한 단말기로서, 상기 판매자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배달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록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어록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어록 비밀번호가 키패드부를 통해 상기 입력되면 상기 게이트를 언록킹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관문은, 상기 제2도어록장치는 상기 도어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록킹 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를 감지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도어록장치는 키패드부에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게이트가 언록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납박스 도어가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록장치가 록킹상태인 경우에만 언록킹상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특정 물품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문부와, 상기 주문부를 통해 이루어진 물품주문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결제부와,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완료시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비밀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상기 현관문에 구성된 복수의 게이트 중 특정의 게이트를 선택하기 위한 게이트 선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 번호와 함께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현관문은, 상기 수납박스 내에서 실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납박스의 수납용량을 가변시키며 내측단에 상기 수납박스 도어가 구비되는 보조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A front door main body, at least one g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to enable receiving ordered goods delivered without opening the front door main body, and the front door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the gate. A storage box in which the ordered product is stored through the gate, a storage box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end of the storage box to open the storage box from inside, and a passwor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gate. It includes a door lock device that has a keypad unit for inputting and unlocks the gate when the door lock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entered into the keypad unit, and a second door lock device that locks or unlocks the storage box door. a front door configured to;
A user terminal that processes online orders for specific produc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order information when ordering;
A sell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from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door lock password on a screen;
A terminal possessed by a delivery person who delivers the ordered product, including a delivery pers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door lock passwor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The door lock device is configured to receive a door lock passwor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tore the received door lock password, and unlock the gate when the door lock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input through the keypad unit,
As for the front door, the second door lock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to detect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gate, and the second door lock device has a password input by the user on the keypad. Even if the gate is determined to be in the unlocked state, the storage box door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unlocked state is possible only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in the locked stat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ordering unit that allows orders for specific products to be placed, a payment unit that allows payment for product orders made through the ordering unit, and a door lock password for the door lock when pay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payment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ssword generator for generating a password, and a gat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specific gate among a plurality of gates configured at the front door, and transmits the door lock password along with the gate number selected by the gate selection unit to the seller terminal.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front doo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out or in from the storage box toward the indoor side to vary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box,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torage box equipped with the storage box door at an inner end.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door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판매자와 배달원의 배달중계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판매자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에 전송하는 배달중계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 non-face-to-face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a front door, further comprising a delivery relay server that provides a delivery relay service between the seller and the delivery person, and receives the door lock passwor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06002A 2020-08-13 2021-08-11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KR1026112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80 2020-08-13
KR20200101580 2020-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426A KR20220021426A (en) 2022-02-22
KR102611255B1 true KR102611255B1 (en) 2023-12-07

Family

ID=8049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02A KR102611255B1 (en) 2020-08-13 2021-08-11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255B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8215B2 (en) * 1998-02-10 2005-02-09 ニッシン株式会社 Shared locker delivery box
KR200193652Y1 (en)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건호유리 Security complementary device and security complementary sight window of the front door
KR20000063486A (en) * 2000-07-15 2000-11-06 김상관 Public device for receiving delivery commodities
KR100469304B1 (en) * 2001-08-27 2005-01-31 조문수 Unmanned Delivery Goods Receiving System
KR20090000231A (en) * 2007-02-06 2009-01-07 포제이씨 주식회사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KR20180005645A (en) * 2017-12-27 2018-01-16 윤재근 Simple unmanned courier storage for front door
KR200492336Y1 (en) 2018-11-14 2020-09-18 박영생 Fixed Frame Structure of Fire Door Perspective Window
KR20210087309A (en) * 2020-01-02 202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426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1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receiving and storing deliveries
US7847675B1 (en) Security system
US6965294B1 (en) Workspace security system
US11704955B2 (en) Radio frequency antenna and system for presence sensing and monitoring
US8694388B2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US11328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WO2020175836A1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MXPA020069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US20190387910A1 (en) Outdoor secured drop box furniture and method of use
WO2020175834A1 (en) Refrigerator
CN110580762A (en) Intelligent househol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611255B1 (en) A front door capable of receiving goods as non-face-to-face type and a non-face-to-face type goods delivery system using this front door
KR101340148B1 (en) Digital Door Lock
JP2018059662A (en) Storag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20210304539A1 (en) Apparatus to allow for storage or holding of items, especially for deliveries and/or pickups
US20230267787A1 (en) Site access control unit
CN108629934B (en) Building anti-theft alarm system
JP2020186572A (en) Lock/unlock control system for building
WO2019070520A1 (en) Radio frequency antenna and system for presence sensing and monitoring
US20210407236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items without human interaction
JP6708871B1 (en)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US20220165107A1 (en) Automated mask wearing recognition reminder and unlocking system for an entranceway
KR20220114309A (en) System for unmanned locker of cooling
CA2298217A1 (en) Goods containing unit of programmable limited access and temperature
Khokher et al. Advance Computing in IoT based High-Security Smart Bank 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