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26B1 -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26B1
KR102611226B1 KR1020230024662A KR20230024662A KR102611226B1 KR 102611226 B1 KR102611226 B1 KR 102611226B1 KR 1020230024662 A KR1020230024662 A KR 1020230024662A KR 20230024662 A KR20230024662 A KR 20230024662A KR 102611226 B1 KR102611226 B1 KR 10261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thing aid
body portion
armres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혜
Original Assignee
안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혜 filed Critical 안정혜
Priority to KR102023002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226B1/ko
Priority to KR1020230161377A priority patent/KR102650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 시 유아를 지지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목욕보조기구의 사용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음으로 인한 유아의 거부감을 해소하고 상기 팔걸이의 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상부바디부 및 팔걸이 사이 틈새에 피부가 끼이거나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놀이수단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 또는 보호자가 선호하는 안전한 놀이수단으로 교체하거나 목욕보조기구만 분리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디딤판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분변 등 이물질이 신속하게 배출되고 욕실 내에서 보관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High-performance bath aids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본 발명은 목욕 시 유아를 지지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생후 5개월 ~ 24개월의 유아는 혼자서 일어서거나 장시간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목욕을 하거나 또는 배변 후 분변을 씻겨내는 경우 보호자는 한 손으로 유아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샤워노즐의 조작과 함께 세척 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욕 시 유아를 지지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욕보조기구들이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31036호에 기재된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부바디부(10)와, 유아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바디부(10)의 양측에 형성하여 유아의 양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20)와, 상기 상부바디부(10)의 하측에 형성하여 목욕보조기구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하부바디부(30)와, 상기 하부바디부(30)에 대하여 상부바디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부(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20)는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외측 방향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그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팔걸이(20)가 임의로 벌어지지 않고 유아가 안정적으로 팔걸이(20)에 의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팔걸이(20)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강한 충격음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팔걸이(20)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보호자가 팔걸이(20)의 작동 제한을 해제하는 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유아의 체격에 맞추어 팔걸이(20)를 내측 방향으로 좁힐 수 있으면서 외측 방향으로는 임의로 벌어지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하는데 그 수단으로 한 쌍의 톱니바퀴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각도조절부를 적용함으로써 연속적인 충격음의 발생이 불가피하였다. 즉,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부(10)에 고정톱니(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에 접속하는 회전톱니(25)는 팔걸이(20)에 연동하도록 형성하되 회전톱니(25)의 축 방향으로 압축스프링(27)을 개입시켜 상기 회전톱니(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였는바, 상기 팔걸이(20)는 수평으로 회전하는데 반하여 그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톱니(15)와 회전톱니(25)는 상기 회전 방향에 대해 직각인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에 상기 팔걸이(20)의 상기 양 톱니를 이용하여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양 톱니를 축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27)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상기와 같은 구조적 한계점으로 인하여 팔걸이(20)의 내측 방향 회전시 회전톱니(25)가 축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압축스프링(27)에 의해 상기 양 톱니가 부딪치는 강력한 충격음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아의 안전을 위해서는 팔걸이(20)가 임의로 벌어지지 않아야 하므로 유아가 팔걸이에 기대어 유아의 하중이 상기 팔걸이(20)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양 톱니가 충분히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강력한 압축스프링(27)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그에 따른 충격음도 더욱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그 충격음은 유아의 귀에 근접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유아가 느끼는 거부감은 더욱 심각하다.
또한, 목욕 후 팔걸이(20)를 벌리기 위해서는 고정톱니(15)에 대한 회전톱니(25)의 접속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양 톱니가 접속하려는 힘의 원천은 상기 압축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 상기와 같이 강력한 압축스프링(27)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비해 큰 힘으로 눌러야 하는 팔걸이(20)의 회전 제한 해제 작동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팔걸이(20)의 내측 방향 회전 시 상부바디부(10)와 팔걸이(20) 사이의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빨려들어가거나 피부가 압착되어서 멍이 들게 되는 등 다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부(10) 및 팔걸이(20)의 교접부(A)는 팔걸이(20)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 시킬 때 접촉한 대상물을 마찰력에 의해 교접부(A) 사이로 빨아들이며 압착하는 압착롤러와 같은 상호작용을 하므로 상기 교접부(A)에 유아의 피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팔걸이(20)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교접부(A)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빨려 들어가게 되며, 아울러 상기 틈새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피부가 강하게 압착되어 멍이 드는 등 그 부상정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목욕보조기구의 사용 시 유아가 힘들어하거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바,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내부에 디스플레이부, 비누거품발생부 등을 구비하고 있으나, 유아가 상기 흥미유발 수단에 관심을 보이지 않거나 보호자가 상기 수단을 선호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없을 뿐더러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유아의 흥미가 떨어졌을 때에도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수단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같이 구매를 해야하므로 구매비용을 매우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5개월~24개월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직접 만지는 놀이과정을 통해 시각적, 촉각적 자극을 주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데에 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연령의 유아에게는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안전한 시각적 자극수단이라 할 수 없고, 비누거품발생부 또한 겨드랑이가 위치하는 팔걸이(2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그 시선이 잘 닿지 않고 직접 만지기 어려운 점과 비누거품이 유아의 입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해볼 때 안전하고 유효한 흥미유발 수단이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목욕보조기구는 하부바디부(30) 중 유아가 밟는 부분인 디딤판에만 배수홀이 있는 구조로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과 하부바디부(30) 바닥 사이의 간격이 매우 협소하므로 디딤판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나 분변 등 이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상기 세척수 등의 상당부분은 하부바디부(30) 중 개방된 후방으로 많이 배출되는데 특히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의 경사로 인하여 목욕보조기구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상기 세척수 등이 빨리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분변 등 이물질이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해 디딤판 안에서 유아의 발에 다시 묻거나 배수홀로 빠져나가더라도 바닥과의 간격이 협소하여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이나 하부바디부(30)의 바닥에 묻는 등 위생의 문제가 심각하였고, 세척수가 고여있는 동안 그 세척수로 인하여 유아가 미끄러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상기 목욕보조기구는 욕실에서 사용하므로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욕조 바닥에 보관을 하는데, 협소한 욕실 면적에 비해 상기 목욕보조기구의 크기가 상당하므로 다른 목적으로 욕실 사용 시 목욕보조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불편함이 유발되고, 하부바디부의 바닥 등 욕실 바닥과 접촉하는 부위에 물기가 유지되어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목욕보조기구는 욕실이 아닌 거실이나 방 등으로 가져와 기저귀나 옷을 갈아입힐 때 유아를 지지하는 용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용도와 겸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와 같은 보관방법으로 인하여 하부바디부 바닥 등의 물기가 잘 건조되지 않아 이동 시 거실이나 방에 물이 떨어지는 불편함과 위생상 문제가 있었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31036호(2022. 9. 27. 공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욕보조기구에 구비되는 양측 팔걸이의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의 회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압축스프링에 의존하는 제어방식에서 탈피하여 상기 팔걸이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어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강력한 압축스프링을 필요치 않으므로 소음이 저감되고 작은 힘으로 회전 제한 해제작동을 할 수 있으며, 피부보호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팔걸이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부바디부 및 팔걸이의 교접부의 동작에 의해 상부바디부와 팔걸이 사이의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빨려들어가거나 압착되는 현상을 통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놀이수단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 또는 보호자가 선호하는 안전한 놀이수단으로 교체하거나 목욕보조기구만 분리하여 구매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며, 디딤판에만 배수홀이 형성된 형태에서 탈피하여 디딤판의 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한 경계부에 배출구 및 배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디딤판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분변 등 이물질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걸이수단을 형성하여 욕실이나 욕조 바닥에 보관하는 형태에서 탈피함으로써 욕실 내에서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욕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조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 상기 상부바디부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형성한 한 쌍의 팔걸이,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는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으며, 양측 방향에 대하여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는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으며,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부바디부에 형성한 고정륜, 상기 팔걸이에 연동하는 회전륜,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팔걸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협착작용을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협착작용은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상기 스토퍼의 양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두 변화가 모두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에 대하여 점접촉 또는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하며, 상기 스토퍼는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륜, 회전륜 및 스토퍼의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에 대해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접촉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유지수단은 탄성체 또는 자성체이며,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스토퍼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그 작동 범위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상기 고정륜 또는 회전륜에 형성되는 요입홈의 측벽 또는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링이며, 상기 상부바디부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팔걸이와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회전륜의 회전중심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와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부와 팔걸이 사이의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끼이지 않도록 하거나 틈새에 유아의 피부가 위치하더라도 압착되지 않도록 하는 피부보호수단을 더 형성하고, 상기 피부보호수단은 상기 팔걸이와 상부바디부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형성한 소정 형태의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이며, 상기 피부보호수단은 상기 상부바디부와 팔걸이 사이 틈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부에 형성되는 디딤판의 전방과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경계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이어지는 배출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는 놀이수단이 착탈되고, 상기 놀이수단은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착탈되는 지지수단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놀이수단과 착탈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막대형 또는 테이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수단을 형성하여 수건걸이나 수건선반 등 욕실의 기존 구조물 또는 욕실 벽면에 형성한 걸이부재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이수단은 홈이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회전제어수단을 구성하여 강력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팔걸이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이용하여 그 팔걸이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팔걸이의 작동시 소음이 저감되어 강력한 소음으로 인한 유아의 거부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힘으로 팔걸이의 회전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상부바디부와 팔걸이의 교접부에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팔걸이의 내측 방향 회전시 유아의 피부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고 피부의 일부가 빨려들어가더라도 피부가 다칠 정도로 압착되지 않으며,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유아의 피부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멍이 들게 되는 등 다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유아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뿐 아니라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놀이수단이 착탈되므로 유아 또는 보호자가 가장 선호하는 놀이수단으로 효율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놀이수단이 없는 목욕보조기구를 구매할 수 있으므로 목욕보조기구의 구매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유아의 연령에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안전한 시각 및 촉각을 자극할 수 있는 놀이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바, 유아가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놀이수단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직접 만지는 놀이를 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은 물론이고 상기 시각, 촉각 자극에 의한 두뇌 발달과 손으로 만지는 행위에 의한 소근육 발달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욕보조기구는 디딤판의 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한 경계부에 충분한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디딤판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분변 등 이물질의 배출이 빠른 시간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분변 등 이물질이 디딤판 안에서 유아의 발에 다시 묻거나 디딤판의 배수홀로 빠져나가 욕실 또는 욕조 바닥이나 하부바디부의 바닥에 묻는 등의 위생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고여있는 세척수로 인하여 유아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목욕보조기구는 걸이수단을 통하여 욕실 내에서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욕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조가 용이하여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목욕보조기구를 욕실이 아닌 거실이나 방 등으로 가져와 기저귀나 옷을 갈아입힐 때 유아를 지지하는 용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하부바디부 바닥 등의 물기가 잘 건조가 되어 이동 시 물이 거실이나 방에 떨어지는 불편함과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는 종래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팔걸이 회동부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회전제어수단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축과 팔걸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축과 회전륜의 작용상태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보호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놀이수단의 나타내는 사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상부바디부(100)의 양측에 한 쌍의 팔걸이(20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바디부(100)의 하측에는 하부바디부(300) 및 높이조절부(400)가 형성되는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욕보조기구의 각 구성을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보조기구의 상부바디부(100)는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바디부(100)의 양측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는 한 쌍의 팔걸이(200)는 유아의 양팔 또는 겨드랑이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부바디부(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부바디부(100)와 팔걸이(200)는 유아의 신체가 접촉하므로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의 재질은 단단하거나 혹은 부드러운 재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팔걸이(200)의 회전은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는데 양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수단(500)을 상기 팔걸이(200)에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그 작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이 팔걸이(200)의 외측 방향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양측 팔걸이(200)가 임의로 벌어지지 않고 유아가 안정적으로 팔걸이(200)에 의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팔걸이(200)의 내측 방향 회전은 자유롭게 하여 유아의 체격에 맞게 양측 팔걸이(200)의 폭을 좁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상기 팔걸이(200)의 양방향 회전에 대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팔걸이(200)에 연동하는 회전제어수단(500)은 상부바디부(100)의 양측에 형성한 고정륜(510)과, 상기 고정륜(510)에 대하여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팔걸이(200)에 연동하는 회전륜(520)과, 상기 고정륜(510)과 회전륜(520) 사이에 개입되어 고정륜(510)과 회전륜(520) 간 상대적인 회전의 제한 및 해제를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550)(560)(570)와, 상기 스토퍼(550)(560)(57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그 작동 범위에 관여하는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스토퍼(550)(560)(570)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대해 상기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접촉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과 그 사이에 개입된 스토퍼(550)(560)(570)의 협착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자세하게는 고정륜(510)에 대한 회전륜(520)의 상대적 회전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회전륜(520)을 회전시킬 때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스토퍼(550)(560)(570)의 가압영역 사이의 상대적인 간격이 협소해짐에 따라, 즉 고정륜(510)과 회전륜(520)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스토퍼의 양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두 변화가 모두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을 통해, 고정륜(510)과 회전륜(520) 사이에 개입된 스토퍼(550)(560)(570)의 양 가압영역이 각각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가압접촉하는 협착작용을 통해 고정륜(510)에 대한 회전륜(520)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제한 작동 시 스토퍼(550)(560)(570)가 상기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대해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면 즉각적인 협착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협착작용이 일어나기 전 회전륜(520)이 일부 회전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협착작용이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스토퍼(550)(560)(570)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접촉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한 작동시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560)(570)의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을 형성하여 스토퍼(550)(560)(57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협착작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가압영역의 어느 일측에 형성한 돌기이거나 또는 접촉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한 돌기와 홈의 결합일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있어서도 톱니형, 삼각형, 반원형, 빗금형, 도트형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해제는 상기 협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벗어남으로써 수행되는데, 자세하게는 고정륜(510)에 대한 회전륜(520)의 상대적 회전의 제한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륜(520)을 회전시킬 때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스토퍼의 가압영역 사이의 상대적인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즉 고정륜(510)과 회전륜(520)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스토퍼의 양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또는 두 변화가 모두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을 통해, 고정륜(510)과 회전륜(520) 사이에 개입된 스토퍼의 양 가압영역이 각각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가압접촉하는 상태에서 벗어나므로 고정륜(510)에 대한 회전륜(520)의 상대적 회전의 제한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토퍼(550)(560)(570)가 제한 및 해제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작동범위가 제한되어야 하는데, 상기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위치설정수단의 조합에 의하여 스토퍼의 작동범위가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제어수단(500)의 일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상부바디부(100)의 양측에 회전제어수단(500)의 고정륜(51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륜(510)의 중심에는 팔걸이(200)에 연동하는 회전륜(520)을 삽입하며, 상기 고정륜(510)과 회전륜(5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550)를 개입하되, 상기 스토퍼(550)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입홈(530)을 형성하는바, 상기 요입홈(530)은 회전륜(520)에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륜(510)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요입홈(530)에는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 간 상대적 회전의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형성된 가압영역의 간격이 협소해져 협착작용을 하거나 벌어져 그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경사진 가압영역이 위치하는 경사면(531)이 형성된다. 한편 요입홈(530)에는 상기 경사면(531) 외에 스토퍼(550)의 작동범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으로서 측벽(53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의 조합에 의해 스토퍼(550)의 작동범위가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팔걸이(200)를 회전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의 협착작용에 의해 회전륜(520)이 고정륜(510)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이 제한되는바, 상기 팔걸이(20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클수록 팔걸이(200)를 구속하는 힘도 커지므로 강력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팔걸이(200)에 작용하는 외력만으로 팔걸이(20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500)의 스토퍼(550)는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접촉을 하는 볼로 구성하거나, 도시하지 않으나 선접촉을 하는 원기둥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접촉을 하는 다면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은 상기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스토퍼(550)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촉유지수단으로서 탄성체(580) 또는 자성체(585)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회전제어수단(500)의 회전 제한 작동시 스토퍼(550)가 상기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면 즉각적인 협착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협착작용이 일어나기 전 회전륜(520)이 일부 회전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협착작용이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는 접촉유지수단으로서 탄성체(580)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550)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대하여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58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7에 형성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580)는 요입홈(530)이 형성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륜(510) 또는 회전륜(520)에 형성할 수 있고 스토퍼(550)에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륜(510), 회전륜(520) 또는 스토퍼(55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접촉유지수단으로 자성체(585)를 이용한 예를 살펴보면, 접촉유지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자성체(585) 중 어느 하나는 회전륜(520) 또는 고정륜(510)에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스토퍼(550)에 형성하여 양측 자성체(585)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토퍼(550)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대하여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팔걸이(200)의 회전 제한 작용은 상기 탄성체(580) 또는 자성체(585)의 작용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팔걸이(200)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이용한 협착작용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580)의 탄성력과 자성체(585)의 자력은 스토퍼(550)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대하여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그리고 스토퍼(55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협착작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의 가압영역에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55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요철부(555)는 가압영역의 어느 일측에 형성한 돌기이거나 또는 접촉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한 돌기와 홈의 결합일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있어서도 톱니형, 삼각형, 반원형, 빗금형, 도트형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에 구비되는 스토퍼(560)는 고정륜(510)과 회전륜(520)에 대하여 선접촉을 하는 비정형 롤러로서 양측면의 대응하는 가압영역 간 간격이 점차 변하도록 스토퍼(560)의 일측 또는 양측의 외주면에 경사면(565)을 형성하여 팔걸이(200)를 회전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스토퍼(560)가 양측면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토퍼(560)의 양 가압영역이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가압접촉하는 협착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팔걸이(200)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제한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스토퍼(560)가 양측면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협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벗어남으로써 팔걸이(2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56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560)가 요입되는 별도의 가이드링(590)를 이용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륜(510) 또는 회전륜(520)에 요입홈(530)을 형성하여 그 측벽(532)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위치설정수단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의 조합에 의해 스토퍼(560)의 작동범위가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고정륜(510)과 회전륜(520)에 대한 스토퍼(560)의 접촉유지수단으로서 탄성체(580)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60)에 설치할 수 있고 고정륜(510), 회전륜(520), 가이드링(590) 중 어느 곳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60)의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스토퍼(56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협착작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에 구비되는 스토퍼(570)는 고정륜(510) 또는 회전륜(520)에 면접촉을 하는 제1부재(571)와 회전륜(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부재(571)의 협착을 유도하는 제2부재(57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57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요입홈(530)을 형성하여 그 측벽(532)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570)의 제1부재(571)는 다면체로서 고정륜(510)의 내주면에 대하여 면접촉을 하고 제2부재(572)는 회전륜(520)과 제1부재(571)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형성할 수 있는바, 팔걸이(200)를 회전이 제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570)의 제2부재(572)가 제1부재(571)를 고정륜(510) 측으로 미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부재(571) 및 제2부재(572) 양 측면의 가압영역이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에 가압접촉하는 협착작용을 하므로 팔걸이(200)의 회전이 제한되며, 팔걸이(200)를 상기 제한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스토퍼(570)의 제2부재(572)가 상기 방향의 반대반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협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벗어남으로써 팔걸이(2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의 제한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스토퍼(570)를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촉유지수단으로서 탄성체(5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70)의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스토퍼(57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협착작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제어수단(500)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륜(510)에 대하여 상기 회전륜(520)과 스토퍼(550)(560)(57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커버(5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 회전제어수단(500)은 협착작용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고, 각 실시예에 있어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560)(570)의 형상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560)(570)의 형상은 고정륜(510)에 대한 회전륜(520)의 상대적 회전 시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가압영역과 스토퍼(550)(560)(570)의 가압영역 사이의 상대적인 간격이 변화하여 협착작용을 하거나 그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고, 스토퍼(550)(560)(570)와 고정륜(510) 및 회전륜(520)의 접촉방식 또한 점접촉, 선접촉, 면접촉 또는 위 접촉방식이 복합된 형태로도 채택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고정륜(510), 회전륜(520) 및 스토퍼(550)(560)(57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 회전제어수단(500)과 팔걸이(200)는 상호 선택적으로 연동하도록 하여 팔걸이(200)가 회전제어수단(500)에 연동하지 않고 공회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를 목욕시킨 후 양측 팔걸이(200)를 외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바디부(100)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팔걸이(2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회전축(600)을 구비하는바, 상기 회전축(600)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630)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회전제어수단(500)의 회전륜(520)에는 상기 걸림돌기(630)가 결합되는 걸림홈(525)을 회전중심에 형성하여, 걸림돌기(630)와 걸림홈(525)의 결합시 팔걸이(200)가 회전제어수단(500)에 연동하고 상기 걸림돌기(630)가 걸림홈(525)에서 이탈할 경우 팔걸이(200)는 회전제어수단(500)에 연동하지 않고 공회전하여 팔걸이(200)에 대한 회전 제한이 해제되므로 결국 팔걸이(200)를 외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벌릴 수 있다.
상기에 있어 걸림돌기(630)가 걸림홈(52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600)이 축 방향으로 상하 위치이동이 가능하면서 팔걸이(200)에 대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돌기와 홈이 조합된 슬라이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00)의 상측에 상부홈(610)을 형성하여 팔걸이(200)의 내부 상측에 형성한 상부돌기(21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하고, 회전축(600)의 하측에는 하부돌기(620)를 형성하여 팔걸이(200)의 내부 하측에 형성한 하부홈(22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600)과 팔걸이(200)에 각각 형성한 슬라이더로서의 돌기와 홈의 조합은 그 위치를 바꾸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00)은 평상시 걸림돌기(630)가 회전륜(520)의 걸림홈(52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축(6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걸림돌기(630)가 회전륜(520)의 걸림홈(525)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600)의 상측에 스프링(650)을 개입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스프링(650)의 상단은 팔걸이(200)의 내부 상측에 지지되고 스프링(650)의 하단은 회전축(600)의 외주면에 형성한 받침돌기(640)에 지지되며 이때 스프링(650)의 탄성력은 회전제어수단(500)의 회전 제한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직 회전축(6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 팔걸이(200)에 대한 회전 제한을 해제하는 경우에만 작용하므로 결국 스프링(650)의 강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최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한편, 팔걸이(20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600)의 하단은 팔걸이(20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회전축(600)을 밀어 올리는 버튼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상부바디부(100)와 팔걸이(200) 사이의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끼이지 않도록 하거나 틈새에 유아의 피부가 위치하더라도 압착되지 않도록 하여 다치지 않도록 하는 피부보호수단으로서 상기 틈새에 위치하는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 또는 상기 틈새의 일부 혹은 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240)를 형성하는바, 상기 피부보호수단을 하기에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목욕보조기구의 팔걸이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부바디부와 팔걸이의 교접부는 접촉한 대상물을 마찰력에 의해 교접부 사이로 빨아들이며 압착하는 압착롤러와 같은 상호작용을 하므로 상기 교접부에 유아의 피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팔걸이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교접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빨려 들어가거나 압착되어 다치는 사고를 유발하는바, 상기 피부보호수단의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는 상부바디부(100) 및 팔걸이(200)의 교접부의 형상이 상기 압착롤러와 같은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형성되고, 상부바디부(100) 및 팔걸이(200)의 교접부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는 팔걸이(200)의 교접부 즉 팔걸이(200)가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피부를 빨아들이거나 압착할 수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한 것으로,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200)의 교접부에 세로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공간인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를 형성하여 압착롤러와 같은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형상에서 탈피함으로써 팔걸이(200)를 내측 방향으로 좁히는 과정에서 상부바디부(100) 및 팔걸이(200)의 교접부가 밀착된 피부를 교접부의 틈새로 빨아드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피부의 일부가 빨려들어가더라도 틈새가 넓어지므로 종래 좁은 틈새에 끼어 압착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압착되지 않아 유아의 부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에 있어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는 상부바디부(100) 및 팔걸이(200)의 교접부의 형상이 상기 압착롤러와 같은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구조에서 탈피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고 오목한 형태, 평평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피부보호수단으로서 차단부재(240)의 구성을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차단부재(240)는 상부바디부(100)와 팔걸이(2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여 유아의 피부가 상기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실리콘 등의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유아의 피부와 접촉시에 불쾌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틈새의 일부 혹은 전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240)는 패드형, 돌출구형, 피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바디부(100) 또는 팔걸이(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230)와 병행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드형 차단부재(24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디부(100)와 팔걸이(2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입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예로는 상부바디부(100)의 양측에 체결공(12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20)에 끼워지는 걸림구(245)를 이용하여 차단부재(240)를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240)의 세척 혹은 교체를 위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구(245)는 상부바디부(100)의 체결공(120)을 향해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부재(240)의 걸림구(245)는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구형 차단부재(24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디부(100) 및 팔걸이(200)의 교접부에서 상당부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팔걸이(200)를 내측 방향으로 좁힐 때 유아의 피부가 상기 틈새로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상기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피복형 차단부재(24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틈새 입구를 완전히 피복하여 유아의 피부가 틈새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피복형 차단부재를 상부바디부(100) 상단 또는 팔걸이(200) 상단까지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 차단부재는 틈새를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재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200)의 끝단에는 또 다른 안전수단으로서 이탈방지부(25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측 팔걸이(200)의 외측 방향 회전이 제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체중이 팔걸이(200)의 끝단에 과도하게 집중되면 유연한 유아의 상체가 양측 팔걸이(200)의 끝단 사이의 공간으로 이탈하거나 또는 하체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유아가 주저앉을 경우 유아의 목 부분이 팔걸이(200)의 끝단 사이의 공간으로 이탈하여 낙상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팔걸이(200)의 끝단이 유아의 등이나 가슴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동일 선상에서 상측으로 완만하게 굴곡져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250)를 형성함으로써 유아가 팔걸이(200)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양측 팔걸이(200)를 완전히 좁힌 상태에서 이탈방지부(250) 사이의 간격(L)이 3cm이하가 되도록 구성하여 유아가 주저앉는 경우에도 유아의 목을 지지하여 낙상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사용권장연령이 5개월~24개월이므로, 해당 연령에 속하는 유아 중 목이 가장 얇아 낙상의 위험이 큰 5개월~6개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이탈방지부(250) 사이의 간격별 유아의 목 통과여부를 조사한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cm까지는 전원이 통과하였고, 6cm 간격부터 통과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나오기 시작하며, 4cm 간격이 되면 대부분 통과 못하지만 일부는 통과하고, 3cm 간격의 경우 전원 통과하지 못하였으므로, 양측 이탈방지부(250) 사이의 간격(L)은 3cm이하가 되도록 하였을 때 현저한 질적 효과가 있다.
이탈방지부 사이의 거리(cm) 9 8 7 6 5 4 3 2 1
목이 통과하지 못한 유아(명) 0 0 0 2 7 18 20 20 20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는 팔걸이(2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위생상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배수구(270) 및 격벽(281)(282)을 팔걸이(200)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팔걸이(20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부(1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기 위해서 상부바디부(100)의 하우징(150)이 삽입되는 작동홀(H)이 불가피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홀(H)을 통하여 팔걸이(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외부로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을 빼기 위하여 목욕보조기구를 기울이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며 오히려 이 과정에서 물이 더 깊이 들어가기도 하는바, 이와 같이 손잡이(200)의 내부에 물이 잔류하면 목욕보조기구의 내부에서 물소리가 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팔걸이(200)의 내부에 곰팡이가 증식하는 위생상의 문제를 유발하므로, 본 발명은 팔걸이(200)의 저면에 다수의 배수구(270)를 형성하여 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걸이(200)의 내부는 보강용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구획된 각 공간마다 가장 낮은 위치의 저면에 배수구(270)을 형성하여 팔걸이(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2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200)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보강용 리브를 겸하는 격벽(281)(282)을 형성하되 상기 각 격벽(281)(282)의 끝단이 맞닿아 서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팔걸이(200)의 작동홀(H)로 유입된 물이 다른 구획 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물의 유입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팔걸이(200)의 조립시에 접합부를 초음파 또는 열융착, 접착제, 레진, 방수마감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여 팔걸이(2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하부바디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바디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유아가 발을 딛고 서는 공간인 디딤판(310)과 상기 디딤판(3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계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디딤판(310)은 목욕보조기구가 기울더라도 유아의 체중이 하중으로 작용하여 무게중심이 유지되므로 상기 목욕보조기구가 전도되지 않고 직립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경계부(320)는 유아가 디딤판(3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유아의 체중을 이용한 하부바디부(300)의 무게중심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아의 위치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300)에는 도 3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부(320)가 접하는 디딤판(310)의 전방으로 배출구(33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바디부(30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구(330)와 이어지는 배출통로(340)를 전방으로 형성하여 세척수 및 분변 등 이물질이 상기 디딤판(310)에 고이지 않고 즉시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부(300)에 형성된 경계부(320)는 목욕보조기구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 등은 디딤판(310)의 후방으로 쉽게 배출되지만, 통상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디딤판(310)의 전방으로 상기 세척수 등이 고일 수 있으며, 특히 배변 후 분변을 씻겨내는 경우 유아가 발을 딛는 디딤판(310)의 전방에 분변이 적체되면 유아의 발에 다시 묻는 등 비위생적이므로 상기 배출구(330)와 배출통로(340)를 통하여 상기 세척수 등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330)는 경계부(320)에 대해 터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세척수 등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양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하부바디부(300)의 저면에 형성한 배출통로(340)는 상기 배출구(330)를 통하여 배출된 분변 등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욕실 또는 욕조 바닥이나 하부바디부(300)의 바닥에 다시 묻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세척수 등의 흐름을 한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 있어 배출구(330) 및 배출통로(340)는 디딤판(310)의 측면에 형성하는 등 경계부(320)에 형성되는 형태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고 폭이 좁은 다수의 터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배출구(330) 및 배출통로(34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부(300)의 저면은 욕실이나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이 안착하도록 하여 목욕보조기구가 전도되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되 부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안착 지점에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형성한 마찰부재(370)를 부착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목욕보조기구에 대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300)의 디딤판(310) 상부에는 유아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낙상사고를 예방하도록 미끄럼방지패드(350)를 탈부착수단에 의하여 탈부착가능하도록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50)는 실리콘, 고무, TPE(Thermo Plastic Elastomer),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부드러우면서 미끄럼방지가 탁월한 유연성 수지로 형성하되 디딤판(3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5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에 돌출부(351)를 형성하여 유아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저면에는 요부(352)를 형성하여 디딤판(310)과 미끄럼방지패드(350) 사이의 접지력을 향상하면서 유아가 미끄럼방지패드(350)를 밟았을 때 상기 요부(352)에 의한 쿠션감이 생성되도록 하며, 다수의 통공(353)을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50)에 더 형성하여 물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탈부착수단은 미끄럼방지패드(350)의 저면에 형성된 흡착판(354)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딤판(310)에 대한 접지력을 더욱 견고하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상기 탈부착수단은 미끄럼방지패드(35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55)와 디딤판(31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55)에 대응하는 고정홈(315)으로 구성함으로써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디딤판(310)에 미끄럼방지패드(350)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패드(350)의 세척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물때나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청결히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 높이조절부(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상부바디부(100)와 그 하측의 하부바디부(300)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하부바디부(300)에 대하여 상부바디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바디부(100)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지지대(410)와 상기 하부바디부(300)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상부지지대(410)가 삽입되는 하부지지대(430) 및 상기 하부지지대(430)에 내설되어 상부지지대(4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공지의 고정버튼(450)으로 구성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400)는 상기 상부지지대(410), 하부지지대(430) 및 고정버튼(450)의 작동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놀이수단(7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는 유아이거나 또는 그 사용이 익숙한 유아라도 목욕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아가 힘들어하고 자세가 흐트러져 안정되지 못하므로 목욕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상기 상부바디부(100) 또는 높이조절부(400)에 놀이수단(700)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 또는 보호자가 가장 선호하는 놀이수단으로 효율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놀이수단이 없는 목욕보조기구를 구매할 수 있으므로 목욕보조기구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유아의 연령에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안전한 시각 및 촉각을 자극할 수 있는 놀이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바, 유아가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놀이수단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직접 만지는 놀이를 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은 물론이고 상기 시각, 촉각 자극에 의한 두뇌 발달과 손으로 만지는 행위에 의한 소근육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놀이수단(700)은 그 자체로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의 어떠한 곳이라도 착탈가능하고, 바람직하게 유아의 시각과 촉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즉 보면서 만지면서 놀수 있도록 유아의 시선과 손이 닿은 곳이면 어떠한 곳이든 착탈 가능하며, 이때 상기 놀이수단(700)은 스피너, 딸랑이, 치발기 등 그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놀이수단(700)을 유아의 시선과 손이 닿은 곳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복수의 놀이수단을 동시에 설치하기 위해서 도 3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지지수단(750)을 상부바디부(100) 또는 높이조절부(400) 또는 팔걸이(200) 등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와 놀이수단(700)사이에 개입시킬 수 있는바, 상기 지지수단(750)은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놀이수단(700)과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부(100)의 저면에 삽입홈(170)을 형성하여 지지수단(75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수단(750)의 상단에 놀이수단(700)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750)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J’자형 이외에도 ‘I’자형,‘∩’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막대형 지지수단 뿐만 아니라 테이블형 지지수단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부착방식에 있어서도 상기 지지수단을 상부바디부(100)에 삽입하는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설계변형이 가능한 바,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75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놀이수단(700)은 상기 막대형 지지수단에 삽입 또는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놀이수단(700)을 지지수단에서 분리하면 일상생활에서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욕보조기구는 협소한 욕실 면적에 비해 그 부피가 상당한데 욕실이나 욕조 바닥에 보관하는 경우 다른 목적으로 욕실 사용 시 목욕보조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불편함이 유발되고 하부바디부의 바닥 등 욕실 바닥과 접촉하는 부위에 물기가 유지되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욕보조기구의 상부바디부(100), 하부바디부(300)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또는 고리 등의 걸이수단(810)(820)(830)을 형성하여 수건걸이나 수건선반 등 욕실의 기존 구조물에 S자 고리 등의 걸이부재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걸이부재를 욕실 벽면에 부착하여 상기 목욕보조기구를 걸어서 보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상부바디부(100)의 후방 또는 측방에 형성한 걸이수단(810)(820)을 이용하여 목욕보조기구를 직립한 상태로 걸어 보관하거나 또는 하부바디부(300)에 형성한 걸이수단(830)을 이용하여 목욕보조기구를 벽면에 기대어 눕히거나 거꾸로 매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걸이수단은 홈, 고리형태 등 걸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걸이수단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목욕보조기구가 걸이수단 등을 통하여 욕실 내에서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욕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조가 용이하여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욕실이 아닌 거실이나 방 등으로 상기 목욕보조기구를 가져와 기저귀나 옷을 갈아입힐 때 유아를 지지하는 용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용도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은 하부바디부(300) 바닥 등의 물기가 잘 건조가 되어 이동 시 물이 거실이나 방에 떨어지는 불편함과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삭제
100: 상부바디부 120: 체결공
170: 삽입홈 200: 팔걸이
210: 상부돌기 220: 하부홈
230: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 240: 차단부재
245: 걸림구 250: 이탈방지부
270: 배수구 281, 282: 격벽
300: 하부바디부 310: 디딤판
315: 고정홈 320: 경계부
330: 배출구 340: 배출통로
350: 미끄럼방지패드 351: 돌출부
353: 통공 354: 흡착판
355: 고정돌기 370: 마찰부재
400: 높이조절부 410: 상부지지대
430: 하부지지대 500: 회전제어수단
510: 고정륜 520: 회전륜
525: 걸림홈 530: 요입홈
531: 경사면 532: 측벽
540: 커버 550, 560, 570: 스토퍼
555: 요철부 565: 경사면
571: 제1부재 572: 제2부재
580: 탄성체 585: 자성체
590: 가이드링 600: 회전축
610: 상부홈 620: 하부돌기
630: 걸림돌기 640: 받침돌기
650: 스프링 700: 놀이수단
750: 지지수단 810, 820, 830: 걸이수단

Claims (28)

  1. 보호자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유아가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와;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팔 또는 겨드랑이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기 상부바디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팔걸이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가 기립되어 있도록 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상부바디부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고,
    상기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고정륜, 회전륜 및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 사이에 개입되어 협착작용을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작용은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의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상기 스토퍼의 양 가압영역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두 변화가 모두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에 대하여 점접촉 또는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륜, 회전륜 및 스토퍼의 가압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에 대해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접촉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지수단은 탄성체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스토퍼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그 작동 범위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상기 고정륜 또는 회전륜에 형성되는 요입홈의 측벽 또는 상기 고정륜과 회전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팔걸이와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선택적으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의 회전중심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2. 보호자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유아가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와;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팔 또는 겨드랑이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기 상부바디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팔걸이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가 기립되어 있도록 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상부바디부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바디부와 팔걸이 사이의 틈새로 유아의 피부가 끼이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틈새에 유아의 피부가 위치하더라도 압착되지 않도록 하는 피부보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보호수단은 상기 팔걸이와 상부바디부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형성한 소정 형태의 피부끼임방지용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보호수단은 상기 틈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5. 보호자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유아가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와;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팔 또는 겨드랑이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기 상부바디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팔걸이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가 기립되어 있도록 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상부바디부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바디부에 형성되는 디딤판의 전방과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경계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에 상기 배출구와 이어지는 배출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7. 보호자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유아가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와;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팔 또는 겨드랑이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기 상부바디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팔걸이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가 기립되어 있도록 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상부바디부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는 놀이수단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수단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착탈되는 지지수단에 의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놀이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막대형 또는 테이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21. 보호자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유아가 넘어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에 있어서,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바디부와;
    유아가 일어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아의 팔 또는 겨드랑이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유아가 상기 상부바디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팔걸이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가 기립되어 있도록 하는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걸이는 상기 상부바디부에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좁히거나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고,
    상기 하부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유아용 목욕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욕실 또는 욕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안착하도록 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수단을 형성하여 수건걸이나 수건선반 등 욕실의 기존 구조물 또는 욕실 벽면에 형성한 걸이부재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홈이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보조기구.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230024662A 2023-02-23 2023-02-23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KR102611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662A KR102611226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KR1020230161377A KR102650717B1 (ko) 2023-02-23 2023-11-20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662A KR102611226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377A Division KR102650717B1 (ko) 2023-02-23 2023-11-20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226B1 true KR102611226B1 (ko) 2023-12-07

Family

ID=891632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662A KR102611226B1 (ko) 2023-02-23 2023-02-23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KR1020230161377A KR102650717B1 (ko) 2023-02-23 2023-11-20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377A KR102650717B1 (ko) 2023-02-23 2023-11-20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12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45A (ko) * 2005-09-30 2007-04-0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KR101438002B1 (ko)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20170001785A (ko) * 2015-06-25 2017-01-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4613A (ko) * 2017-04-11 2018-10-19 박맹준 유아용 목욕지지대
KR20220053913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내프터 레이더 센서 및 포토센서를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KR20220131036A (ko) 2021-03-19 2022-09-27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430A (ja) * 1998-11-30 2000-06-13 Kenjiro Teramoto 滑り止めシート体
JP2003319884A (ja) * 2002-04-26 2003-11-11 Aron Kasei Co Ltd 浴槽台
JP2014200420A (ja) * 2013-04-04 2014-10-27 メイク美創株式会社 身体障害者用浴用椅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45A (ko) * 2005-09-30 2007-04-0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KR101438002B1 (ko)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20170001785A (ko) * 2015-06-25 2017-01-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4613A (ko) * 2017-04-11 2018-10-19 박맹준 유아용 목욕지지대
KR20220053913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내프터 레이더 센서 및 포토센서를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KR20220131036A (ko) 2021-03-19 2022-09-27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KR102500146B1 (ko) * 2021-03-19 2023-02-15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717B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400B1 (en) Personal foot scrubber
US6226811B1 (en) Epidermal scrubbing device
US7310850B2 (en) In-between toe massager or cleaner with spatulate extensions
US5779653A (en) Back scrubbing and massaging apparatus
US7266857B1 (en) Foot scrubbing apparatus
US5813078A (en) Shower foot washer
KR20180072064A (ko) 세족용 슬리퍼
CN110881883B (zh) 一种用于老人洗澡的搓澡椅
US5444888A (en) Foot cleaning apparatus
KR102611226B1 (ko) 안전성 및 편의성이 개선된 고성능 목욕보조기구
US6779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gonomic basic chiropody
KR102028070B1 (ko) 유아용 목욕지지대
KR200486696Y1 (ko) 유아용 입식보조기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KR200465172Y1 (ko) 세족용 슬리퍼
KR101238668B1 (ko) 세족용 슬리퍼
KR200473198Y1 (ko) 발 세척 매트
CN111543878A (zh) 一种方便伤残人群使用的身体全面沐浴装置
KR101810095B1 (ko) 세족용 슬리퍼
JP439264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GB2343843A (en) Mountable back washing mat
KR102625494B1 (ko) 세족용 슬리퍼
JP2912550B2 (ja) 浴槽装置
CN210493934U (zh) 一种多用途马桶脚凳
KR200465190Y1 (ko) 발 세척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