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055B1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055B1
KR102611055B1 KR1020170001232A KR20170001232A KR102611055B1 KR 102611055 B1 KR102611055 B1 KR 102611055B1 KR 1020170001232 A KR1020170001232 A KR 1020170001232A KR 20170001232 A KR20170001232 A KR 20170001232A KR 102611055 B1 KR102611055 B1 KR 10261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topper
fastening
loc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008A (ko
Inventor
박진홍
조기철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723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7239948B2/en
Priority to PCT/KR2017/000897 priority patent/WO2017171215A1/en
Priority to EP17153831.7A priority patent/EP3225147B1/en
Priority to EP19156835.1A priority patent/EP3501370B1/en
Priority to CN201710076004.1A priority patent/CN107237561B/zh
Priority to US15/465,010 priority patent/US10321798B2/en
Publication of KR2017011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008A/ko
Priority to US16/402,388 priority patent/US10531782B2/en
Priority to US16/701,546 priority patent/US114194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기 도어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에 접촉되면 상기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락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Locke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를 비롯한 도어가 구비된 종래 장치들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어는 잠금장치를 통해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를 캐비닛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작동 중 상기 저장공간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는 상기 잠금장치가 투입구에 연통하는 공간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기 도어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에 접촉되면 상기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락;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홀더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기 전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락 바디; 자유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락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도어에 접촉하면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시키는 락 바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 연장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바디 연장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돌기의 너비는 상기 락 바디 연장부의 너비보다 좁게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바디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락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수용홈의 입구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락 바디 가이더; 상기 락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락 바디 가이더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가이더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제2슬라이더가 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바디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락 수용홈;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제2슬라이더가 이동하면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락 수용홈과 상기 접촉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락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수용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지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경사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체결부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락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접점지지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된 제1접점; 고정단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락 바디에 접촉하며,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접점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3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3접촉부; 상기 락 바디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접촉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3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제3접촉부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 바디에 접촉하는 가압부 바디; 상기 가압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3접촉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 상기 가압부 바디를 상기 락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어 있으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제1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바디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바디 경사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바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탄성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위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와 상기 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1바디 및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도어 제2바디가 구비된 도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 제2바디 중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면과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착되는 실링부;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폐쇄면과 상기 도어 제1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를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기 작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폐쇄면에 접촉하면 상기 작동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상태를 만들고, 상기 폐쇄면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에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 락;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왕복운동 범위는 상기 폐쇄면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했을 때 상기 실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작동부 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락 감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비정상상태에 있는 잠금장치에서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락 감지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식기세척기 이외의 다양한 가전기기(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등)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수납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21, 23),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터브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랙(191),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6)로 투입구(111)를 개방한 후 상기 랙 들(191, 193)을 상기 터브(11)에서 인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11) 내부를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면, 상기 터브(11)에는 상기 투입구(111)와 터브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15)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5)는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도어 제1바디(161) 및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통홀(115)을 폐쇄하는 도어 제2바디(163)로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연통홀(115)과 도어 제2바디(163) 사이에 위치하는 가스켓(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제2바디(163)는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투입구(1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도어 제2바디(163)에는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연통홀(115)을 폐쇄하도록 구비된 폐쇄면(167)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7)은 캐비닛(1)에 구비된 바디 고정부(113)에 결합되는 고정부(171),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연통홀(11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부(17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실링부(173)는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상기 연통홀(115) 방향으로 압착될 것이므로, 터브(11) 내부의 유체가 연통홀(115)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이 상부랙(191) 및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암은 상부랙(191)에 물을 분사하는 상부암(21), 하부랙(193)에 물을 분사하는 하부암(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21, 23)에서 수납대상에 분사된 물(터브에 잔류하는 물)은 섬프(13)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터브 바닥면(15)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바닥면(15)에는 상기 섬프(13)와 상기 터브(11) 내부를 연통시키는 회수홀(151)이 구비된다.
상기 섬프(13)는 급수유로(135)를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유로(135)는 밸브(13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펌프(4) 및 공급유로(3)를 통해 상기 분사암(21, 23)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유로(3)는 상기 펌프(4)에 연결된 연결유로(31), 상기 연결유로와 상부암(21)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33), 상기 연결유로와 하부암(23)을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암(21)은 제1공급유로(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암(23)은 제2공급유로(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는 연결유로(31)가 분지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의 분지점에는 각 공급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환밸브(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4)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펌프바디(41),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의 공간을 구분하여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에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형성시키는 격벽(42), 상기 격벽(42)에 구비되어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연통시키는 격벽관통홀(43), 상기 펌프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4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1챔버(421)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유입부(423)를 통해 상기 섬프(13)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 제2챔버(422)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배출부(424)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31)와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45)는 펌프바디(41)에 고정된 모터(46)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45)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에는 가열부(47)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바디(41)가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열판(471), 상기 가열판에 고정되되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4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471)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분사암(21, 23)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 및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펌프(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펌프(4)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00)는 펌프(4)에 구비된 가열부(47)를 통해 스팀을 터브(11)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에는 스팀공급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25)는 상기 터브(11)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251), 상기 노즐(251)과 상기 펌프 제1챔버(421)를 연결하는 스팀공급관(253),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밸브(25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노즐(251)이 도어(16)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노즐(251)은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도어의 일면 하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잠금장치(H, C)를 통해 도어(16)가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도어(16)와 캐비닛(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H),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H)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C)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16)를 캐비닛(1)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16)를 캐비닛(1)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였다.
한편,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공간(터브)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등)는 잠금장치가 터브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홀더(H)를 결합부(C)에 결합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이 홀더(H)를 결합부(C)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투입구(111)를 폐쇄(연통홀을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와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고정되는 홀더바디(51), 상기 홀더바디(51)에 구비되어 후술할 결합부의 체결바디(75)가 수용되는 수용홈(54), 상기 홀더바디(51)에 구비되어 결합부(C)에 구비된 이송부(95)를 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홈(54)에 삽입된 체결바디(75)가 수용홈(54)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H)의 형상은 상기 결합부(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홀더(H)는 상기 도어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수용홈(54)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하우징(6), 상기 하우징(6)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611),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H)에 결합하는 체결부(7),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며, 상기 홀더(H)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7)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9), 상기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7)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 상기 작동부(9)를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981, 9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은 상술한 체결부(7) 및 작동부(9)의 운동을 구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6)은 캐비닛(1) 내부에 형성되어 체결부(7)와 작동부(9)의 운동을 안내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의 하우징(6)은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 전방면(63), 상기 전방면(6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 상부면(61) 및 하부면(62)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부면(62)에는 상기 홀더의 돌기(53)와 상기 체결부(7)가 접촉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뿐 아니라 상기 작동부(9)에 구비된 이송부(95)가 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면 제1관통홀(621)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611)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서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은 하우징(6)의 형상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H) 전체가 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7)에 결합되는 구조라면 굳이 하부면 제1관통홀(621)과 같은 수단이 불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부(7)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바디(75), 상기 체결바디(75)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71) 및 제2바디(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홀더(H)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체결바디(75)에서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가 작동부(9)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작동부(9)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부(9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상기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지만 상기 이송부(9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각 슬라이더(91, 94)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각각 나란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95)는 각 슬라이더(91, 94)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이송부(95)가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가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71)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바디 가압부(91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74)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바디 가압부(94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향해 돌출(제1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 가압부(943)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향해 돌출(제2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71)에는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가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7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74)에는 상기 제2바디 가압부(943)가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7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상기 제1슬라이더(91)가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제1바디(71)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디 경사면(741)은 제2바디(74)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로 구비된 것은,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하우징(6) 내부에서 틀어질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디(75)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H)에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므로, 제1바디와 제2바디가 하우징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를 벗어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기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체결바디(75)가 원하는 시기에 상기 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작동부(9)가 하나의 슬라이더만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홀더(H)에 의해 이송부(95)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나의 슬라이더로 구비된 작동부(9)는 설정된 시점보다 빨리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를 가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중 어느 것도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로 구비되면, 상기 체결바디(74)가 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시점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단이므로, 상기 바디 가압부들(913, 94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들(71, 74)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시점의 편차가 최소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96)와 제2가이더(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96)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963)와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바(9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더(97)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97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바(9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하우징의 전방면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981)과 상기 제2수용부(97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상기 투입구(1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9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961)와 제2바(971)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바(961)는 상기 제1스프링(981)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바(971)는 상기 제2스프링(983)에 삽입되어 상기 제2수용부(973)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왕복할 때 각 스프링(981, 983)이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작동부(9)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홀더(H)의 돌기(53)가 이송부(95)에 접촉하므로, 각 슬라이더(91, 94)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압축되므로,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이송부(95)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슬라이더(91, 94)는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체결부(7)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상기 제2바디(74)의 자유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8, 도 3 참고)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1결합홈(713)과 제2결합홈(74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8)와 상기 결합홈(713, 743)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은 하우징(6)에 고정된 지지부(8)에 고정되고, 제1탄성체(77)의 타단은 각 바디(71, 74)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이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복원력 때문에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때 상기 체결바디(75)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잠금장치에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경우에만 상기 체결부(7)가 홀더(H)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작동부 락(L)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작동부(9)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9)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작동부 락(L)이 상기 도어(16)에 접촉하면 상기 작동부(9)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상기 도어(16)가 작동부 락(L)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9)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작동부에 구비된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작동부 락(L)이 제2슬라이더(9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하우징(6)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 바디(921), 상기 락 바디(921)에서 연장되되 자유단이 하우징의 하부면(6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락 바디 연장부(9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921)는 상기 하우징(6)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락 바디(921)는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통해 제2슬라이더(94)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락 바디(921)가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나, 상기 락 바디(921)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나란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락 바디(921)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한 상기 락 바디의 이동경로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가 형성하는 각도는 직각일 필요는 없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락 바디(921)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수용되는 락 수용홈(941)이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락 바디(9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락 바디 가이더(929)가 구비되고, 상기 락 바디(921)에는 상기 락 바디 가이더(929)가 삽입되는 가이더 삽입홀(921b)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락 바디 가이더(929)는 제2슬라이더(94)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삽입홀(921b)은 락 바디(921)에 구비될 수도 있고, 락 바디(921)에서 돌출된 제1플랜지(921a)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의 자유단은 하우징 하부면(62)에 구비된 하부면 제2관통홀(622, 도 2 참고)에 삽입되어 하우징(6)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의 자유단은 상기 도어(16)에 접촉한다.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가 도어(16)에 접촉하면 상기 락 바디(921)는 하우징(6)의 상부면(61)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락 바디(921)가 하우징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될 것이다.
상술한 락 바디 연장부(923)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락 바디 연장부(923)에 접촉할 때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락 바디 연장부(923)가 하부면 제2관통홀(622)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16)가 락 바디 연장부(923)에 접촉할 때 상기 도어(16)와 락 바디 연장부(92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에는 접촉돌기(9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925)는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락 바디 연장부의 너비(Z1, 도 5 참고)보다 작은 너비(Z2)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6)를 닫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락 수용홈(941)은 제2슬라이더(94)의 측면(락 바디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수용홈(941)은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지지되는 바닥면(941a),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에서 인출되는 개방면(941b, 락 수용홈의 입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94)에는 상기 개방면(941b)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제1경사면(9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942)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락 수용홈(941)에서 인출된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제2슬라이더(94)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되고,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락 수용홈(94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어에 구비된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가 이송부(95)에 접촉하기 전에 작동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작동부 락(L)이 홀더(H)의 돌기(53)에 의해 작동하게 하려면 상기 작동부 락(L)은 이송부(95) 이전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이송부(95)와 하우징의 전방면(63)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H)보다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부 락(L)이 홀더(H)의 돌기(53)에 의해 작동하게 하려면, 상기 돌기(53)의 형상은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위치까지 상기 락 바디(921)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돌기(53)가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어야만 이송부(95)에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돌기(53)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어렵고, 상기 돌기의 높이가 증가되지 못하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는 길이가 짧아져야 한다. 이는 작동부 락과 슬라이더의 체결력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H)보다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 잠금장치(H, C)에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는 제1슬라이더(91)가 상기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S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두 개의 감지부를 구비한 것은 어느 하나의 감지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지부(S1, 슬라이더 감지부)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1케이스(S11), 제1슬라이더(91)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S13),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접촉부가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S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S13)의 자유단은 하우징에 구비된 제1수용부(963)을 관통하여 제1수용부(96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촉부(S13)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접촉하면 제1스위치(S15)를 닫고(제1스위치가 구비된 회로를 연결하고), 제1슬라이더(91)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1스위치(S15)를 개방(제1스위치가 구비된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1접촉부(S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1접촉부(S13)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슬라이더(91)에는 제1슬라이더(91)의 후방면과 제1슬라이더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접촉부(S13)의 자유단은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감지부(S1, 슬라이더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는 제1자석,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제1슬라이더(91)가 이동하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감지부(S1)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잠금장치에 외력이 입력되면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위험(도 10 참고)이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을 가전기기에 구비된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체결바디 위치 감지부)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됐을 때 상기 제1접촉부(S13)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는 상기 제1자석이 제1바디(71), 제2바디(74) 및 체결바디(7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신호발생부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됐을 때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S2)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S21),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S23),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접촉부가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S2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S23)의 자유단은 하우징에 구비된 제2수용부(973)을 관통하여 제2수용부(97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촉부(S23)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접촉하면 제2스위치(S25)를 닫고(제2스위치가 구비된 회로를 연결하고), 제2슬라이더와 접촉이 해제되면 제2스위치를 개방(제2스위치가 구비된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더(94)와 상기 제2접촉부(S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와 제2접촉부(S23)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후방에는 접촉면(946, 도 3 참고)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S23)의 자유단은 곡면(도 4 참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46)은 제2슬라이더(94)의 후방면과 제2슬라이더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면, 상기 제2탄성체(981, 983)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94)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락 수용홈(941)과 접촉면(946) 사이에는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94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947)의 넓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락 수용홈(941)에는 바닥면(941a)에서 지지면(947)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9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 락의 슬라이더 체결부(927)에는 상기 제2경사면(945)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체결부 경사면(928, 도 5 참고)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상기 제2감지부(S2) 역시 제2슬라이더에 고정된 제2자석, 체결바디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 락(L)이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락 감지부(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감지부(S3)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접점지지부(S32),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된 제1접점(S34), 고정단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락 바디(921)에 접촉하는 제2접점(S3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921)가 제2슬라이더에 구비된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접점(S36)의 자유단은 상기 제1접점(S34)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 락(L)에는 상기 제1플랜지(921a)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접점(S36)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제2플랜지(921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은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체결바디(75)는 제1탄성체(77)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상기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부 락(L)은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고, 작동부 락(L)이 작동부(9)에서 분리되면 이송부(9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제2바디(163)에 구비된 폐쇄면(167)은 상기 도어 제1바디(161)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된다. 즉, 상기 돌기(53)는 상기 도어 제1바디(161)와 상기 폐쇄면(167) 사이에 형성된 공간(165)을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폐쇄면(167)은 상기 돌기(53)보다 상기 투입구(111)에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작동부 락(L)은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된 폐쇄면(167)에 접촉하고, 상기 작동부 락(L)이 폐쇄면(167)에 접촉되면 락 바디 연장부(923)는 하우징(6)을 향해 이동하며, 락 바디 연장부가 하우징을 향해 이동하면 슬라이더 체결부(927, 도 3 참고)는 제2슬라이더에 구비된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될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슬라이더(94)는 하우징(6)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홀더에 구비된 돌기(53)가 작동부에 구비된 이송부(95)에 접촉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는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시킨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체결부(7)에 구비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각 슬라이더에 구비된 바디 가압부(913, 943, 도 2 참고)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면(62)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바디 가압부(913, 943)에 의해 가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은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도어 제1바디(161)는 투입구(111)를 폐쇄하고, 도어 제2바디(163)는 연통홀(115)을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감지부(S1) 및 제2감지부(S2)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것이므로 제어부는 투입구 및 연통홀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기만 하면 상기 제1탄성체(77)가 상기 홀더(H)를 캐비닛 내부로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해야 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면,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체결바디(75)와 이송부(9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돌기(5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폐쇄면과 연통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 가능).
본 발명 잠금장치(H, C)에 의해 실링부(17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에 구비된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실링부(173)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에 구비된 홀더(H)는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에 위치하고, 투입구(111)가 폐쇄될 때 이송부(9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연통홀(115)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95)의 이동범위가 상기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을 벗어나도록 설정되면,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이송부(95)가 실링부(173)에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링부(173)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상기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 도어 제1바디와 상기 도어 제2바디의 폐쇄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6)를 열어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체결바디(75)가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체결바디(75)에 고정된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 의해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될 것이고,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2탄성체(981, 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탄성체(77)가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스토퍼(6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에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시키는 힘을 도어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홀더(H)를 상기 결합부(C)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하우징의 전방면(63)을 향해 이동하므로, 작동부 락(L)에 구비된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제1경사면(942)의 안내를 받아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어 제2슬라이더(94)의 위치를 고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투입구(111)와 연통홀(115)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 정도의 힘을 요구하고,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힘을 요구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체(77) 및 제2탄성체(981, 983)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이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개방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이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폐쇄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보다 큰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도어가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하우징의 전방면(6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전방면(63)에는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관통홀(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임에도 캐비닛(1)을 통해 하우징(6)으로 외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경우, 도 7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정상상태라고 할 때, 도 10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상태는 비정상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체결부(7)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앞서 언급한 지지부(8)가 도 10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된다면 상기 지지부(8)는 체결부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8)는 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탄성체(77)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바디(87), 상기 지지바디(87)에서 제1스토퍼(611)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8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 내부에 제1탄성체(7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지지바디(87)는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제1탄성체(77)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811, 제2스토퍼)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바디(75)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1플레이트의 일면(811)과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2플레이트의 일면(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2스토퍼가 제1플레이트의 전방면(811) 및 제2플레이트의 전방면(831)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87)에는 각 플레이트(81, 83)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부(89)의 된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87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에는 각 축이 수용되는 축지지부(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축지지부(85)는 각 플레이트를 향하는 지지바디(87)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축(871)은 각각의 플레이트(81, 83)에서 각 축지지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89)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제1스토퍼(611)와 상기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6)를 밀어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홀더의 돌기(53)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바디(7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중 상기 홀더의 돌기(53)가 접촉하는 영역은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연장부(89)는 축(871)을 중심으로 체결바디(7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것이므로,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와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이송부(95)와 체결바디(75) 사이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더(H)에 의하지 않고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더라도 홀더(H)와 결합부(C)를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611)에는 상기 연장부(89)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안착부(6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부(613)는 상기 연장부(89)가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된 하부면 제1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연장부(89)가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지지바디(87)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홀(6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상기 연장부(89)가 회전할 때 연장부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상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홀(6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면서 소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신호를 통해 투입구(111)가 도어(16)에 의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소리신호는 클수록 유리하겠지만, 이 경우 체결바디(75)나 제2스토퍼(811, 831)의 파손이 우려되므로 소리신호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따라 결정되고, 본 발명 잠금장치는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을 줄이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이려면 별도의 완충수단을 잠금장치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완충수단의 일례로 제2스토퍼(811, 831) 또는 지지바디(87)에 구비되는 댐퍼(84)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체결바디(75)는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고, 이 과정에서 소리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 중 일부를 흡수하는 댐퍼(84)가 제2스토퍼(811, 831)에 구비된다면, 체결바디나 제2스토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결바디가 제2스토퍼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댐퍼(84)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가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9의 상측에 도시된 실시예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지지바디(87)에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수용부(82)를 통해 연장부(89)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7)에 상기 체결바디(75)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댐퍼(84)가 구비되면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락 감지부(S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락 감지부(S3)는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3케이스(S31), 상기 제3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된 제3접촉부(S33), 상기 제3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3접촉부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3스위치(S35), 상기 락 바디(921)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락 바디(921)가 상기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접촉부(S33)를 가압하여 상기 제3스위치(S35)를 작동시키는 가압부(S37)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S37)는 상기 락 바디(921)와 제3접촉부(S33)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S37)는 상기 락 바디(921)가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락 바디에 구비된 제2플랜지(921c)에 의해 상기 제3접촉부(S3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921c)에 의해 상기 가압부(S37)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플랜지(921c)에는 플랜지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S37)에는 상기 플랜지 경사면에 접촉하는 가압부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촉부(S33)는 상기 가압부(S37)에 접촉하면 제3스위치(S35)를 닫고(제3스위치가 구비된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가압부(S37)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3스위치(S35)를 개방(제3스위치가 구비된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12는 상기 가압부(S37)가 제2플랜지(921c)를 통해 상기 락 바디(921)에 접촉하는 가압부 바디(S371), 상기 가압부 바디(S371)에 구비되는 가압돌기(S373), 상기 가압부 바디(S371)를 상기 락 바디(921)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스프링(S379)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가압돌기(S373)는 상기 락 바디(921)가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3접촉부(S33)를 가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스프링(S379)은 상기 가압부 바디(S371)와 제2플랜지(921c)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도 12의 가압부(S37)는 상기 가압부 바디(S37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바디가이더(S37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바디가이더(S375)는 일단은 상기 가압부 바디(S3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6)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스프링(S379)은 상기 바디가이더(S375)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부(S377)와 하우징(6)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락 감지부(S3)가 구비된 가전기기는 도어(16)가 열린 상태에서 가전기기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락 감지부(S3)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를 폐쇄한 경우에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한다. 따라서, 가전기기의 제어부(미도시)가 락 감지부(S3)에서 전송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에만 가전기기를 작동시킨다면,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가전기기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터브 111: 투입구
115: 연통홀 13: 섬프 16: 도어
21: 상부암 23: 하부암 25: 스팀공급부
3: 공급유로 4: 펌프 41: 펌프바디
42: 격벽 43: 격벽 관통홀 45: 임펠러
47: 가열부 H, C: 잠금장치 H: 홀더
51: 홀더바디 52: 연장바디 53: 돌기
54: 수용홈 C: 결합부 6: 하우징
61: 상부면 611: 제1스토퍼 613: 안착부
62: 하부면 621: 하부면 제1관통홀 622: 하부면 제2관통홀
7: 체결부 71: 제1바디 711: 제1바디 경사면
713: 제1결합홈 74: 제2바디 741: 제2바디 경사면
743: 제2결합홈 75: 체결바디 77: 제1탄성체
8: 지지부 81: 제1플레이트 83: 제2플레이트
85: 축지지부 87: 지지바디 871: 축
89: 연장부 9: 작동부 91: 제1슬라이더
94: 제2슬라이더 941: 락 수용홈 95: 이송부
96: 제1가이더 961제1바 963제1수용부
97: 제2가이더 971제2바 973제2수용부
913: 제1바디 가압부 943: 제2바디 가압부 981: 제1스프링
983: 제2스프링

Claims (31)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기 도어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에 접촉되면 상기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홀더가 상기 이송부에 접촉하기 전 상기 도어에 접촉하여 상기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락 바디;
    자유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락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도어에 접촉하면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시키는 락 바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 바디 연장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 바디 연장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돌기의 너비는 상기 락 바디 연장부의 너비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 바디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락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 수용홈의 입구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락 바디 가이더;
    상기 락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락 바디 가이더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가이더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제2슬라이더가 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 바디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락 수용홈;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제2슬라이더가 이동하면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락 수용홈과 상기 접촉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락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락 수용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지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경사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체결부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락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락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접점지지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된 제1접점;
    고정단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락 바디에 접촉하며,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접점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락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3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3접촉부;
    상기 락 바디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접촉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3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제3접촉부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 바디에 접촉하는 가압부 바디;
    상기 가압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락 바디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3접촉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
    상기 가압부 바디를 상기 락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 지지되어 있으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제1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바디를 가압하는 제1바디 가압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가압하는 제2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는 제1바디 경사면;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디 가압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는 제2바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탄성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된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디와 상기 제2스토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9.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와 상기 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제1바디 및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상기 터브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도어 제2바디가 구비된 도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 제2바디 중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면과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착되는 실링부;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폐쇄면과 상기 도어 제1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상기 연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 제1바디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를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상기 작동부를 상기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
    상기 작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폐쇄면에 접촉하면 상기 작동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상태를 만들고, 상기 폐쇄면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에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 락은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왕복운동 범위는 상기 폐쇄면이 상기 연통홀을 폐쇄했을 때 상기 실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KR1020170001232A 2016-03-28 2017-01-04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KR10261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239948A AU2017239948B2 (en) 2016-03-28 2017-01-25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PCT/KR2017/000897 WO2017171215A1 (en) 2016-03-28 2017-01-25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17153831.7A EP3225147B1 (en) 2016-03-28 2017-01-30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19156835.1A EP3501370B1 (en) 2016-03-28 2017-01-30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CN201710076004.1A CN107237561B (zh) 2016-03-28 2017-02-13 锁和具有该锁的家用电器
US15/465,010 US10321798B2 (en) 2016-03-28 2017-03-21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6/402,388 US10531782B2 (en) 2016-03-28 2019-05-03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6/701,546 US11419477B2 (en) 2016-03-28 2019-12-03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54 2016-03-28
KR20160037154 201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008A KR20170113008A (ko) 2017-10-12
KR102611055B1 true KR102611055B1 (ko) 2023-12-08

Family

ID=6014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32A KR102611055B1 (ko) 2016-03-28 2017-01-04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33B (zh) * 2021-03-04 2022-08-02 宁晋县百花烛业有限公司 一种注塑零件用多功能边缘裁切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0510A2 (en) 2010-11-08 2012-05-09 Eltek S.p.A. Do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bistable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0510A2 (en) 2010-11-08 2012-05-09 Eltek S.p.A. Do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bistabl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00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1370B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3190249B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0667667B2 (en) Dishwasher
US963785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240107B2 (ja) 衣類処理装置
US10251529B2 (en) Dishwasher
US8726791B2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having a tank for accommodating a fluid
KR102435757B1 (ko)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KR101968311B1 (ko) 식기세척기
KR102611055B1 (ko)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US20170188784A1 (en) Control apparatus for water flow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455188B1 (ko)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AU2017239948B2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2352392B1 (ko) 식기세척기
KR20210071372A (ko) 식기세척기
US1085148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168427B2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US10912440B2 (en) Dishwasher
JP2001327452A (ja) 食器洗浄機
KR20180006100A (ko) 식기세척기
KR20150000268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