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982B1 -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982B1
KR102610982B1 KR1020210017787A KR20210017787A KR102610982B1 KR 102610982 B1 KR102610982 B1 KR 102610982B1 KR 1020210017787 A KR1020210017787 A KR 1020210017787A KR 20210017787 A KR20210017787 A KR 20210017787A KR 102610982 B1 KR102610982 B1 KR 10261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water
extraction unit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367A (ko
Inventor
김형석
권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to KR102021001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은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제3배출홀 및 제4배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각 배출홀에서 유입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배출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형성되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면을 막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캡슐이 추출되는 경우에도 각 음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 본연의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 커피를 마시는 새로운 타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캡슐커피 추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캡슐커피 역시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지는 많은 종류가 사용자들에 판매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커피 이외에 차 등을 유사한 방식으로 추출하여 마시는 방식 및 이러한 장치 역시 판매가 되고 있다.
그러나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사용자에 제공되는 경로가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맛 또는 풍미를 가지는 캡슐을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경우 미세하게 맛이 섞이게 되고, 캡슐이 제공하고자 하는 본연의 맛 또는 풍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커피와 차의 경우 전혀 다른 형태의 음료이기 때문에 하나의 추출장치에서 커피와 차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통한 추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0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다른 하나의 음료의 추출을 위한 유출 경로를 통한 잔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캡슐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머신용 코크하우징 모듈은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제3배출홀 및 제4배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각 배출홀에서 유입되는 음료가 수용되어 배출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형성되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면을 막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크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크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이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되는 추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홀에 끼워지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상기의 코크하우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는 어느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3배출홀에 대응되는 제1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캡슐수용부는 다른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4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더라도 각 캡슐 고유의 음료의 맛이 섞이지 않게 음료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코크하우징의 출수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교체 또는 세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2개의 공간이 형성된 코크하우징을 실링하여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 발생한 증기압력이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음료 추출장치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시제품 사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추출유닛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 및 커피캡슐수용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하우징 돌출부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을 통한 음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에서 코크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추출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 및 본체 사이의 배관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추출유닛 및 출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8는 도21의 분해사시도;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의 시제품 사진;
도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인 도29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의 배관 및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6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2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37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3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38은 본 발명의 일시예의 보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관유닛이 제1보관모듈과 제2보관모듈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보관모듈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보관모듈의 회전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4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보관모듈의 캡슐수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보관모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음료 추출장치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는 본체(100), 추출유닛(200), 보관유닛(300),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포함한다.
공지된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경우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을 직접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주방으로 공급되는 급수원의 물을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캡슐음료를 추출한다.
그리고 정수를 위한 필터 등이 구비된 본체(100)와 캡슐(c)이 수용되는 추출유닛(200)이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여, 추출유닛(2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냉수, 온수, 정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출수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자인적 일체감이 있는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을 모듈 형태로 포함한 정수기 형태로 구성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나아가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추출유닛(200)은 싱크대의 상부 또는 아일랜드 식당 등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일랜드 식탁에 설치되는 경우,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급수관이 제공되는 경우 본체(100)를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지만, 급수관이 싱크대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경우,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체(100)와 추출유닛(200)을 연결하는 배관(30) 및 전선(40)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1에서의 본체(100)의 경우 출수기능이 없지만, 도2에서와 같이 본체(100')는 출수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1에서와 같이 본체(100) 및 출수유닛(200)을 같이 선택하지 않고, 출수유닛(200)만을 선택하는 경우 기존의 정수기 형태의 본체(100')에 출수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연결배관은 정수기 형태의 본체(100')의 과일 등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라인에 연결되거나, 정수가 출수되는 라인에 연결되어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시제품 사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추출유닛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추출유닛(200)의 하부에 컵 또는 받침대(26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베이스(210), 하우징(220), 조작부(230), 고정부(240), 캡슐수용부(250), 받침대(26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전체 추출유닛(200)의 하부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21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에 고정이 되는 방식이 채택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싱크대 등의 설치위치에 관통구(H)를 타공하고, 관통구(H)를 통과하여 고정부(240)와 결합이 되면서 설치위치에 고정이 된다.
베이스(210)와 고정부(240) 사이의 체결에는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베이스(210)의 하부에는 관통구(H)에 삽입되는 돌기(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211)와 고정부(2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베이스(210)가 설치 위치에 고정이 된다.
한편, 베이스(210), 돌기(211) 및 고정부(240)에는 후술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추출유닛(200)의 외부로 내부에 노출되도록 내부에 상, 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배관(30), 연결전선(40) 및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유닛(200)만 싱크대의 상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노출되게 된다.
하우징(220)은 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출수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캡슐음료의 추출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부품을 수용한다. 즉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의 캡슐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20)은 상부가 절곡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220)은 추출유닛(200)의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은 추출유닛(200)의 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원기둥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230)가 구비된다.
하우징(220)은 전면하우징(221) 및 후면하우징(222)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하우징(221)에는 후술하는 캡슐수용부(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홀(221b)이 전면에 형성되고, 하부에 후술하는 코크팁(272)이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는 돌출부(221a)가 형성된다.
조작부(230)는 전면하우징(221) 및 후면하우징(222)의 상면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전체 추출유닛(20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조작부(230)에는 추출유닛(200)의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수용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캡슐(c)(예를 들어 커피, 차 등)이 수용되고, 하우징(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수용되는 캡슐의 종류에 따라서 복수 개의 캡슐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피, 차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 각 종류에 대응되는 캡슐수용부를 사용하여 음료의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가 구비되고, 제1캡슐수용부는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커피캡슐수용부(250)이고, 제2캡슐수용부는 차캡슐이 수용되는 차캡슐수용부(250')인 것으로 설명을 한다.
한편 또 다른 종류의 음료나 다양한 종류의 차 캡슐 사용시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캡슐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수용부(250, 250')의 개수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추출플레이트(280)에도 2개의 배출홀(280a, 280b)가 형성되고, 코크하우징(270)의 내부에도 2개의 공간(S1, S2)이 형성될 것이다.
캡슐수용부(250,250')는 하우징(22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하우징(221)에 형성된 개구홀(221b)를 통하여 하우징(220)에 결합된다.
캡슐수용부(250, 250')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체적으로 동일하지만, 캡슐(c)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홀(252a, 252b)이 형성된 위치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피캡슐수용부(250)에는 제1배출홀(252a)이 왼쪽에 되어 후술하는 제3배출홀(280b)을 통하여 제2공간(S2)로 유동한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캡슐수용부(250')에는 제2배출홀(252b)이 오른쪽에 배치되어 제4배출홀(280a)을 통하여 제1공간(S1)으로 유동한다.
한편, 제1배출홀(252a) 및 제2배출홀(252b)의 위치를 제외한 커피캡슐수용부(250) 및 차캡슐수용부(25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커피캡슐수용부(25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커피캡슐수용부(2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캡슐(c)를 넣거나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재(251), 베이스부재(252), 수용부재(253) 및 추출부재(25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251)는 커피캡슐수용부(250)가 삽입되는 개구홀(221b)를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캡슐수용부(250)가 개구홀(221b)를 통하여 하우징(220)에 결합이 되는 경우 하우징(220)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부재(251)에는 해당 캡슐수용부(250,250')가 커피캡슐수용부(250)인지 차캡슐수용부(250')인지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문양 등의 표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도10 참조).
베이스부재(252)는 추출부재(254) 캡슐(c)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부재(251)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재(252)의 상면은 후술하는 추출부재(2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추출부재(254)를 통과한 추출음료가 하부로 유동할 수 있는 제1배출홀(252a)가 형성된다(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차캡슐수용부(250')에는 제2배출홀(252b)가 형성될 것이다).
추출부재(254)는 베이스부재(252)의 상면에 위치하고, 캡슐(c)의 상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254b) 및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추출홀(2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슐(c) 내부 음료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하여 돌기(254b) 및 추출홀(254a)는 다수개가 캡슐(c) 상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부재(254)에는 캡슐(c)의 상면에 추출부재(254)에 안착되는 순간 캡슐(c) 상면 커버에 구멍을 뚫리게 하기 위한 핀(254c)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캡슐(c)의 상면은 추출을 위한 압력이 캡슐(c)에 인가되기 전에 핀(254c)에 의하여 타공이 된 상태이다. 따라서 내부의 압력이 줄어든 상태에서 캡슐(c)에 압력이 제공되더라도 고압으로 인한 추출수가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재(253)는 베이스부재(2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캡슐(c)이 수용되는 공간(253a)이 형성되며, 캡슐(c)의 하부가 노출되는 홀(253b)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추출부재(254)의 상면에 캡슐(C)를 올려놓은 수용부재(253)를 회전시킴에 따라 캡슐(C)이 수용부재(253) 내부의 공간(253a)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재(253)의 홀(253a)을 통하여 캡슐(c)의 하부에 구멍이 뚫리면서 캡슐(c)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추출된 음료는 추출부재(252)의 돌기(254b)에 의하여 뚫린 캡슐(c) 상면의 구멍 및 추출홀(254a)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이 경우 핀(254c)에 의하여 캡슐(c) 내부의 고압의 상태가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수의 돌기(254b)가 캡슐(c) 상면에 다수의 구멍을 내는 과정에서 추출수가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가 될 것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 및 커피캡슐수용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에서는 차 또는 커피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의 각 음료의 맛이 썩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의 종류별로 다수의 캡슐수용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캡슐수용부(250) 및 차캡슐수용부(25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캡슐수용부(250, 250')가 삽입되었음을 홀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를 하고, 조작부(23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 캡슐의 추출방식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하우징 돌출부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을 통한 음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에서 코크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 내지 도15을 참조하면, 하우징(220)에 수용되는 캡슐수용부(250)의 하부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형성된 플레이트(280)이 구비된다. 따라서 캡슐수용부(250)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배출홀(280a, 280b)를 통과하게 된다.
배출홀(280a, 280b)은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281)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재(281)는 2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선택된 배출홀(280a, 280b)를 차폐한다. 결국 캡슐수용부(250)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출홀(280a, 280b)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개폐부재(281)로는 배출홀(280a, 280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재(281)는 상, 하 이동하면서 배출홀(280a, 280b)를 차폐하는 개폐부(281a), 개폐부(281a)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281b)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부(281)의 상, 하 이동에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수용부(250, 250')에 각각 형성된 제1배출홀(252a) 및 제2배출홀(252b)를 통하여 추출되는 음료의 압력을 통하여 개폐부(281a)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캡슐(C)의 추출을 통하여 가압되어 배출되는 음료는 하우징에 결합된 캡슐수용부(250,250')의 종류에 따라 제1배출홀(252a) 또는 제2배출홀(252b)로 가압된 상태로 배출이 되게 된다.
따라서 제1배출홀(252a)를 통하여 가압된 음료가 배출되는 경우 제3배출홀(280b)를 차폐하는 개폐부(281a)가 하부로 이동을 하면서 제3배출홀(280b)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배출홀(252b)를 통하여 가압된 음료가 배출되는 경우 제4배출홀(280a)을 차폐하는 개폐부(281a)가 하부로 이동을 하면서 제4배출홀(280a)를 개방하게 된다.
코크하우징(270)은 선택된 배출홀(280a, 280b)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코크하우징(270)의 내부에는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구비되므로 각 배출홀(280a, 280b)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이동경로가 중복되지 않도록 코크하우징(270) 내부의 격벽(27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71)에 의하여 코크하우징(270) 내부의 공간은 2개의 공간(S1, S2)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2개의 추출홀(280a, 280b)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경로가 중복되지 않도록 각 공간(S1, S2)를 통하여 코크팁(272b)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c)(예를 들어, 커피캡슐과 차캡슐)을 동시에 사용을 하여 음료를 추출하더라도 서로 경로가 중복되지 않아 세척을 하지 않더라도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크하우징(270)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상부면의 막아 추출과정에서의 음료가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27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추출을 하지 않는 쪽의 코크로는 잔수가 발생을 하지 않게 된다. 실링부(273)에는 2개의 추출홀(280a, 280b)에서 배출되는 음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273a, 273b)가 형성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유동경로를 통하여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링부(273)는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공간으로 추출과정의 증기압 등이 얾겨가지 못하도록 한다. 나아가 개폐부재(281)가 추출압력에 의하여 개방이 되는 구조이므로 음료가 추출되지 않는 유로로는 잔수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크팁(272b)은 하우징(220) 돌출부(221a)의 하부로 노출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크팁(272b)를 분리하여 교체 또는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코크팁(272b)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크하우징(270)의 저면에 돌출돌기(272a)가 형성되고, 코크팁(272b)는 상기 돌기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그리고 돌출부(221a)의 저면, 코크팁(272b)의 둘레에는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223)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16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한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들의 경우 음료의 전체적인 추출과정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코크하우징(1270)의 하부에는 상부의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된 추출돌기(1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추출돌기의 2개의 출수홀에 끼워지는 커버(1272b)가 구비된다.
커버(1272b)는 위생성, 결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실시예에서의 코크하우징(270)과 같이 하우징(220)의 돌출부(221a)의 하부로 커버(1272b)가 노출이 되고, 사용자는 커버(1272b)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도18 및 도19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코크하우징(2270)의 하부에는 상부의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2272)이 코크하우징(227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노즐(2272)는 하우징(220)의 돌출부(221a)의 하부에 노출이 되고, 사용자는 노즐(2272)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도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추출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추출유닛(200)과 연결배관(30) 및 전선(4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 등이 수용된다. 특히 후술하는 것과 같이 추출유닛(200)과 함께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300)이 함께 본체(100)에 연결되는 경우 본체(100)에는 정수, 온수, 냉수 등 정수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품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101)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면커버(102)를 분리한 다음 교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110), 연결전선결합부(12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1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사용자가 추출유닛(200)의 위치 및 본체(100)의 위치를 주방에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본체(100)와 출수유닛(20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와 원수공급원과의 거리 및 본체(100)와 배수구와의 거리 역시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정수기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110), 연결전선결합부(12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 (140)가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를 설치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용자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를 결정하면, 상기 거리에 따라 배관 및 전선 등의 거리를 결정하고, 본체에 배관 및 전선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배관결합부(11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140)의 경우 결합시 누수가 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결합부(110)는 정수연결배관결합부(111)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112)을 포함한다. 연결전선결합부(120)는 신호전선결합부(121) 및 전기전선결합부(122)를 포함한다.
연결배관(3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연결되고,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를 유동하는 물이 흐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30)은 정수연결배관(31) 및 배수연결배관(32)을 포함한다.
연결배관(3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에 따른 길이 및 연결 후 누수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위치결정에 따라 연결배관(30)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배관(30)의 양측에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결합한 다음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200)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배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제공이 된다. 그리고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결정에 따라 결정된 길이로 자른 다음 끝단에 연결구(34)를 결합시키고, 본체(100)의 정수연결배관결합부(1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113)에 각각 결합을 시키게 된다.
연결전선(4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연결되어,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각 부품에 제어적인 신호와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전선(40)는 전원연결전선(41) 및 신호연결전선(42)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계과정에 따라 하나의 전선이 연결전선이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전선(40)도 연결배관과 마찬가지로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각각에서 연결전선(40)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연결구(43)가 결합되고, 각 연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이 되게 된다.
한편, 연결전선(40)은 배수배관(30)과 달리 추출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서 연결구에 의하여 체결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43)를 수용하는 하우징(4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4)의 내부에는 연결구(43)의 형태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연결구(43)는 하우징(44)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이 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결구(43)가 싱크대 하부 공간 등에 위치하는 바, 싱크대 하부 등의 누수 등이 발생을 하더라도 하우징(44)은 연결구(43)가 누수에 노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원수배관(50) 및 배수배관(60)을 더 포함한다.
원수배관(50)의 일단은 본체(100)의 원수배관결합부(1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배관(60)의 일단은 본체(100)의 배수배관결합부(1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구에 결합된다.
도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 및 본체 사이의 배관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4을 참조하면, 원수배관(50)을 통하여 본체(10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101)을 거치면서 정수가 되게 된다. 그리고 정수연결배관(31)을 통하여 본체(100)에서 추출유닛(200)으로 유입된다.
추출유닛(200)으로 유입된 물은 펌프(280)를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캡슐수용부(250)로 들어간다. 그리고 캡슐수용부(250) 내부에 위치하는 캡슐(c)의 음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료는 코크하우징(27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그리고 펌프를 통한 가압과정에서 여분의 물은 배수연결배관(32)을 통하여 추출유닛(200)에서 본체(100)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5 및 도2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를 덮는 커버유닛(29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물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면, 해당 지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타공을 한다. 그리고 관통구(H)를 통하여 추출유닛(100)과 고정구(14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추출유닛(200)을 고정한다(도5 참조).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정수기를 철거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출유닛(200)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관통구(H)가 노출이 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싱크대의 상판의 경우 원목, 대리적 등으로 제작되어 복원이 쉽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싱크대 상판의 타공을 꺼려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유닛(290)을 이용하면, 싱크대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커버유닛(290)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자가 추출유닛(200)의 설치위치를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뚫은 경우에도 새로운 관통구(H)를 뚫지 않더라도 추출유닛(200)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290)은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를 포함한다.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는 다양한 길이 및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개개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추출유닛(20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의 베이스(210)에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하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의 베이스(210')에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다. 따라서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은 베이스(210')의 측면으로 배출이 되고, 배출이 된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은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를 통하여 차폐가 되게 된다.
한편,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의 완벽한 차폐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베이스(210')는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마지막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는 최대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는 지점을 통하여 싱크대 하부 등에 위치하는 본체(100)와 연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290)은 연결커버(293)을 더 포함한다. 연결커버(293)은 베이스와 같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커버(293)는 베이스(210')와 같이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이 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커버(293)의 하부는 상기 실시예의 베이스(200)와 같이 고정부(240)과 나사결합이 되는 돌기(293a)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연결커버(293)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한 경우, 형성된 관통구(H)에 연결커버(293)을 설치함에 따라 새로운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추출유닛(200')의 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싱크대의 상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싱크볼(S)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싱크볼에 연결커버(293)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추출유닛 및 출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8는 도2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7 및 도28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체(1100),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상기 설명한 캡슐음료 추출장치에 정수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출수유닛(13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구성이다.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13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에 따라, 정수기의 정수, 온수, 냉수의 공급 또는 공지된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본체(1100), 출수유닛(1300) 또는 추출유닛(12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 및 추출유닛(200)만 사용하여 캡슐음료 추출장치로 사용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100),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사용하여 캡슐음료 추출장치 및 정수기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100) 및 출수유닛(1300)만 구비하는 경우, 정수기로만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3가지의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다가 간단한 유닛 교체 및 배관연결과정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최근 정수기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렌탈을 이용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상기 3가지의 형태 중 어느 하나를 렌탈을 이용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하나의 서비스로 변경을 하는 경우에 렌탈 사용자 입장에서 간단한 교체만으로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렌탈 서비스 제공을 하는 입장에서도 장비의 교체를 최소화하면서 서비스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음료의 추출을 위한 추출유닛(1200) 및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1300)이 본체(1100)와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복수 개의 추출유닛(1200) 또는 출수유닛(1300)이 주방에 다양한 지점에 설치를 위하여 본체에 연결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캡슐음료추출 또는 정수 기능 이외의 얼음의 추출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이 모듈 형태로 공급되어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이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본체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방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한의 부품만 유닛에 구비를 하고, 다른 부품들의 싱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에 배치를 하여 외부에 노출이 되는 각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체(1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을 설치자는 유닛을 추가 또는 제거함에 있어서 간편하게 유닛을 선택하고,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을 연결 또는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사용형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는 본체(1100) 및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을 포함한다.
제1유닛 및 제2유닛으로는 정수, 온수, 냉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는 출수기능이 있는 출수유닛(1200), 수용되는 캡슐(c)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유닛(1300), 공급되는 물을 통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디스펜서유닛 등 본체(11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유닛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이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유닛(140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유닛(1400)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이 고정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추출유닛고정부(1410) 및 출수유닛고정부(1420)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이 베이스유닛(1400)에 고정되기 때문에 2개의 고정부가 형성되나, 고정부는 고정되는 유닛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추출유닛고정부(1410) 및 출수유닛고정부(1420)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작동을 위해서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과 전기적신호가 전달되는 연결전선이 연결이 되어야 한다.
물을 공급 또는 회수하는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은 베이스유닛(1400)을 관통하여 양자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 양자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고, 추출유닛(1200)에 연결된 다음,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300)으로는 온수, 정수, 냉수가 유동함에 따라 연결배관이 추출유닛(120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보다 많다. 따라서 출수유닛(1300)과 본체(1100)가 연결되고,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이 연결된다.
즉, 출수유닛(1300)과 본체(1100)은 제1연결배관(1030)으로 연결되고, 제1연결배관(1030)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 제1온수연결배관(1032) 및 제1배수연결배관(10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은 제2연결배관(1070)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배관(1070)은 제2정수연결배관(1071) 및 제2배수연결배관(10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과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제2배수연결배관(1072)는 제2배수연결배관(1033)과 연결되어 배수가 유동하게 된다. 구체적인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은 후술한다.
한편, 베이스유닛(1400)의 하부에는 제1연결배관(1030)이 관통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고정부(1340)를 통하여 베이스유닛(1400)는 고정이 되게 된다.
연결전선의 경우 역시 추출유닛(1200), 출수유닛(1300) 및 본체(11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추출유닛(1200)에는 외부 전원가 연결되는 콘센트(1200a)가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베이스유닛(1400)의 전방에는 출수유닛(1300) 및 추출유닛(1200)에서 나오는 물 또는 음료 등을 수용하는 컵 등이 위치하거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1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의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을 연결하지 않는다. 즉,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는 각각 별개의 급수유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2정수연결배관(1071')는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도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30 및 31를 을 참조하면,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의 좌, 우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유닛(1400')의 추출유닛고정부 및 출수유닛고정부 역시 좌, 우 변경된 상태가 된다. 나아가 받침대 역시 상기 실시예와 좌, 우가 변경된 상태로 제공이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좌, 우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2 및 도33를 참조하면, 원수배관(1050) 및 배수배관(1060)은 본체(1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은 제1연결배관(1030) 및 연결전선(104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100) 및 출수유닛(1300)에는 정수, 온수, 냉수의 공급 및 다양한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품이 나누어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효과적인 정수, 온수,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출수유닛(1300)에 구비하고, 나머지 부품은 본체(1100)에 구비하여, 출수유닛(1300)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100)는 싱크대의 하부 등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부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고, 적은 부피의 출수유닛(1300)을 원하는 지점에 간편하게 위치시키거나 옮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와 가열기(6)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5)는 본체(1100)에 구비하고, 가열기(6)만 출수유닛(1300)에 배치를 시킨다. 따라서 출수유닛(130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출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을 할 수 있게 된다.
원수배관(1050)으로 들어온 물은 필터(101)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된다. 그리고 정수의 경우 필터(101)에서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출수밸브(8)을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냉수의 경우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된 후, 역시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출수밸브(8)를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한편, 본체(1100)의 내부에는 증발기(4)에서의 냉각을 위한 냉각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응축기(2)가 구비될 것이다.
온수의 경우 유량조절부(5)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제어되고, 제1온수연결배관(1032)을 통과한 후, 가열기(6) 및 출수밸브(8)를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제1온수연결배관(1032)의 길이가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배관에 장시간 수용된 물의 경우 배수를 한 다음 새로운 물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시간 미사용이라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정수연결배관(1031) 또는 제1온수연결배관(1032)의 물은 제1배수연결배관(1033) 및 배수배관(10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추출유닛(1200)의 경우 정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제2정수연결배관(1071) 및 제2배수연결배관(10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과 연결되어 정수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배수연결배관(1072)는 제1배수연결배관(1072)과 연결되어 캡슐(c)의 추출에 사용된 후의 물은 제1배수연결배관으로 유동하게 된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인 도29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을 연결하지 않는다. 즉, 제2정수연결배관(1071')는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35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2실시예의 배관 및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체적인 배관의 구성 및 유체의 유동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300)에는 안전배수배관(108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배수배관(1080)은 가열기(6)에 연결되고, 가열기(6)의 과압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1080)에는 체크밸브(1080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1080)을 유동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배수배관(1080)의 타단은 배수배관(60)에 연결된다.
도36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3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7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4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서로 분리하여 배치된다.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분리하여 배치가 되는 점에서 전체적인 배관의 연결 및 유체의 흐름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1070)이 베이스유닛(1400)의 내부에 수용이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유닛(1400)이 구비되지 않고,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은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를 가지게 된다.
특히 출수유닛(1300)의 베이스(1310)의 경우 제1연결배관(1030) 및 연결전선(1040)이 관통하여, 고정부(1340)에 의하여 싱크대의 상판에 고정된다. 그리고 추출유닛(1200)의 베이스는 기립을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2연결전선(1070)은 외부로 노출이 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도20 및 도21에서 설명한 커버유닛(290)이 적용되어 제2연결전선(1070)을 차폐하게 된다.
구체적인 커버유닛(290)의 구조 및 결합방법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원하는 지점에 이동하여 배치를 할 수 있고, 이에 다른 배관들의 노출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각각 본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실시예와 달리 추출유닛(1200)과 본체(1300)는 제3연결배관(1070')에 의하여 직접 연결이 된다.
그리고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은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를 가지고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는 고정구(1240, 1340)에 의하여 고정이 되게 된다.
이하 다른 구성 및 유체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 제1연결배관(1030) 및 제3연결배관(1070')이 직접 연결이 되므로 사용자는 출수유닛(1300) 및 추출유닛(1200)을 사용하다가 추출유닛(1200)만 사용을 하더라도 본체(1100)에 제3연결배관(1070')만을 연결하여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도38은 본 발명의 일시예의 보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관유닛이 제1보관모듈과 제2보관모듈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보관모듈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보관모듈의 회전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4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보관모듈의 캡슐수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보관모듈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8 내지 도4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관유닛(600)은 복수 개의 캡슐(c) 및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 중 하나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보관유닛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캡슐(c)의 종류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캡슐수용부(250, 250')를 동시에 간편하게 보관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1캡슐수용부는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커피캡슐수용부(250)이고, 제2캡슐수용부는 차캡슐이 수용되는 차캡슐수용부(250')인 것으로 설명을 한다.
보관유닛(600)은 제1보관모듈(610) 및 제2보관모듈(620)을 포함한다. 제1보관모듈(610)은 복수개의 캡슐(c)dl 고정되는 구성이고, 제2보관모듈(620)은 사용하지 않는 캡슐수용부(250, 250')가 보관되는 구성이다.
제1보관모듈(610) 및 제2보관모듈(6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된 상태로 사용이 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로 사용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관모듈(610)은 제2보관모듈(6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보관모듈(610) 및 제2보관모듈(620)은 다양한 체결구조가 채택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자력에 의하여 고정 및 분리가 되는 구성이 채택된다.
제1보관모듈(610)은 바디(611), 제1보관부(612), 제2보관부(613) 및 베이스(614)를 포함한다.
바디(611)는 제1보관모듈(6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제1보관부(612)는 바디(611)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보관부(613)은 바디의 타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1보관부(612)는 바디(611)의 전면에 형성되고, 제2보관부(613)는 바디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1보관부(612) 및 제2보관부(613)에는 복수 개의 캡슐고정부(615)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캡슐고정부(615)는 다양한 배치로 구성이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캡슐고정부(615)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가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관부(612)에 15개, 제2보관부(613)에 15개 총 30개의 캡슐(c)이 보관이 되게 된다.
캡슐고정부(615)는 캡슐수용홈(615a)이 형성된 플레이트(615b)를 포함한다. 캡슐수용홈(615a)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 우 방향으로 3개의 캡슐수용홈(615a)이 형성된다.
캡슐수용홈(615a)는 전방이 개구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의 폭(d)은 캡슐(c)의 안착부(615c)에 안착되는 지점의 좌, 우 방향 가장 긴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바디(611)를 회전을 시키는 경우에도 캡슐수용홈(615a)에 고정된 캡슐(c)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캡슐수용홈(615a)의 내측에는 캡슐(c)의 상부의 캡이 안착되는 안착부(615b)가 형성된다. 즉 캡슐(c) 상부의 캡의 하부면은 안착부(615b)에 안착이 되어 보자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플레이트(615b) 및 안착부(615c)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 각도(θ)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바디(611)를 회전을 시키는 경우에도 캡슐수용홈(615a)에 고정된 캡슐(c)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베이스(614)는 바디(611)가 상, 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베이스(61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베이스(614)의 저면은 사용자가 제1보관모듈(610)을 제2보관모듈(620)가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의 상부(614)에는 후술하는 바디(611) 하우의 스톱퍼(611b)가 삽입되는 스톱퍼홀(61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611)를 회전시키는 제1보관부(612) 또는 제2보관부(613)가 전면에 배치가 되도록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바디(611)와 베이스(614)는 상, 하 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한다면 다양한 회전 구조가 채택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611)의 하부에 복수 개의 베어링(611a)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제2보관모듈(620)은 제1캡슐수용부(250) 및 제2캡슐수용부(25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보관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보관모듈(620)의 전면에는 개구홀(6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캡슐수용부(250)가 개구홀(620a)를 통하여 삽입이 되면서 제1캡슐수용부(250)가 개구홀(620a)를 차례를 하게 된다.
한편, 제2보관모듈(620)과 제1캡슐수용부(250) 및 제2캡슐수용부(250')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제1캡슐수용부(250) 및 제2캡슐수용부(250')의 제2보관모듈(620)로의 진입 및 고정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2보관모듈(620)는 통기홀(620b)이 형성되어, 제2보관모듈(620)에 수용되는 캡슐수용부의 건조 등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는 2개의 캡슐수용부(250, 250')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예를 들어 커피와 차)를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보관모듈(620)을 통하여 사용하지 않는 캡슐수용부를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보관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본체 110: 연결배관결합부
120: 연결전선결합부 130: 원수배관결합부
140: 배수배관결합부 200: 추출유닛
210: 베이스 220: 하우징
230: 디스플레이부 240: 고정부
250: 캡슐수용부 260: 받침대
270: 코크하우징 280: 추출플레이트
290: 커버유닛 600: 보관유닛
610: 제1보관모듈 620: 제2보관모듈
1300: 출수유닛 1040: 베이스유닛
1030: 제1연결배관 1040: 연결전선
1070: 제2연결배관 1400: 베이스유닛
1410: 추출유닛고정부 1420: 출수유닛고정부

Claims (7)

  1.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제3배출홀 및 제4배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각 배출홀에서 유입되는 음료가 수용되어 배출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형성되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면을 막기 위한 실링부;
    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는 어느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3배출홀에 대응되는 제1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캡슐수용부는 다른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4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형성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출홀 및 제4배출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크팁을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되는 추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홀에 끼워지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017787A 2021-02-08 2021-02-08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10261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787A KR102610982B1 (ko) 2021-02-08 2021-02-08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787A KR102610982B1 (ko) 2021-02-08 2021-02-08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67A KR20220114367A (ko) 2022-08-17
KR102610982B1 true KR102610982B1 (ko) 2023-12-08

Family

ID=8311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787A KR102610982B1 (ko) 2021-02-08 2021-02-08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9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ko) *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60301A1 (it) * 2006-02-17 2007-08-18 Maddalena Ricotti Apparato per la produzione di un infuso di una bevanda aromatica
NL2007192C2 (nl) * 2011-02-07 2012-08-08 Bravilor Holding Bv Drankbereidingsinrichting voorzien van een met de hand in hoogte verstelbare uitstroominrichting.
KR102449623B1 (ko) 2015-10-02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ko) *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67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1298C2 (ru) Вспениватель молока,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машин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AU201020282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6701826B2 (en) Electric coffee maker for selectively brewing Espresso coffee and Americano coffee
RU2459637C2 (ru) Под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лизных аппаратов
CN104602577B (zh) 多功能壶和使用该壶的饮料制作机
AU2018347169B2 (en) Refrigerator
US20070158366A1 (en) Liquid cartridge for use in a beverage system
DK3079536T3 (en) Milk foam apparatus,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20020028920A (ko) 여과 유체 분배 시스템
US10687656B2 (en) Coffee machine
CN107917573B (zh) 冰箱
RU200610357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олочной пены и/или для подогрева молока
WO2011135479A1 (en) Modular system for making beverages
US20120085241A1 (en) Electrical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104709864B (zh) 饮料提供机
SE509625C2 (sv) Anordning för bryggning av drycker och utmatning av varmvatten
KR102610982B1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RU242331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ного вентиля
KR102411725B1 (ko) 분리된 복수 개의 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98529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KR102562522B1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30098124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KR102532689B1 (ko)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30084107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캡슐수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CN201360836Y (zh) 茶水自动冲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