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006B1 -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006B1
KR102610006B1 KR1020230095203A KR20230095203A KR102610006B1 KR 102610006 B1 KR102610006 B1 KR 102610006B1 KR 1020230095203 A KR1020230095203 A KR 1020230095203A KR 20230095203 A KR20230095203 A KR 20230095203A KR 102610006 B1 KR102610006 B1 KR 10261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video
video content
advertis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Original Assignee
이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2023009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006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61A priority patent/KR102660968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57A priority patent/KR102660964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58A priority patent/KR102660965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60A priority patent/KR102660967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62A priority patent/KR102660969B1/ko
Priority to KR1020230169759A priority patent/KR10266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학습 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Advertising delivery method using video platform}
본 발명은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플랫폼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그와 함께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종래의 포털 사이트에서의 검색 기능 등도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수행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들은 대부분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자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동영상 플랫폼에서의 광고 시장의 규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영상 플랫폼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자에 대한 성향이나 관심사와 관계없이 재생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광고를 일괄적으로 제공함으로 광고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2-0151459호(동영상 기반 광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해당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학습 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명칭 및 상기 레이블에 기반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동작 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연계되어 저장된 자막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시청자 유입이 요구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가공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특성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학습 과목,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동영상의 리스트,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이 증가될수록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에 대응하여 타겟의 학습 레벨이 일치하는 광고 콘텐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자의 학습 상태를 고려하여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니즈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서버)가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되는 서버(10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100)와 연동되어 상기 서버(100)에서 지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광고 제공 단말(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의 동영상 콘텐츠의 수신 및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동영상 콘텐츠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들을 매칭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2 사용자 단말로 동영상 콘텐츠가 전달되도록 하는 통신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 측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고,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서버(100)의 지원 하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시, 사용자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고 제공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는 외부 기기인 광고 제공 단말(300)과 통신을 통해, 상기 광고 제공 단말(3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광고 제공 단말(300)로부터 획득된 광고 콘텐츠를 항목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의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측으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미리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0)는 콘텐츠 제공부(140) 및 광고 선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메모리(120) 및 통신부(1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120)는 사용자 단말(200)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획득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 등 외부 기기와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0)는 서버(100)가 외부 기기들과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콘텐츠의 분류 등 콘텐츠를 관리하는 동작과,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부(140) 및 광고 선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는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 콘텐츠 가공부(143) 및 콘텐츠 전송 지원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된 콘텐츠의 속성을 판단하여 분류하는 등 콘텐츠를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 측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속성은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의 관련 분야, 주제,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강의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강의가 아닌 학습 영상(예, 사용자가 업로드한 본인의 문제 풀이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학습과 관련성이 낮은 비학습 영상(예, 개인 공부 인증용 영상, 유머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동영상 콘텐츠의 속성을 판단할 시, 앞서 언급한 동영상 콘텐츠의 종류인 강의 동영상, 강의가 아닌 학습 영상, 비학습 영상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구분 정보는 레이블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속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레이블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로 해당 광고 콘텐츠의 레이블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임의의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를 STT(Speech to text) 동작에 의해 텍스트(자막)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상기 STT 동작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자막) 정보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키워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항목은 예를 들어, 사용된 빈도, 특이도(타 영상의 자막에서 검색될 확률 대비 기준치 이상 높은 사용 빈도)등이 해당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광고 콘텐츠뿐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도 유사한 방법으로 동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로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레이블을 지정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광고 제공 단말(300)로부터 획득된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직접 수신하고, 이를 레이블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는 해당 광고의 목적(예, 가입, 판매, 안내, 시청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광고의 타겟(예, 고1, 고2, 지방 거주자, 독서실 사용자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서 주요하게 광고하는 대상체(예, 학습 도구, 학원, 강사, 영양제 등)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는 앞서 언급된 항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속성 판단부(141)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레이블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는 데 요구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판단하며, 사용자를 판단된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의 기본 신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그룹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내역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고1 그룹, 고2 그룹, 고3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주요 학습 과목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실제 고1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주로 고2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를 고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가 준비하는 진로 분야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의학계열 준비 그룹, 어문학계열 준비 그룹, 상경계열 준비 그룹, 공학계열 준비 그룹 등으로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를 그룹별로 분류한 이후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가 지정한 진로 분야를 준비하는 것과 관련된 필요사항(예, 최소한 필요한 학습(동영상 강의)일정)을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정보(진로 분야별 필수로 지정된 또는 권장되는 학습 일정)에 근거하여 설정하고, 해당 사용자가 해당 진로 분야를 준비함에 있어 추가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상기 최소한의 필요한 학습 일정과 대비한 사용자의 학습 일정으로부터 사용자의 추가 학습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의 진로 분야에 대응하여 A과목에 대한 10개의 섹션(예, 교과서의 단원에 대응하여 설정)에 대한 학습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실제 사용자의 학습 완료 상황은 A과목에 대한 5개의 섹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상기 A과목에서 사용자가 학습을 완료한 5개의 섹션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섹션에 대하여 추가 학습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진로 분야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고, 해당 분야로 진학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의 주요 시청 콘텐츠와 관련된 과목 또는 상기 과목을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한 섹션에 대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는 사용자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색 내역, 시청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청 동영상 리스트,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를 통해 획득되고 판단된 사용자의 특성 관련 정보는, 추후 광고 선택부(150)의 특성 기반 선택부(151)에 의해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가공부(143)는 시청자 유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가공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는 광고 제공 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 가공부(143)는 시청자 유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동영상 콘텐츠(예, 강의 동영상)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동영상 가공을 통해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콘텐츠 가공부(143)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동영상 콘텐트를 기설정된 시간 단위(예, 1분)로 분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콘텐츠 가공부(143)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예, 강의 동영상)을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숏폼 형태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동영상 콘텐츠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복수개 샘플링하고, 샘플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장면 변화가 시작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분할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전송 지원부(14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전송 지원부(144)는 상기 광고 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선택부(150)에서 지정한 빈도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프로세서(110)의 구성 중 상기 광고 선택부(15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가 사용자 측에 제공되면, 그와 함께 사용자 측에 제공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선택부(1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선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선택부(150)는 특성 기반 선택부(151), 효과 기반 선택부(152) 및 빈도 선택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특성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사용자의 특성을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학습 과목(또는 학년, 학습 단계),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동영상의 리스트,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동영상의 재생이 멈추기까지 소요된 시간),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의 사용자 정보 수집부(142)에 의해 수집되고 결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사용자의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학습 과목 등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연령, 또는 학습 단계에 대한 그룹(예, 고1 그룹, 고2 그룹, 등)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그룹에 대응하여 타겟 설정된 광고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사용자가 고2 그룹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2 그룹에 대하여 타겟 설정된 광고 콘텐츠인 고2 문제집에 대한 광고를 상기 사용자에게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광고 콘텐츠의 타겟 정보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지정된 레이블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사용자의 이전 시청 동영상 콘텐츠 내역을 획득하고, 이들의 레이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획득된 이전 시청 동영상들의 레이블의 빈도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에 대한 주요 관심 영역(예, 독해, 미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 영역(내지는 관심 카테고리)를 예측할 수 있고, 사용자의 관심 영역과 대응하는 레이블을 갖는 광고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사용자의 관심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의 레이블에 대한 연관 관계는 기설정된 공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레이블에 대한 연관 관계는 주요 시청자들의 광고 클릭 비율을 통해 통계한 결과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사가 독해로 판단된 사용자들에게서 광고 클릭 비율이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된 광고 콘텐츠들의 레이블은 해당 관심 영역과 매칭 연관 관계를 상기 클릭 비율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특성 기반 선택부(151)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카테고리)와 광고 콘텐츠의 레이블 간 연관 관계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광고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레벨)을 예측하고, 예상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으로 별도 분류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집중 시청 시간은 사용자가 일 강의 동영상을 재생한 시점으로부터 중지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평균을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서 강의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시선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강의 동영상의 재생이 자동으로 멈추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사용자의 상기 집중 시청 시간과, 사용자의 참여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학습 레벨의 예상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참여도는 사용자가 꾸준히 동일 과목 또는 동일 섹션에 해당하는 강의 동영상을 기설정된 간격(예, 하루)으로 기설정된 기간(예, 1주일) 이상 시청하였는지 여부, 강의 동영상을 시청한 이후 질문을 작성하는 빈도 등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별도의 테스트를 수행하지는 않지만, 사용자의 평소 강의 시청에 대한 습관과 관련된 요소들(집중 시청 시간, 참여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학습 레벨을 예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효과 기반 선택부(152)는 산출된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에 대응하는 또는 동일한 학습 레벨을 타겟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는 주 타겟 시청자의 학습 레벨을 지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콘텐츠는 예를 들어, 상위권을 타겟으로 하는 광고, 중위권을 타겟으로 하는 광고, 하위권을 타겟으로 하는 광고 등으로 주요 타겟 시청자의 학습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빈도 선택부(153)는 사용자 특성에 따라 광고의 빈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빈도 선택부(153)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이 증가될수록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빈도 선택 동작은 해당 서버(100)을 통해 동영상 강의를 제공받고 이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이 제공받는 광고를 줄이기 위해 보다 집중하여 학습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서버)가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측 단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 내지 전송 요청을 수신(501)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 요청받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50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00)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5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시, 사용자의 학습적 요소와 관련된 사용자 특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의 연령(학년)이나, 사용자의 주요 시청 강의 내역 등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과목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연령, 학습 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고 콘텐츠는 타겟 대상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콘텐츠 각각은 광고 대상 물품이나 광고 목적 등에 따라 고3 대상 광고, 고2 대상 광고 등으로 미리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504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학습 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명칭 및 상기 레이블에 기반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동작 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연계되어 저장된 자막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시청자 유입이 요구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가공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특성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학습 과목,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동영상의 리스트,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이 증가될수록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에 대응하여 타겟의 학습 레벨이 일치하는 광고 콘텐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침(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0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 및 실행을 포함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나아가,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40 : 콘텐츠 제공부
141 : 콘텐츠 속성 판단부
142 : 사용자 정보 수집부
143 : 콘텐츠 가공부
144 : 콘텐츠 전송 지원부
150 : 광고 선택부
151 : 특성 기반 선택부
152 : 효과 기반 선택부
153 : 빈도 선택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광고 제공 단말

Claims (7)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학습 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 빈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이 증가될수록 광고 콘텐츠의 제공 빈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집중 시청 시간은, 상기 강의 동영상의 재생이 시작된 시점부터 중지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의 평균에 해당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강의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예상 학습 레벨에 대응하여 타겟의 학습 레벨이 일치하는 광고 콘텐츠를 매칭하고,
    상기 참여도는,
    상기 사용자가 동일 과목 또는 동일 섹션에 해당하는 강의 동영상을 기설정된 간격에 따라 기설정된 기간 이상 시청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가 강의 동영상을 시청한 이후 질문을 작성하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산출된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명칭 및 상기 레이블에 기반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블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동작 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연계되어 저장된 자막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시청자 유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 동영상 콘텐츠를 가공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특성에 매칭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되,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학습 과목,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동영상의 리스트, 사용자의 집중 시청 시간,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30095203A 2023-07-21 2023-07-21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61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203A KR102610006B1 (ko) 2023-07-21 2023-07-21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1A KR102660968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가 속한 그룹 특성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KR1020230169757A KR102660964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성향 및 관심사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58A KR102660965B1 (ko) 2023-07-21 2023-11-29 카테고리 설정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0A KR102660967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KR1020230169762A KR102660969B1 (ko) 2023-07-21 2023-11-29 동영상 기반의 콘텐츠 제공 메커니즘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30169759A KR102660966B1 (ko) 2023-07-21 2023-11-29 학습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203A KR102610006B1 (ko) 2023-07-21 2023-07-21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9757A Division KR102660964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성향 및 관심사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0A Division KR102660967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KR1020230169759A Division KR102660966B1 (ko) 2023-07-21 2023-11-29 학습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30169762A Division KR102660969B1 (ko) 2023-07-21 2023-11-29 동영상 기반의 콘텐츠 제공 메커니즘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30169758A Division KR102660965B1 (ko) 2023-07-21 2023-11-29 카테고리 설정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1A Division KR102660968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가 속한 그룹 특성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006B1 true KR102610006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7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203A KR102610006B1 (ko) 2023-07-21 2023-07-21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1A KR102660968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가 속한 그룹 특성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KR1020230169758A KR102660965B1 (ko) 2023-07-21 2023-11-29 카테고리 설정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2A KR102660969B1 (ko) 2023-07-21 2023-11-29 동영상 기반의 콘텐츠 제공 메커니즘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30169757A KR102660964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성향 및 관심사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59A KR102660966B1 (ko) 2023-07-21 2023-11-29 학습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30169760A KR102660967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9761A KR102660968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가 속한 그룹 특성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KR1020230169758A KR102660965B1 (ko) 2023-07-21 2023-11-29 카테고리 설정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62A KR102660969B1 (ko) 2023-07-21 2023-11-29 동영상 기반의 콘텐츠 제공 메커니즘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30169757A KR102660964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성향 및 관심사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KR1020230169759A KR102660966B1 (ko) 2023-07-21 2023-11-29 학습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30169760A KR102660967B1 (ko) 2023-07-21 2023-11-29 사용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광고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6100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532A (ko) * 2010-10-12 2012-04-20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568A (ko) * 2011-11-25 2013-06-04 (주)진학어플라이 진학 또는 진로 예측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1783B1 (ko) * 2017-05-11 2017-09-25 조영효 개인교육이력을 기반으로 직업 추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취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047A (ko) * 2018-10-31 2020-05-08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서버, 컨텐츠 제공 단말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10123607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바른교육그룹 복합적 성향 분석 기반의 진로 진단 시스템
KR20220151459A (ko) 2021-05-06 2022-11-15 윤승현 동영상 기반 광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76292B1 (ko) * 2022-08-19 2022-12-13 다본다몰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페달 박스 촬영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블랙박스 관리 시스템
KR20230036627A (ko) *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창의와날개 체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영상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532A (ko) * 2010-10-12 2012-04-20 송영선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568A (ko) * 2011-11-25 2013-06-04 (주)진학어플라이 진학 또는 진로 예측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1783B1 (ko) * 2017-05-11 2017-09-25 조영효 개인교육이력을 기반으로 직업 추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취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047A (ko) * 2018-10-31 2020-05-08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서버, 컨텐츠 제공 단말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10123607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바른교육그룹 복합적 성향 분석 기반의 진로 진단 시스템
KR20220151459A (ko) 2021-05-06 2022-11-15 윤승현 동영상 기반 광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36627A (ko) * 2021-09-07 2023-03-15 주식회사 창의와날개 체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영상제공시스템
KR102476292B1 (ko) * 2022-08-19 2022-12-13 다본다몰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페달 박스 촬영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블랙박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969B1 (ko) 2024-04-24
KR102660968B1 (ko) 2024-04-24
KR102660966B1 (ko) 2024-04-24
KR102660964B1 (ko) 2024-04-24
KR102660965B1 (ko) 2024-04-24
KR102660967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4807B (zh) 自适应视频变焦
US89435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ersonalized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 to viewers
CN109478142B (zh) 呈现为预测的用户活动定制的用户界面的方法、系统和介质
US201602835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nippet
EP1842372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video channel
CN110059256B (zh) 用于展示信息的系统、方法及装置
US20190295123A1 (en) Evaluating media content using synthetic control groups
US20150131967A1 (en)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odels for identifying thumbnail images to promote videos
US11663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ver generation
CN111722766A (zh) 多媒体资源的展示方法及装置
US9680923B1 (en) Platform and network for joint distribution of content by multiple publishers
EP3256966B1 (en) Relevance table aggregation in a database system
CN110309753A (zh) 一种赛事进程判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512404B1 (ko) 정보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954017B (zh) 直播间搜索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21104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perception and content presentation
KR102610006B1 (ko)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US202102666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dapted content depictions
CN112685637A (zh) 一种智能设备的智能交互方法及智能设备
KR20200110836A (ko) 개인방송 기반 개인별 재주 판매를 위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9309875B (zh) 一种在智能电视上展示用户行为特征模型的方法
US20200226379A1 (en) Computer system, pavilion content chang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025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rowdsourcing
KR20200092630A (ko) 체계화 및 정형화된 교육으로 인증된 청소 작업자를 배출하는 청소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EP3349128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