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804B1 -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804B1
KR102609804B1 KR1020180038230A KR20180038230A KR102609804B1 KR 102609804 B1 KR102609804 B1 KR 102609804B1 KR 1020180038230 A KR1020180038230 A KR 1020180038230A KR 20180038230 A KR20180038230 A KR 20180038230A KR 102609804 B1 KR102609804 B1 KR 10260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data
block
image dat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328A (ko
Inventor
류승훈
김일봉
신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04B1/ko
Priority to PCT/KR2019/002322 priority patent/WO2019168323A1/ko
Publication of KR2019011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15Mot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77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tochastic approaches, e.g. using Kalman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暗期, dark period)의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OBJECT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가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에는 사람이 각각의 가축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가축에 대하여 진료를 받게 하거나 따로 격리시켰다. 다만, 가축의 수가 많은 경우 모든 가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가축에 전염병이 발생하면 가축의 대부분이 폐사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가축의 이상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교통 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특정 지역에서 발생된 질병은 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전염되는 현실에서 초기에 빠른 질병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가축의 질병 판단에 있어서 발열에 따른 온도측정 방식이 질병 유무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가축에 대한 일률적인 온도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축 개체 각각의 상태에 따른 질병 판단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온도 측정에 의한 질병 판단 방식은 질병 발생 초기 단계에 개체를 검출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육장 내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 상에서 질병에 걸린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검출할 수 있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暗期, dark period)의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는 상기 복수 개체의 헤드부 및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암기는 사육장 내부의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는 기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상에서 상기 블록별 픽셀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값은 상기 픽셀값의 최댓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한 블록을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한 블록을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暗期, dark period)동안 복수 블록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주변의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도록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暗期, dark period)동안 복수 블록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는 사육장 내부를 촬영한 영상데이터 상에서 질병에 걸린 가능성이 높은 이상 개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개체와 정상 개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개체를 추적하여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개체 발생시 관리자에게 알림 또는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의 연산량을 감소시키고, 연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픽셀별 또는 특정 영역별로 개체, 개체의 머리 또는 몸통의 존재 확률을 검출하고, 움직임 검출 결과와 비교하여 이상 개체를 검출함으로써 특정 개체를 트래킹하는 방식에 비하여 연산량, 속도, 정확도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육장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8 내지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2 내지 도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육장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육장(10)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를 의미한다. 가축은 닭, 오리 등의 가금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등 축사 내에서 집단으로 사육되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일 수 있다.
촬상 장치(100)는 사육장(10) 내의 환경을 검출하고, 이를 관리 서버(200) 및 공조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촬상 장치(100)는 관리 서버(200) 및 공조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장치(100)가 관리 서버(200) 및 공조 장치(300)와 각각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촬상 장치(100)가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고, 관리 서버(200)가 공조 장치(3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사육장(10) 내에는 복수개의 촬상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촬상 장치(100)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육장(10)내에는 별도의 데이터 수집장치(150)가 배치되어 복수개의 촬상 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육장(10) 내부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촬상 장치(100)의 영상 데이터는 고화질, 고용량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촬상 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하여서는 큰 대역폭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 속도가 저하될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 수집장치(150)에서는 사육장(10)내의 촬상 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코딩 한 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통신 대역폭을 저감시키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촬상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육장(10)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1차 분석을 수행한 후, 가공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장치에 전달하거나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촬상 장치(100)는 사육장(10)의 상태 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데이터 수집장치(150)에 전달하거나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촬상 장치(100)는 사육장(10)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육장(10) 내부 상태를 1차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수집장치(150)에 전달하거나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 휴대단말 등을 포함하는 서버일 수 있다. 촬상 장치(100)가 관리 서버(200)에게 사육장(10) 내의 환경을 전송하는 경우,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에 출력된 화면 등을 통하여 사육장(10) 내의 환경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가 사육장(10) 내의 이상상황을 포착하여 이를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한 경우,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에 출력된 화면을 통하여 사육장(10) 내에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상상황에 대하여 초기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상황은, 예를 들어 질병에 걸린 가축의 발생, 가축의 임신, 가축의 생장 기간, 사육장(10) 내 습도, 온도, 특정 분자의 농도 이상 등일 수 있다.
관리 서버(200)가 복수의 사육장(10)으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는 중앙 서버일 경우에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와이 접근성이 용이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관리 서버(200)는 별도의 관리자의 휴대단말 등을 통하여 사육장(10) 내에 이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촬상 장치(100) 또는 데이터 수집장치(15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육장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100)는 복수개의 촬상 장치(100) 또는 데이터 수집장치(150)에서 1차적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육장 상태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촬상 장치(100)의 통신부(11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데이터 수집장치(150)에 장착된 통신 모듈(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촬상 장치(100)에서 촬영한 원본 영상과 1차적으로 가공된 가공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가공 영상 데이터는 사육장 관리 장치(100) 또는 촬상 장치(100)에서 원본 영상에 대하여 1차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인코딩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공조 장치(300)는 사육장(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촬상 장치(100)가 사육장(10) 내 온도이상을 포착하여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한 경우,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에 출력된 화면을 통하여 사육장(10) 내 온도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공조 장치(300)를 제어하여 사육장(10) 내 온도를 정상화할 수 있다. 또는, 촬상 장치(100)가 사육장(10) 내 온도이상을 검출하여 공조 장치(300)에게 직접 전달한 경우, 공조 장치(300)가 직접 사육장(10) 내 온도를 정상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육장(10) 내의 온도가 가축이 생활하기에 적절한 온도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가축들의 움직임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00), 관리 서버(200), 또는 공조 장치(300)는 사육장(10) 내 온도이상을 검출하여 사육장(10) 내 온도를 정상화할 수 있다.
공조 장치(300)는 사육장(1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육장(10) 내의 습도 이상이 발생한 경우, 공조 장치(300)를 제어하여 사육장(10) 내 습도를 정상화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0)는 촬영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모션 검출부(113), 제어부(114), 통신부(115), 표시부(116), 유저 인터페이스부(117), 인코딩부(118), 데이터 베이스(119), 조도 센서(120), 광원부(121), 팬틸트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12), 모션 검출부(113), 제어부(114), 통신부(115)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가 촬상 장치(1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데이터 수집장치(150) 또는 관리 서버(2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별도의 디바이스 형태로 독립된 제품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 개체 검출 장치가 촬상 장치(100)와 별도의 모듈 또는 디바이스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통신부(115)를 통하여 촬상 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 및 모션 검출부는 제어부에 포함되어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 모션 검출부, 제어부의 기능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가 촬상 장치(100)내에 포함되어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촬상 장치(100)는 사육장(10)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는 사육장(10)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촬상 장치 및 사육장의 측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 촬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촬상 장치 및 측부 촬상 장치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여 실시간 영상의 송출이 가능한 IP 카메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육장 상부에 하나의 촬상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체는 사육장 내부에서 사육되는 가금류를 의미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암기 동안 순차적으로 촬영되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111)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는 암기 동안 시간상으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 데이터는 단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순차적으로 촬영되는 제1이미지 및 제2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COM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모듈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은 렌즈를 통해 촬영부(111) 내의 COMS 모듈 또는 CCD 모듈로 제공되고, COMS 모듈 또는 CCD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촬영부(111)는 시야각이 넓은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촬상 장치(100)가 사육장(10) 내부의 전체 공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부(111)의 렌즈와 COMS 모듈 또는 CCD 모듈 사이에는 IR필터가 제거되어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에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IR필터가 배치되어 적외선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11)는 IR필터가 제거되어 있어 암기 환경하에서 사육장 내부를 촬영하고 개체 검출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촬영부(111)는 렌즈, IR필터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R필터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14)는 명기 환경하에서 IR필터가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되도록 조절하여 적외선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암기 환경하에서 위치 조절을 통하여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서 IR필터를 제거함으로써 개체의 몸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개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촬영부(111)는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광원을 이용하여 암기 환경하에서 사육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암기(暗期, dark period)의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예를 들면, 복수 블록을 포함하여 생성된 제1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고, 복수 블록을 포함하여 생성된 제2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제2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는 N X M의 픽셀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은 영상 데이터의 단일 픽셀 또는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별로 개체, 개체의 몸통 또는 개체의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위치 분포 데이터는 단일 픽셀 또는 구분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픽셀별로 개체, 개체의 몸통 또는 개체의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서 위치 분포 데이터는 각 픽셀에 개체가 존재할 확률을 0 내지 255단계로 구분되는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현하는 히트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암기란, 햇빛이나 인공 조명에 의한 빛이 없거나 또는 사육장내의 가금류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조도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암기는 사육장 내부의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에서 개체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외곽선과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동물 개체의 외형을 비교하여 미리 저장된 동물 개체의 외형과 매칭되는 외곽선내의 블록을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블록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119)에 저장된 동물 개체의 외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물 개체의 외형일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칭되는 외곽선을 가진 블록을 개체로서 검출함과 동시에 해당 동물 개체의 종류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 내의 블록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이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동물 개체의 특징점에 임계치 이상의 근접도로 매칭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 내의 블록을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블록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12)는 비교 대상이 되는 블록과 개체의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체의 특징점 기술자(descriptor)를 매칭하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또는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에서 블록의 윤곽을 기초로 동물 개체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에서 블록의 윤곽을 검출하여 에지 영상을 생성하고,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사육장의 배경 영상인 전경 영상 데이터로부터 윤곽을 검출하여 배경 에지 영상을 생성하며, 에지 영상에서 배경 에지 영상을 뺀 차 영상(different image) 에서 개체 존재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 프레임의 그래디언트(gradient)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에 나타나는 개체의 윤곽을 에지로 검출하여 에지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그래디언트 정보는 프레임에서 소정의 화소들 중 인접하는 화소들 간의 차이값으로부터 생성된 값으로서 차이의 절대값의 합을 의미하고, 에지는 그래디언트 정보를 이용한 개체 간의 경계선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12)는 기촬영된 사육장 내 전경의 영상 데이터에서 배경에 해당하는 개체의 에지를 검출하여 배경 에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배경 에지 영상은 기설정된 영역의 개체들의 윤곽을 배경에지로 검출한 영상일 수 있으나, 기촬영된 사육장(10) 내 전경의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 프레임을 비교하여 소정의 횟수이상 반복하여 동일하게 나타나는 개체의 윤곽을 배경에지로 검출한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12)는 개체 검출 분류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서 개체 존재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개체 검출 분류기는 동물 개체의 자세나 외부 환경을 달리하여 기촬영한 동물 개체의 영상들로부터 훈련 DB 를 구축하여 학습된 것으로서, 이러한 개체 검출 분류기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신경망, AdaBoost 알고리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동물 개체의 DB 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12)는 기 촬영된 사육장 내 배경의 영상 데이터에서 전경에 해당하는 개체의 에지를 검출하고,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된 전경 개체의 에지를 적용하고, 전경 개체의 에지가 적용된 영상 데이터의 영역에 개체 검출 분류기를 적용하여 개체 존재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개체, 개체의 머리 및 개체의 몸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트레이닝 세트(traning set)를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학습된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블록별로 개체 또는 개체가 아닐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학습된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블록별로 개체의 머리 또는 개체의 머리가 아닐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학습된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블록별로 개체의 몸통 또는 개체의 몸통이 아닐 확률을 검출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 분포 데이터는 복수 개체의 헤드부 및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의 블록에서 개체 헤드부의 존재 확률 분포를 검출하여 헤드부에 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헤드부는 개체의 머리를 구성하는 픽셀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가 닭인 경우, 헤드부는 벼슬을 포함하는 머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의 블록에서 개체 바디부의 존재 확률 분포를 검출하여 바디부에 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디부는 개체의 개체의 몸통을 구성하는 픽셀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가 닭인 경우, 바디부는 날개, 가슴을 포함하는 몸통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 블록의 외곽선과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가금류의 헤드부 외형을 비교하여 가금류의 헤드부의 존재 확률 분포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는 영상 데이터블록의 외곽선과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가금류의 바디부 외형을 비교하여 가금류의 바디부의 존재 확률 분포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는 추출된 특징점이 데이터 베이스(119)에 미리 저장된 가금류 헤드부의 특징점에 임계치 이상의 근접도로 매칭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 내에서 헤드부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블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는 추출된 특징점이 데이터 베이스(118)에 미리 저장된 가금류 바디부의 특징점에 임계치 이상의 근접도로 매칭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 내에서 바디부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블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12)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메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2)는 색채 처리, 블러처리, 에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단일 영상 데이터 또는 복수개의 연속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포도상의 단일 픽셀 또는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픽셀에서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별로 움직임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동작 데이터는 단일 픽셀 또는 구분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픽셀별로 움직임이 존재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서 동작 데이터는 기 설정되는 임계값과 비교하여 움직임의 존재여부를 표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동작 데이터는 개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개체 이외의 움직임도 표현이 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예를 들면, 제1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 중 동작 개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1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2 동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Dense Optical Flow방식을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영상 데이터상의 모든 픽셀에 대해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하여 각 픽셀에 대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Dense Optical Flow방식의 경우 모든 픽셀에 대하여 모션 벡터를 연산하기 때문에 검출 정확도는 향상되지만 상대적으로 연산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Dense Optical Flow방식은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육장이나 개체 숫자가 매우 많은 사육장 등 검출 정확도가 매우 높게 요구되는 특정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션 검출부(113)는 Sparse Optical Flow방식을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영상 내 에지와 같은 움직임 추적이 쉬운 특징적인 일부 픽셀에 대해서만 모션 벡터를 연산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Sparse Optical Flow방식은 연산량이 감소하지만 한정적인 픽셀에 대한 결과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Sparse Optical Flow방식은 개체 숫자가 적은 사육장 또는 개체가 중복되어 나타나지 않는 특정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션 검출부(113)는 Block Matching을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영상을 균등하게 또는 비균등하게 분할하여 분할 영역에 대해 모션 벡터를 연산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Block Matching은 분할 영역별로 모션 벡터를 연산하기 때문에 연산량이 감소하지만 영역별 모션 벡터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검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Block Matching방식은 개체 숫자가 적은 사육장 또는 개체가 중복되어 나타나지 않는 특정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션 검출부(113)는 Continuous Frame Difference방식을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연속하는 영상 프레임을 픽셀 별로 비교하고, 그 차이만큼의 값을 연산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Continuous Frame Difference방식은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산량은 감소하지만 부피가 큰 개체 또는 중복되어 나타나는 개체에 대한 검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또한, Continuous Frame Difference방식은 배경 영상과 움직이지 않는 개체를 구분할 수 없어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Continuous Frame Difference방식은 개체 숫자가 적은 사육장 또는 개체가 중복되어 나타나지 않는 특정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션 검출부(113)는 Background Subtraction방식을 이용하여 블록별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배경 영상을 초기에 학습한 상태에서 연속하는 영상 프레임을 픽셀 별로 비교하고, 그 차이만큼의 값을 연산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Background Subtraction방식은 배경 영상을 미리 학습하고 있기 때문에 배경 영상과 움직이지 않는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 영상을 필터링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여 연산량은 증가하지만 정확도는 향상된다. 따라서, Background Subtraction방식은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육장이나 개체 숫자가 매우 많은 사육장 등 검출 정확도가 매우 높게 요구되는 특정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Background Subtraction방식에서 배경 영상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모션 검출부(113)는 사육장내의 환경과 외부의 설정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이용하여 분포도상에서 움직임을 검출한다.
제어부(114)는 영상 데이터의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22를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와 제1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위치 분포 데이터 상에서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블록 중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을 이상 개체 블록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암기 동안 건강한 가금류는 수면을 취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반면, 질병에 걸리거나 이상이 있는 가금류의 경우 기침 등으로 인하여 움직임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4)는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 상에서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블록 중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에 질병에 걸린 개체가 위치한 것으로 추정하고, 이에 대한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 상에서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블록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더라도 이물질이나 노이즈로 판단하고 이상 개체 데이터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제1이상 개체 데이터는 단일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의 위치 분포와 움직임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의 질병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4)는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제1이상 개체 데이터,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제2위치 분포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복수 개체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제2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이상 개체 데이터는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누적된 블록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개체의 질병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이상 개체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영상 데이터 상에서 블록별 픽셀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제2이상 개체 데이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 상에서 블록별 픽셀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의 표시란 픽셀의 채도, 픽셀의 명암, 픽셀의 색상, 픽셀의 윤곽선, 마크 표시 등 임의의 지점에 대응되는 픽셀을 다른 픽셀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모든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셀값의 조절을 통하여 픽셀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픽셀값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픽셀값이 높은 픽셀의 경우, 픽셀값이 낮은 픽셀 보다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픽셀값이 낮은 픽셀이 픽셀값이 높은 픽셀보다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과 픽셀을 동일시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블록은 하나의 픽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블록은 복수개의 픽셀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개체를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복수개의 픽셀이 하나의 개체를 표현하게 된다. 즉, 가금류의 일부 신체 영역의 움직임만을 검출하여 이상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서는 픽셀별로 움직임을 검출하여 픽셀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될 것이다.
제어부(114)는 개체가 존재할 확률 이 있는 블록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을수록 정상개체로 분류하고, 움직임이 검출될수록 이상개체로 분류하여 픽셀값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23을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헤드부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블록별 개체 헤드부의 존재 확률 분포와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헤드부의 위치 분포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개체 전체를 검출하여 움직임을 비교하는 경우보다 연산량이 감소되고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체가 기침을 할 경우 영상 데이터 상에서 머리의 크기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헤드부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개체의 기침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통하여 개체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는 헤드부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고, 헤드부의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개체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헤드부의 동작 데이터만을 검출하여 비교하는 것은 가금류가 겹쳐 있거나, 사육장내에 많은수의 가금류가 분포되어 있을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23과 같이 헤드부의 위치 분포 데이터와 별개의 동작으로 영상 데이터내의 모든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헤드부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와 비교하여 중복여부에 따라 이상 개체를 판단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24를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바디부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블록별 개체 바디부의 존재 확률 분포와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디부의 위치 분포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개체 전체를 검출하여 움직임을 비교하는 경우보다 연산량이 감소되고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체의 기침 이외에도 오한 등에 의한 몸통의 떨림을 움직임으로 검출하여 이상 개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15는 사육장 상부에 설치된 촬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15에서 각 블록은 단일 픽셀 또는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블록 A, B, C는 단일 개체를 표현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블록 D는 개체가 아닌 다른 오브젝트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도3 내지 도15에서 블록 A, B, C의 경우 하나의 블록에 하나의 개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 구현시에는 하나의 블록과 하나의 개체가 반드시 매칭되어 표현되지는 않는다. 실제 구현시에는 복수의 블록 또는 픽셀의 집합이 개체를 표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15에서 블록 A, B, C의 개체 존재 확률은 모든 프레임에서 "1"로 검출되었으며, 블록 D의 개체 존재 확률은 모든 프레임에서 "0"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각 블록의 개체 존재 확률은 0 에서 1 사이의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으며 그 값에 따라 픽셀값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도 25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블록 A 내지 D를 제외한 영상 데이터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하여서도 개체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와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가 존재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3 내지 도1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3 내지 도11에서, n-k(k는 -1 에서 3사이의 자연수)프레임은 시간상 연속된 프레임을 의미하며, "0"는 각 프레임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이고, "X"는 움직임이 비검출된 경우이다. 또한, 도3 내지 도6에서 영상 데이터의 각 블록의 픽셀값은 "0"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7 내지 도11에서 영상 데이터의 각 블록의 픽셀값은 "5"로 설정되어 있다. 도3 내지 도16에서 하나의 영상 데이터는 단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번째 프레임이 제1영상 데이터인 경우, n번째 프레임은 제2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n번째 프레임이 제1영상 데이터인 경우, n+1번째 프레임은 제2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15에서 블록 D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지만 개체 존재 확률 분포값이 0이므로 개체 존재 확률 분포와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지 않아 블록 D의 픽셀값은 조정되지 않는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검출된 지점에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3에서, 블록 A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5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B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3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3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C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2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2단계 증가시킨다. 도3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움직임 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커질수록 해당되는 블록의 픽셀값이 증가하여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분포도상에서 픽셀값이 높을 수록 적색으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픽셀값이 낮을수록 원본 데이터 값에 가깝게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는 일정 프레임 동안 움직임이 비검출된 블록이라 하더라도, 전체적인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많다면 이상 개체에 가깝도록 강조 표시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낮은 확률의 의심이 드는 개체라 하더라도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4에서, 블록 A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5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B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2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2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1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1단계 증가시킨다. 도4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커질수록 픽셀값이 증가하여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는 누적된 움직임 검출 횟수가 크다 하더라도,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크지 않다면 정상개체에 가깝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임계값 및 제1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5에서 제1임계값은 2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1설정값은 픽셀값의 최댓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5에서 제1설정값은 픽셀의 최대 적색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5에서, 블록 A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최대 적색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B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3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최대 적색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1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도5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움직임 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특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픽셀값을 최대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임계값 및 제1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6에서 제1임계값은 2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1설정값은 픽셀값의 최댓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6에서 제1설정값은 픽셀의 최대 적색값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 A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최대 적색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B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2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1번으로 제1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도6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하여 움직이는 프레임의 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블록의 픽셀값을 최대한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좀 더 엄격한 기준에 따른 이상개체 판별이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록 A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5단계 감소시킨다. 블록 B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3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3단계 감소시킨다. 블록 C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2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2단계 감소시킨다. 도7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움직임 비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커질수록 픽셀값이 감소함으로써 비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분포도상에서 픽셀값이 낮을 수록 원본 데이터 값에 가깝게 표시되거나 또는 희미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는 일정 프레임 동안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이라 하더라도, 전체적인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많다면 정상개체에 가깝도록 비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8에서, 블록 A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5단계 감소시킨다. 블록 B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2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2단계 감소시킨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1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1단계 감소시킨다. 도8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횟수의 누적 횟수가 커질수록 픽셀값이 감소하여 비강조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는 누적된 움직임 비검출 횟수가 크다 하더라도,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크지 않다면 이상개체에 가깝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이 비검출된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9에서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9에서, 블록 A 내지 블록 C는 n-1 내지 n+3의 영상 프레임동안 모두 한번 이상의 프레임동안 움직임이 비검출되었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 내지 블록 C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분석 영상 프레임 기간 동안 한 번의 프레임이라도 움직임이 비검출된 블록은 정상 개체로 분류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 및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0에서 제2임계값은 2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10에서, 블록 A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5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B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3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1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도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움직임 비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특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 및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1에서 제2임계값은 2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11에서, 블록 A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5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제어한다. 블록 B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횟수는 2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블록 C의 연속된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1번으로 제2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현상태로 유지시킨다. 도11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횟수의 총 누적 횟수가 특정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고,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2에서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12에서, 블록 A의 경우,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n-1프레임에서 블록 A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 내지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블록 B의 경우,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n프레임에서 블록 B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1 내지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블록 C의 경우,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n+2프레임에서 블록 C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고,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 및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3에서 제2임계값은 1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13에서, 블록 A의 경우 n프레임에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2회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n프레임에서 블록 A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1 내지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블록 B의 경우 n+2프레임에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2회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n+2프레임에서 블록 B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블록 C의 경우 분석 프레임 기간 동안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2회 미만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제어부는 이후 프레임에서도 지속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픽셀값을 제어하게 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고,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이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 및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4에서 제2임계값은 1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이다. 도14에서, 블록 A의 경우 n프레임에서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2회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n프레임에서 블록 A의 픽셀값을 원본 영상 데이터 픽셀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n+1 내지 n+3프레임 기간동안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블록 B및 블록 C의 경우 분석 프레임 기간 동안 연속된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2회 미만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제어부는 이후 프레임에서도 지속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픽셀값을 제어하게 된다.
도12 내지 도14의 경우 움직임 비검출 횟수에 따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의 경우 정상 개체로 판단하고, 정상 개체로 판단한 시점 이후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분석을 위한 데이터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적게는 수백마리 많게는 수만마리의 가금류가 생활하는 사육장 내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분석 속도와 정확성, 그리고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 이상인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고,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 및 제2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15에서 제2임계값은 2회로 설정되어 있다. 제2설정값은 해당 개체 또는 해당 픽셀이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기 위한 모든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설정값은 예를 들면, 해당 개체 또는 해당 픽셀에 대한 마스킹 처리, 모자이크 처리, 투명 픽셀 처리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 개체로 분류될 경우 영상 데이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게 되어 이상 개체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있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제어부(114)는 촬상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17) 또는 데이터 베이스(119)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하여 촬상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4)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촬영부(11)를 제어하여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3설정값 이상인 블록을 추적 촬영할 수 있다. 제3설정값은 유저 인터페이스부(117)를 통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관리 서버(200)의 제어 명령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촬영부(111)를 제어하여 이상개체가 있는 특정 영역을 추적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제어부(114)는 촬상 장치(100)의 팬틸트부(122)를 제어하여 추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팬틸트부(122)는 팬(Pan, 수평방향) 및 틸트(Tilt, 수직 방향) 2개의 모터를 구동하여 촬영부(111)의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팬틸트부(122)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특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촬영부(111)의 지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팬틸트부(122)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특정 블록을 트래킹하기 위하여 촬영부(111)의 지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타 촬상 장치, 데이터 수집장치(150) 또는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5)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5)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5)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타 촬상 장치 또는 데이터 수집장치(1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육장(10)의 제반 사항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15)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원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장치(150) 또는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5)는 데이터 수집장치(150) 또는 원격의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로 픽셀값이 조절된 영상 데이터, 위치 분포 데이터, 동작 데이터 및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좌표 정보는 이상개체로 의심되는 지점 또는 개체에 대한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115)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인코딩부(118)를 통하여 인코딩된 압축 데이터일 수 있다.
표시부(11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6)는 제어부(114)를 통하여 픽셀값이 조절된 영상 데이터 및 분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6)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원본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6)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7)는 촬상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7)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6)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16)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7)는 촬상 장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코딩부(118)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원본 영상 데이터 또는 데이터 처리부(112), 모션 검출부(113), 제어부(114) 등을 통하여 가공된 가공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부호화한다. 예를 들면, 인코딩부(118)는 H.264, H.265,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19)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데이터 베이스(119)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119)는 촬영부(111)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과거 일정 기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19)는, 촬상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19)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저장할 수 있다.
조도 센서(12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광도전셀,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포토사이러스터, 광전자 증배관 및 광전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도전셀은 광도전 효과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광도전 효과란, 반도체에 빛을 조사하면 반도체 중 캐리어 밀도가 증가하여 도전율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외부로부터의 빛의 에너지에 의하여 가전자대의 자유전자가 전도대에 여기되어 그 결과 도전성을 나타내게 되는 현상이다.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포토사이러스터는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광기전력 효과란, PN접합에서 N형과 P형 반도체의 경계층에 빛을 조사하면 전자와 정공이 발생(전자정공쌍 생성이라고 한다)하여 전계와 열확산에 의해 PN접합의 전위장벽을 뛰어넘어 이동하여 기전력을 발생하는 현상이며 광전효과의 일종으로서 반도체의 PN접합이나 반도체와 금속의 접합면에 빛이 입사했을 때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광전자 증배관, 광전관은 광전자 방출효과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광전자 방출효과란,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등에 빛이 닿았을 때 일의 함수보다도 큰 에너지를 얻게 되며 원자상의 전자가 금속표면에서 방출되는 효과를 가르키며 그 효과를 이용하는 수광면을 광전면이라 한다.
광원부(121)는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부(121)는 사육장내 암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적외선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121)는 사육장내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도록 적외선 파장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LD),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21)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지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사육장 내의 조명 시간은 매일 최소 8시간 이상의 연속된 명기(命期, light period)와 최소 6시간 이상의 연속된 암기(暗期)를 준수하여야 한다. 단, 자연적인 암기가 6시간 보다 짧을 경우에는 인공조명을 통하여 6시간 이상의 연속된 암기를 유지하여야 사육장내 가금류의 생체리듬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도 센서(120)와 광원부(121)를 이용하여 20 내지 24lux의 암기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가금류의 생체리듬을 정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가금류의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수면 환경하에서 이상 개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수면 환경하에서 이상 개체를 판별할 경우, 정상 개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상 개체 검출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6을 참고하면, 먼저 촬영부는 암기 동안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한다. 촬영부는 사육장 내부에 배치되어 가금류를 포함하는 복수 개체를 촬영한다(S1601).
다음으로, 촬영부는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하나의 영상 데이터는 단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순차적으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N X M의 픽셀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의 위치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는 각 픽셀에 개체가 존재할 확률을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 히트맵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시계열적으로 생성된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3).
다음으로, 모션 검출부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 중 동작 개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른 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동작 데이터는 임계값과 비교하여 움직임의 존재여부를 표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동작 데이터는 개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개체 이외의 움직임도 표현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시계열적으로 생성된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4).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 생성 및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생성 과정이 먼저 이루어 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 생성 및 동작 데이터는 각각 별개의 동작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위치 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위치 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의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 개체를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의 비교는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별로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한 확률이 높은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블록별으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의 비교는 픽셀별로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픽셀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픽셀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픽셀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는 각 개별 개체의 위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동작 데이터에서 움직임이 존재한 영역이라도 위치 분포 데이터에 개체의 존재가 없는 영역인 경우에는 이물질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제외하게 된다.
제어부는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복수 개체의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605).
다음으로, 제어부는 이상 개체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영상 데이터 상에서 복수개의 개체에 대한 픽셀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특정 개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횟수와 움직임이 검출된 횟우에 따라 정상개체 및 이상개체로 분류하고, 영상 데이터 상에서 정상개체 및 이상개체에 대응되는 픽셀값을 다르게 표시한다(S1606).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7을 참고하면, 먼저 촬영부는 암기 동안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한다. 촬영부는 사육장 내부에 배치되어 가금류를 포함하는 복수 개체를 촬영한다(S1701).
다음으로, 촬영부는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영상 데이터는 단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S1702).
실시예에 따른 제1영상 데이터는 N X M의 픽셀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는 제1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의 위치 분포를 나타내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3).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 분포 데이터는 각 픽셀에 개체가 존재할 확률을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 히트맵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션 검출부는 제1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 중 동작 개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1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4).
실시예에 따른 제1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1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1동작 데이터는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움직임의 존재여부를 표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1동작 데이터는 개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개체 이외의 움직임도 표현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는 각각 별개의 동작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제1위치 분포 데이터와 제1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제1위치 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 개체를 나타내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제1영상 데이터에 대한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복수 개체별 움직임에 따라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705).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의 비교를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별로 수행함으로써,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제1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제1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한 확률이 높은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블록별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의 비교를 픽셀별로 수행함으로써,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제1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제1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픽셀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픽셀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픽셀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1동작 데이터는 각 개별 개체의 위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1동작 데이터에서 움직임이 존재한 영역이라도 제1위치 분포 데이터에 개체의 존재가 없는 영역인 경우에는 이물질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제외하게 된다.
다음으로, 촬영부는 암기 동안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촬영한다(S1706).
다음으로, 촬영부는 복수 개체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이용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영상 데이터는 단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S1707).
실시예에 따른 제2영상 데이터는 N X M의 픽셀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는 제2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의 위치 분포를 나타내는 제2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8).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분포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개체, 몸통 또는 머리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분포 데이터는 각 픽셀에 개체가 존재할 확률을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 히트맵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션 검출부는 제2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체 중 동작 개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2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9).
실시예에 따른 제2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구분된 영역 또는 블록별로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2동작 데이터는 개별 복수 개체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픽셀별로 해당되는 픽셀에 움직임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2동작 데이터는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움직임의 존재여부를 표현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2동작 데이터는 개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개체 이외의 움직임도 표현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는 각각 별개의 동작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제2위치 분포 데이터와 제2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제2위치 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2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를 제2위치 분포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와 비교하여 복수 개체의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복수 개체의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제2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S1710).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의 비교를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별로 수행함으로써,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제2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제2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한 확률이 높은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해당되는 영역 또는 블록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블록별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이상 개체 데이터,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의 비교를 픽셀별로 수행함으로써,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표시된 제2위치 분포 데이터에서 움직임의 여부가 표현된 제2동작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픽셀의 영역과 움직임이 존재하는 픽셀의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개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상 개체가 존재하는 픽셀로 판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분포 데이터 및 제2동작 데이터는 각 개별 개체의 위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2동작 데이터에서 움직임이 존재한 영역이라도 제2위치 분포 데이터에 개체의 존재가 없는 영역인 경우에는 이물질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제외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제2이상 개체 데이터에 따라 영상 데이터 상에서 복수개의 개체에 대한 픽셀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특정 개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횟수와 움직임이 검출된 횟우에 따라 정상개체 및 이상개체로 분류하고, 영상 데이터 상에서 정상개체 및 이상개체에 대응되는 픽셀값을 다르게 표시한다(S1711).
상기S1701 내지 S1711 단계는 제1 이상 개체 데이터 및 제2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었으나, 이상 개체 데이터는 이미지 촬영을 통한 영상 데이터 생성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 되어 픽셀 표시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을 참조하면, 먼저 n번째 영상 데이터가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되어 입력된다. 영상 데이터는 IR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S1801).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에서 개체를 검출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의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18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XOR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n-1번째 영상 데이터와 n번째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 때, n-1번째 영상 데이터는 XOR회로 전단에 배치된 래치회로 또는 버퍼회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검출한 움직임에 따라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1803).
동작 데이터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이 적용된다. 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과 오프셋 파라미터 ε값이 동시에 적용된다. μ는 아주 작은 값으로 예를 들어 0.001일 수 있다. 즉, 동작 데이터가 오랫 동안 누적이 되어야만 서서히 빨간색에 가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오프셋 파라미터 ε는 위치 분포 데이터의 누적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μ대비 1/10~1/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S1804).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의 위치 분포 데이터에 n-1번째 이상 개체 데이터를 합하고(S1805), n번째 영상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를 곱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S1806).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S1801 내지 S1806과정을 반복하여 움직임이 누적 검출된 개체의 색상은 진하게 또는 빨간 색상에 가깝게 표시하고,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개체의 색상은 연하게 또는 원본 색상 또는 검정색에 가깝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를 참조하면, 먼저 n번째 영상 데이터가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되어 입력된다. 영상 데이터는 IR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S1901).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에서 개체의 헤드부를 검출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헤드부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19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XOR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n-1번째 영상 데이터와 n번째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 때, n-1번째 영상 데이터는 XOR회로 전단에 배치된 래치회로 또는 버퍼회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검출한 움직임에 따라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1903).
동작 데이터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이 적용된다. 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과 오프셋 파라미터 ε값이 동시에 적용된다. μ는 아주 작은 값으로 예를 들어 0.001일 수 있다. 즉, 동작 데이터가 오랫 동안 누적이 되어야만 서서히 빨간색에 가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오프셋 파라미터 ε는 위치 분포 데이터의 누적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μ대비 1/10~1/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S1904).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의 헤드부 위치 분포 데이터에 n-1번째 이상 개체 데이터를 합하고(S1805), n번째 영상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를 곱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S1906).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S1901 내지 S1906과정을 반복하여 움직임이 누적 검출된 개체의 색상은 진하게 또는 빨간 색상에 가깝게 표시하고,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개체의 색상은 연하게 또는 원본 색상 또는 검정색에 가깝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0을 참조하면, 먼저 n번째 영상 데이터가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되어 입력된다. 영상 데이터는 IR이미지 센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S2001).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에서 개체를 검출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 바디부의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한다(S20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XOR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n-1번째 영상 데이터와 n번째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개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 때, n-1번째 영상 데이터는 XOR회로 전단에 배치된 래치회로 또는 버퍼회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검출한 움직임에 따라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S2003).
동작 데이터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이 적용된다. 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값과 오프셋 파라미터 ε값이 동시에 적용된다. μ는 아주 작은 값으로 예를 들어 0.001일 수 있다. 즉, 동작 데이터가 오랫 동안 누적이 되어야만 서서히 빨간색에 가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오프셋 파라미터 ε는 위치 분포 데이터의 누적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μ대비 1/10~1/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S2004).
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의 바디부 위치 분포 데이터에 n-1번째 이상 개체 데이터를 합하고(S2005), n번째 영상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를 곱하여 n번째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한다(S2006).이상 개체 검출 장치는 S2001 내지 S2006과정을 반복하여 움직임이 누적 검출된 개체의 색상은 진하게 또는 빨간 색상에 가깝게 표시하고,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개체의 색상은 연하게 또는 원본 색상에 가깝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21은 도19의 헤드부 위치 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이상 개체 데이터 및 도20의 바디부 위치 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결합하여 새로운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헤드부 위치 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바디부 위치 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각각 도19 및 도20에 설명된 과정과 동일한다. 그러나, 도21에서는 각각의 과정에 따라 생성된 이상 개체 데이터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이상 개체 데이터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를 이용한 이상 개체 데이터와 바디부를 이용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복되는 블록만을 이상 개체로 판단하거나(AND 조합) 또는 헤드부를 이용한 이상 개체 데이터와 바디부를 이용한 이상 개체 데이터를 결합하여 이상 개체로 판단(OR 조합)할 수 있다.
도18 내지 도21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8032691206-pat00001
수학식 1에서 μ는 update parameter로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Pixelt, Pixelt-1은 이상 개체 데이터로서, 이상 개체의 존재 여부를 픽셀에 표시하기 위한 값으로서 픽셀의 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픽셀일수록 더 진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없으면 원색(하얀색)으로 표시되고, 이상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을수록 빨강색에 가깝게 표현하고, 이상 개체가 존재할 확률이 아주 높다고 판단되면 가장 진한 빨강색으로 표시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Pixelt, Pixelt-1은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0에 가까울수록 원색(하얀색)에 가깝게 표시되고, 1에 가까울수록 빨강색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1에서 Pixelt - 1는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가 누적된 직전 프레임의 이상 개체 데이터이다. 수학식 1에서 Pixelt 현재 프레임의 위치분포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이상 개체 데이터이다.
수학식 1에서 Wt는 현재 프레임의 위치 분포 데이터일 수 있다. 위치 분포 데이터는 해당 픽셀에 개체가 존재하는지 확률로서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Wt는 해당 픽셀에 개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의 값을 가지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진다. 또는 Wt는 해당 픽셀에 헤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의 값을 가지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진다. 또는 Wt는 해당 픽셀에 바디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의 값을 가지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진다.
수학식 1에서 Ft 는 현재 프레임의 동작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데이터는 모션 벡터의 절대값을 산출한 것으로서 0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모션 벡터의 크기는 개체의 속도에 대응되므로 1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동작 데이터에는 업데이트 파라미터 μ가 적용될 수 있다. μ는 아주 작은 값으로 예를 들어 0.001일 수 있다. 즉, 동작 데이터가 오랫 동안 누적이 되어야만 서서히 빨간색에 가깝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는 실시예에 따른 이상 개체 검출 장치의 동작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 2를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8032691206-pat00002
수학식 2에서μ는 update parameter이고, ε은 offset parameter이다.
수힉식2는 수학식1에서 오프셋 파라미터 ε가 추가된 것으로 수학식1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프셋 파라미터 ε는 위치 분포 데이터의 누적을 조정하는 parameter로서 μ대비 1/10~1/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개체 존재 확률 분포 및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검출된 지점에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와 개체 존재 확률을 곱하여 각 프레임별 픽셀값을 산출하고, n-1 프레임부터 n+3프레임동안 누적하여 픽셀값을 조절한다. 도25에서 "O"는 해당 프레임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었음을 의미하고,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프레임에서 개체 존재 확률을 의미한다.
도25에서 블록 A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고, 개체 존재 확률은 전 프레임에 걸쳐 1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A의 픽셀값을 5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B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고, 개체 존재 확률은 전 프레임에 걸쳐 0.4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B의 픽셀값을 2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C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고, 개체 존재 확률은 전 프레임에 걸쳐 0.2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는 블록 C의 픽셀값을 1단계 증가시킨다. 블록 D의 움직임 검출 누적횟수는 5번이지만 개체 존재 확률 분포값이 0이므로 개체 존재 확률 분포와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지 않아 블록 D의 픽셀값은 조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든 블록의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개체 존재 확률에 따라 픽셀값이 각각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촬상 장치
111: 촬영부
112: 데이터 처리부
113: 모션 검출부
114: 제어부
115: 통신부
116: 표시부
117: 유저 인터페이스부
118: 인코딩부
119: 데이터베이스
120: 조도 센서
121: 광원부
122: 팬틸트부

Claims (24)

  1. 암기(暗期, dark period)의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는 복수 개체의 헤드부 및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분포 데이터인 이상 개체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기는 사육장 내부의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는 기간인 이상 개체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상에서 상기 복수의 블록별 픽셀 표시를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움직임이 검출된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가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1설정값으로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값은 상기 픽셀값의 최댓값인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한 블록을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응되는 블록의 픽셀값을 제2설정값으로 제어하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가 제2임계값을 초과한 블록을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상에서 제외시키는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픽셀값인 이상 개체 검출 장치.
  19. 암기(暗期, dark period)동안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의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고,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주변의 조도가 20 내지 40Lux로 유지되도록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촬상 장치.
  23. 암기(暗期, dark period)동안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위치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검출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별 개체의 존재 확률 분포와 상기 움직임 검출 여부가 중복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분포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복수의 블록별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검출 누적 횟수와 상기 움직임 비검출 누적 횟수에 따라 상기 이상 개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 개체 검출 방법.
KR1020180038230A 2018-02-27 2018-04-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60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230A KR102609804B1 (ko) 2018-04-02 2018-04-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PCT/KR2019/002322 WO2019168323A1 (ko) 2018-02-27 2019-02-26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230A KR102609804B1 (ko) 2018-04-02 2018-04-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28A KR20190115328A (ko) 2019-10-11
KR102609804B1 true KR102609804B1 (ko) 2023-12-05

Family

ID=6821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230A KR102609804B1 (ko) 2018-02-27 2018-04-02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253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リコー 個体状態判定装置、個体状態判定方法および個体状態判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253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リコー 個体状態判定装置、個体状態判定方法および個体状態判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28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9556B1 (en) Self-attention deep neural network for action recognition in surveillance videos
US9412027B2 (en) Detecting anamolous sea-surface oil based on a synthetic discriminant signal and learned patterns of behavior
US11350610B2 (en) Rearing pla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1944374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609461B1 (ko) 촬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금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5986B1 (ko) 이상 개체 판단 장치 및 방법
US20190096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gmenting Out Multiple Body Parts
Seo et al. A yolo-based separation of touching-pigs for smart pig farm applications
US20220067377A1 (en) Device for managing environment of breeding farm
CN112183487A (zh) 基于5g的牲畜健康监测系统和方法
KR20200002315A (ko) 사육장 환경 관리 시스템, 단말 및 그 방법
KR102505691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Zhao et al. FSDF: A high-performance fire detection framework
KR102609804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171384B1 (ko) 영상 보정 필터를 이용한 객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16546287A (zh) 一种多联动野生动物在线监测方法及系统
Ko et al. Embedded imagers: Detecting, localizing, and recognizing objects and events in natural habitats
KR102606062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307609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619829B1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20190113360A (ko)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US20190096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Increased Granularity in Images of a Dataset
Gupta et al. Real Time Target Detection for Infrared Images
CHAHARI et al. Neural network assisted video surveillance for monitoring human activity
Perko et al. Protocol design issues for object density estimation and counting in remote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