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99B1 -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99B1
KR102609799B1 KR1020230063472A KR20230063472A KR102609799B1 KR 102609799 B1 KR102609799 B1 KR 102609799B1 KR 1020230063472 A KR1020230063472 A KR 1020230063472A KR 20230063472 A KR20230063472 A KR 20230063472A KR 102609799 B1 KR102609799 B1 KR 10260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user
user terminal
extraction
information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영
배세란
진현호
이종주
허규영
진주영
신동길
이효근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1Fragmentation of text files, e.g. creating reusable text-blocks; Linking to fragments, e.g. using XInclude; Namesp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며, 추출된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METHOD AND SYSTEM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은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 및 저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각종 기관이나, 기업에서 작성된 행정 문서나 의료 관련 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기관 또는 기업을 방문하거나, 무인 발급 장치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기관이나 기업을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기관 및 기업에서도 종이로 작성된 문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보급에 따라 많은 전자문서가 작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개인에게만 제공되도록 보안이 요구되는 문서도 전자문서 형태로 작성되기도 한다. 이때, 기관 및 기업에서는, 해킹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자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전자서명 및 인증서와 같은 인증 방안을 구축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발급받은 전자문서를 보관하기 위해서, 기관 및 기업에서 제공하는 인쇄 및 저장 솔루션을 이용해야만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더욱이, 이러한 인쇄 및 저장 솔루션들을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 및 저장 솔루션이 갖춰지지 않은 기관 및 기업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문서 대신 종이로 작성된 문서를 직접 우편으로 발송하는 등 비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가 수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별도의 인쇄 및 저장 솔루션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보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제공되며,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이를 인쇄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자문서를 저장 또는 인쇄하도록 함은 물론, 전자문서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은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와 함께, 전자문서를 추출하도록 설정된 추출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은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함께, 전자문서를 추출하도록 설정된 스크립트를 수신함으로써,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 및 저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및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전자문서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전자문서를 출력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인증 서버(2)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태블릿, 개인 컴퓨터,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장비 등의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화면들을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해 전자문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인증 서버(2)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서, 실시예에 따라,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 생체 정보(예를 들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및 안면 정보 등), 공인인증서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에 따라, 인증 서버(2)는 ID와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증 서버(2)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활용한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인증 서버(2)는 공인인증서 및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등록 정보는 인증 서버(2)를 통한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인증 서버(2)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등록 정보는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인증 서버(2)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는 인증 서버(2)에,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사용자 정보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사용자 정보 및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가 출력되도록 구현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이미지 및 스크립트(Script)(또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 및 전자문서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는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 및 전자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문서는 전자적 형태로 작성 및 변환되어,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장치 간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는 국가기관, 공공기관 및 기업 등에서 전자적 형태로 발행된 다양한 문서들로서, 건강검진안내서, 교통안전교육 안내서, 장학금신청안내서, 교통과태료안내서, 예비군훈련통지서, 자격취득내역서, 요금명세서 등 다양한 전자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는 보안이 요구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는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문서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및 구성에 따라 전자문서의 구성, 서식 및 크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하고, 추출된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사용자 단말(1)에 전자문서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버튼을 표시하고, 추출 버튼에 대응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명령이 생성되면, 생성된 추출 명령에 따라 전자문서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추출된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것은, 전자문서의 내용을 캡쳐(Capture)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것은 전자문서의 내용 중 미리 설정된 영역의 내용을 캡쳐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전자문서 이미지는 다양한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문서 이미지는 비트맵(Bitmap) 또는 픽셀 이미지 형태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 버튼은 그래픽 이미지 또는 그래픽 객체로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입력 버튼일 수 있다. 추출 버튼은 아이콘(Icon) 또는 일종의 툴바(Toolbar)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추출 버튼을 터치하거나, 클릭함으로써, 추출 버튼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 인증 서버(2) 및 전자문서 제공 서버(3) 간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함께,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지 정보는 서로 다른 전자문서를 구분하도록 설정되는 정보로서, 전자문서의 명칭, 발행 번호, 고유 번호, 발행 시간, 발행 주체 및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경로(예를 들면,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지 정보는 전자문서를 발행한 기관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서지 정보는 전자문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들이 전자문서로부터 추출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정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열람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2)에 송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증 서버(2)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증 완료 여부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전자문서 목록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전자문서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인증 정보(예를 들면, 1회용 접속 보안 토큰(OTT, One Time Token))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자격을 증명하도록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는, 인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구현된 알고리즘(또는, 그러한 알고리즘이 포함된 서버)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에 대한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과,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제 1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아이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2)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에 전자문서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고, 전자문서에 대한 목록을 통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 1 사용자 정보와 다른 제 2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공인인증서, 주민등록번호)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인증 정보와 함께 서지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서버(3)가 인증 정보와 함께 서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인증 정보와 함께, 서지 정보에 포함된 경로(예를 들면, URL)를 통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이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서지 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의 웹페이지(Web Page)에 방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는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전자문서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문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인쇄하거나, 사용자 단말(1)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전자문서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문서를 추출하도록 구현된 전자문서 추출 프로세스(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에 구현된 복수의 제어 모듈들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모듈을 호출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에 구현된 복수의 제어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전송 등)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에 구현된 복수의 제어 모듈들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어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손쉽게 보관하도록, 사용자 단말(1)에 제공된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인증 서버(2)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인증 서버(2)에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인증 서버(2)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대한 완료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전자문서 제공 서버(3)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송신하고,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통신 모듈을 통해, 인증 서버(2) 및 전자문서 제공 서버(3)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 및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고, 서지 정보 및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사용자 인증 모듈(131), 전자문서 출력 모듈(132) 및 전자문서 추출 모듈(133)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2)에 마련된 저장소의 공간 중,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할당된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증 모듈(131)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2)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2)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6)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인증 완료 여부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인증 서버(2)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완료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서지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인증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서지 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 인증 모듈(131)을 통해,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상기 송신한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출력 모듈(132)은 전자문서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문서 출력 모듈(132)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추출 모듈(133)은 전자문서(5)를 추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전자문서 추출 모듈(133)을 이용함으로써, 전자문서(5)와 관련된 추출 버튼을 표시하고,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5)를 추출하며, 추출된 전자문서(5)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의 제어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1)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스크립트에 대응하여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이 제어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상기 실행된 스크립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1)의 제어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자문서에 대한 웹 페이지(Web page)에서, 전자문서와 관련된 추출 버튼(PDF 또는 Print, Capture Screen)에 대한 사용자 입력(js Interface call)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명령(capture Contents)을 생성하여, 전자문서를 추출(captured Bitmap)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렌더링 엔진(Rendering Engine)(또는, 웹 엔진(Web Engine))을 통해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141)는 제어부(140)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렌더링 엔진을 호출하고, 호출된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렌더링 엔진은 웹 페이지와 관련된 이미지 및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람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생성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화면 캡쳐 모듈(PDF, Screenshot Module)을 통해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141)는 제어부(140)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캡쳐 모듈을 호출하고, 호출된 화면 캡쳐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화면 캡쳐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가 출력된 화면을 미리 설정된 크기(예를 들면, 실제 크기)로 확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되는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화면을 분할하며, 분할된 각 화면들을 캡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캡쳐된 각 화면들을 연결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모듈(예를 들면, PDF writer, Print 및 Image viewer)을 호출하여, 이미지 형태로 추출된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전자문서 목록을 출력하고, 전자문서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에 근거하여, 아래에서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전자문서를 출력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100),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2)에 송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결정된 인증 완료 여부를 인증 서버(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2)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인증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2)는 상기에서 결정된 인증 완료 여부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전에 사용자 등록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등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인증 서버(2)에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2)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 중, 사용자 등록 요청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등록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등록 정보로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에 등록 완료 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앞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에 따른 전자문서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를 수신하면,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상기 수신된 서지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어느 하나의 사용자 정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 목록을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 아이디(11)와 비밀번호(12)를 입력받고, 로그인 버튼(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11)와 비밀번호(12)를 인증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인증 서버(2)로부터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14)를 출력하고,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서지 정보들 중,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전자문서 목록(15)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목록(15)은 서지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문서 목록(15)은 전자문서의 명칭 및 서지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매칭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과 함께, 인증 정보를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인증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요청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서지 정보(17)와 확인 버튼(18)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확인 버튼(18)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수단(예를 들면, 생체 인식, 비밀번호 입력, 패턴 입력, 공인인증서 인증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 등)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수단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인증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요청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서지 정보(17)와 비활성화된 확인 버튼(18)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수단(예를 들면, 생체 인식, 비밀번호 입력 및 패턴 입력 등)과 관련된 아이콘(16)을 더 출력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수단을 이용한 인증을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수단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확인 버튼(18)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확인 버튼(18)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인증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요청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한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 및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 및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및 추출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출 버튼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서지 정보에 포함된 URL을 통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의 웹페이지에 방문함으로써,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웹페이지에 구현된 전자문서 및 추출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기능이 연결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함께,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포함하면,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추출 버튼을 전자문서와 함께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문서만을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로 추출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출 버튼은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 버튼 및, 전자문서를 인쇄하도록 마련되는 인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측 영역에 표시되도록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은 텍스트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이 표시된 영역의 상측에 전자문서(20a)가 표시되도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20b) 내의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예를 들면, 우상측)에 표시되도록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을 전자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이 포함된 전자문서(20b)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 버튼(22a) 및 인쇄 버튼(23a)에 의해 전자문서(20b)의 내용이 가려지지 않도록 전자문서(20b)에 대한 서식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추출 버튼이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객체(예를 들면, 전자문서의 명칭)의 서식(예를 들면, 크기 및 정렬 위치)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전자문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추출 버튼이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제 1 명령 및, 추출 버튼에 의해 전자문서가 가려지지 않도록, 전자문서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식이 변경되도록 구현되는 제 2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예를 들면, 우상단)에 표시되도록 저장 버튼(22c) 및 인쇄 버튼(23c)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버튼(22c) 및 인쇄 버튼(23c)은 아이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20c)가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이때, 저장 버튼(22c) 및 인쇄 버튼(23c)이 전자문서(20c)에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전자문서가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된 영역에서, 추출 버튼이 전자문서에 중첩하여 제공되도록 구현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20d) 내의 영역 중 미리 설정된 영역(예를 들면, 우상측)에 표시되도록 저장 버튼(22d) 및 인쇄 버튼(23d)을 전자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저장 버튼(22d) 및 인쇄 버튼(23d)은 아이콘과 텍스트가 혼합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 버튼(22d) 및 인쇄 버튼(23d)이 포함된 전자문서(20d)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 버튼(22d) 및 인쇄 버튼(23d)에 의해 전자문서(20d)의 내용이 가려지지 않도록 전자문서(20d)에 대한 서식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제어 모듈로서, 번역 모듈이 포함되는 경우,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번역을 수행하고, 번역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문서에 대한 언어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언어 정보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의 시스템 언어)가 다른 경우에 번역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 중, 전자문서를 번역할 수 있다.
이때, 번역 모듈은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미리 설정된 언어(예를 들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로 번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번역 모듈은 텍스트를 번역하기 위한 번역 엔진이 구비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번역 엔진이 구비된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번역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어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번역 모듈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번역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 중, 전자문서를 분석하여 언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확인된 언어 정보와, 사용자 단말(1)에 설정된 시스템 언어가 다른 경우 번역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호출된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1)에 설정된 시스템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와 함께, 번역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는 전자문서에 대한 번역 버튼을 출력하고, 번역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를 번역하기 위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번역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번역 모듈을 호출하고, 호출된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1)에 설정된 시스템 언어로 번역하며, 번역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제공된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고(S400), 추출된 전자문서를 사용자 단말(1)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S500).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마련된 인터페이스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 버튼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를 추출함으로써 전자문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중 미리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전자문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미리 지정된 서식으로 설정된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문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렌더링 엔진을 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 중 전자문서 출력 스크립트를 통해 전자문서를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전자문서를 캡쳐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어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이미지 렌더링 모듈이 호출되면, 호출된 이미지 렌더링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렌더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렌더링된 전자문서를 캡쳐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미지 렌더링 모듈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렌더링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제어 모듈 중 하나인, 화면 캡쳐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화면 캡쳐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미리 설정된 크기(예를 들면, 실제 크기)로 확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되는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전자문서를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캡쳐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전자문서 조각들을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캡쳐하는 것은, 확대된 전자문서의 전체 영역이 캡쳐되도록 확대된 전자문서를 이동시키며 캡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의 제 1 측 모서리(예를 들면, 좌상단)를 포함하는 제 1 전자문서 조각으로부터 제 2 측 모서리(예를 들면, 우하단)를 포함하는 제 2 전자문서 조각까지, 확대된 전자문서를 이동시키며 각각의 전자문서 조각을 캡쳐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되는 범위)에 따라, 확대된 전자문서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캡쳐된 복수의 전자문서 조각들을 연결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되어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화면 캡쳐 모듈이 호출되면, 호출된 화면 캡쳐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화면 캡쳐 모듈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화면 캡쳐 모듈은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추출 버튼에 대응하여 실행된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미리 마련된 제어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실행된 제어 모듈을 통해 전자문서 이미지(또는,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제어 모듈 중, 인쇄 모듈 및 저장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에서 호출된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추출된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거나, 또는,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 및 미리 지정된 저장소(예를 들면, 이동식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20)와 함께 표시된 추출 버튼(22, 23) 중, 인쇄 버튼(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인쇄 버튼(23)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인쇄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인쇄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전자문서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쇄 모듈이 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전자문서 이미지에 대한 인쇄 설정 화면(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설정하는 등의 인쇄 설정이 완료될 수 있고, 인쇄 설정 화면(30)에 마련된 프린트 버튼(3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완료된 인쇄 설정에 따른 전자문서 이미지의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인쇄 설정에 근거하여, 실제 프린트 장치를 통해 전자문서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또는, 인쇄 모듈을 통해 설정 가능한 유형의 파일(예를 들면, PDF 파일 유형)로 전자문서 이미지를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예를 들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전자문서(20)와 함께 표시된 추출 버튼(22, 23) 중, 저장 버튼(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 버튼(22)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저장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저장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문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1)에 마련된 저장소에 전자문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에 전자문서 이미지에 대한 탐색기 화면(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문서 이미지를 저장하고자 하는 저장 경로를 설정하거나, 파일 유형을 설정하는 등의 저장 설정이 완료될 수 있고, 탐색기 화면(40)에 마련된 저장 버튼(4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완료된 저장 설정에 따른 전자문서 이미지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함께,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를 제공받음으로써,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 및 저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 제공 서버(3)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으며, 단순하게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만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하여 손쉽게 전자문서를 인쇄하거나 및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손실 및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한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통해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에 대응하는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전자문서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한편,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확인하는 것과 별개로, 전자문서를 보관하기 위해 전자문서 제공 서버(3)에 전자문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문서에 대응되는 문서를 팩스 또는 우편 등을 통해 제공받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전자문서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제어방법은 통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어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상기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전자문서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전자문서가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된 영역에서, 상기 추출 버튼이 상기 전자문서에 중첩하여 제공되도록 구현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는,
    상기 전자문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상기 추출 버튼이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제 1 명령; 및
    상기 추출 버튼에 의해 상기 전자문서가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식이 변경되도록 구현되는 제 2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미리 지정된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추출 모듈은, 인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상기 인쇄 모듈이 호출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인쇄 모듈이 호출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전자문서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 모듈이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이미지 렌더링 엔진이 호출되는 단계;
    상기 호출된 이미지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이미지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전자문서를 캡쳐하여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화면 캡쳐 모듈이 호출되는 단계;
    상기 호출된 화면 캡쳐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전자문서를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캡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문서 조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조각들을 연결하여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언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언어 정보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언어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마련된 번역 모듈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번역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가 상기 사용자 언어 정보에 대응하도록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번역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서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지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상기 수신된 서지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지 정보를 통한 전자문서 제공 요청을 상기 전자문서 제공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방법.
  14.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경우,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상기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전자문서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15.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제공 서버로부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경우, 전자문서 및 상기 전자문서에 대한 추출 버튼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전자문서 추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자문서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전자문서 추출 스크립트가 포함된 상기 전자문서 추출 버튼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전자문서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30063472A 2023-05-17 2023-05-17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60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472A KR102609799B1 (ko) 2023-05-17 2023-05-17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472A KR102609799B1 (ko) 2023-05-17 2023-05-17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99B1 true KR102609799B1 (ko) 2023-12-04

Family

ID=8916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472A KR102609799B1 (ko) 2023-05-17 2023-05-17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921A (ja) * 2002-09-20 2004-04-30 Ricoh Co Ltd Webサービス提供処理装置
KR20060019795A (ko) * 2004-08-30 2006-03-06 고은영 무선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피씨 문서 열람 방법
KR100646091B1 (ko) * 2005-09-06 2006-11-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기반의 민원서류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단말기
KR20190061342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민원서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921A (ja) * 2002-09-20 2004-04-30 Ricoh Co Ltd Webサービス提供処理装置
KR20060019795A (ko) * 2004-08-30 2006-03-06 고은영 무선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피씨 문서 열람 방법
KR100646091B1 (ko) * 2005-09-06 2006-11-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기반의 민원서류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이동단말기
KR20190061342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통합민원센터 주식회사 민원서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376B2 (en) Communication system, client apparatus, relay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84720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erforming first authentication when storing print data and performing second authentication when printing stored print data
US97942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control method
CN106462714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CN109714309A (zh) 信息处理装置、图像形成装置、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6880763B2 (ja) 情報解析システム、情報解析方法
US1032099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JP2018205906A (ja) 画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80288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Based Electronic Notary Public
JP2019096938A (ja) システム、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95108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login sett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60062975A1 (en) Web page providing device, web page providing method, and web page providing program
US2018029524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25229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609799B1 (ko) 전자문서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112838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004869A (zh) 认证设备和认证方法
JP20200214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043546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27073A1 (en) Image data processing
JP201711173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端末装置、認証結果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01514A (ko) 순번대기표 출력장치를 이용한 신분증 처리 업무 자동화시스템 및 방법
JP2019120984A (ja) 帳票データ管理装置、帳票データ管理方法
JP7481915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57871B2 (ja) 情報収集方法、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