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184B1 - 실내 광고용 드론 - Google Patents

실내 광고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184B1
KR102609184B1 KR1020210102634A KR20210102634A KR102609184B1 KR 102609184 B1 KR102609184 B1 KR 102609184B1 KR 1020210102634 A KR1020210102634 A KR 1020210102634A KR 20210102634 A KR20210102634 A KR 20210102634A KR 102609184 B1 KR102609184 B1 KR 10260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disposed
drone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214A (ko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이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원 filed Critical 이석원
Priority to KR102021010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1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30Lighter-than-air aircraft, e.g. aerostatic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은 상하로 관통된 기공이 구비되며, 가스가 충전되는 부력몸체부와, 기공 내에 배치되는 로터구동부와, 부력몸체부 상부 외면에 배치되며 부력몸체부 내면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투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은 부력몸체부 내에 공기 보다 가벼운 가스를 충전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행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광고용 드론{INDOOR ADVERTISEMENT DRONE}
본 발명은 실내 광고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쇼핑몰, 실내 경기장 등 다중이용시설 내에서 비행을 하며 광고를 할 수 있는 실내 광고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의 한 종류로, 여러 개의 프로펠러를 가진 비행체라는 뜻의 멀티콥터라고도 불린다. 드론의 프로펠러는 작용(토크), 반작용(역 토크) 힘의 균형의 안정화를 위하여 대부분 4개(쿼드콥터), 6개(헥사콥터) 및 8개(옥타 콥터) 등의 짝수개로 구비된다. 주로 사용되는 쿼드콥터 드론은 프로펠러가 큰 회전력으로 회전하면 중력보다 큰 양력(위로 들어올리는 힘)이 발생되어 위로 상승하게 되고, 프로펠러가 작은 회전력으로 회전하면 양력보다 중력이 크게 작용하여 하강하는 원리에 의해 운행된다. 또한, 드론은 전방에 위치한 프로펠러의 회전력보다 후방에 위한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높여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며 후진은 이와 반대되는 원리로 운행된다. 즉, 드론은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프로펠러의 회전력의 크기인 모터의 힘을 제어함으로써 자유자재로 비행할 수 있다.
이에, 드론은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기 때문에 배터리용량에 영향을 받게 되어, 비행시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용량은 드론의 무게와 모터의 전력 사용률에 정비례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작은 부피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하거나, 부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드론의 무게를 경감시키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8287호(2018.11.07 공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은 부력기구가 장착된 드론을 이용한 것으로, 실내 비행시 드론의 추락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비행시 드론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은 상부면의 일측에 투명재질로 구성된 투과면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기공이 구비되며, 가스가 충전되는 부력몸체부; 기공 내에 배치되는 로터구동부; 및 투과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부력몸체부 내면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투영부를 포함하고, 영상투영부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내부에 관통홀이 배치되도록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되, 하부가 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관통홀을 통해서 투과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관통홀에 배치되어 영상을 조정하는 렌즈; 관통홀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루;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홀더; 볼스크루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렌즈홀더를 관통하는 홀더지지로드; 및 렌즈홀더와 볼스크루 간에 설치되어 볼스크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관통홀은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이 배치되고,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가이드는 상호 이격된 관통홀의 이격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배치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부력몸체부에는 로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며, 부력몸체부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라이다센서가 배치되고, 제어부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로터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부력몸체부에는 로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며, 부력몸체부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라이다센서가 배치되며, 라이다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면과 부력몸체부의 거리를 측정하며, 제어부는 지면과 부력몸체부의 거리에 따라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제어부에는 고정식 비콘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식 비콘이 연결되어, 비행시 부력몸체부의 위치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제어부는 설정된 위치에 따라 부력몸체부가 비행하도록 로터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은 부력몸체부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충전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력몸체부에 상하로 관통된 기공을 형성하고, 기공 내부에 로터를 배치함으로써 드론의 추락 등 비상상황에서 인명의 손상, 로터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력몸체부의 외면에서 부력몸체부 내부로 영상을 투영하여 부력몸체부 내면에 영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영상 투영시 발생되는 열이 부력몸체부에 전달되어 부력몸체부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행 고도에 따라 부력몸체부 내면에 표출되는 영상의 크기, 영상 밝기를 조절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해진 경로를 따라 비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경로 상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장애물을 회피하여 비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투영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투영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투영부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렌즈홀더 및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제어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상부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실내 광고용 드론은 부력몸체부(100)와, 로터구동부(200) 및 영상투영부(300)로 구성된다.
부력몸체부(100)는 헬륨가스 등 공기의 밀도보다 작은 가스가 충전되는 것으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박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력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부력몸체부(100)에는 로터구동부(2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부력몸체부(100)의 상하가 상호 관통된 기공(110)이 복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기공(110) 내에 로터구동부(200)가 배치되어 외부로 로터구동부(200)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실내 광고용 드론의 추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인체의 손상, 로터구동부(200)의 손상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로터구동부(20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된 프로펠러로 구성되며, 프로펠러의 회전시 기공을 따라 상하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은 기공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회전시 기공(110)의 내면과 맞닿아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원기둥 형상으로 상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영상투영부(300)는 부력몸체부(100)의 외면에서 부력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부력몸체부(100)의 내면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으로, 부력몸체부(100)의 상부 외면에는 영상투영부(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브라켓이 배치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투영부(3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은 부력몸체부(100)의 상부면을 통해 내면으로 투사하여야 하므로, 부력몸체부(100)의 상부면, 바람직하게는 영상투영부(300)가 설치되는 상부면 브라켓 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과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투과면을 통해 부력몸체부(100) 내측으로 투사된 영상은 부력몸체부(100)의 내면에 투사되어, 실내 광고용 드론의 비행시 실내 광고용 드론의 하부에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
도 1에 도시된 영상투영부의 사시도인 도 2, 영상투영부의 측면도인 도 3, 영상투영부의 요부 평면도인 도 4 및 렌즈, 렌즈홀더 및 액추에이터가 도시된 요부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영상투영부(300)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영상투영부(300)는 앞에서 설명한 브라켓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310)와 베이스부재(3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320), 프로젝터(320)를 베이스부재(310)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310)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330)로 구성되며, 베이스부재(310)에는 프로젝터(320)의 영상이 베이스부재(310)를 통과하여 투사될 수 있도록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3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320)가 삽입되는 가이드(330) 내에 형성된다.
관통홀(311)은 1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관통홀(311)이 1개만 형성되는 경우, 프로젝터(320)에서 투사된 영상이 부력몸체부(100)의 밑면에 대응되는 부력몸체부(100)의 내면에 투영되는 경우 사람들은 실내 광고용 드론의 하부에서만 전체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영상의 노출이 효과적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광고용 드론의 하부 측면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도 실내 광고용 드론의 일측 하부 측면에서만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실내 광고용 드론의 양측 하부 측면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관통홀(311)은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관통홀(311)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330)가 형성되며, 가이드(330)의 방향은 상호 이격된 관통홀(311)의 이격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왼쪽의 가이드(330)에 배치된 프로젝터(320)는 부력몸체부(100)의 왼쪽 하부 측면에 영상을 투사하며, 오른쪽 가이드(330)에 배치된 프로젝터(320)는 부력몸체부(100)의 오른쪽 하부 측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몸체부(100)의 크기가 큰 경우 영상의 투사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므로 적정한 크기의 영상을 투영할 수 있으나, 부력몸체부(100)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영상의 투사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관통홀(311)의 상부에는 프로젝터(320)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조정하는 렌즈(31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렌즈(313)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관통홀(311) 상에서 렌즈(313)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315)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31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홀더(313a)에 고정될 수 있으며, 렌즈홀더(313a)의 양측에는 렌즈홀더(313a)가 회전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홀더지지로드(313b)가 배치되며, 렌즈홀더(313a)와 액추에이터(315) 사이에는 액추에이터(315)의 구동시 홀더지지로드(31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볼스크루(315a)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렌즈(313)를 이동시키지 않고, 프로젝터(3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330) 내부에 프로젝터지지블록(317)을 배치하고, 가이드(33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프로젝터지지블록(317)의 양측에는 도 5와 같이 프로젝터지지블록(31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를 배치하고, 액추에이터와 프로젝터지지블록(417) 사이에 볼스크루(315a)를 결합하여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프로젝터지지블록(417)을 가이드(330) 내에서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하부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부력몸체부(100)의 하부에는 컨트롤박스(400)를 배치하고, 컨트롤박스(400)에는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를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410)를 컨트롤박스(400)에 반드시 배치할 필요는 없으나, 부력몸체부(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체가 충전되는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6과 같이 제어부(410)를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컨트롤박스(400) 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컨트롤박스(400)에는 제어부(4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등이 같이 설치된다.
이러한 컨트롤박스(400)에는 부력몸체부(100)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도록 라이다센서(420)가 배치된다. 라이다센서(420)는 부력몸체부(100)의 전방, 측방의 장애물을 센싱할 수 있도록 3개의 라이다센서(4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의 장애물과 부력몸체부(100)로부터 지면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도록 5개의 라이다센서(420)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라이다센서(420)가 5개 배치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박스(400)의 저면과 4개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어부(410)는 라이다센서(42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하여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컨트롤박스(400)에 지면과 부력몸체부(100)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라이다센서(420)가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410)는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에 따라 프로젝터(320)에서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4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광고용 드론의 제어블록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315)와 연결되어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에 따라 액추에이터(315)의 구동을 제어하여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가 짧은 경우 작은 영상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하며,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가 긴 경우 큰 영상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광고용 드론은 실내에서 비행하는 드론으로, 실내에서는 GPS신호가 원활하게 수신되지 못하며, GPS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라도 약 10m 정도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10m의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실내용 드론의 무인 비행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410)에는 도 7과 같이 이동식 비콘(4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동식 비콘(430)은 고정식 비콘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오차가 4 ~ 5cm 이내이므로, 실내에서 실내 광고용 드론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410)에 고정식 비콘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식 비콘(43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410)는 실내 광고용 드론의 이동경로를 입력받고, 이동식 비콘(430)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이동경로에 따라 실내 광고용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력몸체부(100)의 외면에는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가 배치될 수도 있다. 실내 광고용 드론의 비행 중 제어부(410), 로터구동부(200) 등의 비행과 관련된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 실내 광고용 드론을 수거하여 빠르게 수리하여야 하나, 부력몸체부(100)의 내부에는 공기보다 낮은 밀도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하강의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력몸체부(100)의 외면에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 부력몸체부 110 : 기공
200 : 로터구동부
300 : 영상투영부 310 : 베이스부재
311 : 관통홀 313 : 렌즈
313a : 렌즈홀더 313b : 홀더지지로드
313c : 커넥터
315 : 액추에이터 317 : 프로젝터지지블록
315a : 볼스크루 320 : 프로젝터
330 : 가이드
400 : 컨트롤박스 410 : 제어부
420 : 라이다센서 430 : 이동식 비콘

Claims (11)

  1. 상부면의 일측에 투명재질로 구성된 투과면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기공(110)이 구비되며, 가스가 충전되는 부력몸체부(100);
    상기 기공(110) 내에 배치되는 로터구동부(200); 및
    상기 투과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몸체부(100) 내면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투영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투영부(300)는,
    관통홀(311)이 형성된 베이스부재(310);
    내부에 관통홀(311)이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330);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상면에 배치되되, 하부가 상기 가이드(3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311)을 통해서 상기 투과면에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320);
    상기 관통홀(311)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을 조정하는 렌즈(313);
    상기 관통홀(311)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315);
    상기 액추에이터(315)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루(315a);
    상기 렌즈(313)가 고정되는 렌즈홀더(313a);
    상기 볼스크루(315a)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렌즈홀더(313a)를 관통하는 홀더지지로드(313b); 및
    상기 렌즈홀더(313a)와 볼스크루(315b) 간에 설치되어 상기 볼스크루(315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31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311)은 상호 이격하여 한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330)는 상기 관통홀(311)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330)는 상호 이격된 관통홀(311)의 이격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부(100)에는 상기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가 배치되며,
    상기 부력몸체부(100)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라이다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10)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부(100)에는 상기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가 배치되며,
    상기 부력몸체부(100)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를 센싱하는 복수 개의 라이다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라이다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는 지면과 부력몸체부(100)의 거리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315)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에는 고정식 비콘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식 비콘(430)이 연결되어, 비행시 상기 부력몸체부(100)의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는 설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부력몸체부(100)가 비행하도록 상기 로터구동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광고용 드론.
KR1020210102634A 2021-08-04 2021-08-04 실내 광고용 드론 KR10260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634A KR102609184B1 (ko) 2021-08-04 2021-08-04 실내 광고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634A KR102609184B1 (ko) 2021-08-04 2021-08-04 실내 광고용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14A KR20230021214A (ko) 2023-02-14
KR102609184B1 true KR102609184B1 (ko) 2023-12-06

Family

ID=8522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634A KR102609184B1 (ko) 2021-08-04 2021-08-04 실내 광고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1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17B1 (ko) * 2016-07-11 2017-02-28 이지호 자가비행형 다기능 수액걸이대
KR102273221B1 (ko) * 2019-12-31 2021-07-06 이석원 드론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35B1 (ko) * 2017-04-25 2019-09-09 육상조 광고용 드론.
KR101918287B1 (ko) 2017-07-24 2018-11-13 김경수 가스기구를 구비한 유선 드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17B1 (ko) * 2016-07-11 2017-02-28 이지호 자가비행형 다기능 수액걸이대
KR102273221B1 (ko) * 2019-12-31 2021-07-06 이석원 드론 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 Develomemt(2021.03.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14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2691B2 (en) Buoyant aerial vehicle
US20210209957A1 (en) Deep stall aircraft landing
US20200182613A1 (en) Inverted-Landing Aircraft
US9789969B2 (en) Impact protection apparatus
US11772814B2 (en) System including a drone, a wire, and a docking station, enabling autonomous landings of the drones in degraded conditions
JP4899069B2 (ja) 球形飛行機
EP2838790B1 (en) Aircraft, methods for providing optical inform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of acoust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observing or tracking an object
JPH04169397A (ja) 飛行船
US20210354821A1 (en) Flying Apparatus
US2021023789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latched net assembly
US2021024020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otatable net assembly
CN105030429A (zh) 一种飞行担架
KR102609184B1 (ko) 실내 광고용 드론
CN108674683A (zh) 无人飞行器起降调节平台
JP7343046B2 (ja) 離着陸施設、飛行体システム、及び着陸制御方法
KR102370785B1 (ko) 6자유도 부양식 드론
JP2016137150A (ja) 飛翔体
KR20200132020A (ko) 기낭을 가지는 무인항공기
KR20190065064A (ko)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낙하 훈련 장치
CN218703880U (zh) 一种具有防坠落功能的飞行器
TWI746365B (zh) 無人機及其飛行控制系統與方法
WO2000059595A1 (es) Instalacion para simular el vuelo libre de personas, por accion de una corriente de aire
RU181687U1 (ru) Вертолетный тренажер-платформа
JP2005199902A (ja) 飛行船および飛行船システム
KR20100113429A (ko) 헬리콥터 기능을 구비한 비행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