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064B1 -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 Google Patents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064B1
KR102609064B1 KR1020210039684A KR20210039684A KR102609064B1 KR 102609064 B1 KR102609064 B1 KR 102609064B1 KR 1020210039684 A KR1020210039684 A KR 1020210039684A KR 20210039684 A KR20210039684 A KR 20210039684A KR 102609064 B1 KR102609064 B1 KR 10260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ower
flower decoration
pip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398A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ublication of KR2022012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2Linings and vene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5Rack for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에 관한 것으로서,
고인에 대한 예의와 유가족들에게 고인의 안락한 상태를 보일 수 있도록 운구용 관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 관내부측면 부위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탄성밴드가 장착되며 특히 상부 결착밴드가 보이지않도록 관뚜껑 꽂장식 커버를 형성한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apparatus}
본 발명은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에 대한 예의와 유가족들에게 고인의 안락한 상태를 보일 수 있도록 운구용 관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 관내부측면 부위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탄성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에 관한 것이다.
운구를 운반하기 위해 구성한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운구는 장례 과정 중 시신을 장지로 옮기기 위한 절차로서 6~8인이 관의 양측에 서서 들어올린 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은 운구하는 과정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으로 잡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끈으로 결속된다.
운구를 위해 사용되던 소창이나 광목과 같은 종래의 끈은 긴 천을 말아서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끈을 사용하여 관을 결속시 매듭을 이용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만들게 된다. 관의 결속된 끈을 잡아서 관을 들어올릴 경우 손의 파지가 불편하여 장시간 운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운구용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으나 손잡이가 측면으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는 중앙 부위 윗쪽에 가로결관끈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세로결관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윗쪽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결관 손잡이 고정구를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운구용 관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 관내부측면 부위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의 단부에 탄성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속관보를 관내부에 고정시에 압전, 양면테이프, 접착재 등으로 형성한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운구용 관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 관내부측면 부위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의 단부에 탄성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꽃장식 속관보는 꽃장식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이며,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고, 관바닥면 부위, 관내부측면 부위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의 단부에 탄성밴드가 장착되어 있어 운구용 관을 엄숙하고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에 꽃장식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00)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800)는,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500)을 부착하는 것, 꽃장식을 재봉 박음질하는 것, 꽃장식의 꽃모양을 인쇄한 것 중에 선택하여 형성되며, 관바닥면 부위(810), 관내부측면 부위(820)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를 선택하여 꽃장식 속관보를 형성하며, 상기 꽃장식 속관보를 관내부에 삽입하여 형성하고, 관의 상부측면으로 뒤집어씌울 수 있도록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의 단부에 고정하도록 테두리고정끈 또는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구용 관(900)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800)에 있어서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810), 관내부측면 부위(820)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의 단부에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운구용 관(900)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800-1)에 있어서,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 또는 꽃모양을 인쇄한 합성섬유 또는 종이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내부측면 상부 부위(820-1)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1)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1)의 단부에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90)에 설치된 후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는 속관보 상부커버(700)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꽃장식 속관보는 속관보 상부커버(700-1)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꽃장식 속관보는 관바닥면 부위(810)와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가 벨크로테이프(890-1)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구용 관은 꽃장식 속관보(800), 속관보 상부커버(700), 관뚜껑(990) 및 외부덮개(980)가 결합된 후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100)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는 밑면(30), 상단면(40) 및 양쪽 측면(20, 20')으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에 의하여 교차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아래쪽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결관끈(200)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윗쪽에 공간부(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고리끈(70)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 중앙 부위 아래쪽에 손잡이 관통홀(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관통홀(60)에 손잡이 고리끈(70)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세로결관끈(300)이 교차로 관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의 중앙부위 아래쪽에 제1 세로결관끈 관통홀(11), 제2 세로결관끈 관통홀(12), 제3 세로결관끈 관통홀(13), 제4 세로결관끈 관통홀(14), 제5 세로결관끈 관통홀(15), 제6 세로결관끈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90)의 하부면에 제7 세로결관끈 관통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90)의 상부면에 제8 세로결관끈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결관끈(200)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90)의 양쪽 측면에 가로결관끈 관통홀(50, 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800)은 운구용 관(900)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이며,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810), 관내부측면 부위(820)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의 단부에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있어 운구용 관을 엄숙하고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800-1)은 운구용 관(900)의 상부쪽에 덮어있는 꽃장식 속관보이며, 꽃장식 속관보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내부측면 상부 부위(820-1)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1)로 형성되어 있고,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1)의 단부에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있어 운구용 관을 엄숙하고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1와 같이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90)에 설치된 후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는 속관보 상부커버(700)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어 운구용 관을 엄숙하고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의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는 속관보 상부커버(700-1)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관바닥면 부위(810)와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가 벨크로테이프(890-1)로 부착되어 있어 단단하게 고정할수 있다. 또한 상기 꽃장식 속관보의 고정은 관바닥면 부위(810)와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가 벨크로테이프(890-1)로 탈부착하도록 형성하거나, 압전, 양면테이프, 접착재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꽃장식(500)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양면테이프, 접착재로 형성하여 원하는 꽃과 색상을 선택하여 고정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운구용 관은 꽃장식 속관보(800), 속관보 상부커버(700), 관뚜껑(990) 및 외부덮개(980)가 결합된 후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100)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는 운구용 결관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운구용 결관끈을 사용하여 운구용 관을 좌측과 우측에서 결관하는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이며 결관 손잡이 고정구의 중앙 부위 윗쪽에 가로결관끈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세로결관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윗쪽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관 손잡이 고정구를 편리하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는 밑면(30), 상단면(40) 및 양쪽 측면(20, 20')으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에 의하여 교차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아래쪽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결관끈(200)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윗쪽에 공간부(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고리끈(70)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 중앙 부위 아래쪽에 손잡이 관통홀(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관통홀(60)에 손잡이 고리끈(70)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세로결관끈(3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의 중앙부위 아래쪽에 제1 세로결관끈 관통홀(11), 제2 세로결관끈 관통홀(12), 제3 세로결관끈 관통홀(13), 제4 세로결관끈 관통홀(14), 제5 세로결관끈 관통홀(15), 제6 세로결관끈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있고, 공간부(90)의 하부면에 제7 세로결관끈 관통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90)의 상부면에 제8 세로결관끈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결관끈(200)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부(90)의 양쪽 측면에 가로결관끈 관통홀(50, 50')이 형성되어 있어 결관 손잡이 고정구의 중앙 부위 윗쪽에 가로결관끈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세로결관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 부위 윗쪽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관 손잡이 고정구를 편리하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세로결관끈(300)은 세로결관끈 상부고정구로 결관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결관끈 상부고정구(400)는 밑면(440)과 상단면(430)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대(421, 422, 423, 424)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 사이에 제1 세로결관끈 관통홀(411), 제2 세로결관끈 관통홀(412), 제3 세로결관끈 관통홀(413)이 형성되어 있어 세로결관끈(300)이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결착되어 있어 결관 손잡이 고정구를 편리하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세로결관끈(300)은 세로결관끈 상부고정구로 결관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결관끈 상부고정구(500,600)는 체결돌기버클(500)과 체결홈버클(600)이 원터치 형태로 체결 결착되어 있어 결관 손잡이 고정구를 편리하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상기 꽃장식 속관보(800)는, 운구용 관(900)의 꽃장식 속관보를 뒤집어 씌우되, 하단까지 길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는 관뚜껑(990)을 씌운 후에 가로결관끈(200)과 세로결관끈(300)을 포함한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100)로 고정하고, 상부에는 빠지지 않도록 끝단에 탄성밴드를 형성한 관뚜껑 꽃장식커버(850)을 씌워 고정하여 결관끈이 보이지 않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70: 손잡이 고리끈 100: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
200: 가로결관끈 300: 세로결관끈
900: 운구용 관 990: 관뚜껑

Claims (8)

  1. 표면에 다수개의 꽃장식을 부착하거나 꽃장식을 재봉 박음질 또는 꽃장식의 꽃모양을 인쇄한 것을 선택하여 형성한 운구용 관(900); 상기 운구용 관(900)에 결관끈을 형성한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800)는,
    관바닥면 부위(810), 관내부측면 부위(820) 및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를 선택하여 꽃장식 속관보를 형성하며, 상기 꽃장식 속관보를 관내부에 삽입하여 형성하고, 관의 상부측면으로 뒤집어씌울 수 있도록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의 단부에 고정하도록 테두리고정끈 또는 탄성밴드(890)가 장착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이 있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00)에 설치된 후 다수개의 꽃장식이 형성되어 있는 속관보 상부커버(700-1)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00)의 내부에 형성하되 속관보 상부커버(700)가 꽃장식 속관보(800)의 내부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운구용 관(900)의 관바닥면 부위(810)와 관외부측면상부 부위(830)가 벨크로테이프(890-1)로 탈부착되거나, 압전, 양면테이프, 접착재중에 선택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꽃장식(500)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양면테이프, 접착재를 사용하여 꽃과 색상을 선택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는,
    관뚜껑(990)의 상부에 관뚜껑 꽃장식커버(850)를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장식 속관보(800)는,
    운구용 관(900)의 꽃장식 속관보를 뒤집어 씌우되, 하단까지 길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는 관뚜껑을 씌운 후에 가로결관끈(200)과 세로결관끈(300)을 포함한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100)로 고정하고, 상부에는 빠지지 않도록 끝단에 탄성밴드를 형성한 관뚜껑 꽃장식커버(850)을 씌워 고정하여 결관끈이 보이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KR1020210039684A 2021-02-23 2021-03-26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KR10260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31 2021-02-23
KR20210024331 202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98A KR20220120398A (ko) 2022-08-30
KR102609064B1 true KR102609064B1 (ko) 2023-12-06

Family

ID=8311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684A KR102609064B1 (ko) 2021-02-23 2021-03-26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500Y1 (ko) * 2000-08-17 2001-01-15 이수창 1회용 자동차덮개
KR200252637Y1 (ko) * 2001-07-24 2001-11-22 최경묵 관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618U (ja) * 1983-07-28 1985-02-21 横山 義宏 葬儀用棺桶の運搬布
KR20150002059U (ko) * 2013-11-22 2015-06-01 김시휘 장의용 관 커버
KR20180003612U (ko) * 2017-06-14 2018-12-24 김종원 운구용 결관 원터치 손잡이 고정구
KR20180003611U (ko) * 2017-06-14 2018-12-24 김종원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500Y1 (ko) * 2000-08-17 2001-01-15 이수창 1회용 자동차덮개
KR200252637Y1 (ko) * 2001-07-24 2001-11-22 최경묵 관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98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70379A (en) Collapsible pet case
KR102609064B1 (ko) 운구용 꽃장식 속관보
US20150067997A1 (en) Casket With Moveable Bottom Panels
EP2477591B1 (en) Urn lowering device
US10501959B2 (en) Christmas tree tent
KR200447374Y1 (ko) 결관끈
CN201512986U (zh) 帐篷
KR200438703Y1 (ko) 화분 운반용 도구
GB2538767A (en) Coffin
AU2006100503A4 (en) Decorative cover for corpses
KR200323349Y1 (ko) 장례용 관 보호덮개
CN214961481U (zh) 一种新型防日灼葡萄专用套袋
KR102527943B1 (ko)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KR200451525Y1 (ko) 골프백 커버
KR20150002059U (ko) 장의용 관 커버
KR200292849Y1 (ko) 시신보
CA2452784A1 (en) Plant over-watering protective drainage article
WO2021005854A1 (ja) シート状物の支持構造
JP2015000184A (ja) 棺装飾具及び装飾棺
JPH042972Y2 (ko)
KR200160186Y1 (ko) 시신보관용 관
KR200154952Y1 (ko) 꽃장식용 관덮개
JP3011696U (ja) 納骨具
JP3153392U (ja) 棺用掛帯
KR200343054Y1 (ko) 화장용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