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27B1 -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27B1
KR102608427B1 KR1020230071881A KR20230071881A KR102608427B1 KR 102608427 B1 KR102608427 B1 KR 102608427B1 KR 1020230071881 A KR1020230071881 A KR 1020230071881A KR 20230071881 A KR20230071881 A KR 20230071881A KR 102608427 B1 KR102608427 B1 KR 10260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support
uni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여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7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내용을 투사하기 위한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 인체 감지 센서, 전동 스크린을 고정시키는 스크린 고정 모듈 및 빔 프로젝터를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모듈이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Hybrid display system based on motorized screen}
본 발명은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내용을 투사하기 위한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 인체 감지 센서, 전동 스크린을 고정시키는 스크린 고정 모듈 및 빔 프로젝터를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모듈이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교육, 회의,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투사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큰 화면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대부분 수동적으로 작동하며, 사용자가 직접 스크린을 내리거나, 빔 프로젝터를 켜고 끄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은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후에는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꺼야만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대부분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유연성을 제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고정된 위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면,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이탈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유연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 그리고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스크린의 승하강과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스크린 고정 모듈과 조절 모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다양한 위치에서 유연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성과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내용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 인체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스크린을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는 스크린 고정 모듈이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빔 프로젝터를 천장에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모듈이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투사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전동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전동 스크린을 향해 내용을 투사하도록 구비된 빔 프로젝터, 상기 빔 프로젝터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스크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신호화하는 접근 감지부, 상기 접근 감지부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동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 상기 접근 감지부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인체 감지가 가능한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인체 접근 시 상기 전동 스크린이 자동으로 내려가도록 하며,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이 꺼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지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전동 스크린을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스크린 고정 모듈, 상기 빔 프로젝터를 천장에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조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고정 모듈은,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회동 프레임, 상기 수직 회동 프레임의 상부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부 회동 프레임, 상기 수직 회동 프레임의 하부 양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회동 실린더, 상기 하부 회동 실린더의 내부를 향해 삽입된 하부 실린더 축, 상기 하부 실린더 축의 상부에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회동 실린더,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에서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을 향해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실린더 지지부재,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의 내부를 향해 삽입된 상부 실린더 축, 상기 상부 실린더 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회동 브라켓, 상기 상부 회동 브라켓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전동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크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회동 브라켓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벽면 지지 프레임,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에 일단부가 'X'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조절부, 상기 프레임 조절부의 타단부를 이어지도록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롤러 지지 프레임,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 승강 롤러,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조절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삽입 프레임, 상기 삽입 프레임에 신장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 상기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회동하도록 설치된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에 'ㄱ'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 상기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 신장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서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이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바디, 상기 지지부 바디의 양 말단부에서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향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회동하도록 구비된 회동축, 상기 삽입 프레임의 배면부 및 상기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 및 상기 삽입 프레임을 흡착 고정하도록 구비된 흡착부,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고정 모듈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동 스크린을 고정하고, 상기 하부 회동 실린더와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가 상기 스크린 지지부를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스크린 지지부가 상기 전동 스크린의 하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 모듈은, 천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 1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 1 모듈 회전축, 상기 제 1 모듈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모듈 회전축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제 1 회전축 바디, 상기 제 1 회전축 바디에 내장되되 상기 제 1 모듈 회전축과 맞물리도록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 2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 2 모듈 회전축,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제 2 회전축 바디,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 2 회전축 바디에 내장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회전축 스프링,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축 헤드, 상기 회전축 헤드의 내부에 체결되어 각도 조절을 위해 유동 가능하게 복수 개가 구비된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체결된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에서 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부 회전축, 상기 조절부 회전축이 중앙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부재와 체결되어 적어도 3개 이상의 갈래로 펼쳐지도록 구비된 조절부 프레임,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 프레임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프레임 회전부재,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프로젝터 체결부재,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조절부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사이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조절부 고정부재, 상기 조절부 고정부재의 양 말단부에 설치된 조절부 회동 브라켓, 상기 조절부 회동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부 회동부, 상기 조절부 회동부에서 외향하도록 설치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조절부 샤프트, 상기 조절부 샤프트의 말단부에 설치된 클램프부 연결부재, 상기 클램프부 연결부재에 클램핑(clamping)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 상기 조절부 프레임을 클램핑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클램프부, 상기 프레임 클램프부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내장되어 클램핑된 상기 조절부 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위치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위치 보정부는, 상기 프레임 클램프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보정 롤러, 상기 보정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절부 프레임과 맞닿도록 구비된 보정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샤프트부는, 상기 보정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샤프트 바디, 상기 샤프트 바디에 내장되어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가스 공급부, 상기 샤프트 바디에 내장되되 상기 가스 공급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가스가 완충된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된 제 1 보정 실린더, 상기 제 1 보정 실린더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보정 실린더 내부의 가스를 밀어내도록 구비된 제 2 보정 실린더, 상기 제 2 보정 실린더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보정 스프링, 상기 제 2 보정 실린더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정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구비된 스프링 압축링, 상기 샤프트 바디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보정 실린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실린더 고정링, 상기 제 2 보정 실린더의 말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부 프레임과 맞닿도록 구비된 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모듈은,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모듈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회전축 바디, 상기 제 2 회전 플레이트가 차례로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 2 모듈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 바디를 회전시켜 상기 각도 조절부에서 상기 빔 프로젝터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전동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범위를 조절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내용을 투사하기 위한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 인체 감지 센서, 전동 스크린을 고정시키는 스크린 고정 모듈 및 빔 프로젝터를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모듈이 구비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 친화적인 자동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스크린의 승하강과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에너지 효율성 향상: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빔 프로젝터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진다. 이러한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은 빔 프로젝터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므로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공간 활용성 증가: 스크린 고정 모듈과 조절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다양한 위치에서 유연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공간 활용성이 크게 증가하며,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양한 환경 적용 가능: 인체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인체 감지가 가능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이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인다.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크린을 내리고 프로젝터를 켜는 기능은, 불필요한 시간 소모를 줄이고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는 교육, 회의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고정 모듈과 인체 감지 센서의 연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고정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조절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도 조절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이드 조절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프레임 위치 보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전동 스크린, 빔 프로젝터(20), 인체 감지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스크린(10)은 투사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는 전동 스크린(10)을 향해 내용을 투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30)는 빔 프로젝터(20)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여 전동 스크린(10) 및 빔 프로젝터(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30)는 접근 감지부(31), 승하강 제어부(32), 전원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31)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신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접근 감지부(31)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인체 감지가 가능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제어부(32)는 접근 감지부(31)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 스크린(1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제어부(32)는 인체 접근 시 전동 스크린(10)이 자동으로 내려가도록 하며,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승하강 제어부(32)는 스크린 고정 모듈(100)과도 연동하여 스크린 고정 모듈(100)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절 모듈(300)도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전원 제어부(33)는 접근 감지부(31)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빔 프로젝터(2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33)는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빔 프로젝터(20)의 전원이 꺼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 감지단계: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접근하면 인체 감지 센서(30)가 이를 감지한다. 인체 감지 센서(3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도 인체 감지가 가능하다.
신호 전달단계: 인체 감지 센서(3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승하강 제어부(32)와 전원 제어부(33)에 전달한다.
스크린 승하강 제어단계: 승하강 제어부(32)는 인체 감지 센서(3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전동 스크린(10)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접근하면 스크린이 자동으로 내려가고, 사용자가 떠나면 일정 시간 후에 스크린이 자동으로 올라간다.
프로젝터 전원 제어단계: 전원 제어부(33)는 인체 감지 센서(3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빔 프로젝터(20)의 전원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접근하면 프로젝터의 전원이 켜지고, 사용자가 떠나면 일정 시간 후에 프로젝터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진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고정 모듈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지면에 설치되면서 승하강 제어부(32)와 연동되어 전동 스크린을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스크린 고정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고정 모듈(100)은 지지 플레이트(110), 수직 회동 프레임(120),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 하부 회동 실린더(140), 하부 실린더 축(150), 상부 회동 실린더(160), 실린더 지지부재(170), 상부 실린더 축(180), 상부 회동 브라켓(190), 스크린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회동 프레임(120)은 지지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은 수직 회동 프레임(120)의 상부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회동 실린더(140)는 수직 회동 프레임(120)의 하부 양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실린더 축(150)은 하부 회동 실린더(14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회동 실린더(160)는 하부 실린더 축(150)의 상부에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지지부재(170)는 상부 회동 실린더(160)에서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을 향해 상부 회동 실린더(16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실린더 축(180)은 상부 회동 실린더(16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회동 브라켓(190)은 상부 실린더 축(180)의 상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 지지부(200)는 상부 회동 브라켓(190)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전동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지지부(200)는 벽면 지지 프레임(210), 프레임 조절부(220), 롤러 지지 프레임(230), 스크린 승강 롤러(240), 프레임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벽면 지지 프레임(210)은 상부 회동 브라켓(190)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조절부(220)는 벽면 지지 프레임(210)에 일단부가 'X'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지지 프레임(230)은 프레임 조절부(220)의 타단부를 이어지도록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 승강 롤러(240)는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내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부(250)는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 및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단부에 체결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 조절부(2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고정부(250)는 삽입 프레임(251),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 회동 프레임(253),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 지지부 바디(257), 회동축(258), 흡착부(259), 완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프레임(251)은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은 삽입 프레임(251)에 신장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253)은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을 고정하면서 회동하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은 회동 프레임(253)에 'ㄱ'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은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에 신장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은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에서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 바디(257)는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을 이어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축(258)은 지지부 바디(257)의 양 말단부에서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을 향해 삽입되어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을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착부(259)는 삽입 프레임(251)의 배면부 및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벽면 지지 프레임(210) 및 롤러 지지 프레임(230)에 삽입된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 및 삽입 프레임(251)을 흡착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260)는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기술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스크린 고정 모듈(100)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 플레이트(110)가 'ㅡ'자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110) 상면에 'ㅣ'자 방향으로 하기의 형상이 조립되되 일정 간격으로 하기의 형상이 나란히 배치된다.
'ㅣ'자 방향의 수직 회동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하단 양 측부에 하부 회동 실린더(140)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각각의 하부 회동 실린더(14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하부 실린더 축(150)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각각의 하부 실린더 축(150)의 상부에 상부 회동 실린더(160)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상부 회동 실린더(16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상부 실린더 축(180)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각각의 상부 실린더 축(180)의 상단부에 스크린 지지부(200)가 배치되되 스크린 지지부(200)의 배면부에 형성된 상부 회동 브라켓(190)과 각각의 상부 실린더 축(180)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수직 회동 프레임(120)의 상부 양 측에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이 'ㅣ'자 방향으로 체결되되 각각의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의 상단부가 스크린 지지부(200)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에서 상부 회동 실린더(160)를 향해 실린더 지지부재(170)가 조립된다.
스크린 지지부(200)에 있어서, 상부 회동 브라켓(190)이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배면부에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 측면에 'X'자 형상으로 프레임 조절부(220)의 일단부가 조립되되, 중앙부에 회동축(258)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다.
프레임 조절부(220)의 타단부에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 측면이 조립된다('lXl' 형상).
이때, 롤러 지지 프레임(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내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스크린 승강 롤러(24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단부 및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에 프레임 고정부(250)가 체결된다.
프레임 고정부(250)에 있어서,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단부에는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에는 삽입 프레임(251)이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ㅡ'자 방향으로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이 조립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각각의 삽입 프레임(251)의 상부에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이 신장 가능하게 삽입된다.
각각의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의 상부에 'ㅣ'자 방향으로 회동 프레임(253)이 조립되고,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이 'ㅡ'자 방향으로 회동 프레임(253)의 일단부에 조립된다.
이때,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이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의 내부를 향해 신장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일정 간격의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을 이어지도록 지지부 바디(257)가 조립된다.
이때,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부 바디(257)가 체결된다.
또한,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의 상면부 및 삽입 프레임(251)의 배면부에 흡착부(259)가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 바디(257)의 양 말단부에서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을 향해 회동축(258)이 삽입되되 흡착부(259)와도 체결된다.
완충부(260)는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에서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을 향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각 구성 명칭에 포함된 "수직", "수평"의 표현들은 다양한 시각에서의 도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 고정 모듈(100)은 승하강 제어부(32)의 신호를 수신받아 전동 스크린을 지면으로부터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회동 실린더(140)와 상부 회동 실린더(160)가 스크린 지지부(200)를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실린더 축(150) 및 상부 실린더 축(180)이 승하강하면서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이 수직 회동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승하강하여 스크린 지지부(200)의 회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동 스크린을 고정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스크린 지지부(200)가 전동 스크린의 하부 양면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스크린 지지부(200)의 프레임 조절부(220)가 회동축(258)이 회전하여 'X'자의 각도를 조절하여 벽면 지지 프레임(210)이 벽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이어서 스크린 승강 롤러(240)가 전동 스크린의 일면에 맞닿으면서 스크린 승강 롤러(240)의 회전에 따라 하부 회동 실린더(140), 상부 회동 실린더(160) 및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 스크린 지지부(200)의 프레임 조절부(220)가 회동축(258)이 회전하여 'X'자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동 스크린의 타면에 스크린 승강 롤러(240)가 맞닿으면서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조절부(220)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 고정부(250)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조절부(220)의 각도에 따라 각각의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이 각각의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으로부터 신장되면서 각각의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이 신장되어 삽입 프레임(251)이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지지 프레임(230)의 일단부 및 벽면 지지 프레임(210)의 일단부에 안착된 삽입 프레임(251)의 흡착부(259) 및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의 흡착부(259)가 회동축(258)의 회동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프레임(251) 및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들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부(260)에서 완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조절 모듈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빔 프로젝터(20)를 천장에 고정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조절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모듈(300)은 제 1 회전 플레이트(310), 제 1 모듈 회전축(320), 제 1 회전축 바디(330), 제 2 회전 플레이트(340), 제 2 모듈 회전축(350), 제 2 회전축 바디(360), 회전축 스프링(370), 회전축 헤드(380), 조절부재(390), 각도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플레이트(310)는 천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모듈 회전축(320)은 제 1 회전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 바디(330)는 제 1 모듈 회전축(3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제 1 모듈 회전축(320)을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회전 플레이트(340)는 제 1 회전축 바디(330)에 내장되되 제 1 모듈 회전축(320)과 맞물리도록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모듈 회전축(350)은 제 2 회전 플레이트(340)의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 회전축 바디(360)는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제 2 모듈 회전축(350)을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스프링(370)은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제 2 회전축 바디(360)에 내장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헤드(380)는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하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재(390)는 회전축 헤드(380)의 내부에 체결되어 각도 조절을 위해 유동 가능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400)는 조절부재(39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400)는 조절부 회전축(410), 조절부 프레임(420), 프레임 회전부재(430), 프로젝터 체결부재(440), 사이드 조절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 회전축(410)은 제 2 모듈 회전축(350)에서 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프레임(420)은 조절부 회전축(410)이 중앙부에 삽입되고, 조절부재(390)와 체결되어 적어도 3개 이상의 갈래로 펼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회전부재(430)는 조절부 프레임(4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조절부 프레임(42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체결부재(440)는 조절부 프레임(420)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빔 프로젝터(20)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조절부(450)는 조절부 프레임(420)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각 조절부 프레임(4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조절부(450)는 조절부 고정부재(451),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 조절부 회동부(453), 조절부 샤프트(454), 클램프부 연결부재(455), 프레임 클램프부(456), 프레임 위치 보정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 고정부재(451)는 조절부 프레임(4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조절부 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은 조절부 고정부재(451)의 양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회동부(453)는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 샤프트(454)는 조절부 회동부(453)에서 외향하도록 설치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부 연결부재(455)는 조절부 샤프트(454)의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클램프부(456)는 클램프부 연결부재(455)에 클램핑(clamping)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 조절부 프레임(420)을 클램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위치 보정부(457)는 프레임 클램프부(456)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내장되어 클램핑된 조절부 프레임(4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위치 보정부(457)는 보정 롤러(458), 보정 샤프트부(45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롤러(458)는 프레임 클램프부(456)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정 샤프트부(459)는 보정 롤러(458)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조절부 프레임(420)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정 샤프트부(459)는 샤프트 바디(460), 가스 공급부(461), 제 1 보정 실린더(462), 제 2 보정 실린더(463), 보정 스프링(464), 스프링 압축링(465), 실린더 고정링(466), 보정부재(467)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바디(460)는 보정 롤러(458)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461)는 샤프트 바디(460)에 내장되어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보정 실린더(462)는 샤프트 바디(460)에 내장되되 가스 공급부(461)와 일체로 연결되어 가스가 완충된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보정 실린더(463)는 제 1 보정 실린더(462)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제 1 보정 실린더(462) 내부의 가스를 밀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정 스프링(464)은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압축링(465)은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보정 스프링(464)을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고정링(466)은 샤프트 바디(46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정부재(467)는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말단부에 삽입되어 조절부 프레임(420)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기술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조절 모듈(300)에 있어서, 천장에서 빔 프로젝터(20)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회전 플레이트(310)가 천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 1 회전 플레이트(310)를 천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지지판이 추가적으로 천장과 제 1 회전 플레이트(3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 1 모듈 회전축(320)이 제 1 회전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ㅣ'자 방향으로 제 1 회전 플레이트(310)를 회전하도록 삽입된다.
제 1 회전축 바디(330)가 제 1 모듈 회전축(320)의 둘레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 1 모듈 회전축(320)의 둘레부와 맞닿게 제 2 회전 플레이트(340)가 제 1 모듈 회전축(320)의 양 측에 배치되되 제 1 회전축 바디(3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각각의 제 2 회전 플레이트(340)의 중앙부에 제 2 모듈 회전축(350) 각각이 제 2 회전 플레이트(340)를 회전하도록 삽입된다.
각각의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둘레부에 제 2 회전축 바디(360)가 삽입된다.
이때, 제 2 회전축 바디(360)의 내부에 회전축 스프링(370)이 내장되되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둘레부에 삽입된다.
또한, 회전축 헤드(380)가 각각의 제 2 모듈 회전축(35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도 조절부(400)의 상단부 일정 간격으로 조절부재(390)가 회전축 헤드(380)의 내부를 향해 각도 조절부(400)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조립한다.
각도 조절부(400)에 있어서, 조절부 프레임(420)의 상면에 조절부재(390)가 일정 간격으로 회전축 헤드(38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된다.
조절부 회전축(410)이 제 2 모듈 회전축(350)에서 조절부 프레임(420)의 중앙부를 향해 삽입된다.
이때, 조절부 프레임(420)은 도면을 기준으로 'ㅅ'자 형상이되, 둘레부에 프레임 회전부재(430)가 삽입된다.
또한, 조절부 프레임(420)은 각 프레임 단위가 조절부 회전축(41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조절부 프레임(420)의 각 말단부에는 빔 프로젝터(20)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젝터 체결부재(440)가 체결된다.
따라서, 빔 프로젝터(20)는 각각의 프로젝터 체결부재(440)에 체결되어 소형의 빔 프로젝터(20) 복수 개를 전동 스크린을 향해 투사할 수 있다.
조절부 프레임(420)의 프레임의 둘레부에 사이드 조절부(450)가 삽입된다.
사이드 조절부(450)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둘레부에 조절부 고정부재(451)가 삽입되고, 조절부 고정부재(451)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조절부 고정부재(451)의 양 측부에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이 형성되고, 각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에 조절부 회동부(453)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조절부 회동부(453)에서 외향하게 조절부 샤프트(454), 클램프부 연결부재(455), 프레임 클램프부(456)가 순서대로 조립된다.
이때, 클램프부 연결부재(455)에 의해 프레임 클램프부(456)가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 위치 보정부(457)가 프레임 클램프부(456)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조절부 프레임(4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내장된다.
보정 롤러(458)가 프레임 클램프부(456)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보정 롤러(458)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보정 샤프트부(459)가 조절부 프레임(420)에 맞닿도록 연장 형성된다.
보정 샤프트부(459)에 있어서, 보정 롤러(458)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샤프트 바디(460)가 연장 형성되고, 샤프트 바디(460)에 내장되게 보정 롤러(458)의 둘레부에 가스 공급부(461)가 설치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가스 공급부(461)에서 하향으로 제 1 보정 실린더(462), 제 1 보정 실린더(462)의 둘레부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제 2 보정 실린더(463)가 삽입된다.
이‹š,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둘레부에 스프링 압축링(465)이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 압축링(465)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둘레부에 보정 스프링(464)이 삽입된다.
샤프트 바디(460)의 하단부에는 제 2 보정 실린더(463)를 고정하도록 실린더 고정링(466)이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둘레부를 고정하도록 조립된다.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하부에 보정부재(467)가 조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 모듈(300)은 전원 제어부(33)의 제어에 의해 제 1 회전 플레이트(310) 및 제 1 모듈 회전축(320)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의해 제 1 회전축 바디(330), 각각의 제 2 회전 플레이트(340)가 차례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의해 각각의 제 2 모듈 회전축(350)이 회전하여 각각의 제 2 회전축 바디(3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회전축 스프링(370)에 의해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400)에서 빔 프로젝터(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동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을 위해 조절부재(390)가 회전축 헤드(380) 내부에서 각도 조절부(400)를 다각도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레임 회전부재(430)가 회전하여 조절부 프레임(420)의 각 프레임의 말단부를 회전시켜 빔 프로젝터(20)의 투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 조절부(450)가 조절부 프레임(420)의 각 프레임을 조절부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서로 가깝게 혹은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위치 조절을 위해 조절부 고정부재(451)가 조절부 프레임(4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절부 회동부(453)가 조절부 샤프트(45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프 연결부재가 프레임 클램프부(456)를 회전시켜 조절부 프레임(420)의 각 프레임을 클램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된 조절부 프레임(4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보정 롤러(458)가 회전하여 복수 개의 보정 샤프트부(459)가 조절부 프레임(420)에 맞닿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공급부(461)에서 가스를 제 1 보정 실린더(462) 및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내부에 공급하여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보정부재(467)가 조절부 프레임(420)을 맞닿아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보정 실린더(463)의 피스톤 운동 시 보정 스프링(464)이 스프링 압축링(465)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유연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전동 스크린(10)
빔 프로젝터(20)
인체 감지 센서(30)
접근 감지부(31)
승하강 제어부(32)
전원 제어부(33)
스크린 고정 모듈(100)
지지 플레이트(110)
수직 회동 프레임(120)
지지부 회동 프레임(130)
하부 회동 실린더(140)
하부 실린더 축(150)
상부 회동 실린더(160)
실린더 지지부재(170)
상부 실린더 축(180)
상부 회동 브라켓(190)
스크린 지지부(200)
벽면 지지 프레임(210)
프레임 조절부(220)
롤러 지지 프레임(230)
스크린 승강 롤러(240)
프레임 고정부(250)
삽입 프레임(251)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252)
회동 프레임(253)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254)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255)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256)
지지부 바디(257)
회동축(258)
흡착부(259)
완충부(260)
조절 모듈(300)
제 1 회전 플레이트(310)
제 1 모듈 회전축(320)
제 1 회전축 바디(330)
제 2 회전 플레이트(340)
제 2 모듈 회전축(350)
제 2 회전축 바디(360)
회전축 스프링(370)
회전축 헤드(380)
조절부재(390)
각도 조절부(400)
조절부 회전축(410)
조절부 프레임(420)
프레임 회전부재(430)
프로젝터 체결부재(440)
사이드 조절부(450)
조절부 고정부재(451)
조절부 회동 브라켓(452)
조절부 회동부(453)
조절부 샤프트(454)
클램프부 연결부재(455)
프레임 클램프부(456)
프레임 위치 보정부(457)
보정 롤러(458)
보정 샤프트부(459)
샤프트 바디(460)
가스 공급부(461)
제 1 보정 실린더(462)
제 2 보정 실린더(463)
보정 스프링(464)
스프링 압축링(465)
실린더 고정링(466)
보정부재(467)

Claims (3)

  1. 투사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전동 스크린;
    을 포함하는,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스크린을 향해 내용을 투사하도록 구비된 빔 프로젝터;
    상기 빔 프로젝터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스크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인체 감지 센서;
    지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동 스크린을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스크린 고정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신호화하는 접근 감지부;
    상기 접근 감지부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동 스크린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
    상기 접근 감지부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인체 감지가 가능한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인체 접근 시 상기 전동 스크린이 자동으로 내려가도록 하며,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사용자가 떠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이 꺼지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고정 모듈은,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회동 프레임;
    상기 수직 회동 프레임의 상부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부 회동 프레임;
    상기 수직 회동 프레임의 하부 양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회동 실린더;
    상기 하부 회동 실린더의 내부를 향해 삽입된 하부 실린더 축;
    상기 하부 실린더 축의 상부에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회동 실린더;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에서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을 향해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실린더 지지부재;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의 내부를 향해 삽입된 상부 실린더 축;
    상기 상부 실린더 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회동 브라켓;
    상기 상부 회동 브라켓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전동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크린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회동 브라켓이 배면부에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벽면 지지 프레임;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에 일단부가 'X'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조절부;
    상기 프레임 조절부의 타단부를 이어지도록 설치되고, 내부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롤러 지지 프레임;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 승강 롤러;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체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조절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삽입 프레임;
    상기 삽입 프레임에 신장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
    상기 상부 수평 신장 프레임을 고정하면서 회동하도록 설치된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에 'ㄱ'자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
    상기 상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 신장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서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
    상기 지지부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이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바디;
    상기 지지부 바디의 양 말단부에서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향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을 회동하도록 구비된 회동축;
    상기 삽입 프레임의 배면부 및 상기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벽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하부 수평 신장 프레임 및 상기 삽입 프레임을 흡착 고정하도록 구비된 흡착부;
    상기 하부 수직 신장 프레임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고정 모듈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동 스크린을 고정하고,
    상기 하부 회동 실린더와 상기 상부 회동 실린더가 상기 스크린 지지부를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스크린 지지부가 상기 전동 스크린의 하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71881A 2023-06-02 2023-06-02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08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881A KR102608427B1 (ko) 2023-06-02 2023-06-02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881A KR102608427B1 (ko) 2023-06-02 2023-06-02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427B1 true KR102608427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881A KR102608427B1 (ko) 2023-06-02 2023-06-02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183A (ko) * 2011-11-25 2013-06-04 (주)씨에스 멀티미디어 전자 강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183A (ko) * 2011-11-25 2013-06-04 (주)씨에스 멀티미디어 전자 강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348A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US11089865B2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US20120002393A1 (en) Display mount with adjustable position tilt axis
EP1587315A3 (en) Improved adjustable convergence device for a projector and projector equipped with a convergence device
KR102608427B1 (ko) 전동 스크린 기반의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4859328U (zh) 双目教育跟踪摄像机
KR101794291B1 (ko) 영상촬영후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CN218179979U (zh) 一种可调式光电传感器
KR101949477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CN106724268A (zh) 椅背的前后位置调节机构及椅子
CN112325127A (zh) 一种影院用放映机升降结构
CN106724258A (zh) 椅背的倾仰调节机构及椅子
CN216923742U (zh) 一种便于调节的人脸识别摄像装置
EP1708072A1 (en) A support device for a flat screen
CN205404020U (zh) 吸盘式天窗摆动及防夹力检测装置的带支架检测头
CN110067924A (zh) 一种高稳定性教学用投影仪放置架
CN206856629U (zh) 机器人
KR102562073B1 (ko) Tv용 슬라이드 틸팅 벽걸이 장치
CN218645117U (zh) 一种勘测取证记录仪旋转支架
CN208832179U (zh) 一种带有显示系统的台灯
KR102506732B1 (ko) 지능형 디바이스 거치대
CN216135915U (zh) 一种超声设备
CN114815471B (zh) 投影装置
CN215499466U (zh) 一种直播话筒调节架
CN115805877A (zh) 具有水平调节功能的支撑结构及车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