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06B1 -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 Google Patents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06B1
KR102608406B1 KR1020210190189A KR20210190189A KR102608406B1 KR 102608406 B1 KR102608406 B1 KR 102608406B1 KR 1020210190189 A KR1020210190189 A KR 1020210190189A KR 20210190189 A KR20210190189 A KR 20210190189A KR 102608406 B1 KR102608406 B1 KR 10260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sensor unit
drone
charg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5513A (en
Inventor
김종호
설윤호
Original Assignee
설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윤호 filed Critical 설윤호
Priority to PCT/KR2022/0146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55098A1/en
Publication of KR2023004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 그리고,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드론 충전시에 GPS 등 센서부가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including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nd a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uni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a charging unit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unit. 1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charg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received by the sensor unit such as GPS when charging the drone It concerns drones and charging devices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of

Description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본 발명은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 그리고,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드론 충전시에 GPS 등 센서부가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including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nd a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uni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a charging unit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unit. 1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charg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received by the sensor unit such as GPS when charging the drone It concerns drones and charging devices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of

일반적으로 드론은 자율항법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종되거나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되는 무인 비행체를 의미한다.In general, a drone refers to an unmanned aircraft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or remotely controlled using radio waves.

드론은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한다는 점에서 무인항공기라는 표현도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초기에는 공군기나 고사포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정찰, 감시 및 대잠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The expression 'unmanned aerial vehicle' is also used in that drones are controlled remotely from the ground without a person on board. They were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were initially used as targets instead of enemy planes for practice shooting by air force aircraft or anti-aircraft guns, but are now used for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It is mainly used for anti-submarine purposes.

한편, 드론의 용도가 다양화되면서 민간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완구, 영상 촬영, 배송(택배), 재해 관측 등의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Meanwhile, as the uses of drones have diversified, they have begun to be used in the private sector. In particular,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fields such as toys, video recording, delivery (courier service), and disaster observation, and various products are being released.

이러한 드론은 지상의 관제센터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드론의 위치나 드론이 센싱한 물리량들을 전송하고 명령을 받아 움직이거나, 드론 자체에서 GPS 등 위치신호나 기타 신호를 수신 받아 자율 주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These drones must be able to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a control center on the ground to transmit the drone's location or physical quantities sensed by the drone, receive commands, and move, or b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by receiving location signals such as GPS or other signals from the drone itself. do.

드론에 장착된 센서부가 드론의 충전부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충전에 의한 전자기장으로 인하여 센서부의 센싱값이 영향을 받아 부정확한 값이 수신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If the sensor unit mounted on the drone interferes with the charging unit of the drone,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may be affected due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caused by the charging, and inaccurate values may be received or transmitted.

종래에는 센서부의 위치를 충전부와 멀리 설계하거나 특별한 고려 없이 설계되어 전자파 차폐부재를 사용하였으나, 설계상 제약, 무게 및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ast, the location of the sensor unit was designed away from the charging unit or it was designed without special consideration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was used, but there were problems with design limitations and increased weight and cos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1616호 (발명의 명칭: 드론 충전 스테이션 및 시스템, 공개일: 2019. 03. 0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21616 (Title of invention: Drone charging station and system, Publication date: 2019. 03. 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 그리고,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드론 충전 시에 GPS 등 센서부가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및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charging uni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unit, and, A drone and charging devi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ncludes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charging unit, which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received by the sensor unit, such as GPS, when charging the dr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 및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module, wherein the charging module includes a char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a charging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and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선은 상기 충전부의 중심부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wherein the signal line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제1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은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전력선에는 제1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력선에는 제2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wherei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a firs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a seco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power line. 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directly combined.

또한 여기서, 상기 센서부에는 센서부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here,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상기 센서부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과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충전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열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a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sensor unit,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porous material, and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porous material. 2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heat dissipation fins are formed on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charg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충전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어셈블리는,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는 충전홈과 상기 충전홈의 둘레의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각각 접촉되는 제1 충전홈단자 및 제2 충전홈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장치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assembly, wherein the charging assembly is formed around a charg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and the charging groove, and is formed arou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charging groove. 2. It includes a first charging home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home terminal that are each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charging device is attached to a ceiling, a wall, or a specific structure.

여기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pecific structure is characterized as a robot arm.

본 발명의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drone equipped with the charg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충전시에 드론의 센서부가 충전부의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malfunction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charging unit on the sensor unit of the drone when charging.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방열 구조물을 구비하여 충전시에 센서부의 열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Second, the drone equipped with the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quipped with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heat of the sensor unit during charging.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벽, 천장 등 어느 위치, 또는 어떤 자세에서도 드론을 충전시킬 수 있어 드론 충전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이점도 있다.Third, the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harg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freedom of charging the drone because it can charge the drone at any position, such as a wall or ceiling, or in any postur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izes and shap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each drawing. 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upper surface, lower surface, top, bottom,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For example, for convenience, if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is called upper and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is called lower, in reality, the upper part can be called lower, and the lower part can be called upp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each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limited by the manufacturing order, and the names may not matc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및 이와 결합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우선 본 명세서에서 드론은 무인비행체 및 동력이 없는 무인 항공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First, in this specification, drones are interpreted to includ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out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충전부(100)와 상기 충전부(100)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 및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100)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ging unit 100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unit 100.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are disposed and ar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and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nsor unit 300 provided.

충전부(100)는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도 1에서와 같이 팽이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가운데 둘레 부분의 지름이 크고 상단으로 갈수록 둘레의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이나 굴곡지는 부분의 곡률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높이 방향으로 가운데 둘레 부분의 지름이 가장 크게 되고 상단으로 갈수록 가파르게 지름이 작아졌다가 다시 일정 지름을 유지하고, 이후 상단 가까이서 둥글게 변화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와 도킹(결합)할 때 처음 닿는 부분이 충전어셈블리로 삽입되기 용이하며, 이후에 고정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다.The charging unit 10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has the shape of a top as shown in FIG. 1.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ce in the middle is large and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ce becomes smaller towards the top, but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art is form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central circumference in the height direction becomes the largest, and the diameter decreases steeply toward the top, then maintains a constant diameter again, and then changes to a round shape near the top. By being formed in this way, when docking (combined) with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charging device described later, the part that first touches is easy to insert into the charging assembly, and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fix later.

즉, 충전부(100)의 하단은 작게 형성되어 충전어셈블리에 장착된 고정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장치는 충전어셈블리에서 갈고리 또는 고리 형태로 되어 충전부(100)의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드론을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harging unit 100 is formed to be small and is fixed by a fixing device (not shown) mounted on the charging assembly. The fixing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or ring in the charging assembly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charging part 100, and thus can fix the drone.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는 각각 상기 충전부(100)의 가운데 둘레 부분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후술하겠지만,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가 여러가지 존재하는데,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제1 충전단자(210)는 플러스 전극일 수 있고, 제2 충전단자(220)는 마이너스 전극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 있다.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는 복수개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are disposed at a central peripheral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1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are various structures that are arranged spaced apart, including a configuration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Her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may be a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may be a negative electrode, or vice versa.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charging terminals 210 and second charging terminals 220.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에는 전선이 연결되어 있어 연결된 전선은 드론의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지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한다.Although not shown, a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and the connected wire is connected to a charging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rone to charge electricity.

센서부(300)는 상기 충전부(100)의 상단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센서부(300)는 GPS 센서나 GNSS, IMU 센서 등 드론과 관련된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충전시에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자기장은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반타원형의 곡선으로 전자기장이 발생하여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00)를 일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세기는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일정간격 이상으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면,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세기 범위에 벗어나거나 영향이 미미한 위치에 센서부(300)를 배치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charging unit 100 and i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ensor unit 300 may include all sensors related to the drone, such as a GPS sensor, GNSS, and IMU sensor,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so that it can be used when charging.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generated can be minimized. That is,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Basically,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a semi-elliptical curve,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00. The farther away from the center line when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smaller the intensit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Therefore, if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the sensor unit 300 is placed outside the range of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ccurring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or in a position where the effect is minimal. It can be plac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는 상기 충전부(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of the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ign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facing each other.

즉, 충전부(100)를 기준으로 위에서 봤을 때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배치될 경우에 전자기장은 제1 충전단자(210)에서 제2 충전단자(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unit 100,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field flows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s 220.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장과는 상관없이 일정간격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센서부(300)가 배치되면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Regardless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if the sensor unit 3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t a certain interval,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can be minimiz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는 각각 복수개이며 상기 충전부(100)의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되,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of the drone equipped with the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plural, and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but arranged next to each other.

여기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도 3의 (a), (b)와 같이 플러스 전극 다음에 마이너스 전극이 배치된다는 의미이다.Here, being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means that the minus electrode is placed next to the plus electrode, as shown in Figures 3 (a) and (b).

즉, 제1 충전단자(210)도 복수개 구비되고, 제2 충전단자(220)도 복수개가 구비되되, 제1 충전단자(210) 다음에 제2 충전단자(220)가 배치되고 계속해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a plurality of first charging terminals 210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charging terminals 220 are provided,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s 220 are arranged after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continue to be arranged alternately. It means becoming.

이렇게 배치되면, 전자기장은 플러스 전극과 이웃하는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여 충전부(100)의 중심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되지 않는다. 센서부(300)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충전부(100)의 중심부에는 더더욱 전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센서부(300)에 미치는 영향은 더더욱 최소화가 된다.When arranged in this way,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plus electrode and the adjacent minus electrode,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no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Although the sensor unit 3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no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so the influence on the sensor unit 300 is further minimized.

한편, 도 3의 (c)와 같이 한번은 플러스 전극 다음에 마이너스 전극이 오고, 그 다음에는 마이너스 전극 다음에 마이너스 전극이 먼저 배치되는 구성을 갖게 되면, 전자기장이 각 전극의 한쪽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더더욱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a), (b)와 같은 경우에는 전자기장이 전극(충전단자)의 양쪽 방향으로 전자기장이 형성되나 (c)와 같은 경우에는 한쪽 방향으로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센서부(300)에 대한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inus electrode is placed first after the plus electrode, and then the minus electrode is placed first, as shown in (c) of FIG. 3,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of each electrod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minimized. That is, in cases such as (a) and (b),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in both directions of the electrode (charging terminal), but in the case such as (c),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in one direction and more effectively affects the sensor unit 300.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minimized.

이렇게 전극(충전단자)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각 동일(플러스 또는 마이너스간) 전극을 연결하는 전선은 충전부(100)의 하부에서 합선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운데 둘레 부분에서 합선할 경우 전자기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센서부(300)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충전부(100)의 하부에서 합선하는 것이 더욱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des (charging terminals), it is preferable to short-circuit the wires connecting the same (plus or minus) electrodes at the bottom of the charging unit 100. Since the possibility of an electromagnetic field being generated increases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enter peripheral area, a better effect is achieved by short circuiting at the lower part of the charging unit 100, away from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sensor unit 300.

한편, 각 충전단자(210, 220)의 후면에는 차폐 소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 소자는 비자기성 금속인 알루미늄이나 고분자 복합재료, 카본,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충전단자의 후면에 배치되어 전자기장을 차폐시킨다. 여기서 후면이란, 충전부(100)의 중심부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전면은 충전어셈블리의 충전홈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후면은 충전부(100)에 부착되는 부분이다.Meanwhile, it is desirable to attach a shielding material to the rear of each charging terminal (210, 220). The shielding element is preferably made of non-magnetic metal such as aluminum, polymer composite material, carbon, etc., and is placed on the back of each charging terminal to shield electromagnetic fields. Here, the rear refers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That is, the front is a part that contacts the charging groove terminal of the charging assembly, and the back is a part attached to the charging unit 100.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는 복수개가 구비되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of the drone equipped with the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e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즉,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가 복수개이되, 높이 방향으로 여러개가 배치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센서부(300)에 대한 전자기장 영향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charging terminals 210 and second charging terminals 220, and several may be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or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By being arranged in this way,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influence on the sensor unit 300 can also be reduced.

또한, 이격되서 배치되되,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가 높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충전단자(21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제1 충전단자(210)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제2 충전단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교대로 배치되면, 전자기장의 세기가 작아서 센서부(300)까지 미치는 영향이 추가로 감소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arranged to be spaced apar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may b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may be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but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may be disposed. When arranged alternately in this way,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small, so the influence on the sensor unit 300 is further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센서부(300)에 연결되는 신호선(31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선(310)은 상기 충전부(100)의 중심부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gnal line 310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and the signal line 3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lac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 of 100).

신호선(310)은 전력선(도면 미도시)과 다르게 배치되어야 되는데, 센서부(300)의 수직 아래부분으로 구비됨으로써,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의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ignal line 310 must be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power line (not shown), and is provided at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sensor unit 300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s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It can be minimized.

즉, 중심부가 전자기장의 영향이 가장 작으므로 신호선(310)은 센서부(300)의 수직 아래방향으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특수관(통로)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차폐 기능이 갖춰진 특수관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기장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enter has the least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 signal line 310 is arrang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sensor unit 300. Additionally, it may be placed inside a special pipe (passage). In other words, it can be placed inside a special tube equipped with a shielding function to exclud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또한, 상기 신호선(310)은 나선형으로 코일과 같이 형성됨으로써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중심부에 인장 서포트 축을 두어, 인장 서포트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장 서포츠 축은 비금속이나 비자기성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되면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line 310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by being formed in a spiral shape like a coil, and by placing a tension support axis at the center, it can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round the tension support axis. The tensile support shaft is preferably made of a non-metallic or non-magnetic metal. When formed in this way,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minimized.

제4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후술하는 제1 충전단자(210)의 제1 전력선(211)과 제2 충전단자(220)의 제2 전력선(221)도 상기 충전부(1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전력선(211) 및 제2 전력선(221)은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전부(100)의 하단부부터 중심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modification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power line 211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of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lso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It can be. At this time, the first power line 211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are preferably disposed from the bottom to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이렇게 제1 전력선(211) 및 제2 전력선(221)이 충전부(100)의 하단부부터 중심부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신호선(310)은 상기 제1 전력선(211)와 제2 전력선(221)을 중심에 두고 나선형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선형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전력선(211) 및 제2 전력선(221)이 복수개일 경우에는 서로 등간격을 이루어 중심부에 배치될 경우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power line 211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are disposed from the bottom to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100, the signal line 310 connects the first power line 211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It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entered and wrapped in a spiral. If it is formed in a spiral-like shap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minimiz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power lines 211 and second power lines 221,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can be minimized when they are placed in the center at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은, 상기 제1 충전단자(210)에 연결되는 제1 전력선(211) 및 상기 제2 충전단자(220)에 연결되는 제2 전력선(22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선(211) 및 상기 제2 전력선(221)은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상기 제2 충전단자(2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전력선에는 제1 방열구조물(410)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력선에는 제2 방열구조물(420)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6,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211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It includes a second power line 221 that is connected, wherein the first power line 211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A first heat dissipation structure 41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a seco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42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power line.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을 연결하는 전선, 즉 전력선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충전부(100)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방열구조물을 제1 전력선(211) 및 제2 전력선(221)에 직접적으로 부착하던가 아니면 일정간격 떨어져서 간접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connect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that is, the power line, generates heat, which affects the durability of the charging unit 100. 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be attached directly to the first power line 211 and the second power line 221, or may be provided indirectly at a certain interval.

방열구조물은 방열판이 될 수도 있고, 튜브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방열판에는 핀 구조물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판이 될 수도 있다.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be a heat sink or a tube structure. A fin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heat sink, or it may be a general plate.

한편, 방열구조물은 다공성 표면이 될 수도 있으며, 표면 형상에 거칠기를 형성하여 표면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 때 다공성 표면이나 표면 형상의 거칠기 구조물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have a porous surface, and the surface may be expanded by forming roughness in the surface shape. At this time, the porous surface or surface roughness structure may be made of metal.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modu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의 상기 센서부(300)에는 센서부 방열구조물(500)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0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ensor unit 300 of the drone equipped with the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센서부(300)는 프로세서가 같이 내장되어 있어 열이 발생하며, 전력선과 마찬가지로 센서부(300)에도 방열구조물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300 generates heat because it has a built-in processor, and it is desirable to plac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on the sensor unit 300 as well as the power line.

방열구조물은 상술한 전력선의 방열구조물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 방열구조물(500)은 센서부(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공성 표면 가공이 될 수도 있고, 센서부 방열구조물(500) 이외에 충전부(100) 자체에 다공성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power line described above. Meanwhile,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nsor unit 300, and may be processed into a porous surface. In addition to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00, a porous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charging unit 100 itself. It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센서부 방열구조물(500)은 상기 센서부(30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510)과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5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510)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520)은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충전부(1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열핀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0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10 and a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nsor unit 300,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10 includes a porous material, and the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formed outside the charging unit 100 in the radial direction.

즉,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510)은 상기 센서부(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어야 되며,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520)은 상기 센서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어야 된다.That is,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10 must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unit 300 and be able to radiate heat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must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unit 300. It must be placed at the bottom to be able to radiate heat to the outside.

따라서, 상부에 배치된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510)은 다공성 표면을 갖는 물질, 즉 고분자 등 안테나나 센서의 영향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물로 형성되며,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520)은 충전부(100) 내부로 열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부(100)의 둘레로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충전부(100)의 둘레로 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로 열을 방출할 경우 충전단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고, 충전부(100)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10 disposed at the top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a porous surface, that is, a structure such as polymer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fluence of the antenna or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is a charging unit. (100) It is preferable that fins are formed around the charging unit 100 in order to radiate heat around the charging unit 100, rather than dissipating heat into the interior. This is because if heat is emitted internally, it may affect the charging terminal and may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charging unit 100.

추가적으로 센서부(300)에는 충격방지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부(300)는 충전부(100)가 후술하는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위하여 충전어셈블리의 외관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Additionally, the sensor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prevention unit (not shown). In other word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ensor unit 300 collides with the exterior of the charging assembly in order for the charging unit 100 to be coupled to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charging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충격으로부터 센서부(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센서부(300)의 외부에 충격방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충격방지부는 상기 센서부(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무나 평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sensor unit 300 from impact, an impact prevention unit may be placed outside the sensor unit 300. The shock prevention un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unit 300 and may be made of rubber or a flat plate.

이러한 충격방지부는 후술하는 충전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This impact prevention unit may be placed inside the charging assemb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8는 본 발명의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는 충전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어셈블리는, 상기 충전부(100)가 삽입되는 충전홈(600)과 상기 충전홈(600)의 둘레의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와 각각 접촉되는 제1 충전홈단자(710) 및 제2 충전홈단자(720)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장치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8, a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assembly, wherein the charging assembly includes a charging groove 600 into which the charging unit 100 is inserted and the charging groove. It includes a first charging home terminal 710 and a second charging home terminal 720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600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respectively, The charg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being attached to the ceiling, wall, or specific structure.

충전어셈블리에는 충전홈(600)이 형성되되, 상기 충전홈(600)은 상기 충전부(100)의 형상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충전홈(600)의 입구는 상기 충전부(100)의 가운데 부분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충전부(100)가 삽입되는데 문제 없도록 한다.A charging groove 600 is formed in the charging assembly, and the charging groove 600 is formed in a shape into which the shape of the charging unit 100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e entrance of the charging groove 6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100,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inserting the charging unit 100.

제1 충전홈단자(710) 및 제2 충전홈단자(720)는 각각 제1 충전단자(210)와 제2 충전단자(220)와 접촉되도록 충전홈(600)의 가운데 둘레에 형성된다.The first charging groove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groove terminal 720 are formed around the center of the charging groove 600 so as to contac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respectively.

상기 제1 충전홈단자(710) 및 제2 충전홈단자(720)는 상술한 제1 충전단자(210) 및 제2 충전단자(220)의 배치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가 형성될 경우에는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이웃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harging home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home terminal 720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20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multiple pieces are formed, multiple piec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may b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충전장치는 벽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되어 드론이 공중에서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장치의 고정장치(도면 미도시)가 상기 충전부(100)의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충전시 드론의 흔들림이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is fixed to a wall or ceiling so that the drone can charge in the air, and the charging device's fixing device (not shown) fixes the lower part of the charging unit 100 to prevent shaking or vibration of the drone during charging. You can.

이 때 고정장치는 충전부의 충전단자의 사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홈에 고정장치가 삽입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장치는 후크나 갈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어 상기 충전부(100)를 쉽게 잡을 수 있으며, 바 형태여도 무관하다. 충전단자 사이라 함은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의 둘레 방향의 사이일 수도 있고,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충전단자 사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device can be fixed by forming a fixing groove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s of the charging unit and inserting the fixing device into the fixing groove.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device has a hook or hook shape so that it can easily hold the charging unit 100, and may be in the form of a bar. The space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s may be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may be between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일 수 있다.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부착될 경우 드론이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자세로 충전이 가능하다. 로봇암에 충전장치가 부착될 경우에는 드론을 충전시키는 동안 드론창고나 드론 스테이션에 드론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충전장치와 로봇암이 분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pecific structure may be a robot arm. When a charg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robot arm, the drone can be charged at any location and in any posture. If a charg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robot arm, the drone can be placed in a drone warehouse or drone station while charging the drone, and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and robot arm can be separated.

또한,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드론을 일정한 드론창고나 드론 스테이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상술한 고정장치를 해제하여 드론만 배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after charging is completed, the drone can be placed in a certain drone warehouse or drone station, and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fixing device can be released and only the drone can be pla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드론의 충전부(100)와 상기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의 충전홈(600)은 서로 바뀌어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론에는 충전홈2(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충전장치의 충전어셈블리에는 충전부2(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암포트와 수포트가 서로 반대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Meanwhile,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unit 100 of the drone and the charging groove 600 of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charg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terchangeably. That is, charging groove 2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drone, and charging unit 2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harging assembly of the charging device. In other words, the female port and the male port can be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반대로 형성될 경우에도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충전홈2에서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과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Even when formed in revers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at is,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may be disposed in charging groove 2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effect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y are omitted here.

이렇게 형성될 경우,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충전홈2(도면 미도시)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드론의 상부의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센서부(300)는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드론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When formed in this way, the sensor unit 300 may b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harging groove 2 (not shown), but may also be formed at anoth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drone. That is, the sensor unit 300 can be mounted on another part of the drone to minimize the influence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센서부(300)가 상기 충전홈2(도면 미도시)의 하단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신호선은 상술한 제4 실시예와 같이 충전홈2의 중심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제4 실시예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게 나선형 구조를 갖거나 중심에 인장 서포츠 축을 구비할 수도 있다.When the sensor unit 3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harging groove 2 (not shown), the signal line may b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charging groove 2 as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ame detailed configuration, it may have a spiral structure or may have a tensile support axis at the center.

또한, 상술한 제4 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제1 충전단자의 제1 전력선과 제2 충전단자의 제2 전력선이 충전홈2의 하단부에서 합쳐질 수 있고, 합쳐진 제1 전력선과 제2 전력선을 신호선이 나선형으로 감싸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술한 제4 실시예의 변형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In addition,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power line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line of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may be combined at the lower end of the charging groove 2, and the combined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It can be provided by wrapping it in a spiral shape. Since the effect of this is the same as the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her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충전부
210 : 제 1충전단자
211 : 제1 전력선
220 : 제 2충전단자
221 : 제2 전력선
300 : 센서부
310 : 신호선
400 : 방열구조물
410 : 제1 방열구조물
420 : 제2 방열구조물
500 : 센서부 방열구조물
510 : 제1 센서부방열구조물
520 : 제2 센서부방열구조물
600 : 충전홈
710 : 제1 충전홈단자
720 : 제2 충전홈단자
100: Charging part
210: 1st charging terminal
211: first power line
220: 2nd charging terminal
221: second power line
300: sensor unit
310: signal line
400: Heat dissipation structure
410: First heat dissipation structure
420: Seco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500: Sensor heat dissipation structure
510: First sensor heat dissipation structure
520: Second sensor heat dissipation structure
600: Charging home
710: First charging home terminal
720: Second charging home terminal

Claims (9)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드론의 상단의 중심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충전단자는 플러스 전극이고, 상기 제2 충전단자는 마이너스 전극이며,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는 각각 동수의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충전단자는 상호 교대로 배치되거나 2개 단위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2 충전단자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상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단의 중심부 말단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In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The charging module is,
A charg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rone; and
It includes a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uni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s a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s a negative electrod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each consist of an equal number of charging terminals,
The plurality of first charging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harging terminals are arranged alternately or adjacent to each other in two units,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center end of the top of the charg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 the upper height direction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fields generated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compri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선은 상기 충전부의 중심부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 drone with a charging module, wherein the signal line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선 및 제2 전력선은 상기 충전부의 중심부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Includes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wherei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are disposed on a central axis of the center of the 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력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은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전력선에는 제1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력선에는 제2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Includes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 firs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power line,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wherein a seco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power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센서부 방열구조물이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ensor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상기 센서부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과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 방열구조물은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충전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열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clause 6,
The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a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nsor unit,
The first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porous material,
A drone equipped with a charging module, wherein the second sensor unit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eat dissipation fins are formed on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charging part.
제1항의 드론의 충전모듈과 결합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어셈블리는,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는 충전홈;
상기 충전홈의 둘레의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 및 제2 충전단자와 각각 접촉되는 제1 충전홈단자 및 제2 충전홈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장치는 천장, 벽 또는 특정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In the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assembly combined with the charging module of the drone of claim 1,
The charging assembly is,
a charg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unit is inserted;
It includes a first charging groove terminal and a second charging groove terminal formed around the charging groove and contact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respectively,
A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assembly, wherein the charging device is attached to a ceiling, wall, or specific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물은 로봇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어셈블리를 구비한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charging device with a charging assembly, wherein the specific structure is a robot arm.
KR1020210190189A 2021-09-28 2021-12-28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KR102608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4605 WO2023055098A1 (en) 2021-09-28 2022-09-28 Drone hav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device having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362 2021-09-28
KR20210128362 202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513A KR20230045513A (en) 2023-04-04
KR102608406B1 true KR102608406B1 (en) 2023-11-30

Family

ID=859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89A KR102608406B1 (en) 2021-09-28 2021-12-28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0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4814A (en) * 2016-09-28 2019-12-05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ernal cargo contents of a cargo hangar using one or more internal monitor drones
WO2020030919A1 (en) * 2018-08-10 2020-02-13 Chris Hagan Drone docking system
US20200071001A1 (en) * 2015-04-07 2020-03-05 John Alcor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ystem
US20200290753A1 (en) * 2017-08-21 2020-09-17 Herotech8 Ltd Method and device for doc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moveable docking station
CN112078813A (en) * 2020-10-12 2020-12-15 深圳镭士兰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carries laser performan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92B1 (en) 2017-08-23 2019-07-24 장백산 Drone charging station an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1001A1 (en) * 2015-04-07 2020-03-05 John Alcor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ystem
JP2019534814A (en) * 2016-09-28 2019-12-05 フェデラル エクスプ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ernal cargo contents of a cargo hangar using one or more internal monitor drones
US20200290753A1 (en) * 2017-08-21 2020-09-17 Herotech8 Ltd Method and device for doc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moveable docking station
WO2020030919A1 (en) * 2018-08-10 2020-02-13 Chris Hagan Drone docking system
CN112078813A (en) * 2020-10-12 2020-12-15 深圳镭士兰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carries laser performa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513A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82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989620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charging systems for the same and methods of charging the same
ES2894234T3 (en) Magazine, cartridge and procedure for variable density of projectile groups of a countermeasure
US8355295B1 (en) Underwater mobile sensing/communications node and network of such nodes
CN105333990B (en) Miniature pressure cell
KR102608406B1 (en)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ES2744223T3 (en) A pyrotechnic countermeasures release system
US11975864B2 (en) Multi sensor support structure
US11371812B2 (en) Anti-drone weapon
EP3467936B1 (en) Wire assembly including clockspring passes
US9692111B2 (en) Antenna for unattended ground sensor
US9024238B1 (en) Ground surface reconnaissance projectile
WO2023055098A1 (en) Drone hav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device having charging assembly coupled thereto
US3631804A (en) Omnidirectional spring mass initiator (u)
CN210806800U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convenient to dismantle
WO2017178687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intercep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drones)
KR102662728B1 (en) Drone compris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apparatus combined with charging assembly docking the charging module
KR20150074337A (en) Fuse Setter and a Fuse setting method
CN215119218U (en) Double-antenna integrated device for remote measurement and guidance of rotary target projectile
US11214388B2 (en) Self-contained payload accommodation module
KR102356245B1 (en) Electrical transmission device with a rotary anti-removable means through rotation method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10108148U (en) Waterproof shockproof high temperature resistant unmanned aerial vehicle defense shield
CN212401555U (en) Unmanned plane
CN209023126U (en) Unmanned vehicle
CN216817242U (en) Be used for autopilot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