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361B1 -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361B1
KR102608361B1 KR1020200065994A KR20200065994A KR102608361B1 KR 102608361 B1 KR102608361 B1 KR 102608361B1 KR 1020200065994 A KR1020200065994 A KR 1020200065994A KR 20200065994 A KR20200065994 A KR 20200065994A KR 102608361 B1 KR102608361 B1 KR 10260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flooring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8731A (en
Inventor
최경희
김희준
이경훈
이은국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6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61B1/en
Publication of KR2021014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7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6Walls, e.g. building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합재로 이루어진 판넬과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고강도 및 경량화를 실현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sed flooring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raised flooring material that realizes high strength and light weight and has excellent constructability by including an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a panel and support made of composite material are integrated.

Description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재로 이루어진 판넬과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sed flooring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aised flooring material in which a panel and a support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are integrated.

일반적으로, 구조체 바닥 위에는 또 다른 바닥을 이격되게 시공하여 그 사이에 전력 및 전산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중 바닥재(ACCESS FLOOR)가 활용되고 있다. 즉, 사무실, 클린룸, 학교, 전산실, 병원, 각종 공장 등에서 정보 및 동력 케이블, 공기정화 등을 위해 기존 바닥에서 50~300mm 정도의 높이로 이중으로 시공함으로써, 쾌적한 사무환경을 유도하고 배선의 안전 및 융통성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바닥재용 패널에 대해서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20-0462731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가 공개되어 있다.In general, a double floor (ACCESS FLOOR) is used to construct another floor spaced apart on top of the structural floor to secure space in between to accommodate devices such as power and computer communication wiring 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In other words, in offices, clean rooms, schools, computer rooms, hospitals, various factories, etc., double construction is done at a height of about 50 to 300 mm from the existing floor for information and power cables, air purification, etc.,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office environment and ensuring the safety of wiring. and flexibility are secured. Various forms of such panels for raised flooring have been disclosed, including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2731.

종래 바닥재는 스틸과 같은 고강도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어 건물의 하중에 부담이 되고, 운반 및 시공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바닥재는 바닥판넬, 프레임, 지지대, 코너락볼트, 러버 가스켓 등 여러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 현장에서 상기 부속품들을 결합 또는 조립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 인원이 다수 필요해 시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s use high-strength materials such as steel, so they weigh a lot, putting a burden on the load of the building, and causing in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conventional flooring is composed of several accessories such as floor panels, frames, supports, corner lock bolts, and rubber gaskets, so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combine or assemble these accessorie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efficiency is low because a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are required.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틸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고강도이면서도 경량인 복합재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ouble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a high-strength yet 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a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steel.

또한,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를 이루는 판넬과 지지대를 일체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부속품의 개수가 줄어들고, 시공 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해져 시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by implementing the panels and supports forming the raised flooring in an integrated form,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ccessories and simplifying construc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s a mean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는 바닥과 평행한 제1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제1 판넬을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체; 및 상기 제1 판넬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판넬; 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유리섬유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넬은 스틸 판넬이며, 상기 지지대는 부속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속 결합홈에는 인서트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structure including a first panel parallel to the floor and a support unit integrally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to space the first panel from the floor; and a second panel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It includes, the integrated structure contains 30% by weight or more of glass fiber and is formed of a composite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polymer, the second panel is a steel panel, the support includes an accessory coupling groove, and the accessory It is characterized by an insert nut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propylene and polyamide.

또한, 상기 복합재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머를 50 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Additionally, the composit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50% to 70%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polymer.

또한, 상기 제1 판넬은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30% 내지 50%의 면적에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first panel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roove in an area of 30% to 50% of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support is joined.

또한, 상기 제1 판넬은 두께가 20mm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first panel is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of 20mm to 100mm.

또한, 상기 제1 판넬은 상면의 모서리에 제1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Additionally, the first panel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groove at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제2 판넬은 모서리에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Additionally, the second panel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connection groove at the corner.

또한, 상기 제2 판넬은 두께가 1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second panel is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of 1mm to 20mm.

또한, 상기 제1 판넬 및 제2 판넬 사이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dhesive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또한,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비강도는 50 kNm/kg 내지 150 kNm/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50 kNm/kg to 150 kNm/kg.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은, (a) 열가소성 폴리머 및 30 중량% 이상의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복합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을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재 조성물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단계; (d) 사출에 의한 성형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ix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30% by weight or more of glass fiber to form a composite composition; (b) inserting the insert nut and the second panel into the mold; (c) injecting the composite composition into the mold; (d) forming by injection and processing by pressing;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Additionally,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and polyamide.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는 복합재를 포함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여 이중 바닥재로서의 물성을 충족하면서도 경량이어서, 운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The raised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trength by including a composite material, satisfi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raised flooring material, and is lightweight, so it has excellent transportability and constructability.

또한, 이중 바닥재의 시공에 필요한 부속품의 개수가 적어 유통 및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시 수평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이 짧고 소수의 시공 인원으로도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효율이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accessori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raised flooring is small, making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easy, horizontal work during construction is easy, and construction efficiency is excellent as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 and construction can be done with a small number of construction personnel.

또한, 케이블 선을 이중바닥재 안쪽에 설치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깔끔하게 유도하여 더 나은 인테리어 효과를 볼 수 있고, 배선의 안전과 부분 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바닥에 띄워서 설치되어 층간 소음 해소 및 보온과 보행 시 바닥의 울림소리를 경감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cable line inside the raised flooring,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neatly created to create a better interior effect, and wiring safety and partial repairs can be easily made. It is installed floating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to eliminate noise between floors and maintain hea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und of the floor when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구조 및 지지대가 지주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구조체가 다수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in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suppo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integrated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n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이중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이중 바닥재(100)는 지지대(10), 제1 판넬(20) 및 제2 판넬(30)을 포함한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aised flooring material. The raised flooring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0, a first panel 20, and a second panel 30.

상기 지지대(10)는 이중바닥재의 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기둥, 사각 기둥 등의 기둥형을 가지며, 이중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The support 1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panel of the raised flooring, has a pillar shape such as a cylinder or square pillar, and includes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aised flooring.

상기 지지대(10)는 제1 판넬(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제1 판넬을 이격시킨다. 상기 지지대(10)는 바닥 및 제1 판넬(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0)는 제1 판넬(20)의 하부에 다수 개 결합될 수 있으며, 4개 내지 9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0)는 상기 제1 판넬(20)의 각 모서리부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각 두 개의 모서리부의 중간지점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제1 판넬(20)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1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20 and separates the first panel from the floor. The support 1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loor and the first panel 20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s 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20, a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4 to 9 supports. The support 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each corner of the first panel 20, and to the lower part of the midpoint of each of the two corners,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20 to support the first panel 20. It can be combined where necessary.

상기 지지대(10)의 높이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제1 판넬(2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support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at a desired height to separate the first panel 20 from the floor.

본원발명의 지지대(10)는 자체의 높이로 인해 제1 판넬(2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이중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와 더불어 이중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포함된 인서트 너트(12)를 통해 이중 바닥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구조 및 상기 지지대가 지주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The suppo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raised flooring by separating the first panel 20 from the floor due to its own height, but in addition, the insert nut 12 included as a mean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aised flooring ), you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raised flooring.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in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strut.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에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인 부속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속 결합홈(11)은 나사산 및 나사골을 갖는 기둥 형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부속 결합홈(11)에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속 결합홈(11)의 상면은 복합재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막혀 있으나, 하면은 인서트 너트(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열려 있다. 상기 부속 결합홈(11)의 단면의 직경 중에서 가장 큰 지름을 갖는 최대 직경은 상기 지지대(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support 10 has an attached coupling groove 11 formed at the bottom,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11 may have a pillar shape with a thread and a threaded gro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 nut 12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11. The upper surface of the accessory coupling groove 11 is blocked by the cured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but the lower surface is open so that the insert nut 12 can be coupled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the largest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accessory coupling groove 11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support 10.

상기 부속 결합홈(11)에는 인서트 너트(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12)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지지대(10)의 부속 결합홈(11) 위치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An insert nut 12 may be coupled to the accessory coupling groove 11. The insert nut 12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11 of the support 10 by insert molding.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부속 결합홈(11)에 형성된 나사산 또는 나사골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갖는 인서트 너트(12)를 돌려서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nsert nut 12, which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r thread formed in the accessory coupling groove 11, can be rotated and inserted to couple it.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부속 결합홈(11) 및 상기 인서트 너트(12) 사이에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고, 공지의 접착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dhesive may be included between the accessory coupling groove 11 and the insert nut 12. The adhesive may be liquid or solid, and known adhesive mean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인서트 너트(12)는 외주면에 나사산 및 나사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너트(12)의 내면에 나사산 및 나사골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 너트(12)는 외주면의 나사산 및 나사골에 의해 지지대(10)의 부속 결합홈(11)에 결합되므로 지지대(10)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 너트(12)는 내면의 나사산 및 나사골에 의해 지주(40)와 결합하므로 지주(40)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The insert nut 12 includes threads and threads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 nut 12 includes threads and threads. The insert nut 12 is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11 of the support 10 by threads and threa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us has excellent coupling strength with the support 10. In addition, the insert nut 12 is coupled to the strut 40 through internal threads and threads, and thus has excellent coupling strength with the strut 40.

상기 인서트 너트(12)는 전단 응력 및 압축 인장력 등의 기계적 강도를 충족시키는 금속계 소재로부터 선택되거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고강도 압축 목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이중 바닥재의 경량화를 위하여 보다 경량의 소재를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다. The insert nut 12 may be selected from a metal-based material that satisfies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hear stress and compression tension, may be selected from engineering plastic, or may be selected from high-strength compressed wo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and a lighter material can be selected without limitation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지지대(10)는 인서트 너트(12)를 통해 지주(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40)는 이중바닥재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기둥 및 좌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은 외주면에 나사산 및 나사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산 및 나사골을 통해 인서트 너트와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uppo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40 through an insert nut 12. The support 40 is a part for fixing the raised flooring to the floor and may include a pillar and a seat plate, and the pillar preferably includes threads and threa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can be strongly coupled to the insert nut through the thread and groove.

상기 상기 지주(40)는 전단 응력 및 압축 인장력 등의 기계적 강도를 충족시키는 금속계 소재로부터 선택되거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고강도 압축 목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이중 바닥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소재를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다. The support 40 may be selected from a metal-based material that satisfies mechanical strength such as shear stress and compression tension, may be selected from engineering plastic, or may be selected from high-strength compressed wo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and a suitable material can be selected without limitation in order to firmly fix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주(40)는 인서트 너트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바닥재를 실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hape and size that can be coupled to the insert nut. It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ecessary for fixing the raised flooring material to the indoor floor.

본원발명의 이중 바닥재는 지지대(10)가 인서트 너트(40)에 의해 지주(40)와 결합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지주(40)의 기둥이 지지대(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중바닥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주(40)의 기둥이 지지대(10)에 삽입되는 길이가 짧은 경우 이중바닥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높아지고, 지주(40)의 기둥이 지지대(10)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경우 이중바닥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낮아진다. The doubl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adjust the height because the support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40 by the insert nut 40, and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construc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By adjusting the length at which the column of the support 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0, the height at which the raised flooring is separated from the floor can be adjusted. If the length at which the pillars of the struts 4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s 10 are short, the height at which the double flooring is separated from the floor increases, and if the length at which the pillars of the struts 4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s 10 are long, the double flooring increases. The height separated from the floor decreases.

또한, 하나의 이중바닥재(100)에 포함된 다수개의 지지대(10) 중 각각의 지지대에 삽입되는 지주(40)의 기둥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중바닥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raised flooring material 100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illar 40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included in the single raised flooring material 100.

본원발명의 제1 판넬(20)은 건축물의 바닥과 평행하며, 지지대(1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pane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can be spac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by the support 10.

상기 제1 판넬(20)은 홈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21)는 제1 판넬(20)의 빈 공간을 의미하며, 홈부(21)를 포함함으로써 이중바닥재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The first panel 20 may include a groove 21. The groove 21 refers to an empty space in the first panel 20, and by including the groove 21, the weight of the raised flooring can be realized.

상기 홈부(21)는 제1 판넬(20)의 지지대(10)가 결합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넬(20)은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30% 내지 50%의 면적에 홈부(21)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40% 내지 45%의 면적에 홈부(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판넬의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30% 미만에 홈부가 형성되는 경우 이중바닥재의 경량화 효과가 미미하고, 50%를 초과하는 경우 이중바닥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groove 21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panel 2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10 is coupled. The first panel 20 may include a groove 21 in an area of 30% to 50% of the area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coupled, and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21 in 40% to 45% of the area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includes the groove portion 21. If the groove is formed in less than 30% of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support of the first panel is joined, the weight reduction effect of the raised flooring is minimal, and if it exceeds 50%, the strength of the raised flooring is reduced.

상기 홈부(21)는 제1 판넬(2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르기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판넬(2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홈부(21)는 상기 제1 판넬(20)의 상면, 하면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홈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이중바닥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대칭형으로 홈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oove 21 may b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nel 20. At this time, the groove 21 may be formed on the top, bottom, or inside of the first panel 20, and the location where the groove i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n order to evenly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raised floo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portion 21 is formed symmetrically.

상기 제1 판넬(20)은 상면의 모서리에 제1 연결홈(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홈(a)은 인접하여 설치되는 이중바닥재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연결홈(a)은 제1 판넬(20)의 상면으로부터 약 1mm 내지 10mm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홈(a)은 인접한 이중바닥재에 형성된 제1 연결홈(a)과 나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anel 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groove (a) at a corner of the upper surface.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is a portion that enables connection between adjacent raised flooring materials.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may be formed to a depth of about 1 mm to 10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is preferably a rectangle whos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re the sam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formed in an adjacent raised flooring material.

상기 제1 판넬(20)은 두께가 10mm 내지 100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50mm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40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 강도가 낮아 바닥재로서 적합하지 않고,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이중바닥재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고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The first panel 20 may have a thickness of 10 mm to 100 mm. Preferably it may be 20mm to 50mm. More preferably, it may be 20mm to 40m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 mm, it is not suitable as a flooring material due to low strength, and if it exceeds 100 mm,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ouble floor material becomes thicker and the weight increa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대(10) 및 제1 판넬(20)은 동일한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체를 이룬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0 and the first panel 20 are injection molded from the same material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grated.

상기 지지대(10) 및 제1 판넬(20)은 일체형이기 때문에, 결합에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시공에 사용되는 부속품의 개수가 적으므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다. Since the support 10 and the first panel 20 are integrated, no separate means are required for joining, making it economical, and the number of accessories used in construction is small, mak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easy.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복합재 조성물은 유리섬유 및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재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30중량%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43중량% 포함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3중량% 내지 43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는 고함량의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리섬유가 30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종래 스틸 소재로 제조된 이중바닥재에 비해 강도 및 비강도가 저하되고, 5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이중바닥재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하중을 흡수하여 이중바닥재의 강화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리 섬유는 일체형 구조체 내에 일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 방향성에 제한이 없다. The integrated structure is formed of a composite composition. The composite composition includes glass fiber and thermoplastic polymer. The composite composition contains more than 30% by weight of glass fiber. Preferably, it may be contained in 30% by weight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30% by weight to 43%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in 33% by weight to 43% by weight. The raised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high content of glass fiber. When the glass fiber content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strength and specific strength are lowered compared to the raised flooring material made of conventional steel materials, and the weight of 50% is lowered. If it exceeds %, there is a problem that moldability is deteriorated. The glass fiber absorbs most of the load applied to the raised flooring and serves as a reinforcing material for the raised flooring. The glass fibers may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or multiple directions within the integrated structur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arrangement.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미드(P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thermoplastic polym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propylene (PP) and polyamide (PA).

즉, 본 발명의 복합재 조성물은 유리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유리섬유 및 폴리아미드; 또는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composi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lass fiber and polypropylene; Glass fiber and polyamide; or fiberglass, polypropylene and polyamide; may include.

상기 복합재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를 50 중량%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7 중량%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7 중량% 내지 67중량%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가 50 중량% 미만 포함되는 유리섬유의 함량이 높아져 성형성의 문제가 있고,, 7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유리섬유의 함량이 낮아져 항복강도가 낮아지며, 종래 스틸 소재의 이중바닥재와 유사한 강도를 나타내기 위한 복합소재 사출 필요량이 많아져 경량화가 어렵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The composite composition may include 50% by weight to 7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Preferably, it may contain 57% by weight to 7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it may contain 57% by weight to 67% by weight. I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contained less than 50% by weight, the content of glass fiber increases, causing problems with formability, and i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contained in excess of 70% by weight, the content of glass fiber is lowered, resulting in lower yield strength,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teel double floor material. As the amount of composite material injection required to demonstrate strength increases, lightweighting becomes difficult and costs increase.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비강도는 50 kNm/kg 내지 150 kNm/kg 이다. 바람직하게는 73.1 kNm/kg 내지 140.9 kNm/k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 kNm/kg 내지 140.9 kNm/kg이다. 비강도가 50 kNm/kg 미만인 경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없고, 150 kNm/kg를 초과하는 경우 비강도를 높이기 위한 복합재 조성물 원재료의 원가가 상승하게 되므로 스틸 소재 대비 제조 비용 경쟁력이 및 시장성이 매우 저하된다.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s 50 kNm/kg to 150 kNm/kg. Preferably it is 73.1 kNm/kg to 140.9 kNm/kg, and more preferably 111.1 kNm/kg to 140.9 kNm/kg. If the specific strength is less than 50 kNm/kg, lightweighting cannot be achieved, and if it exceeds 150 kNm/kg, the cost of raw materials for the composite composition to increase the specific strength increases, making manufacturing cost competitive and marketability very low compared to steel materials. do.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스틸보다 비강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일체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이중바닥재(100)는 종래 스틸 소재로만 이루어진 이중바닥재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integrated structure has a higher specific strength than steel, the raised flooring 100 including the integrated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while having the same or higher strength as a conventional raised flooring made only of steel.

본원발명의 제2 판넬(30)은 상기 제1 판넬(2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The second panel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상기 제2 판넬(30)은 스틸 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판넬(30)은 상기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된 제1 판넬(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제1 판넬(20)의 강도에 추가적인 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종래 스틸 소재로만 이루어진 이중바닥재 두께의 약 30%의 두께를 갖는 얇은 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panel 30 is preferably a steel panel. The second panel 30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rst panel 20 formed of the composite composition. However, since it is intended to provide additional strength to the strength of the first panel 20, it is preferable to use a thin pane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of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raised floor made only of steel.

상기 제2 판넬(30)의 두께는 1 mm 내지 20 mm이다.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5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mm 내지 10mm이다. 상기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제1 판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중바닥재의 강도에 대해 추가적인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이중바닥재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고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nel 30 is 1 mm to 20 mm. Preferably it is 5 mm to 15 mm, and more preferably 7 mm to 10 m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 mm, the additional strength reinforcement effect for the strength of the raised flooring that can be obtained by the first panel cannot be obtained, and if it exceeds 20 mm,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raised flooring becomes thicker and the weight increases.

상기 제2 판넬(30)은 각 모서리에 제2 연결홈(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홈(a')은 인접하여 설치되는 이중바닥재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2 연결홈(a')은 제2 판넬(3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홈(a')은 인접한 이중바닥재에 형성된 제2 연결홈(a')과 나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panel 3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groove (a') at each corner.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is a portion that enables connection between adjacent raised flooring materials.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anel 3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is preferably a rectangle whos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re the sam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formed in an adjacent raised floor material.

상기 제2 판넬(30)의 제2 연결홈(a')은 제1 판넬(20)의 제1 연결홈(a)과 동일한 사이즈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판넬(30)을 제1 판넬(20)의 상면에 적층하는 경우 제2 판넬(30)의 제2 연결홈(a')이 제1 판넬(20)의 제1 연결홈(a)의 상부에 적층되어 연결됨으로써 제2 판넬(30)로부터 제1 판넬(20)의 상면에 이르는 깊이를 갖는 연결홈(a+a')을 형성한다.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of the second panel 30 is preferably a square of the same size as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of the first panel 20, and the second panel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When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20,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of the second panel 30 is lamina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of the first panel 20, thereby forming the second panel. A connecting groove (a+a') having a depth ranging from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is formed.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상기 제2 판넬(3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별도의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고 제1 판넬(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nel 3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by insert inje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에서 상기 제2 판넬(30)은 접착제에 의해 제1 판넬(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는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고, 공지의 접착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nel 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with an adhesive. The adhesive may be liquid or solid, and known adhesive mean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도 4는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일체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이중바닥재가 다수개 연결되어 시공되는 경우의 제1 판넬(20)과 지지대(10)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체를 나타낸다. 제1 판넬(20)의 제1 연결홈(a)이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가 모여 제1 연결홈부(A)를 형성한다. 도 4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1 판넬(20)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판넬(30)의 제2 연결홈(a')도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가 모여 제2 연결홈부(A')를 형성한다.Figure 4 show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first panel 20 and the support 10 when a plurality of raised floors including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constructed. indicat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grooves (a) of the first panel 20, preferably two to four, are gathered together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A).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4, the second connection grooves (a') of the second panel 30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0 are also plural, preferably 2 to 4, forming a second connection. A groove portion (A') is formed.

상기 제1 연결홈부(A) 및 제2 연결홈부(A')는 연결부재(도면 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다. 인접한 이중바닥재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패킹 또는 비금속패킹일 수 있고, 합성고무, 천연고무, 피혁, 종이, 파이버, 합금 등 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소음 저감을 위하여 비금속 패킹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 may combine a connection member (not shown). Adjacent raised floors are connected through connecting members.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a metallic packing or a non-metallic packing,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ubber, natural rubber, leather, paper, fiber, alloy, etc.,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non-metallic packing to reduce noise, and in particular, synthetic rubber 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atural rubber.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하였을 때 연결홈과 이격이 없이 끼워지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홈에 삽입하여 이중 바닥재를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효율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is preferably of a size that fits into the connecting groove without any separation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Since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to connect the double flooring, construction is easy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efficiency is very excellent.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aised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열가소성 폴리머 및 30 중량% 이상의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복합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a) mix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30% by weight or more of glass fiber to form a composite composition;

(b)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을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b) inserting the insert nut and the second panel into the mold;

(c) 상기 복합재 조성물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단계;(c) injecting the composite composition into the mold;

(d)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d) forming by pressing with a press;

상기 (a)단계에서, 열가소성 폴리머는 약 170℃ 내지 320℃로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로 유리섬유와 혼합될 수 있다. 용융된 열가소성 폴리머에 유리섬유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재 조성물을 형성한다. In step (a), the thermoplastic polymer may be heated to about 170°C to 320°C and mixed with glass fiber in a molten state. Glass fiber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molten thermoplastic polymer and mixed at a certain ratio to form a composite composition.

상기 (b)단계에서, 금형 내에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을 삽입한다. 상기 금형은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으로 구분되어 이을 수 있고, 하부 금형에서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어야 할 위치 및 제2 판넬이 삽입되어야 할 위치에 각각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을 삽입한 후, 상부 금형을 덮어 금형을 장착할 수 있다. In step (b), the insert nut and second panel are inserted into the mold. The mold may be divided into a lower mold and an upper mold, and after inserting the insert nut and the second panel into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 nut should be insert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panel should be inserted in the lower mold, respectively, the upper mold is The mold can be mounted by covering it.

상기 (c)단계에서, 용융된 상태의 복합재 조성물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한다. 상기 복합재 조성물이 상기 금형내에 삽입된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된다. In step (c), the molten composit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mold. The composite composition is combined with the insert nut and the second panel inserted into the mold and is injected as one piece.

상기 (d)단계에서 압력은 약 500 내지 1,500kg/cm2일 수 있다. In step (d), the pressure may be about 500 to 1,500 kg/cm 2 .

상기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된 후 냉각되는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인 이중바닥재가 완성된다.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step of pressing and forming with the press and then cooling.

전술한 열가소성 폴리머, 유리섬유, 지지대, 제1 판넬, 제2 판넬, 인서트 너트 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description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glass fiber, support, first panel, second panel, insert nut, etc. described above applies equally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by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on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Example 1

300℃에서 용융시킨 폴리아미드(PA) 57 중량%를 유리섬유(GF) 43 중량%과 혼합한 복합재 조성물을 인서트 너트 및 7mm 두께의 스틸 판넬이 끼워진 금형내에 주입하여, 지지대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고 스틸 판넬이 일체형 구조체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이중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중 바닥재에서 지지대를 제외한 제1 판넬 및 스틸 판넬의 총 두께는 50mm 이고, 이중바닥재의 총 중량은 7.2kg 이다. A composite composition of 57% by weight of polyamide (PA) melted at 300°C mixed with 43% by weight of glass fiber (GF) is injected into a mold with an insert nut and a 7mm thick steel panel, and the insert nu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A double floor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so that steel panels we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panel and the steel panel excluding the support in the above-mentioned double flooring material is 5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double flooring material is 7.2 kg.

실시예 2 Example 2

140℃에서 용융시킨 폴리프로필렌(PP) 60중량%를 유리섬유(GF) 40 중량%과 혼합한 복합재 조성물을 인서트 너트 및 7mm 두께의 스틸판넬이 끼워진 금형내에 주입하여, 지지대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고 스틸 판넬이 일체형 구조체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이중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중바닥재에서 지지대를 제외한 제1 판넬 및 스틸판넬의 총 두께는 50mm 이고, 이중바닥재의 총 중량은 8.1kg이다. A composite composition of 60% by weight of polypropylene (PP) melted at 140°C mixed with 40% by weight of glass fiber (GF) is injected into a mold with an insert nut and a 7mm thick steel panel, and the insert nu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A double floor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so that steel panels we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panel and the steel panel excluding the support in the double flooring material is 5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double flooring material is 8.1 kg.

실시예 3 Example 3

140℃에서 용융시킨 폴리프로필렌(PP) 67중량%를 유리섬유(GF) 33 중량%과 혼합한 복합재 조성물을 인서트 너트 및 7mm 두께의 스틸 판넬이 끼워진 금형내에 주입하여, 지지대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고 스틸 판넬이 일체형 구조체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이중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중바닥재에서 지지대를 제외한 제1 판넬 및 스틸판넬의 총 두께는 50mm 이고, 이중바닥재의 총 중량은 9.0kg 이다. A composite composition of 67% by weight of polypropylene (PP) melted at 140°C mixed with 33% by weight of glass fiber (GF) is injected into a mold with an insert nut and a 7mm thick steel panel, and the insert nu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A double floor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so that steel panels we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panel and the steel panel excluding the support in the above-mentioned double flooring material is 5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double flooring material is 9.0 kg.

실시예 4 Example 4

300℃에서 용융시킨 폴리아미드(PA)/폴리프로필렌(PP) 70중량% 를 유리섬유(GF) 30 중량%과 혼합한 복합재 조성물을 인서트 너트 및 7mm 두께의 스틸판넬이 끼워진 금형내에 주입하여, 지지대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고 스틸 판넬이 일체형 구조체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이중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중바닥재에서 지지대를 제외한 제1 판넬 및 스틸 판넬의 총 두께는 50mm 이고, 이중바닥재의 총 중량은 7.6kg 이다.A composite composition of 70% by weight of polyamide (PA)/polypropylene (PP) melted at 300°C mixed with 30% by weight of glass fiber (GF) was injected into a mold fitted with an insert nut and a 7mm thick steel panel to form a support. A double floor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so that an insert nut was inserted and a steel panel wa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panel and the steel panel excluding the support in the above-mentioned double flooring material is 5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double flooring material is 7.6 kg.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mm 두께의 스틸 메쉬에 섬유강화시멘트(fiber reinforced cement)를 혼합하여 판넬을 제조하였다. 상기 판넬의 모서리에 코너락 볼트, 러버가스켓 및 지지대를 결합시켜 이중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중바닥재의 총 중량은 9.8kg 이다. The panel was manufactured by mixing fiber reinforced cement with a 20 mm thick steel mesh. A double flooring was manufactured by combining corner lock bolts, rubber gaskets, and supports at the corners of the panel. The total weight of the double flooring is 9.8kg.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4는 스틸 판넬 및 인서트 너트를 제외한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대 및 제1판넬(일체형 구조체)에 대해 하기 항목을 평가한다.Examples 1 to 4 evaluate the following items for the support and first panel (integrated structure) formed of a composite composition excluding the steel panel and insert nut.

(1) 항복강도 측정(1) Yield strength measurement

비교예 1은 ASTM E8M 규격에 의해 상온에서의 항복강도(MPa)를 측정하였다.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yield strength (MPa)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E8M standard.

실시예 1 내지 4의 제1 판넬 및 지지대에 대해 ASTM D638 규격에 의해 상온에서의 항복강도(MPa)를 측정하였다.For the first panel and support of Examples 1 to 4, the yield strength (MPa)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638 standard.

(2) 비강도 산출(2) Specific intensity calculation

상기에서 측정된 이중바닥재의 항복강도를 이중바닥재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였고, 단위는 kNm/kg 으로 나타내었다. ( )The yield strength of the double flooring measured above was calculated by dividing it by the density of the double flooring, and the unit was expressed as kNm/kg. ( )

상기 실시예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중바닥재에 대한 평가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raised flooring manufactu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밀도(kg/m3)Density (kg/m 3 ) 항복강도(MPa)Yield strength (MPa) 비강도(kNm/kg)Specific strength (kNm/kg) 실시예1
(PAGF)
Example 1
(PAGF)
14901490 210210 140.9140.9
실시예2
(PPGF)
Example 2
(PPGF)
12001200 103103 85.885.8
실시예 3
(PPGF)
Example 3
(PPGF)
11901190 8787 73.173.1
실시예 4
(PPPAGF)
Example 4
(PPPAGF)
12601260 140140 111.1111.1
비교예 1
(STEEL)
Comparative Example 1
(STEEL)
78507850 278278 35.4 35.4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4에 포함된 일체형 구조체의 비강도는 73.1 내지 140.9 kNm/kg 으로, 비교예 1보다 매우 우수한 비강도를 갖는바,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integrated structures included in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73.1 to 140.9 kNm/kg, which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ody is lightweight yet high in strength.

나아가, 본 발명의 이중바닥재는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상면에 얇은 두께의 스틸 판넬을 포함하기 때문에 스틸 판넬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고 강도가 더욱 향상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raised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n steel pan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the load is distributed by the steel panel and the strength is further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claims.

10: 지지대
11: 부속 결합홈
12: 인서트 너트
20: 제1 판넬
21: 홈부
30: 제2 판넬
40: 지주
a: 제1 연결홈
a': 제2 연결홈
A: 제1 연결홈부
A': 제2 연결홈부
100: 이중바닥재
10: support
11: Attached coupling groove
12: Insert nut
20: first panel
21: Home Department
30: second panel
40: holding
a: first connection groove
a': second connection groove
A: First connection groove
A': Second connection groove
100: Double flooring

Claims (12)

바닥과 평행한 제1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제1 판넬을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체; 및 상기 제1 판넬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판넬; 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구조체는 유리섬유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넬은 스틸 판넬이며,
상기 제1 판넬은 상기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30% 내지 50%의 면적에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넬은 두께가 20mm 내지 100mm이고,
상기 제2 판넬은 두께가 1mm 내지 20mm이며,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비강도는 50 kNm/kg 내지 150 kNm/kg 이고,
상기 지지대는 부속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부속 결합홈에는 인서트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이중바닥재.
An integrated structure including a first panel parallel to the floor and a support unit integr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to space the first panel from the floor; and a second panel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Including,
The integrated structure is formed of a composite composition containing more than 30% by weight of glass fiber and a thermoplastic polymer,
The second panel is a steel panel,
The first panel includes a groove portion in an area of 30% to 50% of the area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coupled,
The first panel has a thickness of 20 mm to 100 mm,
The second panel has a thickness of 1 mm to 20 mm,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s 50 kNm/kg to 150 kNm/kg,
The support includes an attached coupling groove,
An insert nut is coupled to the attached coupling groove.
Double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polym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propylene and polyamide.
Double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머를 50 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e composition comprises 50% to 70%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polymer.
Double floo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은 상면의 모서리에 제1 연결홈을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anel includes a first connection groove at a corner of the upper surface.
Double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넬은 모서리에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panel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groove at a corner.
Double floor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 및 제2 판넬 사이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이중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1, comprising an adhesive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Double flooring.
삭제delete (a) 열가소성 폴리머 및 30 중량% 이상의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복합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인서트 너트 및 제2 판넬을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재 조성물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단계;
(d) 사출에 의한 성형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가공하여, 상기 복합재 조성물로 형성된 바닥과 평행한 제1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제1 판넬을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체; 및 상기 제1 판넬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판넬을 포함하는 이중바닥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넬은 스틸 판넬이며,
상기 제1 판넬은 상기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의 30% 내지 50%의 면적에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넬은 두께가 20mm 내지 100mm이고,
상기 제2 판넬은 두께가 1mm 내지 20mm이며,
상기 일체형 구조체의 비강도는 50 kNm/kg 내지 150 kNm/kg 이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인서트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부속 결합홈을 포함하는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
(a) mix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30% by weight or more of glass fiber to form a composite composition;
(b) inserting the insert nut and the second panel into the mold;
(c) injecting the composite composition into the mold;
(d) Processed by molding by injection and pressing by press, it includes a first panel parallel to the floor formed of the composite composition and a support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to space the first panel from the floor. An integrated structure that does; and manufacturing a raised flooring material including a second panel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Including,
The second panel is a steel panel,
The first panel includes a groove portion in an area of 30% to 50% of the area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coupled,
The first panel has a thickness of 20 mm to 100 mm,
The second panel has a thickness of 1 mm to 20 mm,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s 50 kNm/kg to 150 kNm/kg,
The support includes an attached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insert nut is coupled.
Manufacturing method of raised floor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hermoplastic polymer includes at least one of polypropylene and polyamide.
Manufacturing method of raised flooring.
KR1020200065994A 2020-06-01 2020-06-01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08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94A KR102608361B1 (en) 2020-06-01 2020-06-01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94A KR102608361B1 (en) 2020-06-01 2020-06-01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731A KR20210148731A (en) 2021-12-08
KR102608361B1 true KR102608361B1 (en) 2023-11-29

Family

ID=7886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994A KR102608361B1 (en) 2020-06-01 2020-06-01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36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75Y2 (en) * 1990-03-28 1997-01-29 澄雄 石原 Building floor structure
JP2008280767A (en) * 2007-05-11 2008-11-20 Suminoe Textile Co Ltd Free access floor panel
KR101474739B1 (en) * 2013-08-21 2014-12-19 박태복 Access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72209A (en) * 2016-03-24 2017-09-28 大成建設株式会社 Double floo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52U (en) * 2008-03-17 2009-09-22 황보동렬 One body shaped access floor
KR20110072779A (en) * 2009-12-23 2011-06-29 (주)엘지하우시스 Raised access floor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75Y2 (en) * 1990-03-28 1997-01-29 澄雄 石原 Building floor structure
JP2008280767A (en) * 2007-05-11 2008-11-20 Suminoe Textile Co Ltd Free access floor panel
KR101474739B1 (en) * 2013-08-21 2014-12-19 박태복 Access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72209A (en) * 2016-03-24 2017-09-28 大成建設株式会社 Double flo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731A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95B1 (en) Honeycomb panel with profile structure and stone complex panel having the honeycomb panel
US6205728B1 (en) Laminated composite building component
CN105421652A (en) Composite heat-preserving wallboard
CN113211913A (en) Fusion panel and applications
KR102608361B1 (en)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56440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article of conglomerate material and associated composite panel
CN105908942A (en) Efficient mounting structure of environment-friendly floor
US20090142539A1 (en) Plastic Honeycomb Composite Board with Curved Surface
EP356301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uctural beam
KR102312188B1 (en) Antibacterial PE sheet and dry pad integrated non-welding, non-reinforced PDF earthquake-resistant water tank using the same
JP2007209967A (en) Frp honeycomb sandwich panel
KR20110072779A (en) Raised access floor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CN205822577U (en) A kind of light overpressure resistant formula plastic-wood material plate
KR100980140B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using supporting block part for building bottom
KR102075264B1 (en) Fiber reinforced plastic sandwich panel
CN208897569U (en) A kind of separate assembling wood moulding environment-friendly composite material compression molding pallet
CN213919951U (en) Fiber resin mixed plate
CN219491693U (en) Building template and template assembly
DE202019000008U1 (en) Wall construction of panels with high carbon content
CN219962221U (en) Desktop with strengthening rib
KR102177000B1 (en) A synthetic wood composition comprising a core-type inner reinforcement, and a high-rigidity synthetic wood manufactured by the same
CN214531417U (en) Laminated plate
KR100491732B1 (en) Panel for raised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53280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andwich panel using insulating property and sandwich panel
KR20190059365A (en) Light-weight headli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