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779B1 -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779B1
KR102607779B1 KR1020220117909A KR20220117909A KR102607779B1 KR 102607779 B1 KR102607779 B1 KR 102607779B1 KR 1020220117909 A KR1020220117909 A KR 1020220117909A KR 20220117909 A KR20220117909 A KR 20220117909A KR 102607779 B1 KR102607779 B1 KR 10260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robo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근
Original Assignee
김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근 filed Critical 김덕근
Priority to KR10202201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obo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METHOD AND UNMANNED PARKING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 TO CUSTOMER}
본 발명은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차 관제 시스템은,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종래의 주차 관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개입이 필요하므로, 사람을 고용하기 위한 인건비가 소요되며, 사람이 퇴근한 후에는 주차 관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완전 무인화 또는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4-0077651 A (2014.06.24) 국내공개특허 10-2016-0136008 A (2016.11.29)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이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차량의 부피 및 상기 차량의 무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장은, 각각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봇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빅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저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타입 로봇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의 밑으로, 상기 제1 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주차 관제 시스템의 출차 안내 장치를 통해서 결제 절차 또는 출차 절차를 완료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제2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고객이 대기하고 있는 출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차 층으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엘리베이터로 접근하는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 외부 또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번호판이 위치하는 높이와 상기 제2 센서가 설치된 높이의 차이는 제3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빅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저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의 밑으로, 상기 제1 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주차 관제 시스템의 출차 안내 장치를 통해서 결제 절차 또는 출차 절차를 완료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제2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고객이 대기하고 있는 출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차 층으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엘리베이터로 접근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 외부 또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번호판이 위치하는 높이와 상기 제2 센서가 설치된 높이의 차이는 제3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 차량을 적재(load)하기 위한 제1 로봇, 차량을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차 엘리베이터 및 서버(server)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는, 고객의 차량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차량의 부피 및 상기 차량의 무게를 식별하고,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주차장은, 각각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봇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통해서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자신 이외의)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거나,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내 센서(sensor), 로봇 등과 통신하는 서버(server)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은 주차 요청하는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으로 가동되는 주차 관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은 주차 시스템, 주차 관제 시스템, 주차 로봇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은 제1 센서(111), 제2 센서(112), 주차 엘리베이터(113) 및 제1 로봇(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11)는 차량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센서(112)는 차량 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고, 제1 로봇(114)은 차량을 적재(load)할 수 있고, 주차 엘리베이터(113)는 차량을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제1 센서(111), 제2 센서(112), 주차 엘리베이터(113), 제1 로봇(114) 및 서버(115)는, 상호 신호, 메시지, 디지털 인풋, 전류, 데이터, 제어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센서(111)는 차량의 접근을 알리기 위해 상기 서버(115)로 차량의 접근을 지시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전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과정에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110)(또는 상기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110)의 서버(114))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100) (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이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20)가 상기 네트워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 내부의 상호 작용 또는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또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의 서버(115)) 및 사용자 디바이스(120) 간의 신호 교환 또는 통신을 기반으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110)이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에서 설명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접근하는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는, 무게 센서, 레이더, 라이다,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차량의 부피 및 상기 차량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서버는, 상기 차량의 식별된 차량 번호판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서치하여 차량의 차종, 부피 및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서버는, 상기 차량의 식별된 차량 번호판 정보를 외부 차량 번호판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차량 번호판 관리 서버는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서버로 상기 차량 번호판 정보와 대응되는 차종, 차량의 부피 및 차량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 외부 또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번호판이 위치하는 높이와 상기 제2 센서가 설치된 높이의 차이는 제3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임계치는 10cm일 수 있다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서는, 카메라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장은, 각각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수평 이동 로봇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차량 운반을 위해 판자형 구조를 이루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봇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빅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저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타입 로봇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의 밑으로, 상기 제1 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빅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저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의 밑으로, 상기 제1 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주차 관제 시스템의 출차 안내 장치를 통해서 결제 절차 또는 출차 절차를 완료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제2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고객이 대기하고 있는 출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차 층으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엘리베이터로 접근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 외부 또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 번호판이 위치하는 높이와 상기 제2 센서가 설치된 높이의 차이는 제3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S305 내지 S330은 도 2의 S210 내지 S26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1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차량의 부피 및 상기 차량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2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고객이 주차 관제 시스템의 출차 안내 장치를 통해서 결제 절차 또는 출차 절차를 완료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제2 로봇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차 안내 장치는, 키오스크 또는 P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은, 차량 운반을 위해 판자형 구조를 이루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봇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제1 로봇과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로봇은, 상기 제1 로봇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4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고객이 대기하고 있는 출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5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차 층으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42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416)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420)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416)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접근하는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주차 엘리베이터(410)의 문(412)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420)의 차량 번호판(422)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420)의 차종, 상기 차량(420)의 부피 및 상기 차량(420)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510)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제1 로봇(540)이 상기 차량(520)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장(510)은, 각각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봇(540)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로봇(540)은, 수평 이동 로봇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540)이 상기 차량(520)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520)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520)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530)의 밑으로, 상기 제1 로봇(540)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로봇(540)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530) 및 상기 차량(520)을 적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은 서버(610), 제1 센서(620), 제2 센서(630), 주차 엘리베이터(640) 및 제1 로봇(65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610)는 송수신부(612) 및 프로세서(6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서버(610)에서 송수신부(612) 및 프로세서(614)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DB, 도 6에 미표시)는 송수신부(612) 또는 프로세서(614)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14)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제1 센서(620)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620)는 고객의 차량이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센서(630)는 차량 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센서(630)는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차량의 차종, 차량의 부피 및 차량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주차 엘리베이터(640)는 차량이 주차 엘리베이터(640)에 탑승하면 차량을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송수신부(612)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내부에서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612)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디바이스,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614)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614)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및 송수신부(612)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614)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5에서 전술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600)의 동작들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614)는,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614)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614)는,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614)는, 상기 제1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차량 번호판을 식별하는 제2 센서;
    차량을 적재(load)하기 위한 제1 운반 로봇;
    차량을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차 엘리베이터; 및
    서버(server);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는, 고객의 차량이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주차 요청하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종, 상기 차량의 부피 및 상기 차량의 무게를 식별하고,
    상기 서버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요청을 식별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의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주차장이 위치하는 주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이 위치하는 상기 주차 층에서 상기 제1 운반 로봇이 상기 차량을 적재(load)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운반 로봇이 상기 주차장 내 빈(vacant)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주차장은, 각각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반 로봇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운반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운반 로봇은 빅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1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운반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고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2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운반 로봇은 스몰 사이즈 및 저중량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제3 타입 로봇으로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 내에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들과 맞닿으며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차량 지지 물체의 밑으로, 상기 제1 운반 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운반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객이 상기 주차 관제 시스템의 출차 안내 장치를 통해서 결제 절차 또는 출차 절차를 완료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제2 운반 로봇을 결정하되,
    상기 제2 운반 로봇은, 상기 차량의 상기 차종, 상기 차량의 상기 부피 및 상기 차량의 상기 무게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운반 로봇이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운반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지지 물체 및 상기 차량을 적재한 상기 제2 운반 로봇이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고객이 대기하고 있는 출차 층(floor)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차 층으로 이동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7909A 2022-09-19 2022-09-19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60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09A KR102607779B1 (ko) 2022-09-19 2022-09-19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09A KR102607779B1 (ko) 2022-09-19 2022-09-19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779B1 true KR102607779B1 (ko) 2023-11-30

Family

ID=8896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909A KR102607779B1 (ko) 2022-09-19 2022-09-19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7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733A (ko) * 2008-08-26 2010-03-08 이상국 주차타워의 주차시스템
KR20140077651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6008A (ko) 2015-05-19 2016-11-29 인포뱅크 주식회사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18067275A (ja) * 2016-10-22 2018-04-26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の運用方法
KR20210018430A (ko) * 2018-06-06 2021-02-17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이동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733A (ko) * 2008-08-26 2010-03-08 이상국 주차타워의 주차시스템
KR20140077651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6008A (ko) 2015-05-19 2016-11-29 인포뱅크 주식회사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18067275A (ja) * 2016-10-22 2018-04-26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の運用方法
KR20210018430A (ko) * 2018-06-06 2021-02-17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이동 로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율주행 주차로봇 확대 보급 (2022.05.27.), (출처 : https://blog.naver.com/ksjbs226/22274870479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68700A1 (en)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1212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dge computing service
EP3879858B1 (en) Tracking area update metho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ssag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80338343A1 (en) Adaptively Changing Availability of Nan Devices for Post Nan Activities
US20200059884A1 (en) User-equipment location area updating method, access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core network entity
US11323850B2 (en)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olution
EP396870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ntit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1193841A (ja) gNB−CU、gNB−DU、及びこれらの方法
US20210410087A1 (en) Seamless and reliable chain of custody transfer over low power wireless protocol
EP399352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839411B2 (en) Validation in a decentralized network
CN103503530A (zh) 机器到机器装置的网络重新进入
US202103525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nd removing dynamic eas using ue app and status
EP3635979B1 (en) Delay tolerant decentralized network
US20180324700A1 (en) Activat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10313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adio access technology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ime division duplexing scheme
US100452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ccess point in local area network at electronic device
KR102607779B1 (ko) 고객에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US91855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ommon network using shared private wireless networks
JP2020088980A (ja) 制御装置
EP2928105A2 (en) Content delivery architecture
KR102146883B1 (ko)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CN117121560A (zh) 动态网络切片管理
KR102206493B1 (ko) 디바이스의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WO2024017035A1 (zh) 位置信息的获取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