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340B1 -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 Google Patents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7340B1 KR102607340B1 KR1020210094310A KR20210094310A KR102607340B1 KR 102607340 B1 KR102607340 B1 KR 102607340B1 KR 1020210094310 A KR1020210094310 A KR 1020210094310A KR 20210094310 A KR20210094310 A KR 20210094310A KR 102607340 B1 KR102607340 B1 KR 1026073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vertical
- entrance
- support bar
- vertical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에 안전한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은, 복수 개의 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수직통로와, 수직통로가 각 층의 거주공간으로 개방된 출입구와, 각 층의 거주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수직통로와 거주공간을 구획하며 출입구가 관통 형성된 출입구벽체를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수직통로와 출입구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에 있어서, 일단부가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발판과, 일단부가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와, 바닥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수직바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는 난간부와, 수직통로에 위치하며 난간부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바와, 수평지지바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는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와 수직지지바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is provided that provides a safe work platform in the vertical passage of the elevator. The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passage that vertically penetrates a plurality of floors and becomes a passage for the elevator to move,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assage opens to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nd a floor of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In a building including a floor forming a floor and a doorway wall that divides a vertical passageway and a living space and has a doorway formed through it, in the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installed in the vertical passageway and the doorway, one end is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way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way. A floor portion including a footrest that extends into the living spa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 floor frame with one end located in a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to support the footrest,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upward from the floor frame. A handrail including a vertical ba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horizontally connecting between the vertical bars, a horizontal support bar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handrail, and a handrai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closely supported on the entrance wall. It includes a support section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bar and a connecting support bar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vertical support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에 안전한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that provides a safe foothold for work in the vertical passage of an elevator.
고층의 건축물에는 사람이나 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의 한 구역에 수직하게 관통된 수직통로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각 층의 출입구로 이송한다. 건출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이전에, 건출물의 내부에는 일직선 상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수직통로가 형성된다.Elevators that can transport people or cargo vertically are essential in high-rise buildings. Elevator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passageway that penetrates a section of a building and transport people or cargo to the entrance or exit of each floor. Before installing an elevator in a building, a vertical passag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side the building.
작업자는 엘리베이터의 수직 이동 공간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 이동 공간에 임시의 작업용 난간을 설치하여, 발판의 위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작업용 난간은 관통된 빈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난간을 튼튼하게 설치하지 못하면 수직통로로 추락하게 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위험이 있다. When workers need to work in the vertical movement space of an elevator, they install temporary handrails for work in the movement space and proceed with the work on top of the scaffolding. At this time, the work handrail is installed in an empty space, and if the handrail is not installed firmly, there is a risk of falling into the vertical passage, leading to a safety accident.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 작업용 난간이 있었으나, 출입구에서 꺾이는 코너 부분을 작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작업 발판의 고정력이 미세하게 느슨해지기 시작하는 경우 작업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이어나가며, 시간이 지나 큰 변형이 생긴 경우 인지하여 위험하다는 문제도 있었다.In the pas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handrails for elevator work, but they had structural limitations that made them unsuitable for working around corners that bend at the entrance. In addition, when the fixing force of the work platform begins to slightly loosen, the worker continues working without noticing thi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angerous to recognize if a large deformation occurs over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에 안전한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that provides a safe work platform in the vertical passag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은, 복수 개의 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수직통로와, 상기 수직통로가 각 층의 거주공간으로 개방된 출입구와, 각 층의 상기 거주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상기 수직통로와 상기 거주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출입구가 관통 형성된 출입구벽체를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상기 수직통로와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발판과,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는 난간부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난간부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는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passage that vertically penetrates a plurality of floors and serves as a passage for the elevator to move,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assage opens into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nd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In a building including a floor forming the floor of the vertical passage and an entrance wall dividing the living space and having the entrance formed through it, in the elevator construction work railing install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entrance, one end is A floor comprising a footrest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floor frame having one end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to support the footrest. a railing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floor fram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horizontally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nd a horizontal bar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ing portion. It includes a support bar including a support bar, a vertical support bar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nd a connection support bar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vertical support bar.
상기 바닥프레임은, 중공형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발판지지부는 측부가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The floor frame is formed as a hollow square frame and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floor surface and a footre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ootrest, wherein the fixing part and the footrest support part have s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It can be.
상기 발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면과 직접 접하고 나머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ootres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remaind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loor frame and the support portion.
상기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nchor bolt parts that penetrate the fixing part and are fixed to the floor surface.
상기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to measure the pressur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loor, and a pressure sensor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the pressur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loor. 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pressure falls below this standard pressure.
상기 수직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통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vertical bars may be located inside the vertical passage and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상기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은,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되는 상기 수직바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벽체와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직바가 상기 출입구벽체로부터 이탈이 감지되면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cludes a contact switch install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bar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in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act switch so that the vertical bar deviates from the entrance wall. 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when detected.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입구 상부의 상기 출입구벽체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는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wire that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loor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ntrance wall above the entrance to support the floor.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에 작업발판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작업발판의 고정력을 항시 감시하여 미세하게라도 느슨해지는 경우 경보를 울려 즉각 대응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a work platform in the vertical passage of an elevator, and in particular, the fixing force of the work platform can be monitored at all times to respond immediately by sounding an alarm if it becomes even slightly loose,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와 출입구 사이의 코너로 형성된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수직통로로 노출된 출입구벽체를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long the wall formed at the corner between the vertical passage of the elevator and the entrance, and process the entrance wall exposed to the vertical passage of the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느슨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of Figure 1 in a close contact stat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of Figure 1 in a loosened state.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ure 1 as seen from abov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복수 개의 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수직통로(A)와, 수직통로(A)가 각 층의 거주공간(B)으로 개방된 출입구(C)와, 각 층의 거주공간(B)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D)과, 수직통로(A)와 거주공간(B)을 구획하며 출입구(C)가 관통 형성된 출입구벽체(E)를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수직통로(A)와 출입구(C)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에 있어서, 일단부가 수직통로(A)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거주공간(B)으로 연장되어 바닥면(D)에 밀착되는 발판(110)과, 일단부가 수직통로(A)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거주공간(B)으로 연장되어 발판(110)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바닥부(100)와, 바닥프레임(120)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된 복수 개의 수직바(210)와, 수직바(210)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220)를 포함하는 난간부(200)와, 수직통로(A)에 위치하며 난간부(200)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바(310)와, 수평지지바(3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출입구벽체(E)에 밀착 지지되는 수직지지바(320)와, 수평지지바(310)와 수직지지바(32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바(330)를 포함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passage (A) that vertically penetrates a plurality of floors and serves as a passage for the elevator to move, and a vertical passage (A) An entrance (C) that opens to the living space (B) on each floor, a floor surface (D) forming the floor of the living space (B) on each floor, a vertical passage (A), and a living space (B) are divided. In a building including an entrance wall (E) through which an entrance (C) is formed, in the elevator construction work railing (1) installed in the vertical passage (A) and the entrance (C), one end is attached to the vertical passage (A). A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거주공간(B)로부터 수직통로(A)로 발판(110)을 연장하여 작업자에게 수직통로(A) 내에서 각종 공사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발판(110)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수직통로(A)와 거주공간(B)사이의 벽면인 출입구벽체(E)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통로(A)의 내측에서 출입구벽체(E)가 접하는 측면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발판(110)과 바닥면(D) 사이의 고정력을 항시 감시하며, 고정력이 약해지는 경우 즉시 경보를 울려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 work railing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scaffolding (110) from the living space (B) to the vertical passage (A), allowing workers to perform various construction or work within the vertical passage (A) ( 110)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rance wall (E), which is the wall between the vertical passage (A) and the living space (B),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rance wall (E), which is the wall between the vertical passage (A) and the living space (B). It is possible to work on the side that (E) touches. In addition,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antly monitor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ootrest (110) and the floor (D), and when the fixing force weakens, it immediately sounds an alarm to make workers awar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various safety measures. Accident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수직통로(A)로 연장되어 발판 기능을 하는 바닥부(100)와, 바닥부(100)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의 난간을 형성하는 난간부(200)와, 바닥부(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The work railing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portion (100) that extends to the vertical passage (A) and functions as a footrest, and a railing portion (200) that forms a railing of a certain height at the top of the floor portion (100). ) and a
바닥부(100)는 일단부가 수직통로(A)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거주공간(B)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수직통로(A)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바닥부(100)는 거주공간(B)으로 연장된 타단부가 거주공간(B)의 바닥면(D)에 고정된다. 바닥부(100)의 타단부는 관통하는 앵커볼트부(400)에 의해 바닥면(D)에 밀착 고정된다. 특히, 바닥부(100)와 바닥면(D) 사이에는 압력센서(410)가 위치하여, 바닥부(100)와 바닥면(D) 사이의 밀착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센서(4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이러한 바닥부(1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110)과 발판(110)을 바닥면(D)에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This
발판(11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단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발판(110)은 작업자의 무게를 충분히 버틸 수 있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판(110)은 일단부가 수직통로(A)와 중첩되며 타단부가 거주공간(B)으로 연장되어 바닥면(D)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특히, 발판(110)은 바닥면(D)에 고정되는 면적보다 수직통로(A)와 중첩되는 면적이 보다 넓게 형성되며, 출입구벽체(E)의 출입구(C) 측면과 수직통로(A) 측면에 접하는 형상이다. 잠시 도 5를 참조하면, 출입구벽체(E)는 수직통로(A)와 거주공간(B) 사이를 구획하는 벽면으로, 일 구간에 수직통로(A)와 거주공간(B)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C)가 관통 형성된다. 발판(110)은 이러한 출입구벽체(E)의 코너의 양면을 모두 감싸며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바닥프레임(120)은 중공형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발판(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발판(110)의 상단을 지지한다. 바닥프레임(120)은 발판(110)과 완전히 중첩되어, 발판(110)과 함께 일단부가 수직통로(A)와 중첩되며 타단부가 거주공간(B)으로 연장되어 바닥면(D)에 고정된다. 특히, 바닥프레임(120)은 발판(110)과 동일하게 출입구벽체(E)의 코너의 양면을 감싸며 밀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바닥프레임(120)은 수직통로(A)에 중첩되는 구간인 발판지지부(121)와, 바닥면(D)에 고정되는 구간인 고정부(122)로 구성된다. 이때, 발판지지부(121)와 고정부(122)는 모두 일측면이 출입구벽체(E)에 밀착 지지된다. 또한, 바닥부(100)의 고정부(122)와 바닥프레임(120)은 서로 완전히 중첩되어 바닥면(D)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부(122)와 바닥면(D) 사이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10)가 설치되어 기준압력보다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위험 상황을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앵커볼트부(400)는 바닥부(100)를 관통하여 바닥면(D)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로, 바닥부(100)를 바닥면(D)에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앵커볼트부(400)는 바닥프레임(120)의 고정부(122)와 발판(110)을 관통하여 바닥면(D)에 고정한다. 바닥프레임(120)과 발판(110)에는 앵커볼트부(400)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바닥면(D)에는 앵커볼트부(400)를 단부가 삽입되는 만입홈이 형성된다. 앵커볼트부(400)는 일단부가 바닥면(D)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바닥부(100)의 상단면에 돌출되어 걸리는 형상으로, 결합나사와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앵커볼트부(400)는 바닥부(100)를 바닥면(D)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대체 가능하다. The
난간부(200)는 바닥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수직바(210)와 복수 개의 수평바(22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수직바(210)는 바닥프레임(120)의 사각 모서리에 돌출 형성된 수직결합부재(2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바(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평결합부재(211)가 돌출형성된다. 수평결합부재(211)는 수직바(2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220)는 양단부에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1)를 포함한다. 돌출부(221)는 각각 수평결합부재(211)에 삽입되어 수평바(220)를 수직바(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난간부(200)는 수직바(210)와 바닥프레임(120) 사이 혹은 수직바(210)와 수평바(220) 사이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손쉽게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여 빠르게 설치하고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 사이에는 접촉스위치(420)가 위치하여,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 사이의 밀착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handrail 20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접촉스위치(420)는 수직바(210)에서 출입구벽체(E)와 수직바(210)가 밀착되는 측면에 설치되어 수직바(210)의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접촉스위치(420)는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여, 수직바(210)가 기울어지며 출입구벽체(E)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면 이를 이식하여 경보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즉, 접촉스위치(420)는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부로 접촉 여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경보부는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의 접촉이 떨어지게 되면, 접촉스위치(4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경보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부는 유색의 불빛이나 경보음 등으로 작업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여, 큰 변형이 생기기 이전에 작업자를 대피시킬 수 있다. 즉, 경보부는 접촉스위치(420)로부터 미세한 기울어짐을 전달받아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스위치(420)는 리미트스위치 센서와 같은 물리적 접촉을 인식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의 접촉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대체 가능하다. The
한편, 지지부(300)는 발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발판(110)을 지탱한다. 지지부(300)는 발판(110)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바(310)와, 수평지지바(310)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출입구벽체(E)에 밀착되는 수직지지바(320)와, 수평지지바(310)와 수직지지바(3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바(330)를 포함한다. 수평지지바(310)와 수직지지바(320)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지지바(330)는 이들의 끝단을 연결하여 직각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또한, 수평지지바(310)와 연결지지바(330) 사이 혹은 수직지지바(320)와 연결지지바(330) 사이를 지탱하는 보조지지바가 위치할 수도 있다. 특히, 지지부(300)는 바닥프레임(120)의 발판지지부(121)의 하단에 배치되어, 바닥부(100) 중 수직통로(A)와 중첩되는 면적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20)의 고정부(122)는 앵커볼트부(400)에 의해 바닥면(D)에 지지되고, 발판지지부(121)는 지지부(300)에 의해 출입구벽체(E)에 지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바닥부(100)는 바닥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고정와이어(500)에 의해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고정와이어(500)는 일단부가 바닥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출입구(C) 상부의 출입구벽체(E)에 고정되어, 바닥부(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와이어(500)는 바닥부(100)의 수직통로(A)측 끝단을 출입구(C)의 상단으로 당겨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와이어(500)는 일 구간에 장력조절부(510)가 형성되어 고정와이어(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와이어(500)의 장력을 조절하고 바닥부(100)를 지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xing wire 500 has one end fixed to the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의 느슨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 1 in a closely attached stat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 1 in a loose stat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D)과 출입구벽체(E)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바닥부(100)는 앵커볼트부(400)에 의해 바닥면(D)에 고정되며, 바닥부(100)와 바닥면(D) 사이에 압력센서(410)가 위치하여 이들의 고정력을 감지한다. 앵커볼트부(400)는 바닥부(100)를 바닥면(D)을 향해 누르는 힘을 가하며, 바닥부(100)와 바닥면(D)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센서(410)는 앵커볼트부(40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바(210)는 바닥부(100)와 수직하게 결합되고, 바닥부(100)가 바닥면(D)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출입구벽체(E)에 밀착 고정된다.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 사이에는 접촉스위치(420)가 위치하여, 수직바(210)가 출입구벽체(E)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사 현장의 작업자는 수직통로(A)상에 위치하는 바닥부(100)로 올라가 작업을 진행한다. 바닥부(100)는 작업자의 무게에 따라 지지부(300)측으로 하중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앵커볼트부(400)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바닥부(100)는 하중이 실리는 경우 가장 먼저 거주공간(B) 측의 끝단부가 바닥면(D)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고, 앵커볼트부(400)가 이러한 힘보다 더 큰 힘으로 바닥부(100)를 고정한다. 더 나아가, 바닥프레임(120)의 고정부(122)는 전면이 바닥면(D)에 밀착된 상태이나 발판지지부(121)는 지지부(300)에 의해 일부 면적만이 지지되고 있으며, 이들의 경계지점인 바닥면(D)의 수직통로(A)측 끝단에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진다. 다시 말해, 고정부(122)와 발판지지부(121)의 경계선을 따라 집중 힘이 가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D) and the entrance wall (E) as described above. The
도 4를 참조하면, 바닥부(100)는, 앵커볼트부(400)의 고정력을 넘어서는 과한 하중이 실리는 경우 가장 먼저 거주공간(B) 측의 끝단부가 미세하게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센서(410)는 이러한 바닥부(100)의 거주공간(B) 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가장 먼저 감지할 수 있다. 압력센서(410)는 측정 압력값이 기준치 보다 낮아지게 되면 느슨해짐을 인식하고 경보부에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n excessive load exceeding the fixing force of the
접촉스위치(420)는 수직바(210)와 출입구벽체(E)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수직바(210)는 앵커볼트부(400)의 결합력이 느슨해짐에 따라 바닥부(100)와 함께 기울거져 출입구벽체(E)로부터 멀어진다. 즉, 접촉스위치(420)는 앵커볼트부(400)의 결합력이 느슨해져 바닥부(100)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감지하고, 경보부로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더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00)는 고정부(122)와 발판지지부(121)의 경계선에 집중힘이 가해져 바닥면(D)에는 밀착 고정된 상태로 발판지지부(121)만이 휘어지거나 꺾일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센서(410)에 가해지는 압력은 동일하나, 발판지지부(121)만 꺽여 수직바(210)가 출입구벽체(E)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접촉스위치(420)는 이러한 경우를 감지하여 경보부로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접촉스위치(420)는 앵커볼트부(400)의 결합력이 느슨해지는 상황뿐만 아니라 발판지지부(121)가 휘어지는 상황 또한 감지가 가능하여 압력센서(410)에서 감지하지 못한 부분까지 감지가 가능하다. 즉, 접촉스위치(420)는 앵커볼트부(400)의 결합력뿐만아니라 수직바(210)의 기울어짐 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앵커볼트부(400)의 결합력은 유지되지만 발판지지부(121)가 꺾이게 되는 상황까지 모두 파악이 가능하다.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a concentrated force is applied to the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work handrail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Figure 1 as seen from abov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수직통로(A)와 출입구(C)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출입구벽체(E)의 코너를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이와 같이 출입구벽체(E)를 감싸며 설치되어, 출입구벽체(E)의 일부를 절단하여 출입구(C)의 폭을 늘리는 작업 등에 사용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수직통로(A) 및 출입구(C)의 공사가 완료되었으나, 추후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부피에 따라 출입구(C)의 크기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출입구(C)의 부피를 키우기 위해서는 출입구벽체(E)의 일부를 절단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1)은 수직통로(A)로 노출된 출입구벽체(E)의 측면 가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cross the vertical passage (A) and the entrance (C), and in particular, can be installed surrounding the corner of the entrance wall (E). there is.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urrounding the entrance wall (E) in this way, and is easy to use for work such as increasing the width of the entrance (C) by cutting a part of the entrance wall (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passage (A) and the entrance (C) has been completed, but the size of the entrance (C)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elevator to be installed l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entrance (C), part of the entrance wall (E) must be cut. In this process, the work handrail (1)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side processing of the entrance wall (E) exposed to the vertical passage (A).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
100: 바닥부 110: 발판
120: 바닥프레임 121: 발판지지부
122: 고정부 200: 난간부
210: 수직바 211: 수평결합부재
212: 수직결합부재 220: 수평바
221: 돌출부 300: 지지부
310: 수평지지바 320: 수직지지바
330: 연결지지바 400: 앵커볼트부
410: 압력센서 420: 접촉스위치
500: 고정와이어 510: 징력조절부
A: 수직통로 B: 거주공간
C: 출입구 D: 바닥면
E: 출입구벽체1: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100: bottom 110: footrest
120: Floor frame 121: Footrest support
122: fixing part 200: handrail part
210: vertical bar 211: horizontal coupling member
212: vertical coupling member 220: horizontal bar
221: protrusion 300: support
310: horizontal support bar 320: vertical support bar
330: Connection support bar 400: Anchor bolt part
410: pressure sensor 420: contact switch
500: fixing wire 510: force adjustment unit
A: Vertical passage B: Living space
C: Entrance D: Floor surface
E: Entrance wall
Claims (8)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발판과,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는 난간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난간부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는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프레임은,
중공형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발판지지부는 측부가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A vertical passage that passes vertically through a plurality of floors and serves as a passage for an elevator,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assage opens into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 floor forming the floor of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nd In a building comprising an entrance wall dividing a vertical passage and the living space and having the entrance formed through the entrance, in the elevator construction work railing install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entrance,
It includes a footrest with one end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floor frame with one end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to support the footrest. bottom part that does;
a handrail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floor fram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horizontally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 horizontal support bar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handrail, a vertical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nd supported by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vertical support bar. It includes a support part including a connecting support bar,
The floor frame is,
It is formed as a hollow square frame and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floor surface and a footre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ootrest,
The fixing part and the footrest support part are supported on the s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 plurality of anchor bolt parts that penetrate the fixing part and are fixed to the floor,
A pressure sensor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to measure the pressur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loor,
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generates an alarm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floor falls below a standard pressure.
상기 발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면과 직접 접하고 나머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According to clause 1,
The scaffolding is,
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remainder interposed between the floor frame and the support portion.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발판과, 일단부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거주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는 난간부;
상기 수직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난간부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는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프레임은,
중공형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발판지지부는 측부가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수직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통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출입구벽체에 밀착되는 상기 수직바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벽체와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직바가 상기 출입구벽체로부터 이탈이 감지되면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A vertical passage that passes vertically through a plurality of floors and serves as a passage for an elevator,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vertical passage opens into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 floor forming the floor of the living space of each floor, and In a building comprising an entrance wall dividing a vertical passage and the living space and having the entrance formed through the entrance, in the elevator construction work railing install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entrance,
It includes a footrest with one end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floor frame with one end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living space to support the footrest. bottom part that does;
a handrail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floor fram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horizontally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 horizontal support bar located in the vertical passage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handrail, a vertical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nd supported by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vertical support bar. It includes a support part including a connecting support bar,
The floor frame is,
It is formed as a hollow square frame and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floor surface and a footre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ootrest,
The fixing part and the footrest support part are supported on the s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bars is located inside the vertical passage and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 contact switch install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bar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contact with the entrance wall,
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act switch and sends an alarm when the vertical bar is detected to be separated from the entrance wall.
일단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입구 상부의 상기 출입구벽체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는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According to clause 1,
A work railing for elevator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a fixing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loor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ntrance wall above the entrance to support the fl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310A KR102607340B1 (en) | 2021-07-19 | 2021-07-19 |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310A KR102607340B1 (en) | 2021-07-19 | 2021-07-19 |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496A KR20230013496A (en) | 2023-01-26 |
KR102607340B1 true KR102607340B1 (en) | 2023-11-29 |
Family
ID=8511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4310A KR102607340B1 (en) | 2021-07-19 | 2021-07-19 |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734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8777A (en) * | 1999-05-13 | 2000-11-28 | Otis Elevator Co | Elevator installing scaffold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25886A1 (en) * | 1989-09-20 | 1991-03-21 | John Clement Preston | Landing platform and overhead protector for a construction site |
AUPO685897A0 (en) * | 1997-05-16 | 1997-06-12 | Preston, John Clement | Partly retractable construction platform |
KR101111234B1 (en) | 2008-10-07 | 2012-02-21 | 김송강 | Elevat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construction workbench |
KR20110000559U (en) * | 2010-06-30 | 2011-01-18 | 김천호 | entrance protection shelf |
-
2021
- 2021-07-19 KR KR1020210094310A patent/KR1026073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8777A (en) * | 1999-05-13 | 2000-11-28 | Otis Elevator Co | Elevator installing scaffold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496A (en) | 202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00B1 (en) | It can adjust highly railing for apartment house | |
KR101109398B1 (en) | Master Rope Support | |
KR10203950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on narrowness of high-place workbench | |
KR102607340B1 (en) | work plate for elevator working | |
KR102166857B1 (en) | Displacement notification devices and bridge inspection safety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200425806Y1 (en) | The bracket for preventing gangform falling | |
CN107922168B (en) | Conveyor device | |
KR102454852B1 (en) | Stair railing in which the staircase width becomes narrow | |
KR20200098233A (en) | Saf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 |
KR102600088B1 (en) | Fall prevention device with free horizontal movement of steel tower | |
EP0440728B1 (en) | Foldable fire-escape ladder | |
KR102548561B1 (en) | Safety Drop 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Steel Tower | |
KR102430871B1 (en) | System for supporting and reinforcing retaining wall having means for detecting buckling of pipe | |
KR200355424Y1 (en) | Guide device for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 |
KR200413590Y1 (en) | Scaffold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 |
US4295543A (en) | Fire escape apparatus | |
KR100757321B1 (en) | Support for yoke of zenith mold | |
EP3859099A1 (en) | A safety post, especially for work at heights | |
KR20090053023A (en) | Support plate structure for removing slate roof comtaining asbestos and 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93266Y1 (en) | Crash detector for work platform | |
JP6842738B1 (en) | Suspended scaffolding | |
KR102065282B1 (en) | Scaffold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afe-stopper and iot safe-sensor | |
KR20090034709A (en) | Bracket for fixing construction building | |
KR102375709B1 (en) | Safety fence structure for buildings | |
JP7534730B1 (en) | Fall prevention handrai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